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상문학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상문학상은 대한민국의 권위 있는 문학상으로, 매년 대상 수상자와 수상작을 발표한다. 1977년 김승옥의 '서울의 달빛 0장'을 시작으로, 이청준, 박완서, 최인호 등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이 상을 수상했다. 2020년에는 김금희, 최은영, 이기호 작가가 저작권 문제로 수상을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상 - 이상 (작가)
    일제강점기 한국의 아방가르드 작가이자 건축기사였던 이상은 '오감도'와 '날개' 등 실험적인 작품으로 한국 문학사에 독보적인 자취를 남겼으며, 초현실주의 기법과 수학·건축적 요소를 결합하여 현대인의 소외와 내면세계를 탐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이상 - 변동림
    변동림은 시인 이상과 결혼하고 화가 김환기와 재혼했으며, 김향안이라는 필명으로 수필가로 활동하다 서양화가로 등단하여 2004년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대산문학상
    대산문학상은 교보생명 창업주 신용호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제정한 문학상으로,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에 상금을 수여하고 수상작의 번역을 권장한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심훈문학상
    심훈문학상은 한국 문학가 심훈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등단 작가, 신인 작가, 학술 연구자, 청소년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1977년 설립 - 호원대학교
    호원대학교는 1977년 군산공업전문학교로 설립되어 여러 대학을 거쳐 1998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4개의 단과대학과 학부 과정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교이다.
  • 1977년 설립 - 미국 에너지부
    미국 에너지부는 1973년 석유 파동 이후 에너지 안보를 위해 설립되었으며 에너지 연구 개발, 핵무기 관리, 에너지 정책 수립 및 시행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미국 연방 정부 부처이다.
이상문학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상문학상
한글이상문학상
한자李箱文學賞
로마자 표기isang munhaksang
분야문학상
주최 및 후원
주최문학사상사
후원현대자동차그룹
시상 내역
상금3500만원 (2017년 이후)
시상 대상등단 10년 이상의 중견 작가
기타
관련 정보이산문학상 (동음이의어)

2. 역대 대상 수상자 및 수상작

wikitext

수상연도작가작품
제1회1977년김승옥〈서울의 달빛 0장〉
제2회1978년이청준〈잔인한 도시〉
제3회1979년오정희저녁의 게임
제4회1980년유재용관계
제5회1981년박완서엄마의 말뚝
제6회1982년최인호깊고 푸른 밤
제7회1983년서영은〈먼 그대〉
제8회1984년이균영〈어두운 기억의 저편〉
제9회1985년이제하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제10회1986년최일남〈흐르는 북〉
제11회1987년이문열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제12회1988년임철우〈붉은 방〉
한승원〈해변의 길손〉
제13회1989년김채원〈겨울의 환〉
제14회1990년김원일〈마음의 감옥〉
제15회1991년조성기〈우리 시대의 소설가〉
제16회1992년양귀자숨은 꽃
제17회1993년최수철〈얼음의 도가니〉
제18회1994년최윤〈하나코는 없다〉
제19회1995년윤후명〈하얀 배〉
제20회1996년윤대녕〈천지간〉
제21회1997년김지원〈사랑의 예감〉
제22회1998년은희경〈아내의 상자〉
제23회1999년박상우〈내 마음의 옥탑방〉
제24회2000년이인화〈시인의 별〉
제25회2001년신경숙부석사
제26회2002년권지예〈뱀장어 스튜〉
제27회2003년김인숙[5]〈바다와 나비〉
제28회2004년김훈[6]화장
제29회2005년한강[7]〈몽고반점〉
제30회2006년정미경[8]〈밤이여, 나뉘어라〉
제31회2007년전경린[9]〈천사는 여기 머문다〉
제32회2008년권여선[10]〈사랑을 믿다〉
제33회2009년김연수[11]〈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
제34회2010년박민규[12]〈아침의 문〉
제35회2011년공지영[13]〈맨발로 글목을 돌다〉
제36회2012년김영하[14]〈옥수수와 나〉
제37회2013년김애란[15]〈침묵의 미래〉
제38회2014년편혜영[16]〈몬순〉
제39회2015년김숨〈뿌리 이야기〉
제40회2016년김경욱천국의 문
제41회2017년구효서〈풍경소리〉
제42회2018년손홍규〈꿈을 꾸었다고 말했다〉
제43회2019년윤이형[17]〈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
제44회2021년이승우〈마음의 부력〉
제45회2022년손보미〈불장난〉
제46회2023년최진영홈 스위트 홈
제47회2024년조경란〈일러두기〉


