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워츠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워츠코는 폴란드 돌나시레지아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왔으며, 고대 호박길에 위치하여 로마 제국과의 교역이 이루어졌다. 10세기 보헤미아 연대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폴란드와 보헤미아 간의 소속 변경을 거쳐 12세기 초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다. 13세기 몽골의 침략을 격퇴하고 마그데부르크법에 따른 독일 도시권을 획득했으며, 14세기에는 도시가 성장하고 독일인 정착민이 유입되었다. 후스 전쟁 이후 도시가 쇠퇴했지만, 15세기 클라츠코 백국으로 승격되었다. 1526년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18세기 슐레지엔 전쟁으로 프로이센에 병합되었지만, 오스트리아의 건축과 문화적 영향을 받았다. 19세기에는 폴란드 민족 해방 투쟁의 중심지였으며, 1871년 독일 제국에 편입된 후 급격한 현대화를 겪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요새가 감옥으로 사용되었고, 1945년 폴란드 영토가 되었으며, 이후 토네이도와 홍수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문화, 상업, 관광 중심지이며, 다양한 건축물과 관광 명소, 스포츠팀, 교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돌니실롱스크주의 도시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 돌니실롱스크주의 도시 - 그워구프
    그워구프는 폴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서슬라브족 요새에서 기원하여 폴란드, 보헤미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의 지배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후 폴란드에 귀속, 재건되었으며 구리 제련소를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있다.
  • 폴란드의 도시 - 크라쿠프
    크라쿠프는 폴란드 남부 비스와 강 유역에 위치한 마워폴스카주의 주도로, 7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폴란드 왕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고, 몽골 침략 후 재건되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폴란드의 아테네'로 불리며 번성했으며, 폴란드 분할과 나치 독일 점령의 비극을 겪었지만 역사적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한 학술 및 경제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도시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크워츠코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구시가지와 고딕 양식의 성모 승천 교회, 크워츠코 요새
구시가지와 중세 고딕 양식의 성모 승천 교회, 크워츠코 요새 배경
볼레스와프 흐로브레고 광장의 역사적인 주택
볼레스와프 흐로브레고 광장의 역사적인 주택
고딕 다리와 바로크 양식의 묵주 성모 교회
고딕 다리와 바로크 양식의 묵주 성모 교회
별칭동유럽의 룩셈부르크
작은 프라하
로마자 표기Kłodzko
기본 정보
국가폴란드
돌니 실롱스크주
크워츠코군
크워츠코 (도시 구)
시장미하우 피슈코
설립10세기
도시 권리 획득1233년
면적25 km²
인구 (2021년 3월 31일 기준)25,717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CET (+1)
하계 시간 (DST)CEST (+2)
최대 해발고도370 m
최소 해발고도300 m
우편 번호57-300, 57-303, 57-304
지역 번호+48 74
차량 번호판DKL
국도[[File:DK8-PL.svg|32px|link=National road 8 (Poland)]] [[File:DK33-PL.svg|32px]] [[File:DK46-PL.svg|32px]]
지방도[[File:DW381-PL.svg|32px]]
웹사이트klodzko.pl
기타 언어 표기
체코어Kladsko 클라트스코
독일어Glatz 글라츠
라틴어Glacio 글라치오
폴란드어 (별칭)Mała Praga 마와 프라가
구글 지도

2. 역사

크워츠코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중세, 근대, 현대를 거치며 다양한 사건들을 겪었다.

현재 크워츠코 지역은 기원전 1세기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로마 제국과 무역 관계를 맺었던 호박길 정착지의 흔적이 남아있다.

10세기 말 코스마스의 ''보헤미아 연대기''에 따르면, 981년 아달베르트의 아버지 슬라브니크 공작의 도시 '클라츠코'로 처음 언급되었다. 초기에는 보헤미아에 속했으나, 폴란드 왕국보헤미아 사이에서 소속이 여러 번 바뀌었다. 1114년 소베슬라프 1세가 도시를 점령하고 불태웠지만 곧 재건되었고, 1137년 클워츠코 평화 조약으로 볼레스와프 3세가 클워츠코 지역에 대한 권리를 보헤미아 공국에 양도했다.[4]

