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구스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퉁구스족은 러시아인들이 에벤키족을 지칭하던 퉁구스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만주, 한반도 북부, 요하 지역에 기원을 둔 민족 집단을 가리킨다. 퉁구스어족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는 주장이 있으며, 퉁구스카 지명은 퉁구스인에게서 유래했다. 퉁구스족은 북부 퉁구스계와 남부 퉁구스계로 나뉘며, 만주족, 에벤키족, 나나이족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중국, 러시아, 몽골 등지에 거주하며, 고유 언어와 문화를 유지해왔으나 한족과 러시아 민족의 영향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유전적으로는 고대 동북아시아인과 관련된 부계 하플로그룹을 주로 보이며, 특히 C-M217 계통이 퉁구스계 민족을 특징짓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퉁구스족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퉁구스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몽골의 민족 - 몽골인
몽골인은 몽골, 중국, 러시아 등에 거주하는 유목민족으로, 몽올실위에서 기원하여 흉노족, 돌궐족과 혼혈되었으며, 칭기즈칸의 몽골 제국을 거쳐 여러 칸국으로 분열 후 청나라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어 몽골어를 사용하며 유목 목축과 라마 불교 중심의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몽골의 민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아시아의 민족 - 말레이 인종
말레이 인종은 18세기 블루멘바흐가 제시한 인종 분류 용어에서 유래하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사용자들을 지칭했으나 말레이인과 혼동을 야기하며, 식민 시대 이후 동남아시아에서 다양하게 해석, 사용되어 말레이계 민족과 국가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현대에는 오스트로네시아인과 구분되어 사용된다. - 아시아의 민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퉁구스족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인구 | |
총 인구 | 약 1100만 명 |
중국 | 10,646,954명 |
러시아 | 78,051명 |
타이완 | 12,000명 |
일본 | 1,020명 |
우크라이나 | 610명 |
몽골 | 537명 |
미국 | 200명 |
거주 지역 | |
주요 거주지 | 시베리아 극동 러시아 중국 동북부 |
언어 | |
사용 언어 | 퉁구스어족 러시아어 (러시아) 중국어 (중국) 몽골어 (몽골) |
종교 | |
주요 종교 | 샤머니즘 불교 기타 다양한 종교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몽골족 튀르크족 한국인 일본인 |
기타 | |
![]() |
2. 명칭
'퉁구스'라는 명칭은 러시아인들이 에벤키족을 지칭하던 '퉁구스(Тунгус)'에서 유래했다.[68] 19세기 독일의 하인리히 율리우스 클라프로트가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에 의해 영어에 도입되었다.[68] '만주-퉁구스'라는 용어도 사용된다.[68]
'퉁구스'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튀르크어 'tunguz(멧돼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69] 이는 고대 튀르크어 'tonguz'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중국어 '동호(東胡)'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70] 한때 동호가 퉁구스어라는 가정이 일반적이었지만 이에 대한 근거는 희박하다.[71]
'퉁구스카'라는 지명은 퉁구스인(에벤키인)에게서 유래했다.[68]
3. 역사
녹색은 북방 퉁구스계 민족, 적색은 동남 퉁구스계로 아무르 강(흑룡강) 유역과 사할린에 거주하는 민족, 청색은 남서 퉁구스계(만주족, 시베족)이다.
퉁구스족의 고향은 일반적으로 만주 북동부, 아무르 강 부근으로 여겨진다. 우리치 지구에서 수집된 유전적 증거는 소알타이어(Micro-Altaic) 확장이 기원전 3500년 이전에 일어났음을 시사한다.[5]
"퉁구스계"라는 명칭은 "퉁구스어"로 간주되는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통칭하는 인위적인 것이다.[27] 이는 러시아어에서 에벤키를 부르는 말인 퉁구스(Тунгус; Tungus)에서 유래한다. 러시아 야쿠트인이 자신들과 혼혈하던 에벤키인을 "통구스(Toŋus)"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다. 영어의 Tungus라는 용어는 1850년대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가 율리우스 하인리히 클라프로트의 독일어 사용을 기반으로 하여 시작되었다. "퉁구스-만주계 민족"(Тунгусо-маньчжурские; Tunguso-Manchu)이라는 명칭도 자주 사용된다.