2. 1. 개요

수상연도작가작품
제1회1977년김승옥〈서울의 달빛 0장〉
제2회1978년이청준〈잔인한 도시〉
제3회1979년오정희저녁의 게임
제4회1980년유재용〈관계〉
제5회1981년박완서〈엄마의 말뚝〉
제6회1982년최인호〈깊고 푸른 밤〉
제7회1983년서영은〈먼 그대〉
제8회1984년이균영〈어두운 기억의 저편〉
제9회1985년이제하〈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제10회1986년최일남〈흐르는 북〉
제11회1987년이문열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제12회1988년임철우〈붉은 방〉
제12회1988년한승원〈해변의 길손〉
제13회1989년김채원〈겨울의 환幻〉
제14회1990년김원일〈마음의 감옥〉
제15회1991년조성기〈우리 시대의 소설가〉
제16회1992년양귀자〈숨은 꽃〉
제17회1993년최수철〈얼음의 도가니〉
제18회1994년최윤〈하나코는 없다〉
제19회1995년윤후명〈하얀 배〉
제20회1996년윤대녕〈천지간〉
제21회1997년김지원〈사랑의 예감〉
제22회1998년은희경〈아내의 상자〉
제23회1999년박상우〈내 마음의 옥탑방〉
제24회2000년이인화〈시인의 별〉
제25회2001년신경숙〈부석사〉
제26회2002년권지예〈뱀장어 스튜〉
제27회2003년김인숙[5]〈바다와 나비〉
제28회2004년김훈[6]〈화장〉
제29회2005년한강[7]〈몽고반점〉
제30회2006년정미경[8]〈밤이여, 나뉘어라〉
제31회2007년전경린[9]〈천사는 여기 머문다〉
제32회2008년권여선[10]〈사랑을 믿다〉
제33회2009년김연수[11]〈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
제34회2010년박민규[12]〈아침의 문〉
제35회2011년공지영[13]〈맨발로 글목을 돌다〉
제36회2012년김영하[14]〈옥수수와 나〉
제37회2013년김애란[15]〈침묵의 미래〉
제38회2014년편혜영[16]〈몬순〉
제39회2015년김숨〈뿌리 이야기〉
제40회2016년김경욱〈천국의 문〉
제41회2017년구효서〈풍경소리〉
제42회2018년손홍규〈꿈을 꾸었다고 말했다〉
제43회2019년윤이형[17]〈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
제44회2021년이승우〈마음의 부력〉
제45회2022년손보미〈불장난〉
제46회2023년최진영〈홈 스위트 홈〉
제47회2024년조경란〈일러두기〉


2. 2. 상세 목록

수상연도작가작품
제1회1977년김승옥〈서울의 달빛 0장〉
제2회1978년이청준〈잔인한 도시〉
제3회1979년오정희저녁의 게임
제4회1980년유재용관계
제5회1981년박완서엄마의 말뚝
제6회1982년최인호깊고 푸른 밤
제7회1983년서영은〈먼 그대〉
제8회1984년이균영〈어두운 기억의 저편〉
제9회1985년이제하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제10회1986년최일남〈흐르는 북〉
제11회1987년이문열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제12회1988년임철우〈붉은 방〉
제12회1988년한승원〈해변의 길손〉
제13회1989년김채원〈겨울의 환〉
제14회1990년김원일〈마음의 감옥〉
제15회1991년조성기〈우리 시대의 소설가〉
제16회1992년양귀자숨은 꽃
제17회1993년최수철〈얼음의 도가니〉
제18회1994년최윤〈하나코는 없다〉
제19회1995년윤후명〈하얀 배〉
제20회1996년윤대녕〈천지간〉
제21회1997년김지원〈사랑의 예감〉
제22회1998년은희경〈아내의 상자〉
제23회1999년박상우〈내 마음의 옥탑방〉
제24회2000년이인화〈시인의 별〉
제25회2001년신경숙부석사
제26회2002년권지예〈뱀장어 스튜〉
제27회2003년김인숙〈바다와 나비〉
제28회2004년김훈화장
제29회2005년한강〈몽고반점〉
제30회2006년정미경〈밤이여, 나뉘어라〉
제31회2007년전경린〈천사는 여기 머문다〉
제32회2008년권여선〈사랑을 믿다〉
제33회2009년김연수〈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
제34회2010년박민규〈아침의 문〉
제35회2011년공지영〈맨발로 글목을 돌다〉
제36회2012년김영하〈옥수수와 나〉
제37회2013년김애란〈침묵의 미래〉
제38회2014년편혜영〈몬순〉
제39회2015년김숨〈뿌리 이야기〉
제40회2016년김경욱천국의 문
제41회2017년구효서〈풍경소리〉
제42회2018년손홍규〈꿈을 꾸었다고 말했다〉
제43회2019년윤이형〈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
제44회2021년이승우〈마음의 부력〉
제45회2022년손보미〈불장난〉
제46회2023년최진영홈 스위트 홈
제47회2024년조경란〈일러두기〉


