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달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달구는 대한민국 수원시의 구로, 1993년 2월 1일에 신설되었다. 동쪽으로는 영통구, 서쪽으로는 권선구, 북쪽으로는 장안구와 접한다. 팔달산과 수원천이 위치하며, 1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원화성, 팔달문 등 문화재와 수원월드컵경기장이 있으며,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분당선, 수인선 등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달구 -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은 1967년 가톨릭대학 제5부속병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여러 수녀들이 병원장직을 맡아왔다. - 팔달구 - 팔달산
팔달산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역사적, 문화적 유적이 있는 산으로, 수원 팔달산 지석묘군과 독립기념비 등의 조형물이 있으며, 과거 팔달산 토막 살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경기도의 구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경기도의 구 - 단원구
단원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의 행정 구역으로, 2002년에 설치되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고 시흥시, 화성시와 접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과 영동고속도로 서안산 나들목이 지나간다. - 1993년 설치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1993년 설치 - 원미구
원미구는 1993년 설치되어 2016년 폐지되었다가 2024년 재설치된 경기도 부천시의 옛 행정 구역으로,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39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도서관, 경찰서, 문화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팔달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행정구역명 | 팔달구 |
한글 | 팔달구 |
한국어 한자 | 八達區 |
로마자 표기 | Paldal-gu |
![]() | |
![]() | |
![]() | |
통계 | |
면적 | 13.1 |
총 인구 | 197,213 |
통계 연도 | 2023 |
남자 인구 | 99,290 |
여자 인구 | 97,923 |
세대 | 98,505 |
세대 조사 연도 | 2023 |
행정 | |
상위 자치 단체 | 수원시 |
하위 행정 구역 | 10개 동 |
법정동 | 22 |
행정동 | 10 |
구청장 | 이상균 |
국회의원 | 수원시 병: 김영진(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설명 | 팔달구 일원, 권선구 세류1동 해당. |
기타 | |
URL | 팔달구청 홈페이지 |
구청 소재지 | 16255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3(매향동, 팔달구청) |
2. 역사
1993년 팔달구 신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경이 있었다. 1999년 10월 1일 원천동에서 영통동이 분동되었고, 2000년 6월 24일에는 영통동이 다시 영통1동과 영통2동으로 나뉘었다. 2003년 2월 10일에는 매탄3동에서 태장동이 분동되었다.
2003년 11월 24일에는 영통구가 신설되면서 대규모 행정 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이의동, 영통1동, 영통2동, 태장동이 영통구로 분리되었고, 장안구의 신안동, 화서1동, 화서2동과 권선구의 매교동, 매산동, 고등동이 팔달구로 편입되었다.[5]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법정구역 |
---|---|---|
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매탄4동 | 영통구 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매탄4동 | 매탄동 |
원천동 | 영통구 원천동 | 원천동 |
이의동 | 영통구 이의동 | 이의동·하동 |
영통1동·영통2동 | 영통구 영통1동·영통2동 | 영통동(영통3동으로 분동) |
태장동 | 영통구 태장동 | 신동·망포동(현재 망포1동 망포2동) |
장안구 신안동 | 팔달구 신안동 | 북수동·장안동·신풍동 |
장안구 화서1동·화서2동 | 팔달구 화서1동·화서2동 | 화서동 |
권선구 매교동 | 팔달구 매교동 | 매교동·교동 |
권선구 매산동 | 팔달구 매산동 | 매산로1가·매산로2가·매산로3가 |
권선구 고등동 | 팔달구 고등동 | 고등동 |
2007년 8월 6일에는 팔달동, 남향동, 신안동이 행궁동으로 통합되었다. 2014년 4월 5일에는 팔달구청이 우만동 월드컵경기장 청사에서 매향동의 신청사로 이전하였다. 2017년 영통3동 신설로 영통구 구역 조정이 있었다.
2. 1. 구 설치 이전
- 1993년 2월 1일 장안구 팔달동·남향동·지동·우만동·이의동과 권선구 인계동·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원천동을 관할로 하여 '''팔달구'''를 신설하였다.[4]
- 1993년 12월 1일 우만동을 우만1동·우만2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4년 7월 20일 매탄2동에서 매탄4동을 분동하였다.
- 1994년 12월 26일 용인군 기흥읍 영덕리 일부와 화성군 태안읍 영통리·신리 일부·망포리 일부를 원천동에 편입하였다.
- 1995년 4월 20일 화성군 태안읍 신리·망포리를 매탄3동에 편입하였다.
- 1999년 10월 1일 원천동에서 영통동을 분동하였다.
- 2000년 6월 24일 영통동을 영통1동·영통2동으로 분동하였다.
- 2003년 2월 10일 매탄3동에서 태장동을 분동하였다.
2. 2. 1993년 팔달구 신설
1993년 2월 1일 팔달구가 신설되었다.[4]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장안구 팔달동·남향동·지동·우만동·이의동 | 팔달구 팔달동·남향동·지동·우만동·이의동 |
권선구 인계동·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원천동 | 팔달구 인계동·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원천동 |
2. 3. 1999년 이후
1999년 10월 1일 원천동에서 영통동이 분동되었다.[4] 2000년 6월 24일 영통동이 영통1동과 영통2동으로 분동되었다. 2003년 2월 10일 매탄3동에서 태장동이 분동되었다. 같은 해 11월 24일 영통구가 신설되면서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이의동, 영통1동, 영통2동, 태장동이 영통구로 분리되었다. 이와 함께 장안구의 신안동, 화서1동, 화서2동과 권선구의 매교동, 매산동, 고등동이 팔달구로 편입되었다.[5]2007년 8월 6일 팔달동, 남향동, 신안동이 행궁동으로 통합되었다. 2014년 4월 5일 팔달구청이 우만동 월드컵경기장 청사에서 매향동의 신청사로 이전하였다.