퉁구스카(Tunguska)는 서쪽 예니세이 강(퉁구스카 강)에서 동쪽 태평양에 이르는 동시베리아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으로, 에벤키어에서 유래한다.[28] 러시아어 퉁구스(Тунгус)는 동튀르크어(야쿠트어)의 "퉁구스 ''tunguz''"(야생 돼지, 멧돼지, 옛 튀르크어에서는 통구스, ''tonguz'')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지만,
남부 퉁구스계인 만주족은 정착 농경 생활을 했지만, 북부 퉁구스족 친족인 와르카족(Warka)처럼 유목 수렵 채집 생활을 하는 사람들과는 매우 달랐다. 청나라는 이들을 정착시켜 만주족처럼 농사를 짓도록 하려 했다.[8][9]
퉁구스계 민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정설이 확립되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있다.
가설 | 내용 | 비고 |
---|---|---|
남방 기원설 | 19세기에 제시된 설로, 퉁구스어와 몽골어, 튀르크어의 근연성을 바탕으로 시베리아 유목 퉁구스를 흑룡강을 따라 북상한 몽골 민족으로 본다. 1920년대 소련(러시아) 학자 실로코골로프는 현지 조사 등을 통해 송화강·우스리 강 유역을 퉁구스인 형성지로 보고, 그 기원을 더 북쪽의 하북성으로 추정했다. 언어학 및 인류학적 관점에서 지지를 받지만, 화북 동북부 기원설은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다. | |
서방 기원설 | 셀렝가 강이나 바이칼 호 주변 기원설을 두 명의 소련(러시아) 학자가 주장했다. | |
고대 토착설 | 1960년대 소련 학자[39]가 제시한 가설로, 문화의 독자성을 근거로 수천 년 동안 외부와 고립되었다고 주장한다. 오래된 유물 중 남방 지역과 유사한 것이 발견되고, 급격한 한랭화 시기에 인구 증가로 보이는 출토품 증가가 확인되어 주류 학설은 아니다. |
퉁구스계 민족은 생업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구분 | 설명 | 퉁구스어 명칭 | 거주 지역 |
---|---|---|---|
순록 퉁구스 | 순록 사육 | 오로첸(oročen) ("순록 소유" 의미) | 바르구진 타이가와 넬친스크 타이가 지역, 일부는 부랴트인이나 러시아인 사이에 섞여 이행 지대에 정착[31] |
유목 퉁구스 | 유목 | 무르첸(murčen) ("말 소유" 의미) | 부랴트인이나 러시아인과 섞여 이행 지대와 초원 지대에 거주 |
농경 퉁구스 | 농업, 정착 생활, 러시아 문화에 큰 영향 | 해당 사항 없음 | 해당 사항 없음 |
몽골화된 퉁구스 | 몽골어 계열 언어 사용 | 해당 사항 없음 | 해당 사항 없음 |
사냥은 가축 사육, 농업, 순록 사육에 적합한 지역을 제외한 모든 퉁구스족의 주요 생업이었다. 사냥감은 주로 식용, 모피 원천으로 이용되었다. 주요 사냥감은 다람쥐, 여우, 곰, 스라소니, 검은담비, 멧돼지, 사슴이었다.[31]
3. 1. 기원과 초기 역사
퉁구스족은 만주, 한반도 북부, 요하 지역을 기원으로 하는 민족 집단으로 추정된다. 퉁구스어족은 알타이어족 가설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한국어족, 튀르크어족, 몽골어족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71]퉁구스족의 시베리아 진출은 원주민 시베리아 언어들을 밀어내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들 언어는 현재 팔레오시베리아어(Paleosiberian)라는 용어로 묶인다. 일부 학자들은 중앙, 동부, 남동부 유럽의 아바르 카간국(Avar Khaganate)의 판노니아 아바르족(Pannonian Avars)이 퉁구스족 출신이거나 부분적으로 퉁구스족 출신(지배 계급으로서)이라는 것을 시사한다.[6]
3. 2. 한반도와의 관계
만주와 한반도 북부, 요하 지역에 뿌리를 둔 퉁구스계 민족은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 등 한반도 고대 국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숙신, 읍루, 물길, 말갈 등은 고대 한국과 교류하며 영향을 주고받은 퉁구스계 민족으로 여겨진다.발해는 퉁구스계 민족인 말갈족이 고구려 유민과 함께 건국한 국가이다.
