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퍼시벌 로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시벌 로웰은 미국의 천문학자이자 사업가로, 화성 연구와 명왕성 발견에 기여했다. 보스턴의 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한 후 천문학에 전념했다. 그는 로웰 천문대를 설립하고, 화성의 운하 존재를 주장하며 화성인에 대한 관심을 높였으나, 그의 이론은 훗날 과학적 증거로 뒷받침되지 못했다. 만년에 행성 X의 존재를 예측했으며, 그가 사망한 후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명왕성이 발견되었다. 로웰의 연구는 과학 소설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을 딴 소행성, 분화구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행성 발견자 - 하인리히 올베르스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독일의 의사이자 천문학자로, 팔라스와 베스타 두 소행성을 발견하고 혜성 궤도 계산법을 개발했으며, 올베르스의 역설을 제시하여 우주론 연구에 기여했다.
  • 소행성 발견자 - 요한 팔리사
    오스트리아 천문학자 요한 팔리사는 육안으로 122개의 소행성을 발견하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육안 소행성 발견자로 기록되었으며, 팔리사-볼프 성도 제작, 랄랑드상과 발츠상 수상, 소행성 914 팔리사나와 달의 크레이터 팔리사 명명 등으로 업적을 기리고 있다.
  • 미국의 평화주의자 - 노버트 위너
    노버트 위너는 미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서 사이버네틱스를 창시했으며, 브라운 운동, 푸리에 변환, 위너 필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자동화 기술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다 1964년에 사망했다.
  • 미국의 평화주의자 - 크리스토퍼 히친스
    영국 태생의 저널리스트, 작가이자 사회 비평가였던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무신론자로서 헨리 키신저, 마더 테레사, 조직화된 종교 등에 대한 비판, 좌파적 신념에서 자유주의적 입장으로의 전환, 《신은 위대하지 않다》를 비롯한 저서, 그리고 "새로운 무신론" 운동의 주요 인물로 평가받는 등 미국과 영국 언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조지 스무트
    조지 스무트는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우주론학자로, COBE 위성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한 공로로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애니 점프 캐넌
    애니 점프 캐넌은 미국의 천문학자로, 하버드 천문대에서 별의 스펙트럼을 분류하고 하버드 분류 체계 개발에 기여했으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수많은 변광성과 신성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퍼시벌 로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04년 퍼시벌 로웰의 모습
퍼시벌 로웰 (1904년)
본명퍼시벌 로런스 로웰
출생1855년 3월 13일
출생지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사망1916년 11월 12일
사망지미국 애리조나주 플래그스태프
안장 장소로웰 천문대 화성 언덕 (Mars Hill)
국적미국
퍼시벌 로웰 서명
학력
교육노블 앤드 그리노 학교
모교하버드 대학교
경력
직업사업가, 작가, 수학자, 천문학자
업적
주요 업적화성 운하 연구, 소행성 793 아리조나 발견 (1907년 4월 9일), 행성 X(명왕성)의 존재 예측
수상
기타 정보

2. 생애

보스턴의 부유한 로웰 가문에서 태어난 퍼시벌 로웰은 노블 앤 그린오 스쿨을 거쳐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공부했다. 실업가였으나, 수학적 재능과 화성에 대한 관심으로 천문학자가 되었다. 당시 굴절 망원경 기술 발달과 화성의 두 위성 발견으로 화성 관측 열기가 높았던 것도 영향을 주었다.

1883년 5월 일본에 체류 중이던 로웰은 조선의 미국 수호통상사절단인 보빙사 일행을 만나 주일미국공사의 요청으로 보빙사 일행의 참찬관으로 고용되어 이들을 미국으로 인도하는 임무를 맡는다. 이후 조선으로 귀국한 홍영식이 고종에게 로웰의 노고를 보고하자, 고종은 그를 국빈으로 초청했고, 12월 20일 로웰은 왕실의 초대로 조선을 다시 방문하였다.

로웰은 사진기를 가지고 공식적으로 서울에 입성한 최초의 외국인이었다. 1884년 3월 중순까지 약 3개월간 한양에 머무르며 조선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을 백과사전 형식으로 자세히 기록했고, 1885년 이 기록을 정리하여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을 발간했다.

