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보호조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등보호조항은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에 명시된 조항으로, 모든 사람에게 법의 평등한 보호를 보장한다. 이 조항은 미국 독립 선언 이후 법 앞의 평등이라는 개념을 발전시키고, 미국 남북 전쟁 이후 흑인에 대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평등보호조항은 차별의 유형에 따라 엄격 심사, 중간 심사, 합리성 심사 등 다양한 심사 기준을 적용하며, 투표권, 적극적 우대 조치, 성소수자 권리, 장애인 권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별 금지를 위한 근거로 활용된다. 2023년에는 대학 입학에서의 인종 고려를 금지하는 판결이 내려지면서, 평등보호조항의 현대적 적용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등주의 - 기독교 평등주의
기독교 평등주의는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신자가 동등한 은사와 사역의 부르심을 받았다고 믿는 성경적 관점으로, 갈라디아서 3장 28절과 같은 구절을 근거로 남녀의 동등한 봉사를 주장하며, 퀘이커교, 감리교회 등 다양한 교파와 "남성, 여성, 그리고 하나님"과 같은 단체들의 지지를 받는다. - 평등주의 - 기회균등
기회균등은 개인의 통제 밖 요인으로 차별 없이 능력과 노력에 따라 사회적 성취를 이루도록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는 것으로,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평등으로 나뉘며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하지만 능력주의 비판과 역차별 논란이 존재하고, 대한민국 헌법에서 보장되나 불평등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미국의 법 - 공정 이용
공정 이용은 저작권법의 예외 조항으로,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1976년 미국 저작권법에서 명문화되었고, 대한민국 저작권법은 2011년 개정을 통해 관련 조항을 신설하였다. - 미국의 법 - 미국 연방보안관
미국 연방보안관은 미국 법무부 산하 연방보안관청 소속 법 집행 기관으로, 연방 법원 지원, 영장 집행, 피의자 호송, 도망자 체포, 증인 보호, 범죄 수익 자산 관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평등보호조항 | |
---|---|
개요 | |
보장 | 미국 내 모든 사람에게 법의 동등한 보호를 보장 |
상세 내용 | |
내용 | 정부 기관은 통제 법률의 동등한 보호를 개인에게 거부할 수 없다. 정부는 유사한 조건과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개인을 대우해야 한다. |
위치 | 미국 헌법 수정조항 제14조 |
2. 역사적 배경
법 앞의 평등은 미국 법적 전통으로, 미국 독립 선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 하지만, 많은 집단에게 형식적인 평등은 여전히 달성하기 어려웠다. 평등보호조항을 포함한 재건 수정안 통과 전에는 미국 법이 흑인에게 헌법적 권리를 부여하지 않았다.[5] 흑인은 백인보다 열등하다고 여겨졌으며, 노예 주에서는 노예 해방 선언과 제13차 수정 헌법의 비준 전까지 재산적 노예 상태에 있었다. 노예가 아닌 흑인조차도 많은 중요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했다.[5] 1857년 ''드레드 스콧 대 샌포드'' 판결에서 대법원은 노예 폐지론을 거부하고 흑인 남성은 자유인이든 노예이든 당시 미국 헌법상 법적 권리가 없다고 결정했다.[6]
미국 남북 전쟁에서 연방이 승리한 직후, 제13차 수정 헌법이 의회에 의해 제안되었고, 1865년 주에 의해 비준되어 노예제 폐지를 선포했다. 그 후, 많은 전 남부 동맹 주들은 전쟁 후 흑인법을 채택했는데, 이 법은 흑인이 재산, 부동산 및 많은 형태의 개인 재산을 소유하고 법적으로 집행 가능한 계약을 맺는 것을 심각하게 제한했다. 이러한 법률은 또한 흑인에게 백인보다 더 가혹한 처벌 형벌을 부과했다.[8]
흑인법이 부과한 불평등 때문에 공화당이 장악한 의회는 1866년 민권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미국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은 시민이며, "모든 인종과 피부색을 가진 시민"이 "백인 시민이 누리는 것과 같이 신체 및 재산 보호를 위한 모든 법률과 절차의 완전하고 평등한 혜택을 누려야 한다"고 규정했다.[9] 앤드루 존슨 대통령은 의회가 그러한 법안을 제정할 헌법적 권한이 없다는 우려 속에 1866년 민권법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러한 의문은 의회가 제14차 수정 헌법의 평등보호조항이 될 조항을 초안하고 논의하기 시작한 한 가지 요인이었다.[10][11] 또한 의회는 옛 남부 연합에서 개인적 및 법적 공격을 받고 있던 백인 연방주의자를 보호하고 싶어했다.[12] 이러한 노력은 의회의 양원에서 급진 공화당인 존 빙엄, 찰스 서머, 새디우스 스티븐스 등이 주도했다. 이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인 존 빙엄이 평등보호조항의 주요 저자이자 입안자였다.
