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파울루 프레이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파울루 프레이리는 브라질의 교육학자이자 철학자로, 1921년 브라질에서 태어나 1997년 사망했다. 그는 빈곤과 굶주림을 경험하며 빈민 문제와 대중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960년대 브라질에서 문맹 퇴치 운동을 주도했다. 프레이리는 억압받는 자들의 해방을 위한 교육의 역할을 강조하며, 교사가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은행식 교육'을 비판하고, 교사와 학생이 함께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 제기식 교육'을 제시했다. 그의 대표 저서로는 『억압받는 자의 교육학』이 있으며, 그의 사상은 전 세계 교육 및 사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교육 민주화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질의 철학자 - 니우통 다 코스타
    니우통 다 코스타는 모순 허용 논리학과 고전 물리학의 공리화 연구로 알려진 브라질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고전 역학계의 혼돈적 특성이 결정 불가능함을 밝히고 진리집합 원리를 발견했으며 2024년에 94세로 사망했다.
  • 브라질의 철학자 - 빌렘 플루세르
    빌렘 플루세르는 체코 태생의 유대인 철학자, 작가, 언론인으로, 미디어 철학, 특히 사진 철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기술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현대 사회에 대한 독창적인 분석으로 알려졌다.
  • 브라질 노동자당의 정치인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는 브라질의 노동운동가 출신 정치인으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그리고 2023년부터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회복지 프로그램으로 빈곤 감소에 기여하고, 부패 스캔들과 아마존 열대우림 벌채 문제 등의 논란을 겪었으나, 2022년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하여 현재 브라질 대통령으로서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
  • 브라질 노동자당의 정치인 - 지우마 호세프
    지우마 호세프는 브라질의 정치인으로, 학생 운동과 무장 투쟁에 참여한 후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탄핵되었고, 현재 신개발은행 총재로 활동하고 있다.
파울루 프레이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7년의 파울루 프레이리
1977년의 프레이리
본명파울루 레글루스 네베스 프레이리 (Paulo Reglus Neves Freire)
출생1921년 9월 19일, 헤시피, 페르남부쿠 주, 브라질
사망1997년 5월 2일 (향년 75세), 상파울루, 상파울루 주, 브라질
국적브라질
배우자엘자 프레이리 (1944년 결혼, 1986년 사별)
아나 마리아 아라우주 프레이리 (1988년 결혼)
정당노동자당
교육 및 학문 활동
출신 대학페르남부쿠 연방 대학교
사상적 경향기독교 사회주의
비판적 교육학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적 휴머니즘
영향제베데이 바르부
존 듀이
프란츠 파농
에리히 프롬
안토니오 그람시
사울 알린스키
구스타보 구티에레스
G. W. F. 헤겔
탄 말라카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자크 마리탱
에마뉘엘 무니에
카를 마르크스
지그문트 프로이트
찰스 다윈
프리드리히 니체
알베르 메미
알바루 비에이라 핀투
장폴 사르트르
아니지우 테이셰이라
미겔 데 우나무노
시몬 베유
분야교육학
철학
주요 관심사교육
사회 정의
주요 저서피억압자의 교육학 (1968년)
주요 아이디어은행 저금식 교육
비판적 의식
영향을 받은 인물파즐 하산 아베드
마르셀라 알타우스-레이드
스탠리 아로노위츠
크리스틴 발렌지-모리스
아나 마에 바르보사
스티브 비코
아우구스토 보알
레오나르도 보프
프란시스쿠 브렌난드
페르난도 카르데날
엔리케 마르티네스 셀라야
비키 콜베르트
제임스 H. 콘
안토니아 다르더
메스트레 페라두라
라몬 플레차
모아시르 가도치
헨리 지루
시스 하멜링크
벨 훅스
디다쿠스 쥴스
카렌 키퍼-보이드
조 L. 킨첼로
제임스 D. 키릴로
조너선 코졸
켄 램퍼트
콜린 랭크셔
앨런 루크
도날도 마세도
이그나시오 마르틴-바로
피터 메이요
앨런 매컴브스
피터 맥라렌
잭 메지로
오스카르 모골론
G. 남말바르
지노 피치오
마지드 라네마
하워드 리처드
마셜 로젠버그
아이라 쇼어
셜리 R. 스타인버그
카를로스 알베르토 토레스
마리아 기예르미나 발데스 비얄바
코넬 웨스트
기타 정보
파울루 프레이리 서명
파울루 프레이리 서명

