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탕페이는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32년 장쑤성 타이창에서 태어났다. 그는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전투기 조종사로 복무했으며, 대사관 주재 무관을 역임하며 개방적인 사고방식을 갖게 되었다. 1998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참모총장이 되었고, 1999년에는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며 군에서 퇴역했다. 2000년에는 천수이볜 총통에 의해 행정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4개월 만에 사임했다. 탕페이는 군 현대화에 기여했으며, 1990년대 대만 군의 노선을 공군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군 군인 - 에드먼드 힐러리
에드먼드 힐러리는 1953년 텐징 노르가이와 함께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등정하고, 남극과 북극을 모두 정복했으며, 히말라야 지역 셰르파족을 위한 자선 활동에도 헌신한 뉴질랜드의 등반가, 탐험가, 자선가이다. - 공군 군인 - 플로렌스 그린
플로렌스 그린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영국의 여성으로, 1918년 영국 왕립 공군 여성 부대에서 복무했으며, 2011년 사망한 클로드 슐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생존 참전 용사가 되었다. - 중화민국의 행정원장 - 쑹쯔원
쑹쯔원은 중화민국 시대 정치가이자 경제학자로, 국민정부 재정부장과 중앙은행 총재를 역임하며 중국 경제에 기여하고 중일전쟁 시 미국 지원을 확보했으나, 관료 자본주의 논란 속에 국공내전 후 미국으로 망명했다. - 중화민국의 행정원장 - 리환
리환은 중화민국 정치인이자 교육자로, 중국 국민당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행정원장으로서 대만 계엄령 해제와 국민대회 개혁에 기여했으며, 국립 중산 대학 학장과 교육부 부장을 지내며 교육 개혁을 추진했다. - 1932년 출생 - 피터 아이젠먼
피터 아이젠먼은 탈구조주의 건축과 CAD의 선구적인 미국 건축가이자 이론가이며, 뉴욕 5인조의 일원으로서 활동했고, 유럽 유대인 학살 기념관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미국 디자인 어워드와 울프상을 수상했다. - 1932년 출생 - 박봉식 (정치학자)
박봉식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교육자로, 서울대학교 교수 및 총장, 부산외국어대학교와 금강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활동, 총선 무소속 출마, 토지매입 알선 사기 사건 연루, 서울대학교 본부 점거 사태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탕페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탕페이 |
원어 이름 | 唐飛 |
출생일 | 1932년 3월 15일 |
출생지 | 중화민국 장쑤성 타이창시 |
사망일 | 알 수 없음 |
사망지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장밍찬 |
경력 | |
정당 | 무소속 (2000년–현재), 중국 국민당 (1952년–2000년) |
군사 경력 | 중화민국 공군사관학교 졸업 계급: 상장 복무 기간: 1944년–1999년 소속: 중화민국 공군 |
주요 전투 | 제3차 타이완 해협 위기 |
수상 | 알 수 없음 |
주요 직책 | |
총통부 자정 | 2000년 10월 6일 – 2005년 5월 20일 |
총통 | 천수이볜 |
행정원장 | 제16대 |
임기 시작 | 2000년 5월 20일 |
임기 종료 | 2000년 10월 6일 |
부총리 | 유시쿤 장쥔슝 |
이전 | 빈센트 시우 |
이후 | 장쥔슝 |
국방부장 | 제21대 |
임기 시작 | 1999년 2월 1일 |
임기 종료 | 2000년 5월 19일 |
행정원장 | 샤오완창 |
차관 | 우스원 |
이전 | 장중링 |
이후 | 우 스원 |
참모총장 | 제16대 |
임기 시작 | 1998년 3월 5일 |
임기 종료 | 1999년 1월 31일 |
총통 | 리덩후이 |
이전 | 뤄번리 |
이후 | 탕야오밍 |
국군 부참모총장 | 제16대 |
임기 시작 | 1995년 7월 1일 |
임기 종료 | 1998년 3월 4일 |
총통 | 리덩후이 |
이전 | 뤄번리 |
이후 | 양더즈 (대행) 샤잉저우 |
공군 사령관 | 제12대 |
임기 시작 | 1992년 9월 1일 |
임기 종료 | 1995년 6월 30일 |
이전 | 린원리 |
이후 | 황셴룽 |
총통 | 리덩후이 |
2. 생애