3. 3. 중국과의 관계
만주족은 원래 만주(현재 중국 동북부와 러시아 극동) 출신이다. 아무르강 유역에 거주하는 우데게족, 울치족, 나나이족과 같은 퉁구스족은 종교와 의복에서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 이들은 의식용 의복에 중국 용을 수놓았고, 두루마리와 나선형 새, 괴물 가면 디자인, 중국 설날, 비단과 목화 사용, 철제 솥, 중국식 난방 시설 등을 사용했다.[7]17세기 만주족이 청나라를 건국한 이후, 그들은 중국 한족 인구의 언어와 문화에 거의 완전히 동화되었다.[8]
3. 4. 러시아와의 관계
17세기 동안, 러시아 제국은 시베리아를 가로질러 동쪽으로, 그리고 퉁구스어를 사용하는 땅으로 확장하면서 중국 청나라와의 초기 국경 충돌을 일으켰고, 이는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이어졌다.[10] 퉁구스족에 대해 유럽 전역에 최초로 알려진 기록은 1612년 네덜란드 여행가 이삭 마사(Isaac Massa)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는 모스크바 체류 후 러시아 보고서의 정보를 전달했다.[10]4. 하위 분류
퉁구스어족 민족들은 크게 북부와 남부 두 가지 주요 계통으로 나뉜다.
'''북부 퉁구스 제어'''
'''남부 퉁구스 제어'''
남부 계통은 주로 만주족(역사적으로 여진족)이 차지한다. 청 황제들은 만주족이었고, 이들은 대체로 한화되었다.[11] 시버족은 몽골계 시위족의 퉁구스어를 사용하는 부족이었을 것이며, 확장하는 만주족(여진족)에 의해 정복되었다. 나나이족(골디) 또한 여진족에서 유래했다. 오록족(울타)은 나나이족에서 갈라져 나왔다.
북부 계통은 대부분 에벤크족(에웬키)과 에벤족이라는 밀접하게 관련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된다. 북부 계통에 속하는 다른 소수 민족으로는 네기달족과 오로첸족이 있다.
4. 1. 북부 퉁구스 제어
에벤족은 주로 러시아에 거주하며, 샤머니즘과 러시아 정교회를 믿는다.[40] 에벤키족은 러시아, 중국, 몽골에 거주하며,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불교를 믿는다.[40] 네기달족은 주로 러시아에 거주하며, 샤머니즘을 믿는다.[40] 오로촌족은 주로 중국에 거주하며, 샤머니즘과 불교를 믿는다.[40]
4. 2. 남부 퉁구스 제어
만주족(여진족)은 가장 큰 남부 퉁구스 민족 집단으로, 주로 중국에 거주하며 인구는 이상이다. 만주 샤머니즘, 불교, 중국 민간 신앙, 가톨릭 등 다양한 종교를 믿는다.[11] 과거 여진족으로 불렸으며, 17세기에 청나라를 건국했다.시버족은 중국에 주로 거주하며, 불교와 샤머니즘을 믿는다. 인구는 약 이다.
오로치족은 러시아에 주로 거주하며, 샤머니즘과 정교회를 믿는다. 인구는 약 600명이다.
우데게족은 러시아에 주로 거주하며, 샤머니즘을 믿는다. 인구는 약 1,500명이다.
울치족은 러시아에 주로 거주하며, 샤머니즘과 정교회를 믿는다. 인구는 약 2,800명이다.
