코카트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카트리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중세 시대에 뱀의 특징을 가진 괴물로 여겨졌다. 쳐다보는 것만으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능력을 가졌으며, 바실리스크와 혼동되거나 동일시되기도 했다. 14세기 초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에 등장하며, 셰익스피어의 작품, 해리 포터 시리즈, 다양한 게임 및 애니메이션 등 대중문화에 널리 등장한다. 한국에서는 서양 판타지 문화의 유입과 함께 게임, 소설 등에서 강력한 몬스터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닭 - 바산
바산은 일본 시코쿠의 산에 산다고 전해지는 붉은 닭벼슬과 불꽃을 뿜는 입을 가진 칠면조 크기의 요괴로, 밤에 날갯짓하며 나타나 사람을 놀래키지만 해를 끼치지는 않는다. - 신화의 닭 - 알렉트리온
그리스 신화에서 아레스의 부하였던 알렉트리온은 아프로디테와의 밀회 때 망을 보다가 잠이 들어 수탉으로 변하여 아침마다 울음소리로 해가 뜸을 알리는 존재가 되었다. - 문장학의 길짐승 - 유니콘
유니콘은 이마에 뿔이 달린 흰 말의 모습을 한 전설 속 동물로, 순결과 처녀성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뿔은 마법적 효능을 지닌 것으로 믿어졌고, 스코틀랜드 왕가와 LGBTQ+ 커뮤니티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 문장학의 길짐승 - 메두사
메두사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고르곤 세 자매 중 하나로, 아테나의 저주를 받아 흉측한 모습으로 변했으며, 페르세우스에게 목이 잘린 후에도 석화 능력을 유지하며 예술과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는 인물이다. - 유럽의 전설의 생물 - 시 비숍
시 비숍은 16세기 유럽에 알려진 기괴한 해양 생물로, 물고기 몸에 주교의 모습을 하고 폴란드-독일 해역 등에서 포획되었다는 기록과 삽화가 남아 있으며, 그 정체는 가시상어 등으로 추정된다. - 유럽의 전설의 생물 - 여우 이야기
여우 이야기는 중세 유럽 민담 및 문학 작품군으로, 교활한 여우 레나르, 늑대 이젠그림, 사자 노블 왕 등 의인화된 동물들이 인간 사회를 풍자하는 에피소드를 다루며, 《로망 드 르나르》를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코카트리스 | |
---|---|
일반 정보 | |
![]() | |
어원 | 라틴어 'calcatrix'에서 유래 |
다른 이름 | 바실리스크 |
문화권 | 유럽 신화 |
상징 | 죽음, 파괴 |
외형 | |
일반적인 묘사 | 닭의 머리와 날개 뱀 또는 용의 꼬리 도마뱀의 몸 |
크기 | 작음 (수탉 정도) |
눈 | 강렬하고 쏘아보는 듯함 |
능력 | |
주요 능력 | 눈을 통한 살인 독 |
약점 | 족제비의 냄새 수탉의 울음소리 거울 |
기원 및 전승 | |
기원 | 중세 유럽의 상상에서 비롯 |
탄생 | 늙은 수탉이 낳은 알에서 부화 |
서식지 | 어둡고 습한 장소, 폐허 |
관련 이야기 | 중세 유럽의 여러 전설 판타지 문학 및 게임 |
대중 문화 | |
등장 작품 | 해리 포터 시리즈 던전 앤 드래곤 마인크래프트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기타 | |
주의 | 바실리스크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음 |
2. 기원 및 명칭
코카트리스(Cockatrice)라는 명칭은 고대 그리스어 '이크네우몬(ἰχνεύμων, 뒤쫓는 자)'에서 유래했다.[34] 이크네우몬은 원래 이집트 몽구스를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뱀을 사냥하는 습성 때문에 "파라오의 쥐(Pharaoh's Rat영어)"라고도 불리며 귀하게 여겨졌다. 고대 로마의 대 플리니우스는 『박물지』에서 이크네우몬이 진흙을 이용해 뱀과 싸우고, 악어새가 악어의 입을 청소할 때 악어의 창자를 찢어 먹는다고 기록했다.[35]