1894년 카미유 플라마리옹의 저서 《행성 화성(La planète Mars)》을 읽고 화성 관측에 몰두하게 된 로웰은 천문학을 생업으로 삼게 된다. 그는 지오반니 스키아파렐리가 스케치한 '화성의 운하'에 특히 관심을 가졌다. 사재를 털어 로웰 천문대를 건설하고 화성 연구에 매달려 화성인의 존재를 주장했으며, 1895년 저서 『Mars』(화성) 등 관련 저서를 남겼다. 『화성』에는 기하학적인 운하를 그린 관측 결과가 실려 있는데, 일부는 이중선이었다. 그는 300개 가까운 도형과 운하를 식별했지만, 화성 탐사선 관측으로 거의 모두 부정되었다.

만년에 행성 X의 존재를 계산으로 예측한 것이 최대의 업적이다. 1930년 그의 예측에 따라 관측을 계속하던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명왕성이 발견되었다. 명왕성의 이름 "Pluto"에는 로웰의 이니셜 '''P.L'''의 의미도 담겨 있다.

한편,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로웰을 "최악의 그림쟁이"라고 혹평했지만, "그의 뒤를 따르는 모든 아이들에게 꿈을 주었다."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덧붙였다. SF 작가 아서 C. 클라크는 "도대체 어떻게 저런 것을 볼 수 있었을까"라고 혹평하면서도, "수 세대의 SF 작가들이 기꺼이 발전시킨 신화의 기초를 거의 혼자 힘으로 쌓았다"라며 SF 분야에 영향을 준 점을 평가했다.

1916년 11월 12일 뇌졸중으로 사망했으며, 천문대 근처 마스 언덕에 안장되었다.[30]

2. 1. 초기 생애 및 가문

퍼시벌 로웰은 1855년 3월 13일[1][2][3]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오거스터스 로웰과 캐서린 비글로우 로웰 사이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로웰 가문은 '보스턴 브라만'으로 불리는 뉴잉글랜드 상류층 명문가 중 하나였다.[41] 그의 형제자매로는 시인 에이미 로웰, 교육자이자 법학자인 애벗 로렌스 로웰, 산전 간호 초기 활동가인 엘리자베스 로웰 퍼트남이 있었다.[4][3][5]

로웰은 1872년 노블 앤 그리노 학교를 졸업하고, 187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 우등으로 졸업했다.[5] 대학교 졸업 연설에서 그는 성운 가설에 대해 발표했는데, 이는 당시 매우 진보적인 것으로 여겨졌다.[6]

로웰 가문은 인도카스트 최상위 계급인 브라만에 빗대어 ''''보스턴 브라만'''''( :en:Boston Brahmin)으로 불린 보스턴의 상류 계급에 속하는 명문 가문 중 하나이다.[41] 보스턴 브라만 가문들은 초기 영국에서 이주해 온 WASP이며, 무역과 공업으로 막대한 부를 쌓아 뉴잉글랜드의 지배층을 형성했다.

로웰 가문의 가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설명
증조부존 로웰(John Lowell, 1743–1802)하버드 대학교 졸업, 변호사, 연방 판사, 매사추세츠 은행 설립[41]
고조부존 로웰 주니어(John Lowell, 1769–1840)하버드 대학교 졸업, 변호사, 연방당 간부
할아버지존 에이모리 로웰(John Amory Lowell, 1798–1881)하버드 대학교 졸업, 실업가
아버지오거스터스 로웰(Augustus Lowell, 1830-1900)로웰 가문의 사업 계승, 외가인 캐벗 가문도 보스턴 브라만
어머니캐서린 비글로우 로웰(Katharine Bigelow Lawrence, 1832-1895)애벗 로렌스의 딸, 로렌스 가문도 보스턴 브라만
남동생애벗 로렌스 로웰(:en:Abbot Lawrence Lowell, 1856-1943)하버드 대학교 총장(1909-1933), 하버드 대학교 개혁[42]
여동생에이미 로웰시인
아내콘스턴스 세비지 키스(Constance Savage Keith, 1863-1954)런던 출신, 1908년 결혼[43]
비서루이스 레너드1895년부터 퍼시벌 로웰의 비서 및 간호, 천문대 비서 역임[44]


2. 2. 동아시아 방문 및 저술 활동

1883년 5월 일본에 체류 중이던 로웰은 조선의 미국 수호통상사절단인 보빙사 일행을 만나게 된다. 주일미국공사의 요청으로 보빙사 일행의 참찬관(外國參贊官 및 顧問, Foreign Secretary and Counsellor)으로 고용되어 이들을 미국으로 인도하는 임무를 맡는다.[48] 로웰은 통역관 미야오카 츠네지로와 함께 8월 18일 샌프란시스코를 향해 출발하여 11월 14일 다시 일본으로 돌아올 때까지 9명의 조미수호통상사절단의 곁에서 국서 번역, 보좌 업무 및 통역관 역할을 수행했다. 보빙사 일행은 로웰의 고향인 보스턴 일대를 방문하기도 했다.

