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는 1856년 네덜란드에서 태어난 수학자이다. 그는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했으나 학업을 마치지 못하고 레이던 천문대 조수로 일하며 수학 연구를 시작했다. 스틸티어스는 샤를 에르미트와 교류하며 수학 연구에 매진했고, 1883년 천문대 업무를 중단하고 연구에 전념했다. 이후 흐로닝언 대학교 교수 임용에 실패했지만, 레이던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고 1889년 툴루즈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 스틸티어스는 해석학, 연분수 이론, 정수론에 기여했으며, 특히 리만-스틸티어스 적분으로 유명하다. 그는 1894년 툴루즈에서 사망했으며, 연분수 연구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오르모이 상을 수상하고, 그의 이름을 딴 스틸티어스 상이 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델프트 공과대학교 교수 - 야로슬라프 블란테르
야로슬라프 블란테르는 응축 물질 이론과 양자 수송 연구에 기여한 물리학자로, 러시아와 유럽의 여러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활동했으며, 나노과학 분야에서 양자 수송, 열전 효과, 스핀트로닉스 연구를 진행했고, 《양자 수송: 나노과학 입문》 등의 저서를 출판했다. - 델프트 공과대학교 교수 - 얀 버거스
얀 버거스는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학자이며, 유체역학 및 난류 이론을 연구하고 버거스 방정식을 제시했으며,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유체역학 연구를 이어갔다. - 즈볼러 출신 - 마르턴 에이켈봄
- 즈볼러 출신 - 톤 쿠프만
톤 쿠프만은 네덜란드의 지휘자, 오르간 및 하프시코드 연주자, 음악학자로서 암스테르담 바로크 오케스트라 & 합창단을 창단하여 바로크 음악, 특히 바흐와 북스테후데의 작품을 역사적 고증에 기반해 연주하고 전곡 녹음 프로젝트를 완성했으며, 고음악 연주에 대한 공헌으로 훈장을 받았다. - 네덜란드의 수학자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네덜란드의 과학자로서 진자시계와 밸런스 스프링 시계를 발명하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발견했으며 빛의 파동설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네덜란드의 수학자 -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
네덜란드 출신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수학자인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는 데이크스트라 알고리즘 개발, 구조적 프로그래밍 옹호, 세마포어 개념 연구, THE 운영체제 개발 참여 등 컴퓨터 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큰 공헌을 했다.
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 2세 |
![]() | |
출생일 | 1856년 12월 29일 |
태어난 곳 | 네덜란드 즈볼러 |
사망일 | 1894년 12월 31일 |
죽은 곳 | 프랑스 툴루즈 |
국적 | 네덜란드 |
분야 | 수학 |
소속 | |
소속 기관 | 델프트 공과대학교 레이던 대학교 |
학력 | |
출신 대학 |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
지도 교수 | 샤를 에르미트 장 가스통 다르부 |
업적 | |
주요 업적 | 리만-스틸티어스 적분 르베그-스틸티어스 측도 스틸티어스 변환 메르텐스 함수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르베그-스틸티어스 적분 르베그-스틸티어스 측도 스틸티어스 상수 스틸티어스 행렬 스틸티어스 변환 스틸티어스 다항식 라플라스-스틸티어스 변환 스틸티어스-비게르트 다항식 체비쇼프-마르코프-스틸티어스 부등식 하이네-스틸티어스 다항식 스틸티어스 모멘트 문제 푸리에-스틸티어스 대수 헨스톡-쿠르츠바일-스틸티어스 적분 메르텐스 추측 스틸티어스-오스굿 정리 |
2. 생애
토마스 요아너스 스틸티어스는 즈볼러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아버지 토마스 스틸티어스 1세는 로테르담 주변 항구 설계사였고 네덜란드 의회 의원이었다.[9] 스틸티어스는 델프트 공과대학교를 다녔으나 가우스와 야코비의 연구를 읽느라 대학을 졸업하지 못했다. 이후 레이던 대학교 학장이자 아버지의 친구였던 헨드리퀴스 헤라르뒤스 판 더 산더 박하위전(Hendricus Gerardus van de Sande Bakhuyzennl)을 통해 레이던 천문대에 일자리를 얻었다.
1883년 5월 스틸티어스는 엘리자버트 인트벌트(Elizabeth Intveldnl)와 결혼했다. 같은 해 9월 델프트 대학교 교수로 초대받아 기하학을 가르치게 되었다. 1884년 샤를 에르미트 등의 추천으로 레이던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1885년 네덜란드 왕립 과학원 명예 회원이 되었고, 1889년 툴루즈 대학교의 미분 및 적분학 교수가 되었다.
