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트라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트라밴드는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연방군 점령 지역에서 탈출한 노예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버지니아 먼로 요새 지휘관 벤자민 버틀러 장군이 남군 측의 반환 요구를 거부하고 이들을 '전시금수품'으로 규정한 데서 유래했다. 이후 연방 의회는 남군이 사용하던 노예를 포함한 재산을 몰수할 수 있도록 했으며, 노예 반환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버틀러의 결정 이후, 많은 도망 노예들이 콘트라밴드가 되기 위해 먼로 요새로 향했고, 이들을 위한 '그랜드 콘트라밴드 캠프'가 조성되었다. 이 캠프는 해방의 첫 단계로 여겨졌으며, 교육과 피난처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노예제 - 1850년 타협
    1850년 타협은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노예제 문제로 갈등이 심화된 북부와 남부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헨리 클레이가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의 자유주 편입, 도망 노예법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지만, 남북 전쟁을 10년 연기하는 데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미국의 노예제 -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는 노예 제도와 강제 노역을 금지하고, 예외적으로 형벌에 따른 노역은 허용하며, 1865년 비준되어 노예 제도를 폐지하고 흑인들의 자유를 보장하는 데 기여했다.
  • 미국 남북 전쟁 - 톰 아저씨의 오두막
    해리엇 비처 스토우가 1852년에 발표한 반노예제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노예 톰의 삶과 주변 인물들을 통해 노예 제도의 잔혹함을 고발하고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흑인 묘사 방식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엉클 톰"이라는 멸칭의 기원이 되기도 했다.
  • 미국 남북 전쟁 - 무조건 항복
    무조건 항복은 적대 행위의 완전한 중단을 의미하며, 항복하는 측이 어떠한 조건도 제시하지 않고 항복하는 것을 뜻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에 대한 전쟁 목표로 사용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콘트라밴드
개요
"해방된 노예들이 연방과 함께 일하고 있다"
주제노예 제도
관련 용어몬로 독트린
벨벳 리볼버 (앨범)
콘트라밴드 (앨범)
역사적 맥락
관련 사건미국 남북 전쟁
개념 정의적군에 의해 점령되었거나 압수된 상품
주요 내용
용어 유래영어: Contraband
배경미국 남북 전쟁 중 연방군에 도망쳐 온 노예들을 지칭하는 용어
기원벤저민 버틀러 장군
발생 시기1861년
핵심 내용연방군은 남부 동맹의 노예 소유주들에게서 도망쳐 온 노예들을 "전쟁 물자(contraband of war)"로 간주하고 보호함
영향노예 해방 정책의 발전에 기여
많은 노예들이 연방군에 합류하거나 연방군을 지원하는 데 기여
관련 시설
주요 시설콘트라밴드 캠프
참고 자료
관련 문서뉴욕 타임스, 1863년 9월 6일 기사 (https://www.nytimes.com/1863/09/06/archives/natchez-the-first-town-on-the-river-gen-grant-on-a-visit-runaway.html)
1863년 및 1864년 서부 루이지애나 침공 중 연방군 행위에 관한 공식 보고서 (https://babel.hathitrust.org/cgi/pt?id=dul1.ark%3A%2F13960%2Ft86h5c681&view=1up&seq=51)
찬드라 매닝, 남북 전쟁 중 콘트라밴드 캠프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난민 경험 (https://oxfordre.com/americanhistory/view/10.1093/acrefore/9780199329175.001.0001/acrefore-9780199329175-e-203)

2. 역사

미국 남북 전쟁 초기, 남부 연합의 여러 주가 유니언 탈퇴를 선언하고 미국 연합군을 결성하면서 남부 소유 노예의 신분 문제가 떠올랐다. 버지니아주 남동부의 노예 사회에는 버틀러 장군의 결정 이후, "콘트라밴드"가 되는 것이 완전한 해방은 아니지만 해방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는 소문이 빠르게 퍼졌다. 더 많은 도망 노예들이 몬로 요새를 향해 콘트라밴드가 되기를 자청했다.