미국 도착 후 보빙사. 앞줄 맨 왼쪽이 퍼시벌 로웰이다.


앞줄 왼쪽부터 퍼시벌 로웰, 홍영식, 민영익, 서광범, 중국인 통역 우리탕.

2. 3. 조선 방문과 기록

1884년 로웰이 촬영한 고종


1883년 5월, 로웰은 유람차 일본을 방문하여 보빙사 일행을 만났다. 주일미국공사의 요청으로 보빙사의 참찬관(外國參贊官 및 顧問, Foreign Secretary and Counsellor)으로 고용되어 미국으로 인도하는 임무를 맡았다.[48] 이후 조선으로 귀국한 홍영식이 고종에게 로웰의 노고를 보고하자, 고종은 그를 국빈으로 초청했다. 12월 20일, 로웰은 왕실의 초대로 조선을 다시 방문하였다.

로웰은 사진기를 가지고 공식적으로 서울에 입성한 최초의 외국인이었다.[49] 1884년 3월 중순까지 약 3개월간 한양에 머무르며 조선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을 백과사전 형식으로 자세히 기록했다. 1885년, 이 기록을 정리하여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을 발간했다.[50] 이 책에는 고종의 어진(御眞)을 포함한 당시 조선 풍경을 담은 사진 25매가 수록되었다. 로웰은 조선 체류 기간 동안 수학자 김낙집과 친분을 쌓았다.

조선 방문 후 일본으로 돌아간 로웰은 갑신정변 소식을 듣고, 〈조선의 쿠데타''A Korean Coup d'Etat''〉라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는 《애틀랜틱 먼슬리''Atlantic Monthly''1886년 11월호에 게재되었다.[51]

이후 로웰은 귀국 전까지 일본에 장기간 체류하며 일본의 종교, 정신 세계, 행동 양식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 로웰은 일본의 언어, 종교적 관습, 경제, 자신의 기행담 및 개인적 성찰 등을 논리적으로 기술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노토''Notto''》(1891), 《신비로운 일본''Occult Japan''》(1894), 《극동의 혼''The Soul of the Far East''》(1888) 등이 있다.

2. 4. 천문학 연구

1894년 카미유 플라마리옹의 저서 《행성 화성(La planète Mars)》을 읽고 화성 관측에 몰두하게 된 로웰은 천문학을 생업으로 삼게 된다. 그는 지오반니 스키아파렐리가 스케치한 '화성의 운하'에 특히 관심을 가졌다.[1]

로웰의 천문학 연구는 크게 로웰 천문대 설립, 화성 관측, 금성 관측, 그리고 행성 X 탐색으로 나눌 수 있다.

  • '''로웰 천문대 설립''': 1894년, 로웰은 천체 관측에 최적의 장소인 애리조나주 플래그스태프에 로웰 천문대를 설립했다.
  • '''화성 관측''': 로웰은 15년 이상 화성을 집중적으로 관측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화성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후에 마리너 탐사선에 의해 부정되었다.
  • '''금성 관측''': 로웰은 금성의 표면 특징을 관측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그의 눈의 망막 혈관 그림자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행성 X 탐색''': 로웰은 천왕성해왕성의 궤도 불일치를 설명하기 위해 행성 X의 존재를 예측하고 탐색에 몰두했다. 비록 로웰은 명왕성을 발견하지 못했지만, 그의 사후 클라이드 톰보가 명왕성을 발견하게 된다.


로웰은 소행성 (793) 애리조나를 발견했고, 1904년 줄 얀센 상을 수상했다.

한편, 칼 세이건은 로웰의 업적에 대해 "최악의 그림쟁이"라고 혹평했지만, "그의 뒤를 따르는 모든 아이들에게 꿈을 주었다."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덧붙였다. SF 작가 아서 C. 클라크는 로웰을 "도대체 어떻게 저런 것을 볼 수 있었을까"라고 비판하면서도, "수 세대의 SF 작가들이 기꺼이 발전시킨 신화의 기초를 거의 혼자 힘으로 쌓았다"라며 SF 분야에 끼친 영향을 인정했다. 로웰의 화성 연구는 H. G. 웰스의 『우주 전쟁』, E. R. 버로스의 『화성의 공주』, 브래드버리의 『화성 연대기』에 영감을 주었다.