나나이족은 러시아와 중국에 거주하며, 불교, 정교회, 샤머니즘을 믿는다. 러시아에 약 , 중국에 약 5,400명이 거주한다.
윌타인(오로크인)은 러시아와 일본에 거주하며, 샤머니즘, 정교회, 불교를 믿는다. 러시아에 약 300명, 일본에 약 20명이 거주한다.
5. 현대 퉁구스계 민족
현대 퉁구스계 민족들은 주로 러시아, 중국, 몽골 등지에 거주하며, 각기 다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한족(중국어)과 러시아인(러시아어)의 영향으로 고유 언어와 문화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현대 퉁구스계 민족 목록 | ||||
---|---|---|---|---|
민족명 | 인구 | 주요 국가 | 종교 | |
만주족 | 10,424,785 | 만주 샤머니즘, 불교, 중국 민간 종교, 로마 가톨릭 | ||
시베족 | 190,481 | 불교, 샤머니즘 | ||
에벤크족 | 69,503 |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불교 | ||
에벤족 | 22,487 |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 ||
나나이족 | 17,514 | 불교, 러시아 정교회, 샤머니즘 | ||
오로첸족 | 8,659 | 샤머니즘, 불교 | ||
울치족 | 2,841 |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 ||
우데게족 | 1,538 | 샤머니즘 | ||
오로크족 | 815 |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불교 | ||
네기달족 | 565 | 샤머니즘 | ||
오록족 | 315 |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 ||
타즈족 | 274 | 러시아 정교회 |
현대에 민족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퉁구스계 민족에는 만주족, 시베족, 오로첸족, 에벤크족(솔론족 포함), 에벤족, 나나이족, 오로치족, 울치족, 네기달족, 우데게족, 윌타족이 있다.
한국어 명칭 | 중국어/러시아어 명칭 | 민족어 명칭 | 지역 | 인구 | 비고 |
---|---|---|---|---|---|
만주족 | 满族/Маньчжуры | ᠮᠠᠨᠵᡠ|manjumnc |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내몽골 자치구, 허베이성, 베이징시 등[49] | 10,410,585[49] | 타이완에 12,000명[50] 홍콩에 1,000명[51] 미국에 379명[52] |
오로첸족 | 鄂伦春族/Орочоны |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시, 오로촌족 자치기 등 | 8,659[53] | ||
시베족 | 锡伯族/Сибо | ᠰᡞᠪᡝ|sibesjo |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일리 카자흐 자치주 차프차르 시베족 자치현 등 | 190,481[53] | 신장의 호르고스, 탈디쿠르간, 우루무치에 소량 분포. 헤이룽장성, 지린성, 내몽골 자치구, 베이징시에 1,000명 이상 거주. |
에벤키족 | 鄂温克族、埃文基人/Эвенки | Эвэнкил |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시 에벤키족 자치기, 모린다와 다우르족 자치기, 오로촌족 자치기, 진바얼허기, 알룬기 등, 헤이룽장성 너허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사하 공화국, 부랴트 공화국, 이르쿠츠크주, 자바이칼 지방, 아무르주, 사할린주 몽골 셀렝게주 등. | 30,875(중국, 2010)[54] 38,396(러시아, 2012)[55] | 몽골에 537명(2015)[56] 우크라이나에 48명(2001)[57] |