2. 약력

1921년 브라질 페르남부쿠주 헤시피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1929년 대공황을 만나 빈곤기아를 경험하게 되며, 빈민 문제와 대중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 1943년 헤시피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가 되었으나, 사건 하나만을 맡은 후 은퇴하였다.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한 농부들에게 자신의 처지를 생각하고 자신의 삶, 생활을 변화시키는 의식화의 수단으로 읽기/쓰기를 가르친다는 참신한 교육운동을 펼쳐 큰 성공을 거둔다.[47]

1963년의 프레이레

  • 1946년 페르남부쿠 주 사회봉사기구인 SESI(Service Social da Industria)에서 첫 교육 활동을 시작하였다.
  • 1947년에는 도회지 공장노동자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만들고 운영하였다. 여기서 처음으로 성인들의 비문해 문제 및 민중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 1959년 헤시페 대학에서 「오날 브라질의 교육」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1962년 헤시페 지역의 민중문화 운동을 위해 설립된 '신문화확장사업부(New Cultureal Extension Service)'의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 1964년 브라질 교육부의 ‘국가 문해 교육프로그램(National Literacy Program)'의 수반 직위를 담당하게 되었다.

3. 주요 활동

프레이리는 1946년 페르남부쿠 주 사회봉사기구(SESI)에서 첫 교육 활동을 시작했고, 1947년에는 도시 노동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면서 성인 비문해 문제와 민중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47] 1959년에는 헤시피 대학교에서 「오늘날 브라질의 교육」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47]

1962년, 프레이리는 '신문화확장사업부' 책임자로 임명되어 안지쿠스 지역에서 문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농촌 노동자들이 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였다.[47] 1964년에는 브라질 교육부의 '국가 문해 교육 프로그램' 책임자가 되어 브라질 200만 명의 비문해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다.[47]

4. 교육 이론

파울루 프레이리는 교육이 정치와 분리될 수 없으며, 가르치고 배우는 행위 자체가 정치적인 행위라고 보았다. 그는 교사와 학생 모두 교육을 둘러싼 정치적인 상황을 인지해야 하며, 가르치는 내용과 방식은 특정한 정치적 의도를 담고 있다고 주장했다.[48] 이러한 관점은 비판적 교육학의 주요 원칙으로 정의된다.

프레이리는 1946년 페르남부르크 주 사회봉사기구(SESI)에서 첫 교육 활동을 시작했고, 1947년에는 도시 공장 노동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운영하면서 성인들의 비문해 문제 및 민중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47] 1959년 헤시페 대학에서 「오늘날 브라질의 교육」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면서, 앞으로 자신이 펼쳐나갈 교육 사상의 윤곽을 그렸다. 1962년에는 헤시페 지역의 민중문화 운동을 위해 설립된 '신문화확장사업부'의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안지코스 지역에서 45일간의 문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농촌 지역 농장 일꾼들이 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였다.