일부 안과의들은 로웰이 비문증을 겪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기하기도 한다.

2. 4. 1. 로웰 천문대 설립

1894년 로웰은 애리조나주 플래그스태프에 자신의 이름을 딴 로웰 천문대를 설립했다. 플래그스태프는 해발 2천 미터 이상의 고지대로 맑은 날씨가 많아 천체 관측에 유리한 곳이었다.[1] 로웰은 이곳에 많은 돈을 들여 천문대를 지었다.[1] 로웰 천문대는 이후 행성 연구의 중심지가 되었다.[4]

자신의 천문대에서 관측에 몰두하고 있는 로웰.

2. 4. 2. 화성 관측 및 연구

1894년 카미유 플라마리옹의 저서 '행성 화성'(La planète Mars)을 읽은 로웰은 화성 관측을 결심하고 천문학을 생업으로 삼게 된다. 그는 밀란 천문대의 지오반니 스키아파렐리가 스케치한 '화성의 수로'에 주목했다.

같은 해 로웰은 애리조나주 플래그스태프로 이주했다. 해발 2천 미터가 넘고 구름 낀 날이 적어 천체 관측에 유리했기 때문이다. 로웰은 이곳에 사재를 들여 천문대를 건설하고 이후 15년간 화성 표면을 집중 관측하며 상세한 스케치를 남겼다. 그는 자신의 관측 결과를 《화성》(Mars, 1895년), 《화성과 수로》(Mars and Its Canals, 1906년), 《생명체가 있는 곳 화성》(Mars As the Abode of Life, 1908년) 등 세 권의 책으로 출판했다. 이를 통해 로웰은 화성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믿음을 대중화했다.[18][19]

퍼시벌 로웰이 묘사한 화성의 운하


로웰은 1893년부터 1908년경까지 약 15년간 화성을 연구하며 자신이 인지한 표면 표식을 정교하게 그렸다.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비자연적인 특징"이라 칭한 행성 표면을 상세히 묘사했는데, 여기에는 단일 및 이중 "운하", 교차점의 어두운 반점("오아시스"), 그리고 화성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이들의 가시성이 포함된다. 그는 진보했지만 절망적인 문명이 물 부족에 직면하여 극지방의 얼음 덮개에서 물을 얻기 위해 운하를 건설했다고 주장했다.[20]

1965년 마리너 4호가 촬영한 화성 표면의 크레이터


이러한 주장은 대중의 흥미를 끌었지만, 천문학계는 회의적이었다. 많은 천문학자들이 로웰이 주장하는 표식을 관측할 수 없었고, 그 규모에 대해서도 동의하지 않았다. 그 결과 로웰과 그의 천문대는 외면당했다.[21] 1909년 윌슨산 천문대의 60인치 망원경을 통해 로웰이 운하로 해석한 구조를 관찰한 결과, 자연 침식으로 보이는 불규칙한 지질학적 특징이 드러났다.[23]

운하의 존재는 1960년대 NASA의 마리너 임무를 통해 부정되었다. 마리너 4호, 마리너 6호, 마리너 7호 및 마리너 9호는 운하 대신 크레이터로 덮인 화성 표면을 보여주었다. 오늘날 운하는 착시 현상으로 간주된다.[24] 심리학자 매튜 J. 샤프스는 로웰 등이 운하를 인식한 것은 개인차, 게슈탈트 재구성, 사회인지적 요인의 복합적 결과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25]

로웰은 보스턴의 부유한 가문 출신으로, 노블 앤 그린오 스쿨과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공부했다. 실업가였으나, 수학적 재능과 화성에 대한 관심으로 천문학자가 되었다. 당시 굴절 망원경 기술 발달과 화성의 두 위성 발견으로 화성 관측 열기가 높았다. 그는 로웰 천문대를 건설하고 화성 연구에 매달려 화성인의 존재를 주장했으며, 1895년 저서 『Mars』(화성) 등 관련 저서를 남겼다. 『화성』에는 기하학적인 운하를 그린 관측 결과가 실려 있는데, 일부는 이중선이었다. 그는 300개 가까운 도형과 운하를 식별했지만, 화성 탐사선 관측으로 거의 모두 부정되었다.