나나이족 (별칭: 호젠족) | 赫哲族、那乃人、纳奈人/нанайцы |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퉁장시, 수이팡시 | 12,160(러시아, 2002)[58] 5,354(중국, 2010)[59] | ||
에벤족 | 埃文人/эвены | эвэсэл | 러시아 사하 공화국, 마가단주, 캄차카 지방, 추코트카 자치구 | 22,383(러시아, 2012)[55] | 우크라이나에 104명(2001)[60] |
네기달족 | 涅吉达尔人/негидальцы |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 513(러시아, 2012)[61] | 우크라이나에 52명(2001)[62] | |
윌타족 (별칭: 오로크족) | 乌尔他人、鄂罗克人/Ороки | Уилта[63] | 러시아 사할린주포로나이스키 지역, 일본 아바시리시, 삿포로시 | 295(러시아, 2012)[64] | 일본에 20명(1989) |
울치족 | 乌尔奇人/Ульчи |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울치 지역 | 2,765(러시아, 2012)[61] | 우크라이나에 76명 | |
오로치족 | 奥罗奇人/Орочи |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 사할린주, 마가단주 | 596(러시아, 2010)[61] | 우크라이나에 288명(2001) | |
우데게족 | 乌德赫人/Удэгейцы |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 | 1,496(러시아, 2010)[61] | 우크라이나에 42명(2001)[65] |
6. 유전적 특징
퉁구스족은 주로 고대 동북아시아인과 관련된 부계 하플로그룹을 보이며, 몽골족 및 기타 동북아시아 인구와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 주요 하플로그룹은 C-M217 클레이드 및 그 하위 클레이드와 관련이 있다. 또 다른 주요 하플로그룹은 하플로그룹 N-M231이며, 요하 유역의 신석기 시대 동북아시아 사회에서 발견되었고 시베리아 전역에 널리 퍼져 있다. 현대 만주족은 예외적으로 하플로그룹 O-M122의 빈도가 더 높다.[15][2][16][17][18][19]
인구 | 언어 | n | 하플로그룹 (퍼센트 값) | |||||||||||||||||
---|---|---|---|---|---|---|---|---|---|---|---|---|---|---|---|---|---|---|---|---|
C | C-M217 | C-M48 | C-M86/M77 | C-M407 | O | O-M122 | O-M119 | O-M268 | O-M176 | N | N-Tat | N-P43 | R1a | R1b | Q | 기타 | ||||
에벤크족 (중국) | 북부 퉁구스어 | 41 | 43.9 | 43.9 | - | 34.1 | - | 36.6 | 24.4 | 2.4 | 9.8 | 2.4 | 4.9 | 0.0 | 2.4 | 4.9 | 0.0 | 9.8 | 0.0 | Hammer 2006[2] |
에벤크족 (중국) | 북부 퉁구스어 | 26 | 57.7 | 57.7 | 30.8 | - | 0.0 | 34.6 | 23.1 | 7.7 | 3.8 | 0.0 | 3.8 | - | - | 0.0 | 0.0 | 0.0 | K-M9(xNO-M214, P-92R7)=3.8 | Xue 2006[2] |
에벤크족 (러시아) | 북부 퉁구스어 | 95 | 68.4 | 68.4 | - | 54.7 | - | 0.0 | 0.0 | 0.0 | 0.0 | 0.0 | 18.9 | 16.8 | 2.1 | 1.1 | 0.0 | 4.2 | I1-P30=5.3 J2-M172(xM12)=2.1 | Hammer 2006[23] |
에벤족 (러시아) | 북부 퉁구스어 | 31 | 74.2 | 74.2 | - | 61.3 | - | 0.0 | 0.0 | 0.0 | 0.0 | 0.0 | 12.9 | 12.9 | 0.0 | 6.5 | 0.0 | 3.2 | I2a1-P37.2=3.2 | Hammer 2006[2] |