전 노예들의 수가 늘어나 요새 안의 숙소로는 더 이상 수용할 수 없게 되자, 콘트라밴드들은 남군이 떠난 햄프턴시에 있던 폐허에서 재료를 가져와 혼잡한 요새 외부에 가옥을 지었다. 이 숙소는 그랜드 콘트라밴드 캠프(별명 "슬래브타운")라고 불렸다. 1865년 4월 종전까지 약 1만 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콘트라밴드" 신분을 얻었고, 그들 중 많은 수가 그 인근에 거주했다.

몬로 요새 근처, 즉 엘리자베스 시티 카운티의 방벽 밖(후에 햄프턴 대학교 캠퍼스)에서 콘트라밴드의 성인과 아이들은 메리 S. 피크 등 선구적인 교사들에 의해 읽고 쓰는 것을 배웠다. 버지니아주 법은 노예 교육을 금지했지만, 이를 거스르고 교실은 야외의 큰 참나무 아래에서 열렸다. 1863년, 에이브러햄 링컨노예 해방 선언이 그곳에 있던 콘트라밴드와 자유 흑인들에게 읽혀졌고, 그 참나무는 이후 "해방의 참나무"라고 불리며 유명해졌다. 그러나, 해방 선언을 기안할 때의 정치적 배려 때문에, 콘트라밴드에게 진정한 해방은 1865년 늦게 비준된 노예제 폐지를 결정하는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의 성립을 기다려야 했다.

현대에는 콘트라밴드 역사 협회가 그 후손들에 의해 설립되어, 그 이야기를 기리고 후세에 전하고 있다. 필리스 하이슬립과 같은 작가들이 콘트라밴드 노예의 모습 등에 대해 기록해 왔다.

2. 1. 콘트라밴드의 등장

미국 남북 전쟁 초기, 남부 연합의 여러 주가 유니언 탈퇴를 선언하고 미국 연합군을 결성하면서 남부 소유 노예의 신분 문제가 떠올랐다. 1861년 초, 버지니아 남동부 먼로 요새 지휘관 벤자민 버틀러 소장은 남군 점령 지역인 노퍽 카운티에서 햄튼 로즈를 건너 탈출한 세 명의 노예, 프랭크 베이커, 제임스 타운젠드, 셰퍼드 말로리를 보호하게 되었다. 이들은 남군에 의해 시웰스 포인트 방어 포대 건설에 동원되었으나, 밤에 작은 배를 타고 먼로 요새로 탈출했다.

남북 전쟁 이전에는 노예 소유자가 법적으로 노예 반환을 청구할 수 있었지만, 버지니아는 이미 미합중국 탈퇴를 선언한 상태였다. 변호사 출신인 버틀러 장군은 버지니아가 스스로를 외국으로 간주한다면 노예 반환 의무가 없다고 판단하고, 이들을 '전시금수품'(contraband)으로 규정했다. 그는 남군 존 B. 캐리 소령의 반환 요구를 거부했다. 비록 이들이 즉시 자유인이 된 것은 아니었지만, '콘트라밴드'라는 새로운 신분으로 북군의 명령을 받고 일하며 적은 급여를 받았다.

버틀러 장군은 도망 노예에게 임금을 지불하지 않고 계속 노예로 칭했지만, 1861년 9월 25일 기드온 웰스 해군 장관은 '콘트라밴드'로 불리는 유색 인종에게 월 10달러와 하루치 식량을 지급하도록 명령했다. 3주 후, 육군도 이를 따라 먼로 요새의 남성 콘트라밴드에게 월 8달러, 여성에게 4달러를 지급했다.

1861년 8월, 연방 의회는 1861년 몰수법을 통과시켜 남군이 사용하던 재산(노예 포함)을 북군이 몰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듬해 3월에는 노예 반환 금지법이 통과되어 노예 반환이 금지되었다.