2. 4. 3. 금성 관측



로웰은 화성 관측으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금성의 지도를 그리기도 했다. 그는 앨빈 클라크 앤 선스 굴절 망원경이 애리조나 주 플래그스태프 천문대에 설치된 직후인 1896년 중반부터 금성을 자세히 관측하기 시작했다. 로웰은 망원경 렌즈 구경을 3인치로 줄여 난기류가 심한 낮 대기의 영향을 줄이고 낮 하늘 높이 떠 있는 금성을 관측했다. 당시에는 금성이 지구에서 볼 수 있는 표면 특징이 없고 불투명한 대기로 덮여 있다는 사실이 의심되었으나, 현재는 이것이 사실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로웰은 중앙의 어두운 점을 포함한 바퀴살 모양의 표면 특징을 관측했다고 주장했다. 2003년 ''천문학사 저널'' 논문과 ''스카이 앤 텔레스코프'' 2003년 7월호 기사에 따르면, 로웰이 망원경 구경을 줄이면서 아이피스에 작은 출구 동공이 만들어졌고, 이것이 로웰에게 자신의 눈 망막 혈관 그림자를 보여주는 거대한 검안경 역할을 했을 수 있다고 한다.[26][27]

2. 4. 4. 행성 X 탐색

로웰은 생애 마지막 8년 동안 해왕성 바깥에 존재할 것으로 추측되었던 '행성 X'를 찾는 데 남은 생을 집중했다.[30] 로웰은 천왕성해왕성의 궤도 불일치를 근거로 행성 X의 존재를 예측했다.[30] 1906년, 로웰은 행성 X 탐색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엘리자베스 윌리엄스가 이끄는 인간 계산원 팀이 예측 영역 계산을 담당했다.[28]

초기에는 구경 약 12.70cm 카메라를 사용했지만, 약 106.68cm 반사 망원경의 좁은 시야 때문에 탐색에 부적합했다.[28] 1914년부터 1916년까지는 스프라울 천문대에서 대여한 약 22.86cm 망원경을 사용했다.[28] 비록 로웰은 명왕성을 발견하지 못했지만, 로웰 천문대는 1915년 3월과 4월에 명왕성을 촬영했으나 당시에는 별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29]

로웰의 사후에도 프로젝트는 계속되었고, 1930년 클라이드 톰보명왕성을 발견하면서 결실을 맺었다.[30] 명왕성의 천문 기호는 퍼시벌 로웰의 이름 두문자 P와 L을 합성한 --|]]|20px|♇]]로 정해졌다.[30]

하지만, 현재의 정확한 측정에 따르면, 해왕성의 위치 차이는 당시 천왕성과 해왕성의 질량을 부정확하게 알고 있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명왕성의 질량은 매우 작아 가스 행성 궤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31] 보이저 2호가 1989년 해왕성을 지나가면서 얻은 정확한 질량 값을 사용하면 궤도 불일치가 사라졌다.[32]

2. 5. 사망

1916년 11월 12일 뇌졸중으로 사망했으며, 천문대 근처 마스 언덕에 안장되었다.[30] 로웰의 행성 X 탐색 프로젝트는 그가 사망한 후에도 계속되었으며, 1930년 클라이드 톰보명왕성을 발견함으로써 결실을 맺었다.[30] 명왕성의 천문 기호(♇)는 퍼시벌 로웰의 이름 첫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30]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명왕성의 질량은 천왕성해왕성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너무 작으며, 궤도 불일치는 당시 해왕성의 질량 정보를 부정확하게 알고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32]

3. 유산 및 평가

로웰의 화성 운하, 금성 표면, 행성 X에 대한 이론은 현재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천문대 입지 선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명왕성 발견의 토대를 마련한 공로는 인정받고 있다.[30][33] 그는 칼 세이건 이전 미국 행성 과학 대중화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평가받는다.[34]

2013년 로웰 묘


퍼시벌 로웰의 문장


로웰의 화성 운하에 대한 비전은 H. G. 웰스의 《우주 전쟁》을 비롯한 수많은 과학 소설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1930년 클라이드 톰보가 발견한 명왕성의 천문 기호(♇)는 퍼시벌 로웰을 추모하는 의미에서 그의 이름 두문자 P와 L을 합성한 것이다.