허저 (중국) | 아무르 퉁구스어 | 45 | 28.9 | 22.2 | 11.1 | - | - | 51.1 | 44.4 | 0.0 | 6.7 | 4.4 | 20.0 | - | 17.8 | 0.0 | 0.0 | 0.0 | 0.0 | Xue 2006[2] |
만주 (중국) | 여진-만주어 | 52 | 26.9 | 26.9 | - | 0.0 | - | 57.7 | 38.5 | 3.8 | 9.6 | 3.8 | 5.8 | 0.0 | 0.0 | 1.9 | - | 0.0 | R2a-M124=3.8 R1-M173(xP25, M73, M269, SRY10831b)=1.9 J-12f2(xM172)=1.9 | Hammer 2006[2] |
만주 (중국) | 여진-만주어 | 35 | 25.7 | 25.7 | 2.9 | - | - | 54.3 | 37.1 | 2.9 | 14.3 | 5.7 | 14.3 | 0.0 | 2.9 | 0.0 | 0.0 | 0.0 | DE-YAP(xE-SRY4064)=2.9 K-M9(xNO-M214, P-92R7)=2.9 | Xue 2006[24] |
오로첸 (중국) | 북부 퉁구스어 | 22 | 90.9 | 90.9 | - | 68.2 | - | 4.5 | 0.0 | 0.0 | 4.5 | 0.0 | 4.5 | 4.5 | 0.0 | 0.0 | 0.0 | 0.0 | 0.0 | Hammer 2006[2] |
오로첸 (중국) | 북부 퉁구스어 | 31 | 61.3 | 61.3 | 41.9 | - | - | 29.0 | 19.4 | 0.0 | 6.5 | 0.0 | 6.5 | 0.0 | 6.5 | 0.0 | 0.0 | 0.0 | K-M9(xNO-M214, P-92R7)=3.2 | Xue 2006[2] |
울치 (러시아) | 아무르 퉁구스어 | 52 | 69.2 | 69.2 | 34.6 | 26.9 | 0.0 | 15.4 | 11.5 | 1.9 | 1.9 | - | 5.8 | 3.8 | 0.0 | 0.0 | 0.0 | 5.8 | I-P37=1.9% J1-M267(xP58)=1.9% | Balanovska 2018[5] |
시베 (중국) | 여진-만주어 | 41 | 26.8 | 26.8 | 4.9 | - | - | 36.6 | 26.8 | 7.3 | 2.4 | 2.4 | 17.1 | 4.9 | 0.0 | 0.0 | - | - | J-12f2=7.3 P-92R7(xR1a-SRY10831.2)=2.4 DE-YAP(xE-SRY4064)=2.4 BT-SRY10831.1(xC-M130, DE-YAP, J-12f2, K-M9)=2.4 | Xue 2006[2] |
퉁구스계 민족의 모계 하플로그룹은 주로 다른 북방 동아시아인들과 공유된다. 모계 하플로그룹의 다양성은 오호츠크해 주변 민족들(코리야크족, 니브흐족, 아이누족 등)과 중앙아시아 민족들(이란계, 투르크계, 몽골계 민족)과의 유전자 흐름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25][26]
중국의 시버, 오로첸, 허저에 대한 mtDNA 연구 표본(총 29개)은 다음과 같다.
하플로그룹 | 인구 | % |
---|---|---|
하플로그룹 B | 2/29 | 6.89% |
하플로그룹 C | 8/29 | 27.58% |
하플로그룹 D | 6/29 | 20.68% |
하플로그룹 F | 4/29 | 13.79% |
하플로그룹 M | 1/29 | 3.44% |
하플로그룹 R | 1/29 | 3.44% |
하플로그룹 J | 1/29 | 3.44% |
하플로그룹 U | 1/29 | 3.44% |
하플로그룹 Y | 4/29 | 13.79% |
하플로그룹 Z | 1/29 | 3.44% |
- 오로첸족 표본의 10% (1/10)에서 하플로그룹 J가 발견되었다.
- 시버족 표본의 11.11% (1/9)에서 하플로그룹 U가 발견되었다.
- 허저족 표본에서만 하플로그룹 Y 4개가 발견되었다.
2013년에 발표된 러시아의 퉁구스계 에벤크족, 에벤족, 우데게족에 대한 mtDNA 연구 표본(총 283개)의 주요 mtDNA 하플로그룹은 다음과 같다.