중세 고딕 양식의 성 요한 다리 위의 역사적인 건물


1241년 몽골의 유럽 침략 당시 몽골의 습격을 받았으나, 보헤미아 왕 바츨라프 1세가 몽골군을 몰아냈다.[5][6] 1253년에서 1278년 사이 마그데부르크법에 따른 독일 도시권을 획득했다. 이후 여러 공작들에게 팔렸다가 1334년 지엠비체 공작 볼코 2세가 보헤미아 왕국에 다시 팔았다. 같은 해 보헤미아 왕 룩셈부르크의 요한의 재배치로 도시가 성장하여 독일인 정착민이 유입되었다. 1341년 시청, 1342년 벽돌 공장이 건설되었고, 1366년부터 전문 소방관의 보호를 받았다. 수데테스 산맥 산길을 통해 보헤미아에서 폴란드로 가는 고대 도로에 위치하여 이익을 얻었다. 1390년 고딕 건축 양식의 석조 다리가 믈리누프카 강 위에 건설되었다.

도시의 근세 시대 모습


15세기 후스 전쟁 이전까지 급속도로 발전했으나, 전쟁으로 인해 전염병, 화재, 홍수 등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7] 1459년 보헤미아 왕 이르지 z 포데브라트에 의해 백국 지위로 승격되었다. 1472년, 폴란드 공작 블라디슬라프 야기에우워는 프라하에서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하기 전 이 도시에 머물렀다.[7]

1526년 합스부르크 왕가가 보헤미아의 세습 왕이 되면서 클라츠코 백국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일부가 되었다. 16세기에 지역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했고, 하수도 건설, 거리 포장, 시청 개조 등 도시 정비가 이루어졌다.

프로이센 왕국은 18세기 슐레지엔 전쟁 동안 크워츠코를 병합했지만, 오스트리아의 영향은 건축과 문화에 남아있었다. 요새 건설이 계속되었고, 도시는 요새 확장의 비용을 부담해야 했다. 1760년 오스트리아 군대에 점령되었지만, 이후 프로이센으로 반환되었다.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동안 프랑스군의 폭격을 견뎌냈다.[8] 1826년, 프레데리크 쇼팽이 이 도시를 여행했다.[9] 19세기 폴란드 민족 해방 투쟁 동안, 폴란드 언론인, 역사학자, 사제 등이 크워츠코 요새에 투옥되었다.[10][11][12]

1871년, 크워츠코는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877년 도시 성장에 대한 제한이 철회되면서 현대화와 확장이 이루어졌다. 요새 일부가 철거되고, 새로운 다리가 건설되었으며, 철도를 통해 독일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었다. 1864년에는 가스 공장, 1880년에는 전기 공장이 문을 열었다. 1884~1885년에는 새로운 시나고그가 건설되었다.[13][14] 19세기 말, 크워츠코 계곡은 인기 있는 관광 지역이 되었다. 1910년에는 17,121명의 주민이 있었는데, 대부분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였다.

1938년 9월, "세기의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빠르게 복구되었다. 크리스탈나흐트 동안 시나고그는 나치의 방화 공격으로 파괴되었다.[1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는 클로즈코 계곡 지역을 재병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크워츠코 요새는 나치 독일에 의해 감옥으로 사용되었다.[15][16]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수감되었고,[16] 폴란드 저항 조직원에 대한 재판이 열렸다.[17] 1944년부터 AEG 무기 공장이 포대에 자리 잡았고, 1,500명의 폴란드인들이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다. 요새는 그로스-로젠 강제 수용소의 하위 수용소로 바뀌었다.[19] Stalag VIII-B/344 포로 수용소의 강제 노동 하위 수용소도 설치되었다.[20]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의해 요새에 수감된 1,500명의 폴란드 강제 노동자 기념비


1945년 나치 독일 항복 후, 크워츠코는 포츠담 회담의 결정에 따라 폴란드 영토가 되었다. 독일인들은 포츠담 협정에 의거하여 추방되었고,[22] 소련에 병합된 동부 폴란드에서 온 폴란드 난민과 전쟁으로 파괴된 폴란드 중부 출신 폴란드인들로 다시 채워졌다. 1945년 5월 체코슬로바키아는 이 지역 합병을 시도했으나, 소련의 압력으로 실패했다.