2. 2. '콘트라밴드' 용어의 사용

미국 남북 전쟁 초기, 남군을 위해 일하던 노예들이 북군으로 탈출하면서 이들의 법적 지위가 문제되기 시작했다. 버지니아주 햄프턴 로드의 먼로 요새 사령관 벤저민 버틀러 소장은 탈출해 온 노예 3명(프랭크 베이커, 제임스 타운젠드, 셰퍼드 말로리)을 남군에 돌려보내지 않고 '콘트라밴드'(contraband, 전시 금지 물품)로 규정했다.[24] 이는 이들을 노예도 자유민도 아닌 새로운 신분으로 인정한 것이었다.

이들은 원래 남군의 시웰스 포인트 방어 포대 건설에 동원되었으나, 밤에 작은 배를 타고 먼로 요새로 탈출했다. 남북 전쟁 이전이라면 1850년 도망 노예법에 따라 노예 소유주가 반환을 요구할 수 있었지만, 버지니아주가 연방 탈퇴를 선언한 상황에서 버틀러는 이들을 '전시 금지 물품'으로 간주하여 반환을 거부했다. 이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입장과는 달리, 남부 연합을 사실상 외국으로 인정한 것이었다.

버틀러는 이들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않고 계속 '노예'라고 불렀지만, 1861년 9월 25일 해군 장관 기데온 웰스는 '콘트라밴드'로 불리는 유색 인종에게 월 10달러와 식량을 지급하도록 명령했다.[18] 육군도 이를 따라 먼로 요새의 콘트라밴드 남성에게 월 8달러, 여성에게 4달러를 지급했다.[19]

1861년 8월, 연방 의회는 1861년 몰수법을 통해 남군이 사용한 재산(노예 포함)을 몰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듬해 3월에는 노예 반환 금지법을 통해 노예 반환을 금지했다.

버틀러가 '콘트라밴드'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아니었다. 공식 기록상으로는 1861년 8월 10일 미국 해군 포함 USS 레졸루트의 윌리엄 버드 선장 대리가 처음 사용했다.[22]

2. 3. 법적, 제도적 변화

1861년 초, 미국 남북 전쟁이 발발한 직후 남부 소유 노예의 지위 문제가 대두되었다. 버지니아 햄프턴 로드스에 위치한 먼로 요새는 남부 연합의 수도인 리치먼드와 인접했음에도 함락되지 않은 주요 연방 요새였다. 1861년 5월 24일, 프랭크 베이커, 셰퍼드 맬러리, 제임스 타운센드 등 세 명은 남부 연합이 점령한 버지니아주 노퍽 카운티에서 밤에 햄프턴 로드스 항구를 건너 요새 먼로로 도망쳐 노예 신분에서 벗어났다.[4] 이들은 시웰스 포인트의 포병 부대 건설을 돕도록 강요받았었다. 먼로 요새 사령관 벤자민 버틀러 소장은 노예 소유주의 대리인이 이들의 반환을 요청했음에도 반환을 거부했다.

전쟁 전에는 노예 소유주가 1850년의 연방 도망 노예법에 따라 (재산으로서) 그들의 반환을 법적으로 요청할 수 있었다. 그러나 버지니아는 (분리주의를 통해) 더 이상 미국의 일부가 아니라고 선언한 상태였다. 변호사 출신인 버틀러 장군은 버지니아가 스스로를 외국으로 간주한다면 도망 노예법이 적용되지 않으며, 세 사람을 돌려줄 의무가 없다고 판단했다. 그는 그들을 "전쟁 물자"로 간주했다. 이러한 입장은 암묵적으로 남부 연합을 외국으로 인정하는 것이었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분리주의를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았지만, "전쟁 장관인 사이먼 캐머런은 버틀러에게 그의 전쟁 물자 정책이 '승인되었다'는 것을 알리도록 전보를 보냈다."[5]

