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는 이탈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주로, 트렌토 자치도와 볼차노 자치도로 구성되어 있다. 로마 제국 시대부터 게르만족의 지배, 합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 독일어와 이탈리아어가 공용어로 사용되며, 두 자치도는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주요 산업은 관광, 농업, 수력 발전이며, 알프스 산맥과 돌로미티 산맥을 포함하는 산악 지형을 이루고 있다.

2. 역사

남티롤의 로젠가르텐 그룹의 모습


이 지역은 고대 로마 제국의 지배를 시작으로, 중세에는 신성 로마 제국 내 트렌토 주교령과 브릭센 주교령, 그리고 티롤 백국 등의 통치를 거쳐 14세기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하에 들어갔다.[13][14]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소속이 여러 차례 바뀌었으나, 1815년 빈 회의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토로 확정되었다.[15][16][17]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배하면서, 1919년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이 지역은 이탈리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이후 베니토 무솔리니파시즘 정권 하에서 독일계 주민에 대한 강압적인 이탈리아화 정책이 시행되었고[2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잠시 나치 독일에 의해 점령되기도 했다.[22]

전쟁 후 1946년,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간의 그루버-데 가스페리 협정을 통해 이 지역은 특별 자치 지위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초기 자치권 이행 과정에서의 갈등과 1960년대 남티롤 해방 위원회 등의 활동으로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23][24][25] 1971년 새로운 오스트리아-이탈리아 조약을 통해 자치권이 확대되면서 갈등은 점차 완화되었고[39], 1995년 오스트리아의 유럽 연합 가입은 국경 간 협력을 증진시켜 안정에 기여했다.[17]

2. 1. 고대

고대 트렌티노알토아디제 지역에는 라에티아인이 거주하고 있었다. 기원전 15년, 로마 제국티베리우스대 드루수스가 이 지역을 정복하여 제국의 영토로 편입시키고 라에티아 속주를 설치했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민족 이동 시대에는 여러 게르만족 부족들이 이 지역으로 들어와 나누어 차지했다. 롬바르드족은 트리덴툼 공국(오늘날의 트렌티노)을 세웠고, 알레만니는 빈슈가우 지역을, 바이에른족은 나머지 지역을 차지했다.[13]

2. 2. 중세

13세기부터 19세기까지 부온콘실리오 성에서 통치했던 트렌토의 주교공


서로마 제국 붕괴 후, 민족 이동 시대에 여러 게르만족 부족이 이 지역을 분할하여 정착했다. 롬바르드족은 트리덴툼 공국(오늘날의 트렌티노), 알레만니족은 빈슈가우(현재 트렌토 자치도의 서부인 발 베노스타), 그리고 바이에른족은 나머지 지역을 차지했다.[13][37]

샤를마뉴 치하에서 이탈리아 왕국이 형성된 후, 볼차노(브릭센) 남쪽 지역은 베로나 변경백국에 포함되었고, 북쪽 나머지 부분은 바이에른 공국이 차지했다.[13]

1027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콘라트 2세는 트렌토와 브릭센의 주교를 제국 제후로 임명하고, 이들에게 주교령에 대한 광범위한 세속적 통치권을 부여했다. 이로 인해 두 주교령은 바이에른 공국에서 사실상 분리되었다.[13]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들 주교공의 권력은 점차 약화되었고, 메라노 인근 티롤 성의 성주였던 티롤 백작괴르츠 백작의 세력이 강해졌다. 특히 티롤 백작은 주교령 내에서 세력을 확장하며 푸스터 계곡 등을 통제하고 티롤 백작령을 형성했다. 1363년, 마지막 명목상 통치자였던 티롤 백작 마르가레테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공작 루돌프 4세에게 티롤 백작령을 양도할 수밖에 없었다.[14]

중세 초기에 잘로르노 북쪽 지역은 대규모로 게르만화되었다. 아르보 폰 프라이징(723년경–784년)과 오스왈드 폰 볼켄슈타인(1376년경–1445년)과 같은 중세의 중요한 독일어 시인들이 티롤 남부 지역에서 태어나 활동하기도 했다.[14][38]

2. 3. 근대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 시기를 거치며 이 지역의 정치적 소속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803년 뤼네빌 조약으로 트렌토 주교령과 브릭센 주교령이 세속화되어 합스부르크 왕가에 넘어갔으나, 이후 프랑스 제1제국의 영향 아래 바이에른 왕국과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왕국에 차례로 귀속되는 과정을 겪었다.[15][16] 이 시기 프랑스는 이 지역을 '알토아디제'(Alto Adige|알토 아디제it)라고 칭하기 시작했다.[17]