미국 남부 주들은 민권법에 반대했지만, 1865년 의회는 헌법 제1조 제5항 제1절에 따라 "자신들의 구성원의 자격 심사를 판단할" 권한을 행사하여, 연방에 반역한 그들의 주가 의회 의원을 선출할 수 없다고 선언함으로써 남부 사람들을 의회에서 제외했다. 제14차 수정 헌법이 옛 남부 연합 주에 의한 수정안 비준은 연방으로의 재가입 조건으로 강요되었다.[13]
제39차 미국 의회는 1866년 6월 13일에 제14차 수정안을 제안했다. 1868년 7월 9일까지 주(37개 중 28개)의 4분의 3이 수정안을 비준했으며, 이때 평등 보호 조항이 법이 되었다.[26]
앨라배마주 대법원은 1872년 혼혈 결혼에 대한 주의 금지가 1866년 민권법과 평등 보호 조항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30] 미국 대법원이 앨라배마 사건(''Burns v. State'')을 따른 것은 거의 100년 후 ''Loving v. Virginia'' 사건에서였다.
대법원의 첫 번째 획기적인 평등 보호 결정은 ''Strauder v. West Virginia''(1880) 사건이었다. 법원은 배심원에서 흑인을 배제하는 것은 흑인 피고인에 대한 평등 보호의 거부라고 결론 내렸다. 동시에 법원은 성차별과 다른 유형의 차별을 명시적으로 허용했다.[38]
''시민권 사건''(1883)에서 법원은 평등 보호 조항의 보장이 주에 의해 수행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승인된" 행위에만 적용된다는 "주 행동(미국 헌법) 원칙"을 설명했다. 미국 대법원 부대법관 존 마셜 할란은 혼자 반대했다.[42]
''Yick Wo v. Hopkins''(1886)에서 수정 헌법 제14조의 "사람"이라는 단어는 미국 대법원에 의해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부여되었다:[40]
''Plessy v. Ferguson''(1896) 사건에서 대법원은 흑인과 백인의 분리를 철도에서 요구하고 두 인종의 구성원에 대해 별도의 철도 차량을 의무화하는 루이지애나 짐 크로우 법을 지지했다. 헨리 B. 브라운 대법관을 통해 법원은 평등 보호 조항이 시민권의 평등을 옹호하기 위한 것이지 사회 규범의 평등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고 판결했다. 할란 대법관은 다시 반대했다.
right(U.S. Supreme Court Building)은 1935년에 문을 열었으며, 평등 보호 조항(Equal Protection Clause)에서 영감을 받아 "법 아래 평등 정의(Equal Justice Under Law)"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51]]]
미주리 주 대 게인스 사건(''Missouri ex rel. Gaines v. Canada'', 1938)에서 대법원은 백인에게는 법학 교육을 제공하지만 흑인에게는 제공하지 않는 주(State)의 행위는 평등 보호 조항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
셸리 대 크레이머 사건(''Shelley v. Kraemer'', 1948)에서 대법원은 인종 차별을 불법으로 인정하는 데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1950년에 판결된 스웨트 대 페인터 사건(''Sweatt v. Painter'')과 맥로린 대 오클라호마 주립 섭정 사건(''McLaurin v. Oklahoma State Regents'')은 일련의 학교 통합 사건의 길을 열었다.
1954년,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사건에서 얼 워렌 대법원장은 "공교육 분야에서 "분리하되 평등"이라는 원칙은 설 자리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뉴 켄트 카운티 교육위원회 대 그린 사건''(1968)에서 대법원은 "자유 선택" 학교 계획이 부적절하다고 만장일치로 판결했다.
1971년, 대법원은 ''샬럿-메클렌버그 교육위원회 대 스완 사건''에서 분리에 대한 구제책으로 통합 셔틀 버스를 승인했다. 그러나 3년 후인 ''밀리켄 대 브래들리 사건''(1974)에서 대법원은 구역 ''간'' 학생들의 통학을 요구했던 하급 법원의 명령을 기각했다.