1861년 9월 25일, 해군 장관 기데온 웰스는 연합 해군에 고용된 "콘트라밴드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유색 인종"에게 월 10USD와 하루분의 배급량을 지급하라는 지침을 내렸다.[11] 3주 후, 연합군은 이에 따라 먼로 요새의 남성 "콘트라밴드"에게 월 8USD, 여성에게 4USD를 지급했는데, 이는 해당 사령부에만 적용되었다.[12]

같은 해 8월, 미국 의회는 1861년 몰수법을 통과시켜, 노예를 포함하여 남부 연합군에 의해 사용된 모든 재산을 연합군이 몰수할 수 있다고 선언했다. 이듬해 3월, 의회는 노예 반환 금지법을 통과시켜 노예가 된 사람들을 남부 연합의 노예 소유주에게 돌려보내는 것을 금지했다.

3. 그랜드 콘트라밴드 캠프

버지니아 남동부에서 "콘트라밴드"가 된다는 소문은 노예들 사이에서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는 완전한 해방을 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많은 이들에게 해방으로 가는 첫걸음으로 여겨졌다. 버틀러의 결정 이후, 더 많은 도망 노예들이 먼로 요새로 향했고, 콘트라밴드가 되기를 희망했다. প্রাক্তন 노예들의 수가 증가하여 요새 내부 숙소로는 감당할 수 없게 되자, 콘트라밴드들은 남군이 떠난 햄프턴 시의 폐허에서 재료를 가져와 요새 밖에 집을 지었다. 이들은 이 숙소를 '그랜드 콘트라밴드 캠프'(별칭 '슬래브타운')라고 불렀다. 1865년 4월 종전까지 약 1만 명의 사람들이 "콘트라밴드" 신분을 얻기 위해 인근에 거주했다.

1863년까지, 미국 선교 협회는 부정한 전 대통령 존 타일러의 이전 저택을 포함하여 캠프에 총 4개의 학교를 설립했다.[13][16]

대부분의 콘트라밴드에게 완전한 해방은 1865년 12월 6일에 비범죄에 대한 처벌을 제외하고는 노예제를 폐지한 미국 헌법 수정 제13조가 비준될 때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노예 해방 기지(Contraband camps)는 연방군이 점령한 많은 요새와 야영지 주변에 생겨났다. 1863년, 노예 해방 선언과 흑인 군부대의 창설이 승인된 후, 수천 명의 자유 흑인들이 미국 유색인 부대(United States Colored Troops)에 입대하기 시작했다. 미군은 그들의 가족들이 노예 해방 기지에서 피난처를 찾도록 허용했다. 결국 흑인 부대는 연방군 전체 병력의 거의 10%를 차지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100개 이상의 노예 해방 기지가 남부 지역에 건설되었다. 이 중 많은 곳이 미국 선교 협회(American Missionary Association)와 다른 단체들에 의해 북부에서 모집된 선교사 교사들의 도움을 받았으며, 이들은 자유 흑인 및 해방된 흑인들과 함께 이전 노예의 교육이 최우선 과제라고 동의했다. 교사들은 종종 어른과 아이를 포함한 해방된 사람들의 교육에 대한 열망에 대해 글을 썼다.

현대에는 콘트라밴드 역사 학회가 그 후손들에 의해 설립되어 그 이야기를 기리고 후세에 전하고 있다. 필리스 하이슬립과 같은 작가들이 콘트라밴드 노예의 모습 등에 대해 기록해 왔다.