나폴레옹 몰락 후 1815년 빈 회의 결과에 따라 이 지역은 다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오스트리아 통치 하에서 이탈리아계 주민이 다수인 남부(오늘날의 트렌토도)와 독일계 주민이 다수인 북부(오늘날의 볼차노도) 간의 문화적, 언어적 구분이 뚜렷해졌다.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통일 운동(리소르지멘토)이 전개되면서, 이탈리아계 주민들 사이에서는 미회수된 이탈리아의 일부로서 이탈리아 왕국으로의 편입을 주장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이 지역의 귀속을 결정짓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탈리아는 미회수된 이탈리아 회복을 명분으로 연합국에 가담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전쟁을 벌였다. 알프스와 돌로미테 산맥의 험준한 지형에서 치열한 전투 끝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배하자, 이탈리아군은 1918년 이 지역을 점령하였다. 전쟁 후 1919년 생제르맹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트렌티노와 남티롤 전역은 이탈리아 왕국에 공식적으로 병합되었다.

2. 3. 1. 나폴레옹 전쟁

1803년 뤼네빌 조약에 따라 트렌토와 브릭센의 주교령은 세속화되어 합스부르크 가문에 넘어갔다. 그러나 2년 뒤인 1805년,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이 패배하면서 프레스부르크 조약에 의해 이 지역은 나폴레옹의 동맹국인 바이에른 왕국에 할양되었다.[15][16]

새로운 바이에른 통치자들에 맞서 1809년, 생레오나르트 인 파세이에르의 지주였던 안드레아스 호퍼( Andreas Hofer|안드레아스 호퍼de )가 이끄는 대중적인 봉기가 일어났으나 같은 해 진압되었다. 호퍼는 티롤의 민족 영웅으로 여겨진다. 봉기 진압 이후 체결된 1810년 파리 조약에 따라 바이에른은 티롤 남부(오늘날의 트렌티노와 볼차노)를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왕국에 넘겨주었다.[15][16] 프랑스 통치 기간 동안, 이 지역은 역사적인 티롤 백국과의 연관성을 지우기 위해 공식적으로 '오토 아디제'( Alto Adige|알토 아디제it, 문자 그대로 '높은 아디제'라는 의미)라고 불렸다.[17][39]

1815년 나폴레옹이 몰락한 후, 빈 회의 결과에 따라 이 지역은 다시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반환되었다.

2. 3. 2. 오스트리아 통치와 제1차 세계 대전

1803년 뤼네빌 조약에 의해 트렌토와 브릭센의 주교후령은 세속화되어 합스부르크 왕가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2년 뒤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가 패배하면서, 1805년 프레스부르크 조약에 따라 이 지역은 나폴레옹의 동맹국인 바이에른 왕국에 넘겨졌다.[15][16] 바이에른의 통치는 1809년 안드레아스 호퍼가 이끄는 민중 봉기를 유발했으나, 같은 해 진압되었다. 이후 1810년 2월 28일의 파리 조약에 따라 바이에른은 티롤 남부(트렌티노와 볼차노 시)를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왕국에 양도했다.[15][16] 프랑스 통치 하에서 이 지역은 역사적인 티롤 백국과의 연관성을 피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오토 아디제"(Alto Adige|알토 아디제it, 문자 그대로 "높은 아디제"; Hochetsch|호헤치de)라고 불렸다.[17] 나폴레옹이 몰락한 후, 1815년 빈 회의를 통해 이 지역은 다시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반환되었다.

오스트리아 통치 하에서 이 지역의 명칭은 복잡했다. 오늘날의 볼차노도 영역은 주로 독일어 사용 지역으로 '도이치쥐트티롤'(Deutschsüdtirol|도이치쥐트티롤de, 독일 남티롤) 또는 단순히 '쥐트티롤'(Südtirol|쥐트티롤de)이라고 불렸으며[18][40], 지리적으로는 '미텔티롤'(Mitteltirol|미텔티롤de, 중티롤)이라고도 지칭되었다.[19][42] 반면, 오늘날의 트렌토도 영역은 주로 이탈리아어(로망스어) 사용 지역으로 '벨쉬티롤'(Welschtirol|벨슈티롤de, 로망스어 티롤, Tirolo italiano|티롤로 이탈리아노it) 또는 '벨슈쥐트티롤'(Welschsüdtirol|벨슈쥐트티롤de, 로망스 남티롤, Tirolo meridionale italiano|티롤로 메리디오날레 이탈리아노it)이라고 불렸다.[20][41] 때로는 '쥐트티롤'이라는 용어가 현재의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 전체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

1861년 이탈리아 통일로 이탈리아 왕국이 성립되었지만, 왕국 영토 밖에 이탈리아인이 거주하는 지역(미회수 이탈리아)이 남아 있었다. 이 지역들을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시키려는 민족 통일주의(irredentismo|이레덴티스모it) 운동이 일어났고, 남티롤과 트렌티노도 그 목표 중 하나였다.