1894년 툴루즈에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즈볼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토마스 스틸티어스 1세는 로테르담 주변 항구 설계사였으며, 네덜란드 의회의 의원을 지냈다.[9] 1873년 델프트 공과대학교에 들어갔으나, 가우스와 야코비의 연구를 읽느라 학업에 집중하지 못해 졸업하지 못했다. 이후 레이던 대학교 학장이자 아버지의 친구였던 헨드리퀴스 헤라르뒤스 판 더 산더 박하위전(Hendricus Gerardus van de Sande Bakhuyzennl)을 통해 레이던 천문대에 일자리를 얻었다.얼마 지나지 않아 샤를 에르미트와 서신 교환을 시작했고, 이는 평생 지속되었다.[2] 처음에는 천체 역학에 관해 에르미트에게 편지를 썼지만, 곧 주제는 수학으로 바뀌었고, 여가 시간을 수학 연구에 쏟기 시작했다.
1883년 1월 1일, 레이던 천문대 대장 판 데 산데-바크하위젠은 스틸티어스가 관측 작업을 중단하고 수학 연구에 전념하도록 허락했다. 같은 해 5월, 엘리자베스 인트벨트(Elizabeth Intveldnl)와 결혼했으며, 그녀는 스틸티어스가 천문학에서 수학으로 전향하도록 격려했다. 9월에는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 F.J. 반 덴 베르크를 대신하여 해석 기하학과 제도법을 강의했다. 그해 말 천문대에서 사임했다.
1884년, 흐로닝언의 교수직에 지원했으나, 학위 부족으로 거부되었다.
2. 2. 천문대 조수 생활
스틸티어스는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 공부했으나, 가우스와 야코비의 저서를 읽느라 수업에 집중하지 못해 졸업하지 못했다.[2] 아버지의 친구이자 레이던 대학교의 학장이었던 헨드리퀴스 헤라르뒤스 판 더 산더 박하위전(Hendricus Gerardus van de Sande Bakhuyzennl)의 도움으로 레이던 천문대에 조수로 일하게 되었다.[9]얼마 지나지 않아 스틸티어스는 샤를 에르미트와 서신 교환을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천체 역학에 관해 썼지만 곧 수학으로 주제가 바뀌었다.[2] 레이던 천문대 대장 판 데 산더-바크하위전은 1883년 1월 1일 스틸티어스가 관측 작업을 중단하고 수학 연구에 전념하도록 허락했다.[2]
2. 3. 수학 연구 전념
스틸티어스는 라이덴 천문대에서 조교로 일하던 중 샤를 에르미트와 서신 교환을 시작했다.[2] 처음에는 천체 역학에 대해 썼지만, 곧 주제가 수학으로 바뀌면서 여가 시간을 수학 연구에 쏟게 되었다.라이덴 천문대 대장 반 데 산데-바크후이젠은 1883년 1월 1일 스틸티어스가 관측 업무를 중단하고 수학 연구에 전념하도록 허락했다. 1883년 5월, 스틸티어스는 엘리자베스 인트벨트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스틸티어스가 천문학에서 수학으로 전향하도록 격려했다. 9월, 스틸티어스는 델프트 대학교에서 F.J. 반 덴 베르크의 강의를 대신 맡게 되었고, 12월까지 해석 기하학과 기술 기하학을 가르쳤다. 그해 말, 스틸티어스는 천문대에서 사임했다.