1945년 크워츠코의 폴란드 귀환을 기념하는 명판


1946년 8월 20일, 크워츠코는 대형 토네이도 피해를 입었다.[23]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도시 중심가 상당 부분이 산사태로 파괴되었다. 이는 과거 크워츠코 상인들이 만든 지하 저장고와 터널망 때문이었다. 1970년대부터 터널 보존 작업이 시작되어 도시 파괴는 중단되었다. 1997년에는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빠르게 복구되었다. 2024년 중부 유럽 홍수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24][25]

1972년, 크워츠코 가톨릭 교구는 흐라데츠 크랄로베 교구에서 브로츠와프 대교구로 재배치되었다.[26] 1975년부터 1998년까지 크워츠코는 바우브지흐 보이보드십에 속했다.

현재 크워츠코는 돌나 시레지아의 문화, 상업, 관광 중심지 중 하나이다.

크워츠코 파노라마

2. 1. 선사 시대

현재 크워츠코 지역은 적어도 기원전 1세기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크워츠코 시내와 주변 지역에는 고대 호박길에 위치한 정착지가 있었음을 나타내는 여러 고고학 유적이 있으며, 이곳은 로마 제국과 광범위한 무역 관계를 맺었다.

2. 2. 중세 시대

10세기 말 코스마스가 쓴 ''보헤미아 연대기''에 클워츠코에 대한 초기 언급이 나타난다. 981년 아달베르트의 아버지 슬라브니크 공작의 도시 ''클라츠코''로 언급되었다. 처음에는 보헤미아에 속했으나, 클워츠코 지역과 함께 폴란드 왕국보헤미아 사이에서 소속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4] 1114년 소베슬라프 1세가 도시를 점령하여 불태웠으나 곧 재건되었다. 1137년 클워츠코 평화 조약으로 볼레스와프 3세가 클워츠코 지역에 대한 권리를 보헤미아 공국에 양도했다.[4]

1241년 몽골의 유럽 침략 당시 몽골의 습격을 받았으나, 보헤미아 왕 바츨라프 1세가 몽골군을 몰아냈다.[5][6] 1253년에서 1278년 사이 마그데부르크법에 따른 독일 도시권을 획득했다. 1278년 헨리 프로부스가 도시를 점령하여 폴란드 통치하에 들어갔으나, 1290년 시비드니차 공작에게, 1301년 지엠비체 공작에게 팔렸다. 1334년 지엠비체 공작 볼코 2세가 보헤미아 왕국에 다시 팔았다. 같은 해 보헤미아 왕 룩셈부르크의 요한의 재배치로 도시가 성장하여 독일인 정착민이 유입되었다. 1341년 시청, 1342년 벽돌 공장이 건설되었고, 1366년부터 전문 소방관의 보호를 받았다. 수데테스 산맥 산길을 통해 보헤미아에서 폴란드로 가는 고대 도로에 위치하여 이익을 얻었다.

독일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사들이 초청되었고, 1376년 대부분의 거리가 돌로 포장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은 이 지역 문화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1399년 폴란드어로 된 초기 텍스트 중 하나인 성 플로리안 시편경 (''Psałterz Floriański'')이 작성되었다. 1390년 고딕 건축 양식의 석조 다리가 믈리누프카 강 위에 건설되었다.

2. 3. 보헤미아 속 백국 시대



클라츠코는 15세기 후스 전쟁이 시작되기 전까지 급속도로 발전했다. 그러나 전쟁으로 인해 도시는 전염병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부분적으로 불탔으며, 연이은 홍수로 파괴되었다.[7] 1459년 보헤미아 왕 이르지 z 포데브라트에 의해 클라츠코 지역 전체가 백국 지위로 승격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는 백작(대부분 보헤미아 자체의 통치자)과 지방 의회의 소재지가 되었지만, 여전히 보헤미아의 "외곽 지역"(vnější kraj|보헤미아의 외곽 지역cs)의 일부로 남아 있었으며, 실레지아의 일부로는 간주되지 않았다. 1472년, 폴란드 공작 블라디슬라프 야기에우워는 프라하에서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하기 전 이 도시에 머물렀다.[7]

1526년 합스부르크 왕가는 야기에우워 왕조를 이어 보헤미아의 세습 왕으로 등극했다. 이로써 클라츠코 백국은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일부가 되었고, 지역 백작들은 권력을 유지했으며 보헤미아 왕(즉, 합스부르크 황제)은 이 지역을 주권자로 통치했다. 16세기에 이르러서야 지역 경제가 이전 전쟁의 피해로부터 회복되기 시작했다. 1540년에는 하수도가 건설되었고, 1549년에는 남은 거리들이 포장되었으며 시청이 개조되었다. 도시 광장을 둘러싼 대부분의 건물들이 순수한 르네상스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2. 4. 프로이센 왕국 시대

프로이센 왕국은 18세기 슐레지엔 전쟁 동안 크워츠코를 병합했지만, 오스트리아의 영향은 여전히 이 지역의 건축과 문화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요새 건설이 계속되었고, 도시는 요새 확장의 비용을 부담해야 했다. 1760년, 이 도시는 크워츠코 포위전에서 오스트리아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이후 프로이센으로 반환되었다.