소행성 1886 로웰, 달의 로웰 분화구[35], 화성의 로웰 분화구[36]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명왕성의 로웰 지역 또한 뉴 호라이즌스 우주선에 의해 발견된 후 그를 기려 명명되었다.[37]

1916년 11월 12일 임종했으며, 천문대 근처에 있는 마스 언덕에 묻혔다.

3. 1. 한국과의 관계 및 한국적 관점에서의 평가

로웰은 1883년 보빙사의 참찬관(外國參贊官 및 顧問, Foreign Secretary and Counsellor)으로 고용되어 초기 한미 관계 형성에 기여했다.[48] 그는 보빙사 일행을 미국으로 인도하고, 국서 번역 및 통역관 역할을 수행했다. 보빙사 일행은 로웰의 고향인 보스턴을 방문하기도 했다.

앞줄 왼쪽부터 퍼시벌 로웰, 홍영식, 민영익, 서광범, 중국인 통역 우리탕.

고종의 초청으로 조선을 방문한 로웰은 1884년 3월까지 약 3개월간 한양에 머무르며 조선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을 기록했다. 1885년, 이 기록을 정리한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을 발간하여,[50] 19세기 말 조선의 모습을 서구에 알렸다. 이 책에는 고종의 어진을 포함한 조선 풍경 사진 25매가 수록되어 있다.

로웰은 조선에서 갑신정변을 일으킨 홍영식 등 소장파 관료들과 교류했으며, 일본에서 갑신정변 소식을 듣고 〈조선의 쿠데타''A Korean Coup d'Etat''〉라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애틀랜틱 먼슬리''Atlantic Monthly''》에 게재했다.[51]

로웰의 저술은 19세기 말 조선의 모습을 서구에 알린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 평가받지만, 서구 중심적 시각과 제국주의적 관점이 반영되어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특히, 일본 체류 경험을 바탕으로 쓴 《노토''Notto''》(1891), 《신비로운 일본''Occult Japan''》(1894), 《극동의 혼''The Soul of the Far East''》(1888) 등의 저서는 일본 문화에 대한 편향된 시각을 보여준다는 비판을 받는다.

로웰은 일본어를 하지 못했음에도 일본인에 대해 "개성 없음", "개성의 부재, 자아의 약함, 집단을 중시하는 점" 등으로 평가하며 자신의 서양적 가치관으로 단죄했다. 반면, 서구화되어 영어를 구사하는 일본인 엘리트들은 높이 평가하는 모순적이고 편견에 가득 찬 모습을 보였지만, 이러한 관점은 서양 독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다.

아나미즈정에는 로웰 현창비가 세워져 있으며, 그가 방문한 5월 9일에는 로웰 축제를 열어 천문 관측회와 강연회를 개최하고 있다.

4. 저서


  • The Soul of the Far East영어 (1888)
  • Noto: An Unexplored Corner of Japan영어 (1891)
  • Occult Japan, or the Way of the Gods영어 (1894)
  • Mars영어 (1895)
  • Mars and Its Canals영어 (1906)
  • Mars As the Abode of Life영어 (1908)
  • The Evolution of Worlds영어 (1910)
  • 極東の魂|교쿠토노 다마시일본어 (1977, 1995)
  • ノト - 人々に知られていない日本の辺境|노토 - 히토비토니 시라레테이나이 니혼노 헨쿄일본어 (1991)
  • 極東三国 <中国・朝鮮・日本>の歴史認識|교쿠토 산고쿠 <주고쿠, 조센, 니혼>노 레키시 닌시키일본어 (2013)
  • オカルトジャパン 外国人が見た明治時代の御嶽修行者と憑霊文化|오카루토 자판 가이코쿠진가 미타 메이지 지다이노 미타케 슈교샤토 효레이 분카일본어 (2013)
  • 神々にゆく道 アメリカ人天文学者が見た神秘の国・日本|가미가미니 유쿠 미치 아메리카진 덴몬가쿠샤가 미타 신피노 구니, 니혼일본어 (2013)
  • パーシバル・ローウェル 著作集成|파시바루 로웨루 초사쿠 슈세이일본어 전 5권 (2006)