3. 1. 콘트라밴드 캠프와 징집

이 소문은 버지니아 남동부 노예 사회에 빠르게 확산되었다. ‘콘트라 밴드’가 되면 완전한 해방을 의미하지 않았지만, 많은 노예들은 그것을 해방의 첫 단계로 여겼다. 버틀러의 결정 이후, 더 많은 도망 노예가 먼로 요새를 목표로 길을 정하고, 콘트라 밴드가 되고자 했다. 원래 노예의 수가 증가하고 요새 내부의 숙소에서 수용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콘트라밴드들은 남군이 불태워버린 햄프턴시에 있던 폐허에서 재료를 모아 혼잡한 요새 밖에 주택을 건설했다. 콘트라 밴드들은 그 숙소를 ‘그랜드 콘트라밴드 캠프’(별칭은 ‘슬라브타운’)라고 불렀다.[23] 연합군이 콘트라밴드들을 캠프에 주둔시키기 위해 내쫓았을 때, 그리고 그곳에 살던 흑인들이 조직적으로 연합군에 강제 징집되었을 때 갈등이 발생했다.[13]

1865년 4월 종전까지 약 1만명으로 추정되는 흑인들이 ‘콘트라밴드’의 신분을 얻기 위해 근처에 살았다. 남부 전역에서, 북군은 규모는 다르지만, 100개 이상의 콘트라밴드 캠프를 운용했다. 1862년에 시작된 로아노크 섬의 캠프에서는 호래이스 제임스가 ‘로아노크 섬의 자유민 식민지’(1863–1867)를 개척했다. 북군에 의해 임명된 군종 목사였던 제임스는 해방노예들과 함께 그 섬에 자급자족할 수 있는 식민지를 만들려고 시도했다.[23] 웨스트버지니아주 하퍼스 페리의 연방 전선 뒤에 있던 1,500명의 콘트라밴드들은 남부 연합군이 그 마을을 점령했을 때 납치되어 다시 노예가 되었다.[14]

먼로 요새 근처이지만, 엘리자베스 시군의 방벽 외부에서 콘트라밴드 성인과 어린이가 매리 S. 피크 등 선구자 교사에 의해 읽고, 쓰기를 배웠다. 그녀는 미국 전도사 협회에 의해 고용된 최초의 흑인 교사였다. 그들은 또한 북부의 많은 백인 교사들을 교육을 위해 남부로 파견했다. 엘리자베스 시티 카운티의 이 지역은 이후 역사적인 흑인 대학인 햄프턴 대학의 캠퍼스의 일부가 되었다. 버지니아 주법은 노예를 교육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었지만, 이에 반하는 행위였으며, 피크와 여러 교사들은 교실은 야외 큰 오크 나무 아래에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1863년, 에이브러햄 링컨노예 해방 선언을 그곳에 있었던 콘트라밴드와 해방 흑인들이 읽고, 들을 수 있게 되었으며, 그 오크 나무는 이후 ‘해방의 오크’라고 알려져 유명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방 선언을 기초할 때 정치적 배려 때문에 대다수의 콘트라 밴드에게 진정한 해방은 1865년 말에 비준된 노예 제도의 폐지를 결정한 미국 헌법 수정 제13조가 통과되어서야 이루어졌다.

현대에는 콘트라밴드 역사 학회가 그 자손에 의해 설립되어 그 이야기를 치하하면서 후세에 전하고 있다. 필리스 하이슬립 같은 저술가가 콘트라밴드 노예의 장면 등을 기록해 왔다.

3. 2. 교육 지원

버지니아주 그랜드 콘트라밴드 캠프에서 미국 선교 협회가 고용한 최초의 흑인 교사인 메리 S. 피크는 콘트라밴드 성인과 아동에게 읽고 쓰는 법을 가르치기 시작했다.[23] 미국 선교 협회는 남북 전쟁 중과 재건 시대에 새로 해방된 흑인들을 가르치기 위해 수많은 북부 백인 교사들을 남부로 보냈다. 피크가 엘리자베스 시티 카운티에서 가르쳤던 지역은 나중에 역사적으로 흑인 대학인 햄프턴 대학교의 캠퍼스 일부가 되었다. 노예 교육을 금지하는 버지니아 주법을 무시하고, 피크와 다른 교사들은 큰 참나무 아래 야외에서 수업을 진행했다. 1863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노예 해방 선언이 그곳의 콘트라밴드와 자유 흑인들에게 낭독되었고, 이 나무는 해방 참나무로 명명되었다.[23]