''샌 안토니오 독립 학교 구역 대 로드리게스 사건''(1973)에서 대법원은 평등보호조항은 주가 주 내의 모든 학생에게 동등한 교육 자금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요구하지는 않는다고 결정했다.[59]
2. 1. 미국의 평등보호조항
법 앞의 평등은 미국 법적 전통으로, 미국 독립 선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 하지만, 많은 집단에게 형식적인 평등은 여전히 달성하기 어려웠다. 평등보호조항을 포함한 재건 수정안 통과 전에는 미국 법이 흑인에게 헌법적 권리를 부여하지 않았다.[5] 흑인은 백인보다 열등하다고 여겨졌으며, 노예 주에서는 노예 해방 선언과 제13차 수정 헌법의 비준 전까지 재산적 노예 상태에 있었다. 노예가 아닌 흑인조차도 많은 중요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했다.[5] 1857년 ''드레드 스콧 대 샌포드'' 판결에서 대법원은 노예 폐지론을 거부하고 흑인 남성은 자유인이든 노예이든 당시 미국 헌법상 법적 권리가 없다고 결정했다.[6]
미국 남북 전쟁에서 연방이 승리한 직후, 제13차 수정 헌법이 의회에 의해 제안되었고, 1865년 주에 의해 비준되어 노예제 폐지를 선포했다. 그 후, 많은 전 남부 동맹 주들은 전쟁 후 흑인법을 채택했는데, 이 법은 흑인이 재산, 부동산 및 많은 형태의 개인 재산을 소유하고 법적으로 집행 가능한 계약을 맺는 것을 심각하게 제한했다. 이러한 법률은 또한 흑인에게 백인보다 더 가혹한 처벌 형벌을 부과했다.[8]
흑인법이 부과한 불평등 때문에 공화당이 장악한 의회는 1866년 민권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미국에서 태어난 모든 사람은 시민이며, "모든 인종과 피부색을 가진 시민"이 "백인 시민이 누리는 것과 같이 신체 및 재산 보호를 위한 모든 법률과 절차의 완전하고 평등한 혜택을 누려야 한다"고 규정했다.[9] 앤드루 존슨 대통령은 의회가 그러한 법안을 제정할 헌법적 권한이 없다는 우려 속에 1866년 민권법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러한 의문은 의회가 제14차 수정 헌법의 평등보호조항이 될 조항을 초안하고 논의하기 시작한 한 가지 요인이었다.[10][11] 또한 의회는 옛 남부 연합에서 개인적 및 법적 공격을 받고 있던 백인 연방주의자를 보호하고 싶어했다.[12] 이러한 노력은 의회의 양원에서 급진 공화당인 존 빙엄, 찰스 서머, 새디우스 스티븐스 등이 주도했다. 이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인 존 빙엄이 평등보호조항의 주요 저자이자 입안자였다.
미국 남부 주들은 민권법에 반대했지만, 1865년 의회는 헌법 제1조 제5항 제1절에 따라 "자신들의 구성원의 자격 심사를 판단할" 권한을 행사하여, 연방에 반역한 그들의 주가 의회 의원을 선출할 수 없다고 선언함으로써 남부 사람들을 의회에서 제외했다. 제14차 수정 헌법이 옛 남부 연합 주에 의한 수정안 비준은 연방으로의 재가입 조건으로 강요되었다.[13]
제39차 미국 의회는 1866년 6월 13일에 제14차 수정안을 제안했다. 1868년 7월 9일까지 주(37개 중 28개)의 4분의 3이 수정안을 비준했으며, 이때 평등 보호 조항이 법이 되었다.[26]
앨라배마주 대법원은 1872년 혼혈 결혼에 대한 주의 금지가 1866년 민권법과 평등 보호 조항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30] 미국 대법원이 앨라배마 사건(''Burns v. State'')을 따른 것은 거의 100년 후 ''Loving v. Virginia'' 사건에서였다.
대법원의 첫 번째 획기적인 평등 보호 결정은 ''Strauder v. West Virginia''(1880) 사건이었다. 법원은 배심원에서 흑인을 배제하는 것은 흑인 피고인에 대한 평등 보호의 거부라고 결론 내렸다. 동시에 법원은 성차별과 다른 유형의 차별을 명시적으로 허용했다.[38]
''시민권 사건''(1883)에서 법원은 평등 보호 조항의 보장이 주에 의해 수행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승인된" 행위에만 적용된다는 "주 행동(미국 헌법) 원칙"을 설명했다. 미국 대법원 부대법관 존 마셜 할란은 혼자 반대했다.[42]
''Yick Wo v. Hopkins''(1886)에서 수정 헌법 제14조의 "사람"이라는 단어는 미국 대법원에 의해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부여되었다:[40]
''Plessy v. Ferguson''(1896) 사건에서 대법원은 흑인과 백인의 분리를 철도에서 요구하고 두 인종의 구성원에 대해 별도의 철도 차량을 의무화하는 루이지애나 짐 크로우 법을 지지했다. 헨리 B. 브라운 대법관을 통해 법원은 평등 보호 조항이 시민권의 평등을 옹호하기 위한 것이지 사회 규범의 평등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고 판결했다. 할란 대법관은 다시 반대했다.