이탈리아 왕국은 188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및 독일 제국과 삼국 동맹을 맺었으나, '미회수 이탈리아' 문제로 오스트리아와의 관계는 순탄치 않았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이탈리아는 중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1915년, 영국 등 협상국과의 비밀 협약인 런던 조약을 통해 전쟁 승리 시 남티롤과 트렌티노 지역을 할양받기로 약속받자, 이탈리아는 동맹을 파기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선전포고하며 전쟁에 참전했다.

이탈리아 전선에서는 알프스 산맥과 돌로미테 산맥의 험준한 고산 지대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카이저예거와 이탈리아의 알피니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 지역에 대한 통제권 확보는 이탈리아의 주요 전략적 목표였다. 1918년 10월,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가 결정적으로 패배하면서 이탈리아군은 트렌토를 포함한 이 지역을 점령할 수 있었다. 전쟁이 끝난 후 1919년에 체결된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는 티롤 남부, 즉 현재의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 영역을 공식적으로 병합하게 되었다.

2. 3. 3. 이탈리아 왕국 통치와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생제르맹 조약에 따라 이 지역은 이탈리아 왕국에 할당되었다. 1919년부터 이탈리아 왕국의 지배 하에 놓이면서 과거 '티롤'이라는 명칭 사용은 금지되었고, 대신 '베네치아 트리덴티나'(Venezia Tridentinait)라는 이름이 강요되었다. 이는 고대 로마 제국의 지역 구획(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과 연결하여 이탈리아의 영유권을 정당화하려는 의도였다.[21] (베네치아 줄리아#명칭 참조)

1922년 베니토 무솔리니파시즘 정권이 들어서면서, 이 지역의 독일계 주민들은 강압적인 이탈리아화 정책에 시달려야 했다. 1938년, 아돌프 히틀러와 무솔리니는 독일어 사용 주민들을 독일 영토로 이주시키거나 이탈리아 내 다른 지역으로 분산 동화시키기로 합의했다(남티롤 옵션 협정South Tyrol Option Agreement영어).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이 계획은 완전히 실행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수천 명의 주민이 나치 독일로 이주해야 했고, 전쟁이 끝난 후에야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지만 그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22]

1943년 이탈리아가 연합국과 휴전을 맺자, 이 지역은 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 독일은 이곳을 알펜포어란트 작전 지역(Operationszone Alpenvorlandde)으로 재편하고 나치당 대관구 지도자였던 프란츠 호퍼의 통치하에 두었다. 벨루노도를 포함한 이 지역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사실상 독일에 병합된 상태였다. 1945년 나치 독일이 패망하면서 이 지역의 이탈리아 통치가 회복되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3년, 이탈리아 정부제2차 세계 대전연합국과 휴전을 체결하자, 이 지역은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독일은 이곳을 알프스 산기슭 작전 구역으로 재편성하여 가울라이터 프란츠 호퍼의 행정 하에 두었다. 이 지역은 벨루노도를 포함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사실상 독일 제국에 합병된 상태였다. 이러한 상태는 나치 정권의 종말과 함께 1945년에 끝나고, 이탈리아의 통치가 다시 회복되었다.[22]

전쟁이 끝난 후,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는 1946년에 이 지역의 자치권 문제를 다루는 그루버-데 가스페리 협정 협상을 시작했다.

2. 4. 1. 그루버-데 가스페리 협정

1946년, 이탈리아의 알치데 데 가스페리 총리와 오스트리아의 칼 그루버(Karl Gruber) 외무장관 사이에 그루버-데 가스페리 협정(Gruber–De Gasperi Agreement)이 체결되었다. 데 가스페리는 현재의 트렌토 자치현 출신이었고, 그루버는 인스브루크 출신이었다. 이 협정은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이 제정된 1947년에 발효되었다. 협정은 이 지역에 상당한 자치권을 인정하고, 독일어와 이탈리아어를 공용어로 지정하며, 독일어 교육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에 따라 1947년부터 1974년까지 이 지역은 '트렌티노-알토 아디제/Tiroler Etschland|티롤러 에체스란트de'로 불렸다.