4. 콘트라밴드 관련 단체

미국 선교 협회는 남북 전쟁 중과 재건 시대에 새로 해방된 흑인들을 가르치기 위해 수많은 북부 백인 교사들을 남부로 보냈다. 이 협회는 버지니아주 엘리자베스 시티 카운티에서 햄프턴 대학교의 캠퍼스 일부가 된 지역에서 흑인들에게 읽고 쓰는 법을 가르쳤다. 1863년까지 미국 선교 협회는 캠프에 총 4개의 학교를 설립했다.[13][16]

전쟁이 끝날 무렵, 100개 이상의 노예 해방 기지가 남부 지역에 건설되었다. 이 중 많은 곳이 미국 선교 협회와 다른 단체들에 의해 북부에서 모집된 선교사 교사들의 도움을 받았다. 이들은 자유 흑인 및 해방된 흑인들과 함께 이전 노예의 교육이 최우선 과제라고 동의했다.

참조

[1] 뉴스 Natchez The First Town on the River Gen. Grant on a Visit Runaway Negroes in the Contraband Camp Secesh in Despair, &c. https://www.nytimes.[...] 2023-02-05
[2] 서적 Official report relative to the conduct of federal troops in western Louisiana: during the invasions of 1863 and 1864 https://babel.hathit[...] News printing establishment, John Dickinson, proprietor
[3] 간행물 Contraband Camps and the African American Refugee Experience during the Civil War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7-29
[4] 뉴스 How Slavery Really Ended in America https://www.nytimes.[...] 2022-09-21
[5] 서적 Freedom National: The Destruction of Slavery in the United States, 1861-1865 W. W. Norton & Company 2013
[6] 서적 The Pirate Lafitte and the Battle of New Orleans Random House 1998
[7] 웹사이트 Contraband of War - Cartoons - Political - Thomas Nast https://thomasnast.c[...]
[8] 문서 The War of the Rebellion: A Compilation of the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Armies, Series 2
[9] 문서 The War of the Rebellion: a Compilation of the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Armies, Series 1
[10] 문서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Navies in the War of the Rebellion, Series I
[11] 문서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Navies in the War of the Rebellion, Series I
[12] 문서 The War of the Rebellion: A Compilation of the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Armies, Series 2
[13] 논문 Interactive Map of Contraband Camps https://repository.u[...] 2014-01-01
[14] 뉴스 Speech of Hon. Cassius M. Clay https://www.newspape[...] 1862-10-08
[15] 웹사이트 The Roanoke Island Freedmen's Colony http://www.learnnc.o[...] National Park Service 2010-11-11
[16] 서적 Christian Reconstruction: The American Missionary Association and Southern Blacks, 1861-189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009-01-20
[17] 서적 Matthew Brady's Illustrated History of the Civil War 1861-65 and the Causes that Led Up to the Great Conflict https://books.google[...] The Fairfax Press 1912
[18] 문서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Navies in the War of the Rebellion, Series I
[19] 문서 The war of the rebellion: a compilation of the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armies, Series 2
[20] 문서 The war of the rebellion: a compilation of the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armies, Series 2
[21] 문서 The war of the rebellion: a compilation of the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armies, Series 1
[22] 문서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Navies in the War of the Rebellion, Series I
[23] 웹사이트 The Roanoke Island Freedmen's Colony http://www.learnnc.o[...] National Park Service 2010-11-11
[24] 문서 The War of the Rebellion: A Compilation of the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Armies, Series 2
[25] 문서 The War of the Rebellion: a Compilation of the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Armies, Series 1
[26] 문서 Official Records of the Union and Confederate Navies in the War of the Rebellion, Series I
[27] 서적 The Pirate Lafitte and the Battle of New Orleans Random House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