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패러데이의 전기분해 법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러데이의 전기분해 법칙은 전극에 석출되거나 해리되는 물질의 질량이 전하량에 비례한다는 법칙으로, 마이클 패러데이가 발견했다. 험프리 데이비의 전기분해 실험이 패러데이 법칙 발견에 영향을 미쳤으며, 패러데이 법칙은 제1법칙과 제2법칙으로 나뉜다. 제1법칙은 석출되는 물질의 질량이 전하량에 비례한다는 것이고, 제2법칙은 같은 전하량으로 전기분해할 때 석출되는 물질의 질량은 당량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이 법칙은 전기 도금, 전기 화학 전지, 전해 채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되며, 한국에서도 여러 기술 발전에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 분해 - 암흑 산소
    암흑 산소는 생물학적 과정 없이 생성되는 비생물적 암흑 산소 생성과 미생물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생물적 암흑 산소 생성으로 구분되며, 지구 시스템의 생지화학적 순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과학 법칙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 과학 법칙 - 보일의 법칙
    보일의 법칙은 온도와 질량이 일정할 때 기체의 압력과 부피가 반비례한다는 법칙으로, 로버트 보일이 발견했으며, 수학적으로 PV = k로 표현된다.
  • 전기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 전기 - 전압
    전압은 두 지점 사이의 전위차로서 단위 전하당 에너지 차이를 나타내며, 정전기학에서는 단위 전하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일, 회로 이론에서는 노드 간 전위차로 정의되고, 직류 및 교류 전압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하여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패러데이의 전기분해 법칙
패러데이의 전기 분해 법칙
전기분해 장치의 개략도
전기분해 장치의 개략도
개요
정의전기 분해 과정에서 전극에서 생성되는 물질의 양은 전극을 통과하는 전하량에 비례한다.
제1 법칙
내용전기 분해에 의해 석출되거나 용해된 물질의 질량은 용액을 통과한 전기량에 정비례한다.
수식m = kQ
m석출되거나 용해된 물질의 질량 (g)
Q용액을 통과한 총 전기량 (쿨롬)
k비례 상수
비례 상수 (k)전기화학 당량이라고도 하며, 물질 1g을 석출 또는 용해하는 데 필요한 전기량
제2 법칙
내용동일한 전기량으로 여러 전해질을 전기 분해할 때, 각 전극에서 석출되는 물질의 질량은 각 물질의 화학 당량에 비례한다.
수식m₁/E₁ = m₂/E₂ = m₃/E₃ = ...
m₁, m₂, m₃, ...각 전해질에서 석출되는 물질의 질량
E₁, E₂, E₃, ...각 물질의 화학 당량
수식
패러데이 상수 (F)F = e * Na ≈ 96485 C/mol
e기본 전하
Na아보가드로 상수
전기량 (Q)Q = I * t
I전류 (암페어)
t시간 (초)
몰수 (n)n = m / M
m석출된 물질의 질량
M몰 질량
최종 수식m = (M * I * t) / (n * F)
m석출된 물질의 질량 (g)
M물질의 몰 질량 (g/mol)
I전류 (암페어)
t시간 (초)
n이온의 전하 수 (예: Cu²⁺의 경우 2)
F패러데이 상수 (≈ 96485 C/mol)

2. 패러데이 법칙의 발견

패러데이가 이 법칙을 얻어내기 전인 1807년, 험프리 데이비는 화학 전지를 이용해서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칼륨의 전기분해를 통해 나트륨칼륨을 얻어냈다. 이 실험은 패러데이의 법칙 발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2. 1. 데이비의 실험과 패러데이 법칙의 관계

패러데이는 1807년 험프리 데이비가 화학전지를 이용해서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칼륨의 전기분해를 통해 나트륨칼륨을 얻어낸 실험에 큰 영향을 받아 이 법칙을 발견하였다.