3. 지리
팔달구는 수도 서울의 외곽을 차지하고 있는 경기도 수부(首府) 도시인 수원시의 중심권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영통구, 서쪽으로는 권선구, 북쪽으로는 장안구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팔달구의 중심에는 수원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수원팔경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팔달산이 솟아있고 자연형 하천인 수원천이 도심을 통과하고 있다.[6]
4. 행정 구역
팔달구는 1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 행정동 및 법정동
행정동 | 한자 | 면적 () | 세대 | 인구 (명) |
---|---|---|---|---|
매교동 | 梅校洞 | 0.34km2 | 9,343 | 21,454 |
매산동 | 梅山洞 | 0.48km2 | 5,896 | 9,878 |
고등동 | 高等洞 | 1.01km2 | 9,380 | 19,903 |
화서1동 | 華西1洞 | 0.58km2 | 9,722 | 21,214 |
화서2동 | 華西2洞 | 1.34km2 | 9,376 | 24,342 |
지동 | 池洞 | 0.48km2 | 5,374 | 9,841 |
우만1동 | 牛滿1洞 | 0.86km2 | 10,633 | 18,738 |
우만2동 | 牛滿2洞 | 0.97km2 | 7,883 | 16,802 |
인계동 | 仁溪洞 | 2.91km2 | 24,840 | 45,608 |
행궁동 | 行宮洞 | 1.57km2 | 6,058 | 9,433 |
팔달구 | 八達區 | 6.89km2 | 98,505 | 197,213 |
행정동 | 법정동 |
---|---|
매교동 | 교동, 매교동 |
매산동 | 매산로1가, 매산로2가, 매산로3가 |
고등동 | 고등동 |
화서1동, 화서2동 | 화서동 |
지동 | 지동 |
인계동 | 인계동 |
우만1동, 우만2동 | 우만동 |
행궁동 | 팔달로1가, 팔달로2가, 팔달로3가, 남창동, 영동, 중동, 구천동, 남수동, 매향동, 북수동, 신풍동, 장안동 |
인구는 2023년 12월 31일 기준.
5. 문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수원화성을 비롯하여 팔달문, 화서문, 창성사 진각국사 대각원조탑비 등 국가지정 문화재와 팔달문 동종, 봉녕사 불화 등 귀중한 고적을 보존하고 있는 역사문화 유적의 도시이다.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야외음악당, 청소년문화센터, 효원공원 등 시민휴식공간과 문화공간이 어우러져 전원, 휴식기능이 있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으뜸 도시로써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5. 1. 주요 문화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대표적인 성곽인 수원화성을 비롯하여 팔달문, 화서문, 창성사 진각국사 대각원조탑비 등 국가지정 문화재와 팔달문 동종, 봉녕사 불화 등 귀중한 고적을 보존하고 있는 역사문화 유적의 도시이다.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야외음악당, 청소년문화센터, 효원공원 등 시민휴식공간과 문화공간이 어우러져 전원, 휴식기능이 있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으뜸 도시로써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5. 2. 문화 시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대표적인 성곽인 수원화성을 비롯하여 팔달문, 화서문, 창성사진 각국사대각원조탑비 등 국가지정 문화재와 팔달문 동종, 봉녕사 불화 등 귀중한 고적을 보존하고 있는 역사문화 유적의 도시이다.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야외음악당, 청소년문화센터, 효원공원 등 시민휴식공간과 문화공간이 어우러져 전원, 휴식기능이 있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으뜸 도시로써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수원화성박물관
- 수원시민회관
- 수원야외음악당
- 경기도 문화의 전당
- 무형문화재 전수회관
- 수원월드컵경기장
- KBS 수원아트홀
- KBS 경인방송센터(KBS경인)
- KBS 수원센터
6. 스포츠
수원월드컵경기장은 팔달구에 있는 스포츠 시설이다.
7. 교통
팔달구는 경부선 및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지나 화서역과 수원역이 있으며, 분당선은 수원시청역(권선구에 있지만 팔달구 경계에 위치), 매교역, 수원역을 지나고, 수인선은 수원역을 지난다.
7. 1. 철도
경부선 및 수도권 전철 1호선이 팔달구를 지나며, 화서역과 수원역이 있다. 분당선은 수원시청역(권선구에 있지만, 팔달구와의 경계에 위치), 매교역, 수원역을 지난다. 수인선은 수원역을 지난다.8. 교육
8. 1. 도서관
- 선경도서관
- 수원중앙도서관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웹인용
2023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
문서
팔달구 일원, 권선구 세류1동 해당
[4]
조례
수원시 조례 제1837호
1993-01-20
[5]
조례
수원시 조례 제2456호
2003-11-08
[6]
웹사이트
팔달구의 지리
https://paldal.suwon[...]
2012-06-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이웃을 잇는 손바닥정원, 마을과 마음에 꽃을 피우다
이 책방에 세면대가 두대인 이유 [.txt]
수원 다세대주택서 불…전기자전거 배터리 열폭주 추정 | JTBC 뉴스
11일 밤 수원 다가구주택 화재…주민 17명 구조·대피
“저희 엄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조회수…지도까지 등장
수원 오피스텔 앞에서 여성 2명 숨진 채 발견…추락 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