하플로그룹 | 인구 | % |
---|---|---|
하플로그룹 C | 121/283 | 42.76% |
C4b | 55/283 | 19.43% |
C4a | 54/283 | 19.08% |
C5 | 11/283 | 3.89% |
하플로그룹 D | 69/283 | 24.38% |
D4l2 | 18/283 | 6.36% |
D5a2a2 | 12/283 | 4.24% |
D4e4a | 10/283 | 3.53% |
D3 | 8/283 | 2.83% |
D4o2 | 8/283 | 2.83% |
D4i2 | 5/283 | 1.77% |
D4j | 5/283 | 1.77% |
D4m2 | 3/283 | 1.06% |
하플로그룹 Z1a | 25/283 | 8.83% |
Z1a(xZ1a1, Z1a2) | 12/283 | 4.24% |
Z1a2 | 9/283 | 3.18% |
Z1a1 | 4/283 | 1.41% |
하플로그룹 A | 11/283 | 3.89% |
A4(xA2a, A2b1, A8, A12a) | 7/283 | 2.47% |
A12a | 2/283 | 0.71% |
A2a | 2/283 | 0.71% |
하플로그룹 N9b | 10/283 | 3.53% |
하플로그룹 G | 10/283 | 3.53% |
G1b | 9/283 | 3.18% |
G2a1 | 1/283 | 0.35% |
하플로그룹 Y1a | 8/283 | 2.83% |
하플로그룹 M7 | 8/283 | 2.83% |
M7a2a | 6/283 | 2.12% |
M7c1d | 2/283 | 0.71% |
하플로그룹 F1b1 | 6/283 | 2.12% |
- 캄차카의 에벤족 표본에서만 D4o2가 관찰되었다.
- 우데게족 표본에서만 하플로그룹 N9b가 관찰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Languages of the Seat of War in the East
https://books.google[...]
1855
[2]
웹사이트
Tungus
https://www.thefreed[...]
2019-05-02
[3]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M. A. Czap'
https://books.google[...]
[4]
문서
1983
[5]
논문
Demographic and Genetic Portraits of the Ulchi Population
2018
[6]
논문
Die Sprache(n) der Awaren: Die mandschu-tungusische Alternative
2004
[7]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8]
서적
Empire and Environment in the Making of Manchuria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7
[9]
서적
Across Forest, Steppe, and Mountain: Environment, Identity, and Empire in Qing China's Borderlan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0]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II: A Century of Advance. Book 4
https://books.google[...]
[11]
서적
East and Southeast Asia
Routledge
2007
[12]
논문
Extensive ethnolinguistic diversity at the crossroads of North China and South Siberia reflects multiple sources of genetic diversity
https://onlinelibrar[...]
2023
[13]
논문
Genomic insights into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East Asia
2021-03-18
[14]
논문
Genomic Insight Into the Population Admixture History of Tungusic-Speaking Manchu People in Northeast China
2021
[15]
논문
The dual origin and Siberian affinities of Native American Y chromosomes
2002-01
[16]
서적
Структура и филогеография генофонда коре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Сибири по маркерам Y-хромосомы
http://www.medgeneti[...]
2012
[17]
논문
Investigating the Prehistory of Tungusic Peoples of Siberia and the Amur-Ussuri Region with Complete mtDNA Genome Sequences and Y-chromosomal Markers
2013
[18]
논문
Autosomal and uniparental portraits of the native populations of Sakha (Yakutia): implications for the peopling of Northeast Eurasia
2013
[19]
논문
Y-chromosome diversity in the Kalmyks at the ethnical and tribal levels
2013
[20]
논문
Afghan Hindu Kush: Where Eurasian Sub-Continent Gene Flows Converge
2013
[21]
논문
Y-chromosomal analysis of clan structure of Kalmyks, the only European Mongol people, and their relationship to Oirat-Mongols of Inner Asia
2019
[22]
논문
Genomic Insight Into the Population Admixture History of Tungusic-Speaking Manchu People in Northeast China
2021-09-30
[23]
논문
Dual origins of the Japanese: common ground for hunter-gatherer and farmer Y chromosomes
2006
[24]
논문
Male Demography in East Asia: A North–South Contrast in Human Population Expansion Times
2005
[25]
논문
Mitochondrial Genome Diversity in the Tubalar, Even, and Ulchi: Contribution to Prehistory of Native Siberians and Their Affinities to Native Americans
2012
[26]
논문
Investigating the Prehistory of Tungusic Peoples of Siberia and the Amur-Ussuri Region with Complete mtDNA Genome Sequences and Y-chromosomal Markers
2013-12-12
[27]
문서
シロコゴロフ(1941)
[28]
서적
The Languages of the Seat of War in the East
https://books.google[...]