프로이센 슐레지엔의 대부분과 달리, 크워츠코는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동안 프랑스군의 폭격을 견뎌냈다.[8] 1826년, 프레데리크 쇼팽이 이 도시를 여행했다.[9] 19세기 폴란드 민족 해방 투쟁 동안, 폴란드 언론인 Włodzimierz Adolf Wolniewicz|브워지미에시 아돌프 볼니에비치pl, 폴란드 역사학자 보이치에흐 쳰진스키, 폴란드 사제 Augustyn Szamarzewski|아우구스틴 샤마르제프스키pl가 크워츠코 요새에 투옥되었다.[10][11][12]

2. 5. 독일 제국 시대

1871년, 크워츠코는 프로이센이 주도한 독일 통일 과정에서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877년 도시 성장에 대한 제한이 철회되면서 급격한 현대화와 확장이 이루어졌다. 일부 요새가 철거되고 여러 개의 새로운 다리가 건설되었으며, 새로운 투자가 시작되었다. 철도를 통해 독일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었고, 1864년에는 가스 공장이, 1880년에는 전기 공장이 문을 열었다. 주요 거리의 건물들은 신고딕 양식과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재건되었고, 모든 문이 있는 도시 성벽은 철거되었다. 1884~1885년에는 브레슬라우 건축가 알베르트 그라우|Albert Graude가 설계한 새로운 시나고그가 "Grünestraße" [그린 스트리트]에 건설되었다.[13][14]

19세기 말, 크워츠코 계곡은 가장 인기 있는 관광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 바트 라이네르츠(두쉬니키즈드루이), 하벨슈베르트(비스트지차크워츠카), 바트 알트하이드(폴라니차즈드루이), 바트 란데크(롱데크즈드루이) 등 인근 마을에는 많은 호텔, 요양소, 온천이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이 지역은 브레슬라우(브로츠와프), 베를린, 비엔나, 크라쿠프의 부유한 부르주아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장소가 되었다. 1910년 이 도시에는 17,121명의 주민이 있었는데, 이 중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가 13,629명, 개신교 신자(대부분 프로이센 복음주의 국가 교회의 오래된 지방 구성원)가 3,324명, 유대인이 150명이었다.

1938년 9월, 크워츠코는 "세기의 홍수"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빠르게 복구되었다. 크리스탈나흐트(1938년 11월 9일) 동안 시나고그는 나치의 방화 공격으로 파괴되었다.[13] 대부분의 유대인이 이민을 갔고, 1939년에는 25명만 남았다.

2. 6. 체코의 영유권 주장

클로즈코 계곡 지역은 동부 네이세 강에 위치해 있으며, 독일인이 다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지역을 체코슬로바키아로 재병합하려는 여러 시도의 대상이 되었다.[1] 체코의 입장에서 볼 때, 클로즈코와 클로즈코 지방은 문화적으로나 전통적으로 보헤미아의 일부였으나, 이 지역은 1763년 프로이센 왕국에 정복된 이후부터 슐레지엔의 일부로 남아있었다.[1] 클로즈코를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하려는 이러한 노력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계속되었다.[1]

2. 7.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크워츠코 요새는 나치 독일 법무부와 국방군에 의해 감옥으로 사용되었다.[15][16] 이곳에는 연합군 포로를 포함하여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수감되었다.[16]

1942년 11월과 1943년 1월에는 'Związek Orła Białego' 폴란드 저항 조직원 39명에 대한 독일 재판이 열렸고, 그중 18명이 사형 선고를 받았다.[17] 198명의 수감자는 주로 그로스-로젠 강제 수용소를 비롯한 여러 나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18] 1944년 9월 23일에는 폴란드인 1명과 러시아인 1명, 단 두 명만이 감옥에서 탈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1944년부터는 우츠에서 이전해 온 AEG 무기 공장이 포대에 자리 잡았고, 1,500명의 폴란드인들이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다. 요새는 그로스-로젠 강제 수용소의 하위 수용소로 바뀌었다.[19] 독일군은 또한 이 도시에 Stalag VIII-B/344 포로 수용소의 8개 강제 노동 하위 수용소를 설치하고 운영했다.[20]

