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해저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영해저터널은 경상남도 통영시에 있는 해저 터널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었다. 바다 양쪽에 방파제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을 만든 후 방파제를 제거하는 공법으로 건설되었으며, 터널 입구에는 용문달양(龍門達陽)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태합굴로 불렸으나, 광복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보행자 전용 도로로 사용되며, 통영시의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PC-701 백두산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PC-701 백두산함은 미국 상선학교 훈련함을 인수하여 명명되었으며, 인천 상륙 작전 지원, 대한해협 해전 참전 등의 활약을 펼친 후 퇴역했고, 돛대는 해군사관학교에 보존되어 있다. - 경상남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진주 문산성당
진주 문산성당은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에 위치한 천주교 성당으로, 1956년 문산 공소로 시작하여 1963년 본당으로 승격되었으며 문산 지역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생활 지원과 지역 사회 활동을 한다. - 통영시의 문화유산 - 통영오광대
통영오광대는 경상남도 통영 지역에서 전승되는 가면극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양반 사회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으며, 사자춤을 포함하는 특징을 지닌 중요무형문화재이다. - 통영시의 문화유산 - 통영성지
통영성은 왜구 침입에 대비하여 1678년에 축조된 흙과 돌로 쌓은 성으로, 해안 방어 체계 강화와 백성 보호를 위한 조선 후기 축성 기술과 국방 정책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통영해저터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통영 해저 터널 |
위치 | 경상남도 통영시 당동 406번지 외 18필지, 미수동 907-1 외 14필지 |
좌표 | 34°50′04.0″N 128°24′36.4″E |
지정 번호 | 국가등록문화재 제201호 |
지정 일자 | 2005년 9월 14일 |
소유자 | 통영시 |
문화재청 번호 | 79,02010000,38 |
![]() | |
상세 정보 | |
개통 | 1932년 |
길이 | 483m |
폭 | 5m |
높이 | 3.5m |
언어 | ko |
기타 | |
다른 이름 | 統営海底トンネル (통영 해저 터널) |
2. 역사
1931년에 착공하여 1932년에 완공되었으며, 총 1년 4개월이 소요되었다.[4] 동양 최초의 해저터널이다. 예전에는 통영과 미륵도를 연결하는 주요 연결로였지만, 1967년 충무교와 1998년 통영대교가 개통되면서 지금은 통행 목적으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현재 차량 통행이 금지되어 있고, 보행자 통행만 가능하다.
2. 1. 건설 배경
통영과 미륵도를 연결하는 해저터널의 필요성은 이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일제는 대륙 침략을 위한 병참기지 확보와 수산물 자원 수탈을 위해 해저터널 건설을 추진하였다. 1931년 착공하여 1932년에 완공되었으며, 총 1년 4개월이 소요되었다.[4] 통영운하를 파면서 만든 해저터널이며, 만조 기준으로 수심 13.5m 아래에 지어졌다. 공사의 주창과 시행은 일제에 의한 것이었지만, 조선의 인력과 자재에 의해 완공된 것이라는 측면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2. 2. 일제강점기
1932년 동양 최초의 해저 터널로 완공되었다.[4] 통영운하를 건설하면서 만들어졌으며, 만조 기준 수심 13.5m 아래에 위치한다. 일제에 의해 공사가 주창 및 시행되었지만, 조선의 인력과 자재로 완성되어 역사적 가치가 인정되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1592년 임진왜란 한산대첩 3차 해전에서 일본 측은 조선 수군보다 피해가 더 컸으며, 사살된 인원이 3천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6] 일제시대 일본은 자신들의 조상 시체가 있는 곳을 밟고 지나갈 수 없다는 속설 때문에 해저로 터널을 건설했다.[7]
2. 3. 광복 이후
1967년 충무교가 개통되면서 차량 통행이 금지되고 보행자 전용 도로로 변경되었다. 1998년 통영대교가 개통되면서 교통량이 분산되어 현재는 주로 관광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4] 2005년 등록문화재 제201호로 지정되었다.3. 구조
바다 양쪽을 막는 방파제를 설치하고 생긴 공간에 거푸집을 설치, 콘크리트를 타설(打設)하여 터널을 만든 뒤 다시 방파제를 철거하여 완공하였다. 터널 입구는 목조 기둥을 이용한 왕대공 트러스 구조이며, 경사면은 아스콘으로 포장되었다.[5] 1996년에는 노후화로 인해 유지 보수가 이루어졌다.
