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가스테의 알리피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가스테의 알리피우스는 로마 속주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의 타가스테 출신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제자이자 절친한 친구였다. 그는 마니교에 관심을 가졌으며, 법학을 공부하고 치안 판사로 일했다. 밀라노에서 암브로시우스의 설교를 듣고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세례를 받은 후, 타가스테로 돌아와 수도원 설립을 도왔고, 394년에는 타가스테의 주교가 되었다. 알리피우스는 아프리카 공의회에 참여하고, 도나투스파와의 회의에 참석했으며, 430년경 사망했다. 1584년 로마 순교록에 추가되었으며, 축일은 8월 15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우구스티누스 - 김명혁
김명혁은 순교자 김관주 목사의 아들이자 한국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신학자 겸 목회자로, 월남 후 서울대 사학과 졸업, 미국 유학을 통해 다양한 신학 학위를 취득하고 총신대학교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강변교회 담임목사,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교회 연합 운동에 기여했으며 어거스틴 연구 권위자로도 알려졌으나 2024년 별세했다. - 아우구스티누스 - 욕정
욕정은 강렬한 성적 욕망을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죄와 연관되어 해석되기도 하고, 이슬람교에서는 욕망과 분노의 조화를 강조하는 등 다양한 종교적, 철학적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 - 5세기 사망 - 프루덴티우스
프루덴티우스는 4-5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시인으로, 법률가와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말년에 수도원에서 금욕 생활을 하며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는 시를 썼으며, 그의 작품은 중세 시대에 널리 읽혔다. - 5세기 사망 - 글리케리우스
글리케리우스는 473년부터 474년까지 서로마 황제를 지냈으나 동로마 제국에 인정받지 못했고, 재위 기간 동안 고트족의 침입을 막고 성직 매매 금지법을 제정했으며, 퇴위 후에는 살로나 주교가 되어 여생을 보냈다. - 4세기 출생 -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4세기 후반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역사가로, 《역사》를 저술하여 96년부터 378년까지의 로마 역사를 기록했으며, 그의 저서는 4세기 로마 제국의 정치, 군사, 사회상에 대한 귀중한 1차 사료를 제공한다. - 4세기 출생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타가스테의 알리피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알리피우스 |
존칭 접두사 | 성인 |
출생 시기 | 4세기 |
사망 시기 | 5세기 |
축일 | 8월 15일 |
공경하는 교회 |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
![]() | |
시성일 | 1584년 |
시성자 |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
2. 생애
알리피우스는 로마 제국 속주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의 타가스테 출신 귀족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카르타고 제자였으며,[2] 아우구스티누스와 깊은 우정을 나누어 '마음의 형제'라고 불렸다. 알리피우스는 마니교의 정결 규정을 존경했고,[3] 결혼은 지혜 탐구에 방해가 된다고 믿었다.[4][5] 법학을 공부하고 치안 판사로 일하기도 했다.
384년, 밀라노에서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암브로시우스의 설교를 들었으며, 387년 부활절 전야에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세례를 받았다.[6] 이후 타가스테로 돌아가 북아프리카 최초의 수도원 설립을 도왔고, 아우구스티누스가 히포의 사제가 되자 함께 이주하여 수도 공동체의 일원이 되었다. 394년, 성지에서 예로니모를 만난 후 타가스테의 주교가 되었다.[8]
놀라의 바울리누스에게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사본을 요청했으며, 바울리누스의 요청으로 아우구스티누스가 ''고백록''을 쓰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7]
주교 재임 기간 동안 아프리카 공의회에 참여했으며, 411년 카르타고에서 도나투스파와의 회의에 포시디우스,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가톨릭 주교 대표로 참석했다. 416년 밀레비(누미디아) 공의회에 참여하여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서면 보고서를 작성했다.[6] 430년경에 사망했다.[2]
2. 1. 초기 생애와 마니교
알리피우스는 로마 제국의 속주였던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의 작은 마을인 타가스테(현재 알제리의 수크아라스)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그는 카르타고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제자가 되었다.[2] 알리피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우정은 깊어졌고,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를 '마음의 형제'라고 부를 정도였다. 알리피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으로 마니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마니교의 엄격한 정결 규정을 존경했으며,[3] 결혼이 친구들과의 지혜 탐구에 방해가 된다고 믿었다.[4][5]그는 법학을 공부했고, 젊은 시절 로마로 가서 치안 판사로 일했다.