1945년 1월과 2월, 카토비체, 라치부시, 브제크, 니사 등 다른 지역의 많은 수감자들이 죽음의 행진이나 이송 과정에서 지역 감옥으로 옮겨졌고, 많은 사람들이 바우첸으로 더 서쪽으로 보내졌다.[21]

2. 8. 현대 폴란드



1945년 나치 독일 항복 후, 크워츠코는 포츠담 회담에서 결정된 국경 변경에 따라 폴란드 영토가 되었다. 1945년 6월 폴란드 당국이 행정권을 인수했고, 독일인들은 포츠담 협정에 의거하여 추방되었다.[22] 이 도시는 소련에 병합된 동부 폴란드에서 온 폴란드 난민과 전쟁으로 파괴된 폴란드 중부 출신 폴란드인들로 다시 채워졌다. 1945년 5월 체코슬로바키아는 "체코 코너" 서부 지역 체코인 소수 민족의 이익과 역사적 주장을 근거로 이 지역 합병을 시도했으나, 소련의 압력으로 체코 소수 민족은 체코슬로바키아로 추방되었다.

1946년 8월 20일, 크워츠코는 대형 토네이도 피해를 입었다. 유럽 폭풍 연구소(ESSL)는 이 토네이도를 후지타 등급 F2~F4로 추정했으며, 경로 길이는 10km, 최대 폭은 1000m였다고 기록했다.[23]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도시 중심가 상당 부분이 산사태로 파괴되었다. 이는 과거 크워츠코 상인들이 만든 광범위한 지하 저장고와 터널망 때문이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잊혀지고 붕괴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부터 터널 보존 작업이 시작되어 도시 파괴는 중단되었다. 1997년에는 홍수로 1938년보다 더 큰 피해를 입었으나 빠르게 복구되었다. 2024년 중부 유럽 홍수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24][25]

1972년 6월 28일, 크워츠코 가톨릭 교구는 흐라데츠 크랄로베 교구에서 브로츠와프 대교구로 재배치되었다.[26] 1975년부터 1998년까지 크워츠코는 바우브지흐 보이보드십에 속했다.

현재 크워츠코는 돌나 시레지아의 문화, 상업, 관광 중심지 중 하나이다.

3. 기후

크워츠코는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b'')와 습윤 대륙성 기후(''Dfb'')의 경계에 위치하며, 변동이 심한 기후를 보인다. 폴란드 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이곳에서는 해양 기단시베리아 내륙의 기단이 충돌한다.[27][28][29]

다음은 크워츠코의 기후를 나타낸 표이다. (1991년-2020년 평년값, 1951년-현재 극값)[30][31][32][33][34][35][36][37]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2°C2.9°C7.3°C13.8°C18.2°C21.5°C23.8°C23.9°C18.4°C12.7°C6.8°C2.2°C
평균 최저 기온 (°C)-4.4°C-3.6°C-0.8°C2.6°C6.8°C10.3°C11.9°C11.5°C8.2°C4.8°C1.3°C-2.9°C
평균 강수량 (mm)24.3mm24.6mm35.6mm37.3mm67.9mm83.7mm97.3mm72.8mm59.2mm41.8mm30.7mm26.1mm
평균 적설량 (cm)6.2cm7cm5.2cm1.8cm0.2cm0cm0cm0cm0cm0.3cm2.7cm3.9cm
평균 강수 일수 (≥ 0.1 mm)15.2713.3715.3711.2314.2013.9714.7312.1312.5713.8313.5014.83
평균 강설 일수 (≥ 0 cm)17.714.57.41.40.00.00.00.00.00.24.011.8
평균 상대 습도 (%)85.582.678.872.274.976.575.775.280.283.486.386.6
평균 일조 시간53.879.6123.7188.5228.1226.1239.1232.2155.8108.359.645.6