3. 1. 건설 공법
해저터널은 양쪽 바다를 막는 방파제를 설치하고, 그 안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打設)하는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완공 후에는 방파제를 철거하는 과정을 거쳤다.[5] 터널 입구는 목조 기둥을 이용해 왕대공 트러스 구조로 만들어졌다.[5]3. 2. 터널 특징
터널 입구는 목조 기둥을 이용한 왕대공 트러스 구조로 만들어졌다.[5] 터널 입구에는 용문달양(龍門達陽)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용문(龍門)을 거치면 산양(山陽)에 이른다는 뜻이다. 터널의 경사면은 아스콘으로 포장되었다.[5]보행자 전용화에 맞춰 상수도, 하수도 수도관이 터널 양쪽에 설치되었으며, 이때 당초 폭 7m에서 현재 폭 5m로 줄었다. 터널 출입구에는 "용문달양(龍門達陽)"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용문을 거쳐 산양에 도달한다는 의미이다.
일제강점기 시대의 정식 명칭은 "태합굴"이었으나, 광복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태합굴"의 푯말 부분도 海底터널|해저터널한국어로 교체되었다.
4. 명칭
터널 입구에는 "용문달양(龍門達陽)"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용문(龍門)을 거치면 산양(山陽)에 이른다는 뜻이다.[5] 이는 개통 당시 통영읍장인 야마구치 세이(山口精)의 필적이다.
일제강점기 정식 명칭은 임진왜란에서 일본 측 영웅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위패에 기인하여 "태합굴"이었으나, 광복 후 조선 측 영웅인 이순신을 재조명하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태합굴" 푯말 부분도 "海底터널한국어"로 교체되었다.
5. 현재
현재 해저터널은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만 가능하다.[3] 1967년 충무교가 개통되면서 자동차 통행은 금지되었고, 이후 보행자와 경차량만 통행할 수 있는 보도 터널이 되었다. 충무교에도 보도가 있어 통행 목적보다는 관광 도로로 주로 이용된다. 1998년에는 교통 체증 완화를 위해 통영대교가 개통되었다.
해저터널은 통영시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터널 내부에는 조명 시설과 안전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1996년에는 유지 보수가 이루어졌다. 터널 양쪽에는 상수도와 하수도 수도관이 콘크리트로 덮여 설치되어 있어, 터널 폭이 원래 7m에서 5m로 줄었다.[3]
터널 출입구에는 "용문달양(龍門達陽)"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용문을 거쳐 산양에 도달한다"는 의미이다. 이 글귀는 개통 당시 통영읍장이었던 야마구치 세이(山口精)의 필적이다. 터널의 경사로는 아스팔트 포장되었다.[3]
6. 기타
임진왜란 한산도 대첩 3차 해전에서 일본 측은 조선 수군보다 피해가 더 커서 사살된 인원이 3천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6] 일제강점기 일본은 자신들의 조상 시체가 있는 곳을 밟고 지나갈 수 없다는 속설 때문에 해저로 터널을 팠다는 이야기가 있다.[7]
7. 사건/사고
이전 답변에서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위키텍스트 작성이 불가능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원문 소스가 없이는 내용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게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8. 논란
(이전 답변에서 원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원문 소스와 요약을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Information of Tongyeong Undersea Tunnel
https://archive.toda[...]
[2]
웹사이트
Tongyeong Undersea Tunnel
http://www.heritage.[...]
2021-12-13
[3]
웹사이트
UTOUR 통영관광포털 - 해저터널
http://www.utour.go.[...]
2015-12-13
[4]
문서
세계 최초의 해저터널은 [[1910년]] [[미국]] [[뉴욕주]] [[이스트 강]] 아래에 지어진 [[이스트 강 터널]]이다. 이스트 강은 지형상 [[해협]]으로 분류된다.
[5]
웹인용
UTOUR 통영관광포털 - 해저터널
http://www.utour.go.[...]
2015-12-13
[6]
웹인용
한국사 연대기 > 조선 > 한산도 해전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4-03-07
[7]
영상
"[크랩] 90년 전, 우리 선조들이 지을 수밖에 없었던 통영 해저터널에 얽힌 이야기"
https://news.kbs.co.[...]
KBS
2023-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