1964년 브라질 교육부의 ‘국가 문해 교육프로그램'의 수반 직위를 담당하게 되어 브라질 200만 명의 비문해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문화 서클을 결정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같은 해 국민문해교육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레이리의 문해교육 방법이 전 국가 차원에서 500만 명에 이르는 비문해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47]

프레이리는 문해 교육 캠페인과 교육 운동, 여러 정치·교육사업에 관여함으로써 국제적인 규모에서 교육학의 의미, 역사 형성과 교육학의 관계에 대한 대변혁을 일으켰다. 이를 통해 전 세계의 피억압 민중 스스로가 사회·정치적 자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억압적 현실상황을 중심으로 한 교육적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개인이 사회, 문화, 제도적 맥락에서 자본에 봉사하는 합리적이고 명료한 의미를 지닌 지배논리 관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을 규명하려는 노력을 계속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비판적 사회 이론의 발전에 두드러지게 기여했다.[48]

프레이리는 플라톤에서 비롯된 고전적 접근 방식과 현대 마르크스주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반식민주의 사상가들을 융합한 교육 철학에 기여했다. 그의 ''억압받는 자들의 교육학''(1968)은 프란츠 파농의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1961)의 연장선으로 읽을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식민지 문화의 연장이 아닌, 새롭고 현대적이면서 전통적이지 않고 반식민적인 교육을 원주민에게 제공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억압받는 자들의 교육학''에서 프레이리는 억압자와 억압받는 자의 구분을 되풀이하며 이 구분을 교육에 적용하여, 교육이 억압받는 자들이 인간성을 되찾아 그들의 조건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억압받는 개인이 그들의 해방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정했다.

프레이리는 교사에 의해 지식이 축적되어 가는 텅 빈 계좌로서의 학생상을 비유한 "은행형 교육"에 대한 접근 방식을 비판했다. 장 자크 루소가 제창한 "능동적인 학습자로서의 아이"라는 개념은 "은행형 교육" 개념과 다르며, 존 듀이나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와 같은 사상가들은 단순한 "사실" 전달이 교육의 목표라는 생각을 비판했다. 프레이리의 연구는 비판적 교육학의 기초가 되고 있다.

프레이리는 교사와 학생의 이분법에 강한 혐오감을 나타냈다. 그는 교사 같은 학생, 학생 같은 교사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교실 참여에서의 기본적인 역할로서 배우는 교사와 가르치는 학습자라는 것을 내세웠다.

4. 1. 비판적 의식화

사회·정치적 모순을 인식하고 폭로하는 데 초점을 맞춘 학습 형태를 의미한다. 파울루 프레이리는 저서 《억압받는 자들의 교육학》에서 '의식화'(conscientização, 포르투갈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억압적인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변혁하기 위한 실천에 참여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19]

프레이리는 학습자가 '침묵의 문화'에서 벗어나 비판적 의식을 발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침묵의 문화'는 불평등한 사회 관계로 인해 억압받는 사람들이 부정적이고 수동적인 자아상을 갖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19] 프레이리는 이러한 침묵의 문화가 "지배받는 개인들이 지배적인 문화에 의해 강요된 문화에 비판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수단을 잃게" 할 수 있다고 보았다.[20]

그는 사회, 인종, 계급 역학이 기존의 교육 시스템에 얽혀 있으며, 이로 인해 침묵의 문화가 "비판의 언어"로 이어지는 "사고의 길"을 제거한다고 생각했다.[21] 즉, 억압적인 사회 구조가 비판적 사고를 방해한다는 것이다.

프레이리는 "생성 테마" 탐구를 통해 의식화가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생성 테마"는 학습자의 일상생활에서 감정적인 영향력을 가진 영상적 기호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의식은 사회적으로 박탈당한 자들이 지배자에 의해 만들어진 부정적인 자기상을 내면화하는 "침묵의 문화"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요소가 된다.

4. 2. 은행 저금식 교육 비판

프레이리는 기존의 교육 방식을 '은행 저금식 교육'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교사가 학생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주입하는 형태는 학생들을 수동적인 존재로 만들고,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억제한다고 지적했다.[18] 이러한 교육 방식은 학생을 빈 통장처럼 취급하고, 교사가 지식을 예금하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프레이리는 교육이 정치와 분리될 수 없으며, 가르치고 배우는 행위 자체가 정치적인 행위라고 보았다. 그는 교사와 학생 모두 교육을 둘러싼 정치적인 상황을 알아야 하며, 가르치는 내용과 방식은 특정한 정치적 의도를 담고 있다고 주장했다.