참조

[1] 뉴스 The Bizarre Beliefs of Astronomer Percival Lowell https://www.smithson[...] 2017-03-13
[2] 논문 Percival Lowell (1855-1916) https://www.jstor.or[...] 1917
[3] 웹사이트 Chosö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a Sketch of Korea http://www.wdl.org/e[...] 1888
[4] 서적 The Historic Genealogy of the Lowells of America from 1639 to 1899 The Tuttle Company 1899
[5] 서적 Planets Beyond: Discovering the Outer Solar System Courier 1985
[6] 웹사이트 Happy Birthday Percival Lowell, First Man to Imagine Life on Mars http://www.findingdu[...] 2010-03-13
[7] 문서 Progressives vs Conservatives
[8] 서적 Percival Lowell: An Afterglow RG Badger 1921
[9]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9: Chapter L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0] 서적 Life on Mars; The Complete Story https://archive.org/[...] Blandford 1999
[11] 서적 Planetary astronomy: from ancient times to the third millennium Texas A & M University Press 1998
[12] 서적 Lowell and Mar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76
[13] 논문 William H. Pickering in Jamaica: The Founding of Woodlawn and Studies of Mars
[1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15] 서적 Planet Quest: The Epic Discovery of Alien Solar Systems 1997
[16] 논문 Astronomy on Mars Hill http://adsabs.harvar[...] 1995
[17] 서적 Percival Lowell: The Culture and Science of a Boston Brahmi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18] 서적 Astronomical Enigmas: Life on Mars, the Star of Bethlehem, and Other Milky Way Mysteries 2005
[19] 뉴스 Life on Mars? You Read It Here First. https://www.nytimes.[...] 2015-10-01
[20] 서적 The Last Frontier: Imagining Other Worlds from the Copernican Revolution to Modern Fic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0
[21] 서적 Planet Quest: The Epic Discovery of Alien Solar Systems 1997
[22] 서적 Astronomical Enigmas: Life on Mars, the Star of Bethlehem, and Other Milky Way Mysteries 2005
[23] 서적 The Last Frontier: Imagining Other Worlds from the Copernican Revolution to Modern Fic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0
[24] 논문 H.G. Wells' Enduring Mythos of Mars https://archive.org/[...] BenBalla 2005
[25] 논문 Percival Lowell and the Canals of Mars 2018
[26] 웹사이트 SkyandTelescope.com – News from Sky & Telescope – Venus Spokes: An Explanation at Last? http://www.skyandtel[...]
[27] 논문 The spokes of Venus: an illusion explained http://adsabs.harvar[...] 2003
[28] 논문 The Search for the Ninth Planet, Pluto 1946
[29] 웹사이트 Orbit Fit and Astrometric record for 134340 http://www.boulder.s[...] SwRI (Space Science Department) 2008-08-11
[30] 서적 Mars: a tour of the human imagina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5
[31] 서적 Astronomy: A Physical Perspectiv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2] 서적 The Neptune File: A Story of Astronomical Rivalry and the Pioneers of Planet Hunting 2000
[33] 서적 Craters, Cosmos, and Chronicles: A New Theory of Earth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34] 논문 Emergence of a Habitable Planet 2007
[35] 지명
[36] GPN
[37] GPN
[38] 웹사이트 13 March: Remembering Percival Lowell on Birthday https://observervoic[...] 2023-03-12
[39] 웹사이트 Percival Lowell's 151st Birthday http://lh3.googleuse[...]
[40] 문서 1915년에 촬영된 명왕성 사진
[41] 저널 フランシス・ローウェル : アメリカ産業革命初期の企業者 (陵水五十年記念論文集) https://hdl.handle.n[...] 滋賀大学経済学会
[42] 서적 列伝風ハーバード大学史 桜美林大学出版会
[43] 웹사이트 Constance Savage Keith (1863-1954) https://familypedia.[...]
[44] 웹사이트 2004年穴水・ローヱル会議 (報告) https://www.kwasan.k[...]
[45] 문서 바질 홀 챔벌레인과 래프카디오 하ーン의 로웰 비판
[46] 저널 パーシヴァル・ローウェルは日本人と火星人をどう見たか https://hdl.handle.n[...] 名古屋大学大学院国際言語文化研究科
[47] 웹사이트 パーシヴァル・ローエル著作および書簡集 全5巻+別冊 http://www.aplink.co[...] Edition Synapse
[48] 논문 유미 조선보빙사 수원 최경석·오예당·로우엘 연구
[49] 논문 Visualizing Seoul’s Landscapes: Percival Lowell and the Cultural Biography of Ethnographic Images
[50] 웹인용 Chosö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a Sketch of Korea http://www.wdl.org/e[...] 1888
[51] 저널인용 A Korean Coup D'etat http://ebooks.librar[...] 188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