이크네우몬은 라틴어 '칼카트릭스(Calcatrix)'를 거쳐 고대 프랑스어 '코카트리스(Cocatris)'로 변화했다.[34] 한편, '코카트리스(cocatris)'는 중세 라틴어 및 고전 프랑스어 '코코드릴(cocodril, 악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으며, 15세기 스페인 여행가 페드로 타푸르는 이집트의 악어를 '코카트리즈(cocatriz)'라고 부르기도 했다.[37]
3세기 가이우스 율리우스 솔리누스는 『Polyhistor』에서 악어의 창자를 찢어 먹는 생물을 '이크네우몬의 일종인 엔히드루스(enhydrus)'라고 기술했고,[35] 여기서 히드루스(Hydrus / Enhydrus / Enhydros) 전승이 생겨났다. 이크네우몬과 히드루스는 중세 동물 우화에서 뱀 또는 용의 특징을 가진 괴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용어의 혼란 때문에 코카트리스는 뱀의 괴물로 여겨지게 되었다.[34][36]
2. 1. 초기 전승
존 위클리프가 번역한 14세기 성경에서 코카트리스에 대한 최초의 영어 언급이 등장한다. 이 단어는 이사야서의 여러 구절에서 살무사와 살모사를 번역하는 데 사용된 다양한 히브리어 단어를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알렉산더 네캄의 De naturis rerumla(약 1180년)에 따르면, 바실리스크는 수탉이 낳고 두꺼비가 품은 알에서 태어났으며, 재해석된 이야기에서는 뱀으로 대체될 수 있었다. 바르톨로메우스 앙글리쿠스의 De proprietatibus rerumla(약 1260년)에 나오는 basiliscusla가 존 트레비사에 의해 ''코카트리스''(1397년)로 번역되면서 코카트리스는 바실리스크와 동의어로 간주되었다.[30][31]
3. 특징 및 능력
코카트리스는 "코카트리스의 죽음의 눈"[6]으로 쳐다보거나, 만지거나, 숨을 내쉬는 것으로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세 후기 동물 우화집에서는 족제비가 코카트리스의 시선에 면역인 유일한 동물이라고 언급되었다.[7] 또한 코카트리스는 수탉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즉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8] 거울을 보고 자신을 바라보게 하는 것이 코카트리스를 죽이는 확실한 방법 중 하나였다.[9]
E. R. 에디슨의 판타지 소설 ''웜 오로보로스''(1922) 4장에는 고리스 왕이 그로에게 코카트리스를 보여주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코카트리스는 닭과 뱀이 섞인 모습으로 묘사되며, 수탉이 낳은 알을 두꺼비가 품어 태어난다는 전승이 있다.[30][31] 독을 가지고 있어, 사람에게 창으로 공격당하면 그 창을 통해 독을 전달하여 반대로 죽이거나, 물을 마시기만 해도 그 물가를 오랫동안 독으로 오염시키기도 하며[32], 보기만 해도 상대를 죽이거나[30][32], 날아다니는 새조차 시선으로 태워 떨어뜨린다고[30][33] 한다.
4. 문화적 영향
코카트리스는 성경 (킹 제임스 성경 등)을 비롯하여 문학 작품,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 등장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처드 3세》, 《로미오와 줄리엣》 등에서 코카트리스는 위험하고 사악한 존재로 비유된다.[13][6]
E. R. 에디슨의 판타지 소설 ''웜 오로보로스''(1922) 4장에서는 왕이 그로에게 코카트리스를 보여주는 장면이 묘사되는데, "계집의 알에서 태어나 귀머거리 독사가 품은 것"으로 묘사되며, 그 눈빛은 모든 생물을 돌로 만들 수 있다고 한다.[15]
현대 판타지 작품(《던전 앤 드래곤》, 《파이팅 판타지》, 《해리 포터》 시리즈, 《마이 리틀 포니: 우정은 마법》 등)에서는 주로 몬스터나 악역으로 등장한다.[16][19] SCP 재단 협업 글쓰기 프로젝트의 이야기 ''SCP-1013 - 코카트리스''(2011)에서는 코카트리스가 희생자를 쳐다보면서 마비시키고, 물어뜯고 나서야 피부를 돌로 만들고, 그 후에 석화된 피부를 쪼아서 희생자의 살점을 먹는 존재로 묘사된다.[20]
문장학에서 코카트리스는 드물게 사용되는 상징이며, 와이번과 유사하지만 수탉의 머리를 가졌다는 점이 다르다.[24] 잉글랜드 랭커셔의 랭글리 가문,[26] 영국 공군 제3 (전투) 비행대대 등의 문장에 사용되었다.