프레이리는 "은행 저금식 교육"에서 지식은 교사에 의해 독점되지만, 이상적인 교육에서는 학생에게 더 능동적인 역할을 부여하고, 공동 학습 형태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사의 일방적인 "말하기"가 아닌, 교사와 학생 간의 "커뮤니케이션 (교류)"을 강조하며, 이러한 교육을 "문제 제기형 학습"이라고 불렀다.[46]

프레이리는 장 자크 루소의 '능동적인 학습자로서의 아이' 개념과 존 듀이의 '사실 전달'을 비판하는 교육 철학을 계승하여, 비판적 교육학의 기초를 놓았다.[18]

4. 3. 문제 제기식 교육

프레이리는 교사와 학생이 함께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해 나가는 '문제 제기식 교육'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는 상호 존중과 대화를 통해 학습자의 주체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킨다.[48]

프레이리는 교육이 정치와 분리될 수 없다고 믿었다. 가르치고 배우는 행위 자체가 정치적인 행위이며, 교사와 학생들은 교육을 둘러싼 정치에 대해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방식과 가르치는 내용은 정치적 의제를 수행하며, 교사들 역시 그들 스스로 교실에 가지고 들어오는 정치적 개념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프레이리는 학생들이 교사에 의해 채워져야 할 빈 계좌로 간주되는 "은행" 교육 개념을 비판했다.[18] 그는 "그것은 학생들을 수동적인 존재로 바꾸고,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려 하며, 사람들이 세상에 적응하게 하고, 그들의 창의적인 힘을 억제한다"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비판은 장 자크 루소의 능동적 학습을 하는 학생으로 보는 관점과 존 듀이의 사실 전달을 교육의 목표로 삼는 것에 대한 비판과 유사하다.

프레이리는 교사와 학생의 이분법에 강한 혐오감을 나타냈다. 그는 교사 같은 학생, 학생 같은 교사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교실 참여에서의 기본적인 역할로서 배우는 교사와 가르치는 학습자라는 것을 내세웠다.

4. 4. 대화

프레이리는 대화가 교육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진정한 대화는 서로를 존중하고, 겸손하며, 신뢰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대화는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프레이리는 주장한다.[48]

5. 저서

제목원제번역출판사출간일(한국어판)ISBN
페다고지: 피억압자의 교육학Pedagogy of the Oppressed남경태그린비2002년ISBN 9788976829252
자유의 교육학Pedagogy of Freedom: Ethics, Democracy, and Civic Courage사람대사람아침이슬2007년ISBN 9788988996799
교육과 의식화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번역자 정보 없음)중원문화2015년ISBN 9788977280564
희망의 교육학Pedagogy Of Hope: Reliving Pedagogy Of The Oppressed교육문화연구회아침이슬2002년ISBN 9788988996270
망고나무 아래서Pedagogy of the Heart교육문화연구회아침이슬2003년ISBN 9788988996386
교육과 정치의식The Politics of Education: Culture, Power and Liberation한준상한국학술정보2003년ISBN 9788953402140
프레이리의 교사론Teachers as Cultural Workers: Letters to those who dare teach김한별오트르랩(AUTRE LAB)2020년ISBN 9791189472160



《'''페다고지: 피억압자의 교육학'''》(Pedagogy of the Oppressed)은 파울루 프레이리의 대표작으로, 1968년 포르투갈어 초판, 1970년 영어판이 출간되었다. 프레이리는 이 책에서 억압자와 피억압자의 관계를 분석하고, 피억압자의 해방을 위한 교육의 역할을 제시한다.[16] 한국에서는 1979년 처음 번역 출간되었으며(ISBN 4750579076), 2002년 남경태 번역의 30주년 기념판이 출간되었다.[17]