그러나 협정의 이행은 현지 독일어 사용 주민과 오스트리아 정부 모두에게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 문제는 양국 간의 상당한 갈등 원인이 되었고, 1960년에는 국제 연합(UN)에서 논의되기도 했다. 1961년에 새로운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대중의 불만과 남티롤 해방 위원회(South Tyrolean Liberation Committee)를 비롯한 급진적인 자치주의자 및 분리주의자들의 폭탄 테러와 사보타주 등으로 인해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23][24][25]

2. 4. 2. 자치 확대

이탈리아오스트리아는 1946년에 그루버-데 가스페리 협정을 협상하여, 새로운 공화국 이탈리아 헌법이 공포된 1947년에 발효되었다. 이 협정은 이 지역에 상당한 자치권을 부여하는 내용이었다. 독일어이탈리아어가 모두 공용어로 지정되었고, 독일어 교육이 다시 허용되었다. 이 지역은 1947년부터 1972년까지 "트렌티노-알토 아디제/티롤러 에치란트"라고 불렸다.

그러나 이 협정의 이행은 독일어를 사용하는 주민과 오스트리아 정부 모두에게 만족스럽지 않게 여겨졌다. 이 문제는 두 국가 간의 상당한 마찰의 원인이 되었고, 1960년에는 유엔에 의해 다루어졌다. 1961년에 새로운 협상이 이루어졌지만, 대중의 불만과 남티롤 해방 위원회가 이끄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자치주의자와 분리주의자들의 테러 및 폭탄 공격 캠페인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실패했다.[23][24][25]

이 문제는 1971년에 새로운 오스트리아-이탈리아 조약이 서명되고 비준되면서 해결되었다. 이 조약은 남티롤의 분쟁이 헤이그의 국제 사법 재판소에 해결을 위해 제출될 것이고, 이 지방이 이탈리아 내에서 더 큰 자치권을 얻을 것이며, 오스트리아는 남티롤의 내부 문제에 간섭하지 않을 것이라고 규정했다. 이 새로운 협정은 관련 당사자들에게 광범위하게 만족스러운 것으로 입증되었고, 분리주의적 긴장은 곧 완화되었다.[39] 1995년 오스트리아의 유럽 연합 가입은 국경 간 협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어 상황을 더욱 개선했다.[17][39]

2006년 5월, 종신 상원의원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이 지역이 국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는데, 여기서 지역 유권자들은 이탈리아 공화국에 머물지, 완전 독립할지, 또는 오스트리아로 돌아갈지를 결정할 수 있었다. 분리주의자를 포함한 모든 정당은 잠재적으로 민족적 긴장을 부활시킬 수 있다며 이 조치를 거부했다.

3. 지리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


티롤 지방. 빨간색은 오스트리아의 티롤 주


이탈리아 공화국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이탈리아 최북단에 자리 잡고 있다. 북쪽으로는 오스트리아와 긴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북서쪽으로는 스위스와 인접한다. 서쪽으로는 이탈리아의 롬바르디아주, 남쪽과 남동쪽으로는 베네토주와 접한다. 오스트리아와의 국경 대부분은 티롤 주(북티롤 및 동티롤)와 맞닿아 있으며, 잘츠부르크 주와는 짧게 접한다.

인접 주 및 국가
방향지역국가
북쪽티롤 주오스트리아
북동쪽잘츠부르크 주오스트리아
북서쪽그라우뷘덴 주스위스
서쪽롬바르디아주이탈리아
남쪽/남동쪽베네토주이탈리아



주의 총 면적은 13607km2이다. 돌로미티 산맥과 남부 알프스 산맥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매우 산악적인 지형을 이룬다.

주도인 트렌토는 베네치아에서 북서쪽으로 118km, 인스브루크에서 남남서쪽으로 136km, 밀라노에서 북동쪽으로 164km, 수도 로마에서는 북서쪽으로 478km 거리에 있다.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는 역사적으로 티롤 지방으로 불렸던 지역의 일부이다. 주 북부의 볼차노 자치현 지역은 "남티롤"(Südtirolde), 주 남부의 트렌토 자치현 지역(트렌티노)은 "벨슈티롤"(Welschtirolde, '외국의 티롤'이라는 의미)로 불렸다. 티롤 지방이라는 이름은 티롤 백작령에서 유래했으며, 티롤 백작의 거점이었던 티롤 성은 현재 볼차노 자치현의 티롤로에 있다.

3. 1. 행정 구역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의 행정 구역 지도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는 남쪽의 트렌토 자치현(트렌티노)과 북쪽의 볼차노 자치현(남티롤)이라는 두 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된다. 이 지역은 돌로미티 산맥과 남부 알프스 산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매우 산악 지형을 이룬다.