다음은 샬레유프 돌니(Szalejów Dolny) 지역의 1961-1990년 평년 및 극값 자료이다.[4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0°C1.9°C6.4°C12.2°C17.4°C20.5°C22°C21.9°C18.1°C12.9°C5.9°C1.7°C
평균 최저 기온 (°C)-5.7°C-4.4°C-1.3°C2.1°C6.3°C9.4°C10.6°C10.4°C7.9°C4.5°C0.5°C-3.6°C
평균 강수량 (mm)22mm24mm27mm35mm74mm91mm86mm88mm47mm36mm38mm26mm
평균 강수 일수 (≥ 1.0 mm)5.95.97.37.310.310.910.49.96.76.27.87.3


4. 인구

크워츠코 역사적 인구 변화[42][43][44][45]
연도인구
16206,500
17344,400
18074,549
18094,887
18165,510
18256,187
18346,644
18407,654
18437,777
18498,222
185813,052
187111,545
188013,307
189013,501
190014,926
191017,121
192516,563
193922,000
195017,171
196023,344
197828,592
198830,111
200229,173
201128,750
202125,717


5. 관광 명소


  • '''고딕 다리''' - "작은 카를교"라고도 불리며, 프라하의 카를교와 유사하다. 1997년 홍수에도 견뎌냈으며, 전설에 따르면 달걀 성분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 '''시립 터널''' - 13세기부터 도시 아래 건설된 터널의 일부가 공개되어 있다.
  • '''성모 승천 대성당''' - 14세기 구호기사단이 건설한 폴란드 고딕 건축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며, 피아스트 왕조의 매장지 중 하나이다.
  • '''묵주 기도의 성모 교회와 프란체스코 수도원''' - 바로크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 '''크워츠코 요새''' - 9세기에 처음 건설되었고,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 시대에 확장되어 프로이센에서 가장 큰 요새 중 하나였다. 19세기에는 폴란드 반란군과 독립 운동가 등 다양한 국적의 수감자들이 수용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민간 강제 노동자와 연합군 전쟁 포로를 수용했던 프로이센 및 독일 감옥으로 사용되었다. 이전 수감자들을 위한 기념관이 있다.
  • '''시청''' - 1890년에 지어졌지만, 더 오래된 고딕 건축르네상스 건축 양식의 탑이 보존되어 있다.
  • '''Muzeum Ziemi Kłodzkiej w Kłodzku|클로주코 지역 박물관pl'''
  • '''마리안 기둥''' - 시장 광장에 위치하며, 성모 마리아를 묘사한다. 1625년 흑사병 이후에 건설되었으며,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속했던 많은 도시에서 볼 수 있다.


6. 교육


크워츠코의 기업 학교

  • 크워츠코의 기업 학교 (중등학교)

7. 스포츠

클로즈코의 축구 및 육상 경기장과 체육관, 축구팀 니사 크워츠코와 농구팀 도랄 니사 크워츠코의 홈 경기장


크워츠코의 주요 스포츠 팀으로는 축구팀 니사 크워츠코와 농구팀 도랄 니사 크워츠코가 있다.

8. 자매 도시

크워츠코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48]