3. 논란 및 기타 사항

2020년 제44회 이상문학상 우수상 수상자로 결정된 김금희, 최은영, 이기호 작가가 잇달아 수상을 거부하면서 수상자 발표가 무기한 연기된 사건이 있었다.[18]

이문열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제11회 수상작으로, 영화로도 제작되었다.[18] 한승원 (한강의 아버지)은 제12회, 김채원(김지원의 동생)은 제13회 수상자이다. 한승원의 아들 한동림 역시 소설가이다.[18]

3. 1. 2020년 수상 거부 사태

2020년 제44회 이상문학상 우수상 수상자로 결정된 김금희, 최은영, 이기호 작가가 잇달아 수상을 거부하면서 수상자 발표가 무기한 연기되었다.[18] 이들은 문학사상사가 수상작의 저작권을 3년간 양도받고, 작가 개인의 단편집에도 해당 작품을 수록할 수 없도록 하는 계약 조건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반발하였다.

3. 2. 가족 수상

한승원(제12회)은 한강(제29회)의 아버지이며, 그의 아들 한동림 역시 소설가이다. 김채원(제13회)은 김지원(제21회)의 동생이다. 가족 수상은 문학적 재능의 유전적 요인 보다는 문학을 가까이 하는 환경적 요인이 큼을 시사한다.[18]

3. 3. 기타

제11회 수상작인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영화로도 제작되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는 문학 작품이 다른 예술 장르로 확장되어 더 넓은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18]

12회 수상자 한승원은 29회 수상자 한강의 아버지이며, 그의 아들 한동림 역시 소설가이다. 13회 수상자 김채원은 21회 수상자 김지원의 동생이다.

44회 우수상 수상자로 결정된 김금희, 최은영, 이기호 작가가 잇달아 수상을 거부하면서 수상자 발표가 무기한 연기되었다.

참조

[1] 뉴스 Korea Herald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2011-02-18
[2] 웹사이트 AsiaWrites http://www.asiawrite[...]
[3] 웹사이트 Korean Books Publishing Project http://koreanbooks.o[...]
[4] 뉴스 The Vegetarian by Han Kang review – an extraordinary story of family fallout https://www.theguard[...] 2015-05-22
[5] 뉴스 소설가 김인숙, 이상문학상 수상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12-19
[6] 뉴스 소설가 김훈, <화장>으로 이상문학상 수상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12-19
[7] 뉴스 소설가 한강씨 이상문학상 수상 http://legacy.www.ha[...] 한겨레신문 2012-12-19
[8] 뉴스 제30회 이상문학상에 정미경 씨 중편〈밤이여 나뉘어라>...파멸한 천재의 초상 속 은밀한 사랑의 의미 http://www.saramilbo[...] 사람일보 2012-12-19
[9] 뉴스 소설가 전경린씨 '이상문학상' 수상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12-12-19
[10] 뉴스 제32회 이상문학상 수상자 권여선 “일천한 무명작가가 너무 큰 상 받아” http://www.ilyoseoul[...] 일요서울 2012-12-19
[11] 뉴스 소설가 김연수씨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2-12-19
[12] 뉴스 소설가 박민규, 이상문학상 수상 “앞으로도 계속 신인으로 살 것”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2-12-19
[13] 뉴스 공지영, 2011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http://nbiz.heraldco[...] 해럴드경제 2012-12-19
[14] 뉴스 제36회 이상문학상에 김영하의 단편 '옥수수와 나' 선정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12-19
[15] 뉴스 제37회 이상문학상에 소설가 김애란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3-01-08
[16] 뉴스 제38회 이상문학상 대상에 소설가 편혜영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1-14
[17] 뉴스 윤이형 소설 ‘그들의…’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19-01-08
[18] 뉴스 소설가 윤이형, 이상문학상 파문에 절필 선언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2-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