1884년, 스틸티어스는 흐로닝언의 교수직에 지원했으나, 학위 부족으로 거부되었다. 에르미트와 다비드 비렌스 데 한은 스틸티어스가 라이덴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도록 주선하여 교수 자격을 얻게 했다.[3]
2. 4. 교수 임용 및 학위 수여
스틸티어스는 델프트 공과대학교를 졸업하지 못했지만, 아버지의 친구였던 헨드리퀴스 헤라르뒤스 판 더 산더 박하위전(Hendricus Gerardus van de Sande Bakhuyzennl) 덕분에 레이던 천문대에 일자리를 얻었다.[2] 1883년 5월, 스틸티어스는 엘리자버트 인트벌트(Elizabeth Intveldnl)와 결혼했고,[2] 같은 해 9월 델프트 대학교의 교수로 초빙되어 해석 기하학과 기술 기하학을 가르쳤다.[2]1884년, 스틸티어스는 흐로닝언의 교수로 지원했지만, 학위 부족으로 거부되었다.[3] 하지만, 샤를 에르미트 등의 추천으로 레이던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아 교수가 될 수 있었다.[3] 1885년, 네덜란드 왕립 과학 아카데미(Koninklijke Nederlandse Akademie van Wetenschappen, KNAW)의 회원이 되었다.[4] 1889년, 툴루즈 대학교의 미분 및 적분학 교수가 되었다.[5]
2. 5. 툴루즈 대학교 교수
1889년, 툴루즈 대학교에서 미분 및 적분학 교수로 임명되었다.[5]2. 6. 사망
스틸티어스는 1894년 12월 31일 프랑스 툴루즈에서 사망하였다.[5] 그는 1895년 1월 2일 테르카바드 묘지Cimetière de Terre-Cabade프랑스어에 묻혔다.3. 업적
스틸티어스는 해석학, 연분수 이론, 정수론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연분수 분석 이론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리만-스틸티어스 적분을 통해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그의 연구는 힐베르트 공간 이론으로 가는 첫걸음으로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3. 1. 수학적 분석
스틸티어스는 당대의 해석학과 연분수 이론, 정수론에 큰 공헌을 하였다. 거의 모든 분야의 수학적 분석, 연분수, 정수론에 걸쳐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업적으로 "연분수 분석 이론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한다.그의 연구는 힐베르트 공간 이론으로 가는 첫걸음으로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또한 불연속 함수, 발산 급수, 미분 방정식, 보간법, 감마 함수, 타원 함수 등의 연구를 하였으며, 리만-스틸티어스 적분으로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3. 2. 연분수 이론
스틸티어스는 해석학, 연분수, 정수론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업적으로 "연분수 분석 이론의 아버지"라고 불린다.[1] 그의 연구는 힐베르트 공간 이론의 첫 단계로도 중요하게 여겨진다.[1]3. 3. 정수론
스틸티어스는 당대의 해석학과 연분수 이론, 정수론에 큰 공헌을 하였다.[1] 그는 거의 모든 분야의 수학적 분석, 연분수, 정수론에 걸쳐 연구를 수행했다.[1]3. 4. 기타
스틸티어스는 당대의 해석학과 연분수 이론, 정수론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는 거의 모든 분야의 수학적 분석, 연분수, 정수론에 걸쳐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업적 때문에 "연분수 분석 이론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그의 연구는 힐베르트 공간 이론으로 가는 첫 번째 단계로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또한 불연속 함수, 발산 급수, 미분 방정식, 보간법, 감마 함수, 타원 함수 등의 연구를 했으며, 리만-스틸티어스 적분으로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4. 수상 및 명예
스틸티어스는 1884년 라이덴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885년에는 암스테르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4. 1. 오르모이 상
스틸티어스는 연분수 연구로 1893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오르모이 상(Prix Ormoy)을 수상했다.[6] 또한, 연분수에 관한 업적으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프티-돌모와상(prix Petit d'Ormoy)을 수상했다.4. 2. 스틸티어스 상
스틸티어스의 연분수 연구는 1893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오르모이 상(Prix Ormoy)을 수상하는 계기가 되었다.[6]1996년부터 스틸티어스를 기리기 위해 매년 네덜란드 대학의 수학 박사 학위 논문 중 최고를 선정하여 스틸티어스 상(Stieltjesprijs)을 수여하고 있다. 네덜란드 대학의 모든 수학 연구소와 학과에 해당 학년도에 진행된 박사 학위 목록을 요청하며, 이렇게 얻어진 목록이 상 후보 목록이 된다.[7] 상은 증서와 1200EUR로 구성되어 있다.[8]
참조
[1]
OED
Stieltjes integral
[2]
서적
Correspondance d'Hermite et de Stieltjes. Publiée par les soins de B. Baillaud [et] H. Bouget, avec une préf. de Émile Picard
http://archive.org/d[...]
Paris Gauthier-Villars
1905
[3]
서적
Mathematical Reviews
https://books.googl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94
[4]
웹사이트
Thomas Jan Stieltjes Jr. (1856–1894)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30
[5]
서적
Annales de la faculté des sciences de Toulouse: Mathématiques
https://books.google[...]
Université Paul Sabatier
1995
[6]
서적
Encyclopaedia.com's Biography on Thomas Joannes Stieltjes
https://www.encyclop[...]
[7]
서적
Platform Wiskunde Nederland; stieltjesprijs - PWN
https://platformwisk[...]
[8]
서적
Thomas Stieltjes Institute for Mathematics; Stieltjes Prize
https://stieltjes.or[...]
[9]
문서
Dr. Th.J. Stieltjes
https://www.parlemen[...]
Parlement.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