《'''자유의 교육학'''》(Pedagogy of Freedom)은 민주주의, 윤리, 시민적 용기를 주제로 다룬 책이다. 한국에서는 2007년에 번역 출간되었다.[17] 《'''교육과 의식화'''》(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는 2015년에 한국어판이 나왔다.[17] 《'''희망의 교육학'''》(Pedagogy Of Hope)은 《페다고지》의 후속작으로, 프레이리의 삶과 교육 철학을 담고 있으며, 2002년에 한국어판이 출간되었다.[17]

《'''망고나무 아래서'''》(Pedagogy of the Heart)는 인간, 교육, 진보에 대한 프레이리의 생각을 담은 책으로, 2003년에 한국에서 번역 출간되었다.[17] 《'''교육과 정치의식'''》(The Politics of Education)은 2003년, 《'''프레이리의 교사론'''》(Teachers as Cultural Workers)은 교사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책으로 2020년에 각각 한국어판이 출간되었다.[17]

6. 영향 및 유산

프레이리의 교육 이론은 전 세계적으로 교육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제3세계 국가와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 신학, 민중 교육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22] 한국에서는 1980년대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그의 사상이 널리 알려져 교육 운동과 사회 운동의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그의 사상은 여전히 비판적 교육학, 사회 정의 교육, 대안 교육 등 다양한 교육 운동의 중요한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

북아메리카에서 프레이리의 주요 옹호자는 벨 훅스,[24] 헨리 지루, 피터 맥라렌, 도날도 마세도, 안토니아 다더, 조 L. 킨첼로, 셜리 R. 스타인버그, 카를로스 알베르토 토레스, 아이라 쇼어 등이다.[25] 맥라렌이 편집한 『파울루 프레이리: 비판적 만남』은 프레이리가 비판적 교육학 분야에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 맥라렌은 또한 파울루 프레이리와 아르헨티나 혁명가 체 게바라에 대한 비교 연구를 제공했다. 프레이리의 저작은 미국에서 사회 정의 문제와 비판적 교육학을 수학 커리큘럼의 구성 요소로 강조하는 급진적 수학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26]

남아프리카에서 프레이리의 사상과 방법은 1970년대 블랙 의식 운동의 핵심이었으며, 이는 종종 스티브 비코와 연관되었고,[27][28]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노동조합 운동, 그리고 1980년대의 연합 민주 전선과도 관련되었다.[29] 급진적 의사 아부 바커 아스바트는 프레이리의 방법을 사용한 많은 저명한 반 아파르트헤이트 활동가 중 한 명이었다.[30] 오늘날에는 피터마리츠버그에 있는 콰줄루-나탈 대학교에 파울루 프레이리 프로젝트가 있으며,[31] 도시 빈곤층의 급진적인 운동인 아바할리 베이스Mjondolo는 프레이리식 방법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32]

1991년, 파울루 프레이리 연구소가 상파울루에 설립되어 그의 대중 교육 이론을 확장하고 발전시켰다. 이 연구소는 여러 국가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UCLA 교육 및 정보 연구 대학원에 본부를 두고, 프레이리 자료를 관리하고 있다. 연구소 소장은 UCLA 교수 카를로스 토레스이며, 그는 1978년의 『파울루 프레이리의 교육 실천』을 포함한 여러 프레이리 관련 저작을 썼다.[33][34]

1999년, 프레이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전국 훈련 기관인 PAULO가 영국에 설립되었다. 이 기관은 뉴 노동 정부의 승인을 받아 영국 전역에서 활동하는 약 30만 명의 지역 사회 기반 교육 실무자를 대표했다. PAULO는 이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직업 훈련 표준을 설정하는 공식적인 책임을 부여받았다.[35]

파울루와 니타 프레이리 국제 비판적 교육학 프로젝트는 맥길 대학교에 설립되었다. 이곳에서 조 L. 킨첼로와 셜리 R. 스타인버그는 전 세계의 비판적 학자들이 연구를 촉진하고 다국적 영역에서 프레이리 교육학을 재창조하기 위한 대화의 장을 만들었다.[36] 킨첼로가 사망한 후, 이 프로젝트는 가상 글로벌 자원으로 전환되었다.[37]