참조
[1]
문서
Historia Naturalis
[2]
문서
Breiner 1979
[3]
웹사이트
Andanças e viajes
http://depts.washing[...]
[4]
문서
Breiner 1979:35
[5]
서적
Pseudodoxia Epidemica: Or, Enquiries Into Very Many Received Tenents, and Commonly Presumed Truths
https://books.google[...]
E. Dod
1658
[6]
서적
Romeo and Juliet
https://myshakespear[...]
2016-06-24
[7]
서적
Encyclopedia of Beasts and Monsters in Myth, Legend and Folklore
https://books.google[...]
McFarland
[8]
서적
The private lives of English words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egan Paul
2010-10-08
[9]
서적
The English cyclopaedia: a new dictionary of Univers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Bradbury and Evans
2010-10-08
[10]
웹사이트
BibleGateway
https://www.biblegat[...]
[11]
문서
Hebrew word #8577 in Strong's Concordance; Hebrew word #6848 in Strong's Concordance; Hebrew word #660 in Strong's Concordance; Hebrew word #8314 in Strong's Concordance
[12]
웹사이트
BibleGateway
https://www.biblegat[...]
[13]
웹사이트
Richard III, Act IV, Scene 1 :-: Open Source Shakespeare
http://www.opensourc[...]
[14]
서적
The Honest Man's Fortune
The Malone Society
[15]
서적
The Worm Ouroboros
Jonathan Cape
1922
[16]
서적
Harry Potter and the Goblet of Fire
Bloomsbury Publishing
2000
[17]
비디오 게임
Harry Potter: Quidditch World Cup
Electronic Arts
2022-11-16
[18]
비디오 게임
Boktai: The Sun Is in Your Hand
Konami
2003
[19]
TV 프로그램 에피소드
Stare Master
https://www.imdb.com[...]
2022-11-16
[20]
웹사이트
SCP-1013 - Cockatrice
https://scp-wiki.wik[...]
2022-11-16
[21]
웹사이트
SCP-1000 Contest Hub
https://scp-wiki.wik[...]
2022-11-16
[22]
TV 프로그램 에피소드
Starting Over
https://www.imdb.com[...]
2022-11-16
[23]
비디오 게임
Little Witch Academia: Chamber of Time
Bandai Namco Entertainment
2022-11-16
[24]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https://archive.org/[...]
T.C. and E.C. Jack
[25]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https://archive.org/[...]
T.C. and E.C. Jack
[26]
웹사이트
Secrets from the Curator's Closet
http://www.curatorsc[...]
2010-07-15
[27]
문서
松平 (2005)
[28]
문서
Glossaire du Centre de la France
[29]
문서
松平 (2005)
[30]
문서
松平 (2005)
[31]
문서
De naturis rerum
1190
[32]
문서
ローズ,松村訳 (2004)
[33]
문서
アラン,上原訳 (2009)
[34]
문서
Della vita e delle opere di Bunetto Latini
[35]
문서
ギリシャ語のenhudris(カワウソ)に由来
[36]
논문
The Career of the Cockatrice
1979
[37]
서적
Andanças é viajes de Pero Tafur por diversas partes del mundo avidos. (1435-1439.)
Madrid, Impr. de M. Ginesta
18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