가르다 호의 호숫가 산책로, 리바 델 가르다 (트렌토 자치현)


'''트렌토 자치현'''(트렌티노)은 면적이 6207km2이며, 대부분이 산악 지형(20%가 2000m 이상, 70%가 1000m 이상)이고 광대한 숲(영토의 50%)으로 덮여 있다. 기후는 알프스 기후에서 대륙성 기후까지 다양하며, 여름은 따뜻하고 변동이 심하며 겨울은 춥고 눈이 많이 내린다. 이 지역은 겨울에는 높은 산에서 스키를 타기 위해, 여름에는 넓은 계곡과 많은 호수(가장 큰 호수는 가르다 호)를 방문하기 위해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곳이다.[26]

알프스 산맥 근처 스텔비오 마을의 풍경 (볼차노 자치현)


'''볼차노 자치현'''(남티롤)은 면적이 7398km2이며, 모두 산악 지형이고 광대한 숲으로 덮여 있다. 기후는 해발 3000m가 넘는 많은 산맥과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주요 강인 아디제 강 및 수많은 지류가 통과하는 넓은 계곡의 영향을 받아 대륙성 기후를 띤다. 자치현의 수도인 볼차노에서 평균 기온은 12.2°C이고 평균 강수량은 717.7mm이다. 알프스를 가로지르는 가장 낮은 고개인 브레너 고개는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 있는 지역 최북단에 위치해 있다.[27]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를 구성하는 2개의 자치현은 다음과 같다. 인구는 2011년 1월 1일 기준이다.[36]

} || 볼차노 || 7,400 || 507,657

|-

| 022 || TN || 트렌토 자치현 || Provincia autonoma di Trento|it || '''트렌토''' || 6,212 || 477,017

|}

4. 정치



이 지역은 트렌티노 (트렌토 자치도)와 남티롤 (볼차노 자치도)의 두 개의 자치 로 나뉜다. 이탈리아 공화국은 1946년의 그루버-데 가스페리 협정과 1948년 헌법에 의해 승인된 특별 자치 지위의 결과로 이 지역과 두 구성 도에 일정한 자치권을 부여했다. 이 지위는 이 지역에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 자체 법률을 제정하고 관련 행정 기능을 수행할 권리를 부여했다.

1972년, 이탈리아오스트리아 정부 간의 논의 결과 두 번째 자치 규약이 도입되었다. 이는 주요 권한을 지역 정부에서 두 개의 자치도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했다. 특별 규약에 의해 인정된 자치는 정치, 입법, 행정 및 재정 기관을 포괄한다. 이 두 번째 규약으로 인해 지역 정부는 매우 제한적인 입법 또는 행정 권한만 남게 되었고, 사실상 두 자치도에 권한을 위임하는 느슨한 연방 형태로 변화했다.

수도는 트렌토이지만, 두 자치도의 수도인 트렌토볼차노는 격년으로 지역 의회 회의 장소를 번갈아 가며 사용한다.[27]

5. 경제

이 지역의 비옥한 계곡에서는 와인, 과일, 유제품, 목재 등이 생산된다. 주요 산업으로는 제지, 화학, 금속 생산 등이 있다. 또한, 수력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다른 지역으로 수출하는 주요 공급원이기도 하다. 이 지역 경제의 특징 중 하나는 농업과 산업 간의 긴밀한 협력 시스템이다.

5. 1. 관광

티롤 자치구의 포도원


이 지역 경제 구조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관광 산업의 강세이다. 지난 10년 동안 관광은 이 지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지리적으로 북유럽 국가와 이탈리아 중부 및 남부 국가를 잇는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면서, 관광 및 관련 서비스업이 크게 발달했다.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는 다른 어떤 지역보다 호텔 밀집도가 높다. 2001년 기준으로 6,178개의 호텔 시설에 236,864개의 침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호텔과 기타 시설을 포함한 총 숙박 시설 수용 능력은 651,426개의 침대에 달한다.[28]

또한, 이 지역에는 작고 그림 같은 마을이 많이 있으며, 그중 16개 마을은 I Borghi più belli d'Italia|이탈리아의 가장 아름다운 마을it로 선정되었다.[29] 이 단체는 이탈리아 시립 협회 관광 위원회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강한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이탈리아 소도시들의 비영리 민간 협회이다.[30][31]

6. 인구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의 인구는 약 1,072,276명이다 (2019년 기준). 이 중 트렌티노에 541,098명, 남티롤에 531,178명이 거주한다.

이 지역의 인구 밀도는 이탈리아 전체 평균에 비해 낮다. 2008년 기준 인구 밀도는 77.62/km2로, 이탈리아 평균인 보다 낮다. 트렌티노의 인구 밀도는 86.56/km2이며, 남티롤의 70.14/km2보다 약간 높다.

2011년 기준으로, 이탈리아 국립 통계 연구소(ISTAT)는 이 지역에 총 90,321명의 외국인이 거주하며, 이는 전체 인구의 8.55%에 해당한다고 추산했다.