프레이리는 죽기 직전에 생태 교육학에 관한 책을 쓰고 있었는데, 이는 오늘날 전 세계의 많은 프레이리 연구소와 프레이리 협회가 수행하는 작업 플랫폼이다. 이 책은 지구 헌장과 같은 행성 교육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프레이리식 대중 교육 정신에 입각한 수많은 국제적인 풀뿌리 캠페인을 개발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41]

프레이리식 문해 방법은 개발 도상국 전반에 걸쳐 채택되었다. 필리핀에서는 가톨릭 기초 공동체가 지역 사회 교육에서 프레이리의 방법을 채택했다. 파푸아뉴기니에서는 프레이리식 문해 방법이 세계 은행의 자금 지원을 받는 남부 고원 지역 농촌 개발 프로그램의 문해 캠페인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프레이리식 접근 방식은 또한 2014년까지 20개국으로 확산된 지역 사회 프로그램에 대한 "드래곤 드림" 접근 방식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42]

'''수상'''


  • 보두앵 국제 개발상 (1980년): 파울루 프레이리는 이 상을 최초로 수상했다.
  • 뛰어난 기독교 교육자상 (엘자 프레이리와 공동 수상)
  • 유네스코 평화 교육상 (1986년)
  • 오마하 네브래스카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1996년)
  • 클레어몬트 대학원 대학교 명예 학위 (1992년)
  • 영국 열린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1973년)
  • 국제 성인 및 평생 교육 명예의 전당 헌액 (2008년)[43]
  • 일리노이 대학교 시카고 명예 학위 (1993년).[44]

7. 한국 사회에 대한 기여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은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교육 민주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80년대 군사 독재 정권 시절, 그의 저서 《억압받는 자들의 교육학》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학생, 노동자, 농민, 종교인들에게 중요한 지침서 역할을 했다.[22] 그의 '의식화' 개념은 억압받는 민중이 자신의 현실을 자각하고, 주체적으로 사회 변혁에 참여하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

프레이리의 교육 이론은 참교육을 위한 전국 교사 협의회(전교조) 등 교육 운동 단체의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 교육의 민주화와 교육 과정 개혁에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또한, 그의 사상은 빈민 운동, 노동 운동, 농민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미쳐, 사회 변혁 운동의 확산과 발전에 기여했다.