국가도시
독일벤스하임
프랑스카르뱅
벨기에플레롱
폴란드리마노바
체코나호트
루마니아러더우치
체코리흐노프나트크녜주노우



2010년 클로츠코와 나호트의 자매 도시 결연 15주년을 기념하는 메달

9. 주변 지역


  • 스토워베 산맥과 스토워베 산맥 국립공원
  • 폴라니차-즈드루이, 두시니키-즈드루이, 쿠도바-즈드루이, 롱데크-즈드루이의 온천 휴양지
  • 넴차의 중세 도시
  • 헨리쿠프의 시토 수도원
  • 보이슬라비체 수목원
  • 골라 제르조니오프스카 성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and structure and vital statistics in Poland by territorial division in 2019. As of 30th June https://stat.gov.pl/[...] Statistics Poland 2019-10-15
[2] 문서 Census on 31 March 2021.
[3] 웹사이트 Kłodzko - "Mała Praga" na wschodzie Czech - Bibliography of the History of the Czech Lands http://biblio.hiu.ca[...] 2017-03-07
[4] 간행물 Uzdrowiska ziemi kłodzkiej "Ziemia Kłodzka" No. 223 2013
[5] 서적 Genghis Khan: Conqueror of the World Tauris Parke Paperbacks 2004-01-17
[6] 서적 A Popular History of Germany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Present Day Nabu Press 2010-02-24
[7] 서적 Ziemia Kłodzka. Przewodnik Oficyna Wydawnicza Rewasz 2010
[8] 서적 A History of Prussia Barnes & Noble Books 1978
[9] 서적 Szlakiem Chopina po Polsce Wydawnictwo JaR
[10] 간행물 Włodzimierz Adolf Dołęga Wolniewicz
[11] 서적 Ziemia Kłodzka. Przewodnik Oficyna Wydawnicza Rewasz
[12] 웹사이트 Walczył z zaborcą jako kapłan, społecznik i działacz gospodarczy https://gloswielkopo[...] 2015-03-26
[13] 뉴스 Nieoczekiwane wskrzeszenie kłodzkiej synagogi http://nowa.mojabram[...] 2016-02-02
[14] 서적 Chronologia dziejów Dolnego Śląska Oficyna Wydawnicza Atut – Wrocławskie Wydawnictwo Oświatowe
[15] 논문 Więzienie karne w Kłodzku w latach II wojny światowej "[[Zakład Narodowy im. Ossolińskich]], Wydawnictwo [[Polish Academy of Sciences|Polskiej Akademii Nauk]]"
[16]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17] 문서 Konieczny, pp. 379–380
[18] 문서 Konieczny, p. 381
[19] 문서 Konieczny, p. 380
[20] 웹사이트 Working Parties https://www.lamsdorf[...] 2021-11-11
[21] 문서 Konieczny, pp. 377–378
[22] 서적 Die Vertreibung der deutschen Bevölkerung aus den Gebieten östlich der Oder-Neisse Deutscher Taschenbuchverlag
[23] 웹사이트 European Severe Weather Database https://eswd.eu/ European Severe Storms Laboratory 2022-12-08
[24] 웹사이트 UPDATE: Floods in Poland: Four dead, hospital evacuated, train services disrupted https://www.polskier[...] 2024-09-16
[25] 웹사이트 At least 8 dead as heaviest rain in decades hits parts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edition.cnn.[...] 2024-09-16
[26] 웹사이트 Vratislaviensis - Berolinensis et aliarum https://www.vatican.[...] "[[Acta Apostolicae Sedis]]" 2024-09-21
[27] 논문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in Poland under climate change 2018-02-26
[28] 웹사이트 Kłodzko climate: Average Temperature, weather by month, Kłodzko weather averages - Climate-Data.org https://en.climate-d[...] 2019-02-04
[29] 웹사이트 Klodzko vs No. 6 Climate & Distance Between http://www.klodzko.c[...] 2019-02-04
[30] 웹사이트 Średnia dobow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28
[31] 웹사이트 Średnia minimaln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28
[32] 웹사이트 Średnia maksymalna temperatura powietrza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28
[33] 웹사이트 Miesięczna suma opadu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28
[34] 웹사이트 Liczba dni z opadem >= 0,1 mm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28
[35] 웹사이트 Średnia grubość pokrywy śnieżnej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28
[36] 웹사이트 Liczba dni z pokrywą śnieżna > 0 cm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28
[37] 웹사이트 Średnia suma usłonecznienia (h) https://klimat.imgw.[...] Institute of Meteorology and Water Management 2022-02-28
[38] 웹사이트 Kłodzko Absolutna temperatura maksymalna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18-04-06
[39] 웹사이트 Kłodzko Absolutna temperatura minimalna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28
[40] 웹사이트 Kłodzko Średnia wilgotność https://meteomodel.p[...] Meteomodel.pl 2022-02-28
[41] 웹사이트 Kłodzko (12520) - WMO Weather Station ftp://ftp.atdd.noaa.[...] NOAA 2019-01-04
[42] 웹사이트 Dawne Kłodzko http://www.dawneklod[...] 2005-01-10
[43] 서적 Dokumentacja Geograficzna Instytut Geografii Polskiej Akademii Nauk
[44] 웹사이트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structure and housing conditions of the urban population in 1978-1988 https://statlibr.sta[...] 2024-09-21
[45] 웹사이트 Statistics Poland - National Censuses https://bdl.stat.gov[...] 2024-09-21
[46] 웹사이트 MKS Nysa Kłodzko https://www.nysa.klo[...] 2024-09-21
[47] 웹사이트 ASK Doral Nysa Kłodzko http://kosz.doral.pl 2024-09-21
[48] 웹사이트 Miasta partnerskie http://www.klodzko.p[...] Kłodzko 2019-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