2. 2. 검투사 경기 관람 사건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에 따르면, 젊은 시절 알리피우스는 친구들과 함께 검투사 경기를 보러 갔다.[2] 처음에는 눈을 감고 저항했지만, 경기장의 함성에 굴복하여 눈을 뜨고 경기를 즐겼다. 심지어 다른 친구들을 초대하기까지 했다. 이후 알리피우스는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고, 다시 신앙으로 돌아갔다.[2]2. 3. 아우구스티누스와의 회심
384년, 알리피우스는 밀라노에서 아우구스티누스와 다시 만나 암브로시우스의 설교를 들었다.[6] 알리피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가 회심할 때 밀라노의 정원에 함께 있었다. 387년 4월 부활절 전야에 알리피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암브로시우스에게 세례를 받았다.[6]2. 4. 수도 생활과 타가스테 주교 임명
387년 4월 부활절 전야에 암브로시우스에게 세례를 받은 후,[6] 알리피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타가스테로 돌아가 북아프리카 최초의 수도원 설립을 도왔다. 아우구스티누스가 히포의 사제가 되자, 알리피우스도 히포로 이주하여 아우구스티누스가 세운 수도 공동체의 일원이 되었다. 394년, 알리피우스는 성지에서 예로니모를 만나고 돌아온 후 타가스테의 주교로 임명되었다.[8]2. 5. 아프리카 공의회 참여와 사망
알리피우스는 주교로 재임하면서 아프리카 공의회에 참여했다. 411년 카르타고에서 열린 도나투스파와의 회의에 포시디우스,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가톨릭 주교들을 대표하여 참석했다.[6] 416년에는 밀레비(누미디아) 공의회에 참여하여 이 공의회에 대한 서면 보고서를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작성했다.[6] 알리피우스는 430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사후 성인 추대와 숭배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1584년에 로마 순교록에 알리피우스를 추가하면서 그의 숭배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8] 그의 축일은 8월 15일이다.[9]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수사들은 포시디우스와 함께 5월 16일에 그의 축일을 기념하고,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회 회원들은 8월 17일에 공동 축일을 기념한다.
4. 평가 및 의의
알리피우스는 마니교의 정결 규정을 존경하고 결혼이 지혜 탐구에 방해가 된다고 믿었으나, 밀라노에서 암브로시우스의 설교를 듣고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기독교로 개종하였다.[6] 그는 타가스테 주교[8]로 재임하면서 아프리카 공의회에 참여했고, 411년 카르타고에서 도나투스파와의 회의에 포시디우스,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가톨릭 주교 대표로 참석하여[6] 북아프리카 교회의 분열을 극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4. 1. 아우구스티누스와의 관계
알리피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카르타고 제자였다.[2]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를 '마음의 형제'라고 불렀으며, 둘의 우정이 깊어지면서 알리피우스는 마니교에 대한 관심도 깊어졌다. 알리피우스는 마니교의 엄격한 정결 규정을 존경했으며,[3] 결혼은 친구들과의 지혜 탐구에 방해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4][5]384년, 알리피우스는 밀라노에서 아우구스티누스와 합류하여 암브로시우스의 설교를 들었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가 개종할 때 밀라노의 정원에 함께 있었으며, 387년 4월 부활절 전야에 암브로시우스에게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세례를 받았다.[6]
세례 후, 알리피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타가스테로 돌아가 아우구스티누스가 북아프리카에 최초의 수도원을 세우는 것을 도왔다. 아우구스티누스가 히포의 사제가 되자, 알리피우스는 그곳으로 이주하여 아우구스티누스가 세운 수도 공동체의 일원이 되었다.
놀라의 바울리누스가 알리피우스의 삶에 대한 세부 사항을 묻자, 알리피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대신 답해달라고 요청했다. 존 C. 켈리에 따르면, 이것이 아우구스티누스가 훗날 ''고백록''을 쓰게 된 계기가 되었다.[7]
4. 2. 종교적 관용과 사회 통합
알리피우스는 마니교의 엄격한 정결 규정을 존경하고 결혼이 지혜 탐구에 방해가 된다고 믿었지만,[3][4][5] 밀라노에서 암브로시우스의 설교를 듣고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387년 부활절 전야에 세례를 받으며 기독교로 회심하였다.[6] 그는 타가스테의 주교로 재임하면서[8] 아프리카 공의회에 참여했고, 411년 카르타고에서 도나투스파와의 회의에 가톨릭 주교들을 대표하여 포시디우스, 아우구스티누스와 함께 참석하였다.[6] 이는 당시 북아프리카 교회의 분열을 극복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Immerwahr, John. "St. Augustine on the Walls" Villanova University
http://www46.homepag[...]
[2]
웹사이트
Saint Alypius of Thagaste and Saint Possidius of Calama
http://osa-west.org/[...]
[3]
웹사이트
Saint Alypius of Thagaste
http://www.augustini[...]
2019-07-16
[4]
웹사이트
1412 alypius
http://www.augnet.or[...]
2019-07-16
[5]
웹사이트
3303 alypius
http://www.augnet.or[...]
2019-07-16
[6]
웹사이트
Saint Alypius
http://midwestaugust[...]
Province of Our Mother of Good Counsel
2015-03-16
[7]
간행물
The Conversion of St. Augustine
Irish Province of the Society of Jesus
[8]
백과사전
St. Alypiu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4-01-20
[9]
백과사전
Thagaste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4-01-20
[10]
서적
고백록, 9권, 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