탕페이는 군 복무 기간 동안 전투, 참모, 해외 직책을 두루 거쳤다. 군사 장비 및 인력 현대화에 기여했으며, 국방법과 국방부 조직법 제정을 통해 군 지휘 체계를 개편하고 국방부 권한을 강화했다.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재무관으로 오랫동안 근무하며 개방적이고 서구화된 사상을 갖게 되었다. 리덩후이 총통 시절 국방부 감찰실 주임, 하오보춘 행정원장 시절 공군 총사령 및 참모총장을 역임했으며, 리덩후이 정권 말기에는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탕페이의 경력은 1990년대 후반 대만 군사 노선이 육군 중심에서 공군 중심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준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탕페이는 1932년 3월 15일 중화민국 장쑤성 타이창에서 태어났다. 12세에 중국 공군 예비 학교에 입학하여 1950년에 졸업했다. 이후 중화민국 공군사관학교에서 공부하여 1952년에 졸업했다. 1963년 공군 비행대대 장교 과정, 1971년 국군대학교 공군 지휘참모대학, 1979년 전쟁대학에서 고급 군사 교육을 받았다.1953년부터 조종사로 복무를 시작하여, 1960년부터 1961년까지 작전 장교, 1961년부터 1965년까지 비행대장, 1968년부터 1970년까지 비행대대장을 역임했다.[2]
2. 2. 해외 근무 및 요직 역임
탕페이는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워싱턴 주재 중화민국 대사관에서 공군 부무관으로 근무했다.[2] 1979년부터 1982년까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주재 중화민국 대사관에서 무관으로 근무했다.[2]대만으로 돌아온 후, 1983년부터 1984년까지 비행대 지휘관을 역임했고, 1984년부터 1985년까지 공군 기획 부참모장을 역임했다. 1985년에는 중국 공군사관학교 교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986년부터 1989년까지 공군 정치 작전부 부장을 역임했다.[2]
2. 3. 군 최고위직 승진
1989년, 탕페이는 전투 항공 사령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부터 1991년까지 중화민국 공군 부사령관을 역임했다. 1991년부터 1992년까지는 국방부(MND) 감찰 부장을 맡았으며, 1992년부터 1995년까지는 중화민국 공군 사령관으로 재직했다. 1995년부터 1998년까지는 참모총장 부총장(집행)을 역임했다.1998년, 탕페이는 4성 장군으로 승진하여 참모총장이 되었다. 그는 입법원에서 질의에 답변한 최초의 군인이었다. 1999년에는 문민직인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군에서 퇴역했다.[2]
2. 4. 행정원장 취임과 사임
2000년 3월 29일, 천수이볜 대통령 당선자는 탕페이를 총리로 지명했다.[2] 이는 중국 국민당(국민당)에 가까운 국군을 안정시키고, 초당파적인 새로운 정국을 전개하려는 의미였다. 군인이 행정원장에 취임한 것은 천청, 하오보춘에 이어 3번째였으며, 군인 최고위인 국방부 참모총장과 문관 최고위인 행정원장을 모두 역임한 것은 하오보춘 이후 2번째였다.그러나 국민당籍의 탕페이는 행정원장 취임 후 타이완 제4원자력발전소(제4원전) 건설 지속을 주장했고, 건설 중지를 주장한 민주진보당(민진당)과 충돌했다. 결국, 천수이볜 총통은 탕페이의 "건강상의 이유"를 사직 사유로 발표했고, 탕페이는 4개월여 만에 행정원장 직에서 물러났다.[4]
3. 평가
탕페이는 개방적이고 서구화된 사고방식을 가진 군인으로 평가받는다. 1990년대 대만 군의 노선을 육군 중심에서 공군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했으며, 군 현대화에 크게 기여했다.[4] 리덩후이 총통 시절에는 공군 총사령, 일급 상장 참모총장, 국방부장 등을 역임하며 군 내 요직을 두루 거쳤다.
2000년 천수이볜 정부 초기, 중국 국민당(국민당)과의 협치를 위한 상징적인 인사로 행정원장에 임명되었다. 이는 민주진보당(민진당) 출신 첫 총통인 천수이볜이 장기간 정권을 잡고 있던 국민당에 가까운 국군을 안정시키고, 초당파적인 정국 운영을 위한 포석이었다. 군인이 행정원장에 취임한 것은 천청, 하오보춘에 이어 세 번째였으며, 군인 최고위직인 국방부 참모총장과 문관 최고위직인 행정원장을 모두 역임한 것은 하오보춘 이후 두 번째였다.
그러나 국민당 출신인 탕페이는 타이완 제4원자력발전소 건설 지속을 주장하면서 건설 중지를 주장한 민진당과 충돌했다. 결국 천수이볜 총통은 탕페이의 사임을 수용했고, 탕페이는 4개월여 만에 행정원장 직에서 물러났다.[4] 결과적으로 정파 간 갈등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참조
[1]
뉴스
Tang expected back at work in full form today
http://www.taipeitim[...]
2016-06-18
[2]
뉴스
Choice for prime minister shows shift to moderation.
http://www.seattlepi[...]
Seattle Post-Intelligencer
2000-03-30
[3]
문서
憲法施行後。
[4]
뉴스
【話の肖像画】台湾元総統・陳水扁(69)(22)紆余曲折の「脱原発」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0-04-19
[5]
뉴스
대만 탕페이 행정원장 사임
https://news.naver.c[...]
2022-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