데이비는 전지를 사용하여 전기분해를 하였는데, 전지의 전압전류전압계전류계로 측정이 가능하다. 패러데이 시절에 전압계와 전류계가 없었다고 가정해도, 전지를 사용하는 시간과 석출되는 나트륨, 칼륨의 양을 측정하는 것은 원시적인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따라서 패러데이는 전지를 통해 흐르는 전하량과 전기분해 생성물의 양 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는데, 여기서 패러데이의 법칙이 나왔다. 이런 점에서 데이비의 실험과 패러데이의 법칙 발견에는 상호성이 있다.

3. 패러데이 법칙

마이클 패러데이는 전기분해 시 생성물과 이동하는 전하량 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법칙화하였다.[5]

# 전기분해 반응 시 생성되거나 소모되는 물질의 양은 이동하는 전하량에 비례한다. 이는 전지와 전극의 종류에 무관하다.

# 생성되거나 소모되는 양은 흐르는 전하량에 대해 당량만큼이다. 즉, 일정한 전하량이 흐를 때, 그에 해당하는 당량만큼이 생성되거나 소모된다.[3]

패러데이 법칙은 전기 분해를 통해 석출되는 물질의 양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3. 1. 제1법칙

전기분해 반응에서 생성되거나 소모되는 물질의 양은 이동하는 전하량에 비례하며, 이는 전지와 전극의 종류와는 무관하다.[5] 생성되거나 소모되는 양은 흐르는 전하량에 대해 당량만큼이다. 즉, 일정한 전하량이 흐를 때, 그에 해당하는 당량만큼이 생성되거나 소모된다.

'''마이클 패러데이'''는 전극에 석출되거나 해리되는 물질의 질량()이 전하량(, SI 단위는 암페어- 또는 쿨롬)에 정비례한다고 보고했다.[3]

:m \propto Q \quad \implies \quad \frac{m}{Q} = Z

여기서 비례 상수 는 해당 물질의 전기화학 당량이다. 따라서 전기화학 당량은 단위 전하량당 석출되거나 해리되는 물질의 질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석출(전기 분해)된 물질의 양은 흐른 전기량에 비례한다.

:ω = ''K'' · ''I'' · ''t'' = ''K'' · Q

  • ''K'' = 전기 화학 당량 (비례 상수)
  • ''I'' [A] = 전류
  • ''t'' [s] = 시간
  • ''Q'' [C] = 전기량

3. 2. 제2법칙

패러데이는 같은 양의 전기가 직렬로 연결된 서로 다른 전해질을 통과할 때, 전극에서 석출되거나 유리되는 물질의 질량이 각 당량(화학 당량/당량)에 정비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3] 이는 몰 질량 ()을 원자가()로 나눈 값이다.

: m \propto E; \quad E = \frac{\text{몰 질량}}{\text{원자가}} = \frac{M}{v}

: m_1 : m_2 : m_3 : \ldots = E_1 : E_2 : E_3 : \ldots

: Z_1 Q : Z_2 Q : Z_3 Q : \ldots = E_1 : E_2 : E_3 : \ldots

: Z_1 : Z_2 : Z_3 : \ldots = E_1 : E_2 : E_3 : \ldots

전기 화학 당량은 화학 당량과 같으며, 동일하다.

이는 1g당 등량의 물질을 석출시키는 데 필요한 전기량은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일정한 값 ''F''는 '''패러데이 상수'''라고 불린다. 전기 분해 법칙의 발견은 원자설로부터의 추론에 의해 전기의 기본 입자(전자)의 존재를 강력하게 시사하게 되었다.

4. 패러데이 법칙의 수식화

패러데이 법칙은 다음과 같이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Z = \frac{m}{Q} = \frac{1}{F}\left(\frac{M}{v}\right) = \frac{E}{F}

여기서 M은 해당 물질의 몰 질량(단위는 보통 몰당 그램)이고, v는 이온의 원자가이다.

패러데이 제1법칙은 총 전하량(Q)이 클수록 석출되는 물질의 질량(m)도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M, F, v는 상수)

패러데이 제2법칙은 당량(\tfrac{M}{v})이 클수록 석출되는 물질의 질량(m)도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Q, F, v는 상수)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는 전기분해의 경우, Q = It 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 =\frac{ItM}{Fv}

또한, 석출된 물질량(n, 단위는 몰)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n =\frac{It}{Fv} (n = m/M)

여기서 t는 일정한 전류가 흐른 총 시간이다.