ISTAT 코드현 약자자치현 명칭이탈리아어 표기현청 소재지면적 (km²)인구
021BZ볼차노 자치현{{lang|it|Provincia autonoma di Bolzano|}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의 역사적 인구 변화'''
연도인구 수
1921661,000
1931666,000
1936669,000
1951728,604
1961785,967
1971841,886
1981873,413
1991890,360
2001940,016
20111,029,475
20211,073,574
출처: ISTAT 2011, 2021


6. 1. 언어

2011년 언어 인구 조사. 빨간색: 이탈리아어 다수, 녹색: 독일어 다수, 파란색: 라딘어 다수, 분홍색: 모체노어 다수 (상부 독일어 방언), 노란색: 침브리아어 다수 (상부 독일어 방언)


트렌토 자치도의 소수 언어 분포 (2011년 인구 조사). 코뮌의 인구 비율에 따라 농담이 적용되었다. 파란색: 라딘어, 녹색: 독일어 계 언어 (모체노어·침브리아어 포함)


주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는 이탈리아어독일어이며, 소수 언어로 라딘어, 롬바르드어, 모체노어, 침브리아어 사용자가 있다.[32] 이 중 모체노어와 침브리아어는 상부 독일어바이에른어 방언에 속한다.[33]

트렌토 자치도에서는 이탈리아어가 다수 언어이지만, 루세르나 시의 침브리아어, 모체니 계곡의 모체노어(4개 지자체), 파사 계곡과 논 계곡(인구의 3.5%)의 라딘어 등 소수 언어 사용 지역도 존재한다. 파사 계곡의 라딘어는 공용어 지위를 가지고 있으나, 논 계곡의 라딘어는 사용자 수가 더 많음에도 아직 공용어 지위를 얻지 못했다. 솔레 계곡 역시 역사적으로 라딘어 사용 지역이다.

볼차노 자치도(남티롤)에서는 독일어가 다수 언어(인구의 약 62%)이다. 그러나 주도 볼차노는 이탈리아 타 지역 이주민의 영향으로 인구의 73%가 이탈리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34] 메라노(모국어 사용자 49%)와 브릭센(모국어 사용자 26%) 등 다른 주요 도시에서도 이탈리아어 사용자가 상당수이다.[35] 볼차노 자치도의 이탈리아어 사용자(약 12만 명 이상) 중 90% 이상이 볼차노, 메라노, 라이퍼스, 브릭센에 거주하며, 나머지는 주로 트렌티노 경계 북쪽 작은 마을이나 다른 지역에 소수로 분포한다. 2011년 인구 조사 기준, 116개 지자체 중 5곳에서만 이탈리아어가 다수 언어이며, 전체 인구(약 45만 3천 명, 이민자 제외)의 26%가 이탈리아어를 제1언어로 사용한다 (1960년 35%에서 감소). 라딘어는 일부 지자체에서 추가 공용어이며 8개 지자체에서 다수 언어이다. 2001년 조사에서는 116개 코뮌 중 103곳이 독일어, 8곳이 라딘어, 5곳이 이탈리아어 다수 지역이었다. 현재 볼차노 자치도에서는 독일어와 이탈리아어가 공동 공용어 지위를 갖는다.

2006년 이탈리아 국립 통계 연구소(ISTAT) 통계에 따르면, 6세 이상 주민의 가정 내 대화 언어 상황은 다음과 같다.[43]

가정 내 대화에서 사용되는 언어전국
이탈리아어만, 또는 주로 이탈리아어45.5%27.8%
지방 언어만, 또는 주로 지방 언어16.0%20.4%
이탈리아어와 지방 언어의 쌍방32.5%15.1%
기타 언어5.1%34.6%



주 전체적으로 이탈리아어를 사용하지 않는 주민(독일어라딘어 화자)이 약 1/3이며, 특히 볼차노 자치도에서는 주민의 약 2/3가 이탈리아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 언어별 분포 ===

;이탈리아어

: 트렌토 자치도에서는 다수 언어이지만, 볼차노 자치도에서는 소수이다. 볼차노 자치도 내에서는 이탈리아 타 지역 이주민이 많은 주도 볼차노 등 일부 도시에서만 다수를 차지하며, 메라노나 브레사노네 등에서도 이탈리아어 화자 비율이 비교적 높다.

;독일어

: 볼차노 자치도에서 다수를 차지하며, 이탈리아어와 함께 현의 공용어이다.

;라딘어

: 레토로만스어군에 속하며,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주와 베네토 주 베루노현에 걸친 산간 지역에서 사용된다. 주내에서는 트렌토 자치도의 파사 계곡, 볼차노 자치도의 바디아 계곡(Val Badia) 등에서 다수 사용되며, 해당 지역 코뮌의 공용어 지위를 가진다. 트렌토 자치도 북부의 논 계곡에도 소규모 공동체(인구비 3.5%)가 있으나 공용어 지위는 없다.