1855
[29]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M. A. Czap'
https://books.google[...]
[30]
문서
1983
[31]
문서
シロコゴロフ(1941)
[32]
문서
[33]
논문
Demographic and Genetic Portraits of the Ulchi Population
2018
[34]
논문
Die Sprache(n) der Awaren: Die mandschu-tungusische Alternative
2004
[35]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6]
서적
Empire and Environment in the Making of Manchuria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7
[37]
서적
Across Forest, Steppe, and Mountain: Environment, Identity, and Empire in Qing China's Borderlan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38]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II: A Century of Advance. Book 4
https://books.google[...]
[39]
문서
А.П. Οкладников, Алексей Павлович
[40]
문서
佐々木(1973)pp.249-253
[41]
문서
崎谷(2010)
[42]
논문
Male demography in East Asia: a north-south contrast in human population expansion times
2006-04
[43]
논문
Paternal population history of East Asia: sources, patterns, and microevolutionary processes
2001-09
[44]
논문
High Levels of Y-Chromosome Differentiation among Native Siberian Populations and the Genetic Signature of a Boreal Hunter-Gatherer Way of Life
2002-12
[45]
논문
Mating patterns amongst Siberian reindeer herders: inferences from mtDNA and Y-chromosomal analyses
2007-07
[46]
논문
Demographic and Genetic Portraits of the Ulchi Population
2018
[47]
논문
Paternal origin of Tungusic-speaking populations: Insights from the updated phylogenetic tree of Y-chromosome haplogroup C2a-M86
https://onlinelibrar[...]
2020
[48]
논문
Autosomal and uniparental portraits of the native populations of Sakha (Yakutia): implications for the peopling of Northeast Eurasia
https://www.ncbi.nlm[...]
2013-06-19
[49]
서적
中国2010年人口普查资料(上中下)
中国统计出版社
2012-01
[50]
웹사이트
台灣滿族的由來暨現況
http://www.manchusoc[...]
中華民國滿族協會
[51]
간행물
民族研究
中国人民大学
[52]
웹사이트
Census: Table 1. First, Second, and Total Responses to the Ancestry Question by Detailed Ancestry Code: 2000
https://www2.census.[...]
미국人口普查국
2017-12-04
[53]
웹사이트
中国2010年人口普查资料
http://www.stats.gov[...]
[54]
웹사이트
Evenk Archives - Intercontinental Cry
https://intercontine[...]
2017-06-30
[55]
웹사이트
Ethnic groups in Russia
http://www.gks.ru/fr[...]
Rosstat
2012-02-15
[56]
웹사이트
http://www.en.nso.mn
[57]
웹사이트
About number and composition population of Ukraine by data All-Ukrainian census of the population 2001
http://2001.ukrcensu[...]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2012-01-17
[58]
웹사이트
Russia Population Census
http://www.perepis20[...]
[59]
웹사이트
Six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web.archive.[...]
2010
[60]
웹사이트
About number and composition population of Ukraine by data All-Ukrainian census of the population 2001
http://2001.ukrcensu[...]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2012-01-17
[6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perepis-2[...]
[62]
웹사이트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2001 census
http://2001.ukrcensu[...]
[63]
서적
Уилтадаирису
2008
[64]
웹사이트
ВПН-2010
http://www.perepis-2[...]
Perepis-2010.ru
2014-12-01
[65]
웹사이트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2001 census
http://2001.ukrcensu[...]
[66]
서적
歴史の中の日本
中央公論社
1994
[67]
서적
古代に真実を求めて 第七集 (古田史学論集)
古田史学の会
2004
[68]
서적
The Languages of the Seat of War in the East
https://books.google[...]
1855
[69]
웹사이트
Tungus
https://www.thefreed[...]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ifth Edition
2019-05-02
[70]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M. A. Czap'
https://books.google[...]
[7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