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머스 클리어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클리어리는 동아시아 고전, 특히 불교, 도교, 유교, 이슬람교 관련 문헌을 영어로 번역한 미국의 번역가이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동아시아 언어 및 문명으로 박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번역 작품으로는 손자병법, 화엄경, 벽암록, 오륜서, 꾸란 등이 있으며, 샴발라 출판사를 통해 다수의 번역서를 출간했다. 2021년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영어 번역가 - 에즈라 파운드
    에즈라 파운드는 20세기 모더니즘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미국의 시인이자 비평가, 번역가였으나, 이미지즘 운동의 중심인물로서 혁신적인 시적 기법을 도입하고 여러 작가에게 영향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친파시즘 활동과 반유대주의적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으며, 반역죄로 체포 후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어 이탈리아에서 생을 마감했다.
  • 중국어-영어 번역가 - 자오위안런
    중국의 저명한 언어학자, 음성학자, 작곡가인 자오위안런은 칭화 대학 등에서 다양한 학문을 공부하고 중국어 방언 조사, 문법 연구, 국어 로마자 제정 등에 기여했으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번역 및 가곡 작곡 등 다방면에서 업적을 남겼다.
  • 불경 번역가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 불경 번역가 - 붓다고사
    붓다고사는 5세기경 상좌부 불교의 주석가이자 학자로 팔리어로 "부처님의 목소리"를 의미하며, 스리랑카에서 싱할라어 주석들을 팔리어로 종합하고 《청정도론》을 비롯한 주석서를 저술하여 테라바다 불교 경전 해석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21년 사망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2021년 사망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토머스 클리어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토머스 F. 클리어리
원어 이름Thomas F. Cleary
직업번역가, 작가
개인 정보
출생일1949년 4월 24일
사망일2021년 6월 20일
형제자매조너선 C. 클리어리
학력
학위동아시아 언어 및 문명학 박사
법학 박사
모교하버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로스쿨
경력
활동 기간1977년–2021년
분야동양 철학
영향 받은 작품첸 야오텐
류화양
청징경
장쯔양
쑹위안수비안
가오란
텐다이치샤쿠

2. 생애

토머스 클리어리는 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 언어문명학과에서 철학박사(Ph.D), UC 버클리에서 법무박사(JD) 학위를 받았다. 동생인 조나단(J. C. 클리어리)도 동아시아 언어문명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77년 형제는 샴발라 출판사에서 벽암록을 영어로 번역해 출간했다. 샴발라 출판사는 티베트 불교를 비롯해 불교의 세계적 붐을 일으킨 진원지로 주목받고 있다. J. C. 클리어리는 미국의 저명한 불교학자로 소개되고 있다.

2. 1. 학력 및 초기 생애

클리어리는 십 대 시절에 불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의 불교 사상 연구는 이 시기에 배우고자 하는 열망으로 시작되었다.[3] 하버드 대학교에서 동아시아 언어 및 문명으로 Ph.D. 학위를 받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보울트 홀 법학대학원에서 법학 박사(JD) 학위를 받았다.[4] 박사 학위 과정을 마친 후, 클리어리는 학계와 거의 관련을 맺지 않았다. 그는 "대학 환경에는 너무 많은 억압이 있다"라고 말했으며, "나는 독립적으로 남아 내 책을 통해 직접 배우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싶다."라고 밝혔다.[3]

클리어리의 형제 조나단 클리어리(Jonathan Cleary) 또한 하버드 대학교에서 동아시아 언어 및 문명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사망

토머스 클리어리(en:Thomas Cleary)는 2021년 6월 20일,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지병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아내와 형제들이 그의 곁을 지켰다.[7][8]

3. 번역 활동 및 업적

클리어리는 십 대 시절부터 불교에 관심을 가졌고, 번역되지 않은 작품이나 기존 번역이 "너무 제한적"이라고 생각되는 작품을 선택하여 번역하는 데 힘썼다.[3] 하버드 대학교에서 동아시아 언어 및 문명으로 Ph.D.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보울트 홀 법학대학원에서 법학 박사(JD) 학위를 받았다.[4] 학계보다는 독립적인 번역가로서 활동하며, 자신의 책을 통해 직접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싶어했다.[3]

클리어리는 불교, 도교, 유교, 이슬람교 등 동아시아 고전 번역에 주력했다. 특히 손자의 ''손자병법'' 번역은 널리 알려져 있다.

3. 1. 주요 번역 작품

토머스 클리어리는 동양 고전 번역가로, 형 조나단 클리어리와 함께 공안 모음집 ''푸른 절벽집''을 샴발라 출판사에서 출판했다. 손자의 ''손자병법'' 번역으로 널리 알려졌으며,[5] 18세기 도교 현인 유일명의 해설서도 번역했다. 이 해설서는 의식 변형, 인간과 도의 마음 융합 등 주요 도교 텍스트의 은유적 암호화를 다룬다.