;모체노어

: 상부 독일어바이에른어 방언으로 간주된다. 트렌토 자치도 중부의 모케니 계곡(Valle dei Mocheni)에 화자 공동체가 있으며, 팔루 델 페르시나, 피에로초, 프라실론고 3개 코뮌에서는 주민 대부분이 사용한다.

;침브리아어

: 모체노어와 같이 바이에른어 방언으로 여겨지며, 북동 이탈리아에 언어 섬을 형성하고 있다. 주내에서는 트렌토 자치도 남부의 루체르나에 화자 공동체가 있다.

7. 문화

(내용 없음)

7. 1. 스포츠

다음은 주 안에 연고지를 둔 프로 축구 클럽이다. 소속 리그는 2014-15 시즌 기준이다.

4부 리그(아마추어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D에서는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주, 베네토 주의 클럽과 함께 지로네 C에 속해 있다.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주의 지방 리그(5부 리그)로 에체렌차 트렌티노-알토 아디제가 있다.

8. 교통

주요 교통 지도

8. 1. 철도

8. 2. 도로


  • '''주요 국도'''
  • * SS12 Strada statale 12 dell'Abetone e del Brenneroit
  • ** 경로: 브렌네로 - 브레사노네 - 볼차노 - 트렌토 - 〔베로나 - 모데나 - 피사
  • * SS38 Strada statale 38 dello Stelvioit
  • ** 경로: 〔볼미오〕 - 스텔비오 고개 - 스텔비오 - 주르데르노 - 메라노 - 볼차노
  • * SS40 Strada statale 40 di Resiait
  • ** 경로: 레셴 고개(오스트리아 국경) - 주르데르노
  • * SS41 Strada statale 41 di Val Monasteroit
  • ** 경로: 스위스 국경 - 주르데르노
  • * SS42 Strada statale 42 del Tonale e della Mendolait
  • ** 경로: 〔트레빌리오〕 - 크레스 - 멘돌라 고개 Passo della Mendolait - 볼차노
  • * SS49 Strada statale 49 della Pusteriait
  • ** 경로: 브레사노네 - 브루니코 - 도비아코 - 오스트리아 국경
  • * SS51 Strada statale 51 di Alemagnait
  • ** 경로: 도비아코 - 〔산 벤데미아노〕

9. 인물

메라노의 동상. 티롤의 영웅으로 여겨진다.

  •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 - 12-13세기 시인. 남티롤 출신이라는 설이 있다.
  • Oswald von Wolkenstein|오스발트 폰 볼켄슈타인deu - 13-14세기 시인·작곡가. 현재의 키에네스 출생
  • 야코프 후터 - 16세기 초 종교 개혁 지도자, 후터파 창시자. 현재의 산 로렌초 디 세바토 출생
  • Andreas Hofer|안드레아스 호퍼deu - 나폴레옹 전쟁 시기 티롤 농민 봉기 지도자. 현재의 산 레오나르도 인 파시리아 출생
  • 에르네스트 폰 켈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수상. 현재의 트렌토 출생
  • 알치데 데 가스페리 - 이탈리아 공화국 수상, "유럽 연합의 아버지" 중 한 명. 피에베 테지노 출생
  • 조르지오 모로더 - 신시사이저 연주자·작곡가·음악 프로듀서. 오르티세이 출생
  • 라인홀트 메스너 - 등산가·모험가·작가. 브레사노네 출생
  • 세르지오 아초리니 - 바순 연주자, 지휘자. 볼차노 출생
  • 카롤리나 코스트너 - 피겨 스케이팅 선수. 오르티세이 출생