서로 다른 원자가를 갖는 원소들로 구성된 합금의 경우, 질량 m은 다음과 같다.

:m = \frac{It}{F \times \sum_{i} \frac{w_i v_i}{M_i}}

여기서 wi는 i번째 원소의 질량 분율을 나타낸다.

전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경우에는, 총 전하 Q는 시간 t에 대해 전류 I(τ)를 적분하여 구한다.

: Q = \int_0^t I(\tau) \, d\tau

여기서 t는 총 전기분해 시간이다.

정리하면, 석출(전기 분해)된 물질의 양은 흐른 전기량에 비례하며, 다음 관계를 가진다.


  • K = 전기 화학 당량 (비례 상수)
  • I [A] = 전류
  • t [s] = 시간
  • Q [C] = 전기량


전기 화학 당량은 화학 당량과 같으며,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1g당 등량의 물질을 석출시키는 데 필요한 전기량은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이 값을 ''F''(패러데이 상수)라고 한다. 전기 분해 법칙의 발견은 원자설로부터 전기의 기본 입자(전자)의 존재를 강력하게 시사하게 되었다.[1]

4. 1. 유도

먼저 사용되는 상수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e = 1.60217646 \times 10^{-19} [C/1 e^{-}]
  • \ F = N_{0}*e = (6.0221420 \times 10^{23})(1.60217646 \times 10^{-19}) = 96,485.31 [C/mol]

여기서 \ N_{0}는 아보가드로 상수, \ e^{-}는 전자를 뜻하고, F는 패러데이 상수이다.

\ I={Q}/{t} (단, \ I는 전류, \ Q는 총 전하량, \ t는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므로 이를 이용해(정확히 말해 \frac{It}{F}를 이용하여) 전자의 몰 수를 구할 수 있다. 이후, 이동하는 전자의 몰 수에 따라 생성되거나 소모되는 물질의 몰 수를 구하여 당량을 구해낼 수 있다.

일가 이온은 방전을 위해 한 개의 전자가 필요하고, 이가 이온은 두 개의 전자가 필요하며, 그 외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x개의 전자가 흐르면 \tfrac{x}{v} 개의 원자가 방전된다.

따라서 방전된 질량 m은 다음과 같다.



m = \frac{x M}{v N_{\rm A}} = \frac{Q M}{e N_{\rm A} v} = \frac{Q M}{vF}

여기서,

5. 응용

패러데이 법칙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분야설명
전기 도금전기 전류를 사용하여 물체의 표면에 얇은 금속 층을 증착하는 공정이다.
전기 화학 전지화학 반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전주 주조전기 도금을 사용하여 금속을 금형에 증착하여 디자인의 금속 복사본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공정이다.
전해 채취전기 전류를 사용하여 용액에서 금속을 추출하는 공정이다.
전해 성형금속 부품을 만들기 위해 금속을 금형 또는 기판에 증착하는 공정이다.
양극 산화금속 표면을 내구성이 있고 부식에 강한 산화물 층으로 변환하는 공정이다.
전도성 고분자전기를 전도하는 유기 고분자이다.
물의 전기 분해전기 전류를 사용하여 물 분자를 수소산소 가스로 분리하는 공정이다.
전해 콘덴서전해 용액을 플레이트 중 하나로 사용하는 유형의 콘덴서이다.


참조

[1] 논문 on Electrical Decomposition http://www.chemteam.[...]
[2] 논문 Faraday's Electrochemical Laws and the Determination of Equivalent Weights
[3] 웹사이트 Faraday's laws of electrolysis https://www.britanni[...] 2020-09-01
[4] 논문 Faraday's Laws in One Equation
[5] 문서 전기분해에서 사용하는 당량이란, 반쪽 반응식을 썼을 때 이동하는 전자의 몰 수와의 비례관계를 통해 알 수 있는 생성 또는 소모되는 물질의 몰 수의 비라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