참조

[1] PDF https://iftm.edu.br/[...] 2022-03
[2] 웹사이트 Review Board | Visual Culture & Gender http://vcg.emitto.ne[...]
[3] 웹사이트 Karen Keifer-Boyd, Ph.D. http://www.personal.[...] 2020-09-21
[4] 웹사이트 There, for Fortune: An 'Accidental' Academic Life. Part 1: From 'Rights' to 'Literacy' https://pesaagora.co[...]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of Australia 2020
[5] 웹사이트 approx. 1:47 https://thelearninge[...]
[6] PDF https://cabodostraba[...] 2022-03
[7] 웹사이트 Our Programs | Georgia Conflict Center https://www.gaconfli[...] 2020-09-21
[8] 웹사이트 Freire https://www.dicio.co[...] Dicionário Online de Português 2024
[9] 뉴스 "Review of Paulo Freire's ''Pedagogy of the Oppressed''" https://thenewobserv[...] 2012-06-07
[10] 뉴스 Why Paulo Freire's 'Pedagogy of the Oppressed' Is Just as Relevant Today as Ever http://blogs.indepen[...] 2011-10-26
[11] 웹사이트 Paulo Freire http://www.infed.org[...]
[12] 웹사이트 What are the most-cited pub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according to Google Scholar)? http://eprints.lse.a[...]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16-05-12
[13] 웹사이트 Paulo Freire http://mingo.info-sc[...] University of Iowa
[14] 간행물 A práxis educativa de Paulo Freire https://oxfordre.com[...] 2018-11-20
[15] 뉴스 The Great Leap Forward: The Political Economy of Education in Brazil, 1889–1930 https://hbswk.hbs.ed[...] 2010-04-29
[16] 웹사이트 Securing Sweetness For Sugarcane Souls: A Tribute To Paulo Freire https://countercurre[...] 2017-04-26
[17] 뉴스 Paulo Freire, 75, Is Dead; Educator of the Poor in Brazil https://www.nytimes.[...] 1997-05-06
[18] 웹사이트 A critique of A Curriculum for Excellence through the works of Paulo Freire https://theses.gla.a[...] 2021
[19] 웹사이트 Marxist education:Education by Freire http://tx.cpusa.org/[...] Tx.cpusa.org
[20] 웹사이트 Paulo Freire http://www.education[...] Education.miami.edu
[21] 서적 Culture, Power and Transformation in the Work of Paulo Freire http://faculty.fordh[...] Fordham University 2001
[22] 간행물 Pedagogy of the Oppressor https://www.city-jou[...] Manhattan Institute for Policy Research 2009
[23] 웹사이트 Paulo Freire https://www.heraldsc[...] 1997-05-24
[24] 서적 Teaching to transgress : education as the practice of freedom https://www.worldcat[...] 1994
[25] 웹사이트 Paulo Freire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6] 웹사이트 Radical Math http://www.radicalma[...]
[27] 웹사이트 Anne Hope – A Woman of Substance in Anti-Apartheid Movement https://www.iol.co.z[...] 2015-12-29
[28] 문서 Liberation and Development: Black Consciousness Community Programs in South Africa
[29] 뉴스 Art of Listening Is at Heart of True Democracy https://mg.co.za/art[...] 2017-08-04
[30] 뉴스 Abu Baker Asvat: a forgotten revolutionary https://www.newframe[...] New Frame 2021-11-08
[31] 웹사이트 Paulo Freire Project http://cae.ukzn.ac.z[...]
[32] 웹사이트 Paulo Freire and Popular Struggle in South Africa https://thetricontin[...] Tricontinental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2020-11-09
[33] 웹사이트 About ! School of Education & Information Studies https://www.pfi.seis[...]
[34] 간행물 A práxis educativa de Paulo Freire https://acervo.paulo[...] 1977
[35] 웹사이트 Latest version of the UK's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for Community Development out – IACD https://www.iacdglob[...]
[36] 웹사이트 'The Paulo and Nita Freire Project for Critical Pedagogy, McGill University {{!}} Centre for Culture, Identity and Education' https://ccie.educ.ub[...] 2024-01-13
[37] 웹사이트 The Freire Project https://freireprojec[...] 2024-01-13
[38] 뉴스 State Approves Four New Charter Schools https://www.bostongl[...] The Boston Globe 2020-09-18
[39] 뉴스 Dozens protest as Paulo Freire charter school axes half its teachers https://www.gazetten[...] Daily Hampshire Gazette 2021-10-30
[40] 웹사이트 Here are the specific reasons N.J. closed these 4 charter schools https://www.nj.com/e[...] 2021-10-30
[41] 웹사이트 The Earth Charter and Education for Social Change https://earthcharter[...] 2024-01-13
[42] 웹사이트 PARTICIPATORY APPROACHES IN HIGHER EDUCATION'S SUSTAINABILITY PRACTICES: A MIXED-METHODS STUDY LEADING TO A PROPOSAL OF A NEW ASSESSMENT MODEL https://core.ac.uk/d[...] 2015
[43] 웹사이트 International Adult Continuing Education Hall of Fame https://web.archive.[...] 2015-03-03
[44] 웹사이트 'Honorary Degrees {{pipe}} Commencement {{pip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https://commencement[...]
[45] 웹사이트 Bibliography https://web.archive.[...] 2012-11-12
[46] 서적 抑圧者の教育学
[47] 논문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 교육사상의 수용과정과 한국 민중교육운동에 대한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48] 서적 그의 삶과 사상-파울루프레이리 읽기 우리교육 20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