참조

[1] 서적 Sonderstatut für Trentino-Südtirol, Article 99, Title IX Region Trentino-Südtirol
[2]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s://web.archive.[...] 2009-10-02
[3] 웹사이트 Population on 1 January by age, sex and NUTS 2 region https://ec.europa.eu[...]
[4] 문서 Constitution of Italy, Part II: Organisation of the Republic (Art. 116)
[5] 웹사이트 Trentino-Alto Adige 2019-05-06
[6] 웹사이트 Trentino-Alto Adige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06
[7] 웹사이트 Trentino-Alto Adige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Trentino-Alto Adige/Südtirol Region http://www.regione.t[...] 2009-02-20
[9] 웹사이트 L'Istitut per la pension d'enjonta – Pensplan http://www.pensplan.[...] 2017-04-08
[10] 웹사이트 Popolazione residente al 1° gennaio http://dati.istat.it[...] Istituto Nazionale di Statistica 2021-06-22
[11] 웹사이트 Province of Bolzano/Bozen https://archive.toda[...] 2009-02-20
[12] 웹사이트 Special Statute of the Trentino-Alto Adige/Südtirol Region http://www.provinz.b[...] 2009-02-20
[13] 문서 Allgemeiner historischer Handatlas
[14] 서적 Ich Wolkenstein
[15] 논문 Montgelas und Tirol (1806–1814) https://www.zobodat.[...]
[16] 웹사이트 Karte: Bayern 1810 https://www.hdbg.eu/[...] Haus der Bayerischen Geschichte 2020-03-03
[17] 웹사이트 Die Südtirolfrage http://www.uibk.ac.a[...] Institute of Contemporary History, University of Innsbruck 2011-04-15
[18] 서적 Gries-Bozen in Deutsch-Südtirol, als klimatischer, Terrain-Kurort und Touristenstation – Vademecum für Einheimische, Reisende und Touristen in Gries-Bozen und im Etsch- und Eisack-Gebiete Wagner, Innsbruck
[19] 서적 Wegweiser durch Süd-Baiern, Nord- und Mittel-Tirol und die angrenzenden Theile von Salzburg. Mit den Städten München, Augsburg, Salzburg, Innsbruck, Bozen und Meran Lindauer, Munich
[20] 서적 An der Kampffront in Südtirol: Kriegsbriefe eines neutralen Offiziers Velhagen & Klasing
[21] 서적 Tra Roma e Bolzano. Nazione e provincia nel ventennio fascista—Zwischen Rom und Bozen: Staat und Provinz im italienischen Faschismus Città di Bolzano, Bozen-Bolzano
[22] 서적 Heimatlos: die Umsiedlung der Südtiroler Deuticke, Vienna
[23] 웹사이트 Il movimento terroristico negli anni '60 - DNA Trentino http://www.dna.trent[...] Dna.trentino.it 1967-06-22
[24] 웹사이트 Vittime del terrorismo in Alto Adige 1965-1967 – Piantiamolamemoria http://www.piantiamo[...] Piantiamolamemoria.org 2017-08-27
[25] 웹사이트 Sessant'anni fa la "Notte dei fuochi": l'analisi e il racconto nel blog di Luigi Sardi - Blog | l'Adige.it https://www.ladige.i[...] Ladige.it 2021-03-15
[26] 웹사이트 Eurostat http://circa.europa.[...] Circa.europa.eu 2009-05-06
[27] 웹사이트 Eurostat http://circa.europa.[...] Circa.europa.eu 2009-05-06
[28] 웹사이트 Eurostat http://circa.europa.[...] Circa.europa.eu 2009-05-06
[29] 웹사이트 Trentino Alto Adige https://borghipiubel[...] 2017-01-09
[30] 웹사이트 Borghi più belli d'Italia. Le 14 novità 2023, dal Trentino alla Calabria https://www.repubbli[...] 2023-01-16
[31] 웹사이트 I Borghi più belli d'Italia, la guida online ai piccoli centri dell'Italia nascosta http://borghipiubell[...] 2018-05-03
[32] 웹사이트 Lombard https://www.ethnolog[...]
[33] 간행물 "'Mocheno e Cimbro'. Von Dialek(ten) zu Sprache(n)?" Steiner, Stuttgart
[34] 웹사이트 Landesinstitut für Statistik – Autonome Provinz Bozen – Südtirol http://www.provincia[...] 2017-04-08
[35] 간행물 Statistisches Jahrbuch für Südtirol 2014 / Annuario statistico della Provincia di Bolzano 2014
[36]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n 1st January 2011 by sex and marital status http://demo.istat.it[...] 2012-07-07
[37] 서적 Allgemeiner historischer Handatlas
[38] 서적 Ich Wolkenstein
[39] 웹사이트 Die Südtirolfrage http://www.uibk.ac.a[...] Institute of Contemporary History, University of Innsbruck 2011-04-15
[40] 서적 Gries-Bozen in Deutsch-Südtirol, als klimatischer, Terrain-Kurort und Touristenstation - Vademecum für Einheimische, Reisende und Touristen in Gries-Bozen und im Etsch- und Eisack-Gebiete Innsbruck, Wagner
[41] 서적 An der Kampffront in Südtirol: Kriegsbriefe eines neutralen Offiziers Velhagen & Klasing
[42] 서적 Wegweiser durch Süd-Baiern, Nord- und Mittel-Tirol und die angrenzenden Theile von Salzburg. Mit den Städten München, Augsburg, Salzburg, Innsbruck, Bozen und Meran Munich, Lindauer
[43] 웹사이트 La lingua italiana, i dialetti e le lingue stranieri http://www.istat.it/[...] 2012-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