2000년 샴발라 출판사는 클리어리의 도교 번역본들을 모아 ''도교 고전'' 4권으로 출판했다. 이후 불교 번역본 5권도 ''불교와 선의 고전''으로 묶였다. 이슬람 지혜 전통에서는 ''은총으로 살고 죽기''를 번역했다.

3. 1. 1. 불교

클리어리는 1984년부터 기념비적인 ''화엄경'' 번역을 시작하여 1993년에 단권본을 출판했다.[5] 형 조나단 클리어리와 함께 벽암록을 번역하여 1977년 샴발라 출판사에서 출간했다.

클리어리의 불교 번역본은 5권으로 묶여 ''불교와 선의 고전''으로 출판되었다.

그의 다른 불교 관련 저작은 다음과 같다.

제목
능가경
선의 첫 번째 책
정토에서의 선
찬 불교 입문
탄트라 불교의 비밀
순간 선: 현재 깨어나기
부처의 두루마리
빛의 전승: 계전 선사의 깨달음의 예술로서의 선
고요의 서: 백 가지 선 대화
몸, 마음, 호흡: 명상 핸드북
좌선 명상
선 리더
찬 불교 명상
다섯 번째 회의: 과학을 위한 불교


3. 1. 2. 도교

黃金花 রহস্য|황금꽃의 비밀중국어 (The Secret of the Golden Flower)[5], ''도교 고전'' (The Taoist Classics)은 4권으로 구성된 도교 번역본 모음집이다.

  • ''도교 주역''[5]
  • ''현실 이해''[5]
  • ''본질적인 도''[5]
  • ''불멸의 자매들''[5]
  • ''도교 명상''[5]

3. 1. 3. 유교 및 기타

토머스 클리어리가 가장 널리 배포한 번역서는 손자의 ''손자병법''이다.[5] 1993년에는 미야모토 무사시의 ''오륜서''를 번역, 출판했다.[6]

그의 저서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사출판 연도비고
『오륜서: 일본 검술의 고전』샴발라2005
『코르마크의 충고: 고대 아일랜드 리더십 안내서』더블데이2004
『사무라이 정신 훈련: 부시도 자료집』샴발라2008
『사무라이의 지혜: 일본 무사 문화의 교훈 - 부시도에 관한 다섯 가지 고전 텍스트』터틀 출판2014
『여섯 가지 비밀: 고전 중국 전략서』2014
『사무라이의 영혼: 선과 부시도의 세 가지 고전 작품 현대 번역』터틀 출판2014
『아일랜드의 판단』2015


3. 1. 4. 이슬람교


  • ''The Essential Koran: The Heart of Islam'', 하퍼 샌프란시스코, 1994.
  • ''꾸란: 토머스 클리어리의 새로운 번역'', 스타라치 프레스, 2004.

3. 2. 번역 철학 및 특징

클리어리는 18세기 도교 현인인 유일명의 해설서를 번역하여, 의식의 변형과 인간의 마음과 도의 마음의 융합을 다루는 주요 도교 텍스트의 은유적 암호화를 설명하는 등 원문의 깊이 있는 이해를 추구했다.[5] 그는 손자의 ''손자병법''(Sunzi Bingfa)을 번역하여 널리 배포하였으며, 1984년부터 ''화엄경''(Huayan Jing)을 번역하여 1993년에 단권본을 출판했다.[5] 1993년에는 미야모토 무사시의 ''오륜서''를 번역, 출판했다.[6]

4. 저서 목록

다음은 토머스 클리어리가 번역한 작품의 부분 목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Lit interview: Thomas Cleary http://www.sfbg.com/[...] 2009-07-10
[2] 웹사이트 Thomas Cleary - Fons Vitae books; The Qur'an Translated by Thomas Cleary; Starlatch books http://www.fonsvitae[...] 2004-05
[3] 웹사이트 Thomas Cleary interview https://www.sonshi.c[...] 2009-07-10
[4] 웹사이트 Thomas Cleary http://www.shambhala[...] 2011-01-01
[5] 웹사이트 Bodhicitta's Ripple Effect https://tricycle.org[...] 2021-06-29
[6] 웹사이트 0877738688 The Book Of Five Rings by Miyamoto Musashi http://www.isbnplus.[...]
[7] 웹사이트 Remembering Thomas Cleary, Translator of Asian Classics https://www.shambhal[...] 2021-06-28
[8] 웹사이트 Thomas Cleary, Prolific Translator of Eastern Texts, Dies at 72 https://www.nytimes.[...] 2021-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