right(U.S. Supreme Court Building)은 1935년에 문을 열었으며, 평등 보호 조항(Equal Protection Clause)에서 영감을 받아 "법 아래 평등 정의(Equal Justice Under Law)"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51]]]
미주리 주 대 게인스 사건(''Missouri ex rel. Gaines v. Canada'', 1938)에서 대법원은 백인에게는 법학 교육을 제공하지만 흑인에게는 제공하지 않는 주(State)의 행위는 평등 보호 조항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
셸리 대 크레이머 사건(''Shelley v. Kraemer'', 1948)에서 대법원은 인종 차별을 불법으로 인정하는 데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1950년에 판결된 스웨트 대 페인터 사건(''Sweatt v. Painter'')과 맥로린 대 오클라호마 주립 섭정 사건(''McLaurin v. Oklahoma State Regents'')은 일련의 학교 통합 사건의 길을 열었다.
[[File:Warren_Court_1953.jpg|thumb|left|270px|''브라운'' 사건을 결정한 법정]
1954년,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사건에서 얼 워렌 대법원장은 "공교육 분야에서 "분리하되 평등"이라는 원칙은 설 자리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뉴 켄트 카운티 교육위원회 대 그린 사건''(1968)에서 대법원은 "자유 선택" 학교 계획이 부적절하다고 만장일치로 판결했다.
1971년, 대법원은 ''샬럿-메클렌버그 교육위원회 대 스완 사건''에서 분리에 대한 구제책으로 통합 셔틀 버스를 승인했다. 그러나 3년 후인 ''밀리켄 대 브래들리 사건''(1974)에서 대법원은 구역 ''간'' 학생들의 통학을 요구했던 하급 법원의 명령을 기각했다.
''샌 안토니오 독립 학교 구역 대 로드리게스 사건''(1973)에서 대법원은 평등보호조항은 주가 주 내의 모든 학생에게 동등한 교육 자금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요구하지는 않는다고 결정했다.[59]
2. 2. 대한민국 헌법의 평등권
3. 평등 심사의 기준
수정헌법 제14조의 평등보호조항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심사 기준으로, 전통적으로 “엄격한 심사”와 “합리성 심사”로 이루어지는 2단계 심사기준 모델에 “중간 심사” 기준을 추가하여 현재는 3단계 심사기준 모델을 활용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할란 스톤 대법관의 미국 대 캐롤린 제품 회사 사건(''United States v. Carolene Products Co.'')(1938)[67] 판결에 평등 보호 법리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된 각주가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하지만,[68] 이러한 주장에 대한 이견도 있다.[69]
현대적 접근 방식의 기본 아이디어는 "기본권"(생식권 등)과 관련된 차별이 발생하거나, 차별의 피해자가 "의심스러운 분류"(단일 인종 집단 등)에 속하기 때문에 차별의 대상이 된 경우, 더 많은 사법 심사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적 교리는 특정 범죄자들의 생식에 대한 기본권을 박탈한 스키너 대 오클라호마 사건(''Skinner v. Oklahoma'')(1942)에서 처음으로 제시되었다.[70]
법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종류의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에게 불평등한 손길을 뻗어 한 사람을 불임으로 만들고 다른 사람을 그렇지 않게 한다면, 특정 인종이나 국적을 억압적인 대우를 위해 선택한 것만큼이나 악의적인 차별을 한 것이다.
1976년까지, 연방 대법원은 차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두 가지 심사 기준 중 하나를 사용했다. 즉, "엄격 심사"(의심스러운 분류 또는 기본권과 관련된 경우) 또는 더 관대한 "합리적 근거 심사"였다. 엄격 심사는 문제가 된 법률이 "압도적인" 정부 이익을 위해 "좁게 맞춤화"되어야 하고, "덜 제한적인" 대안이 없어야 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합리적 근거 심사는 문제가 된 법률이 "합법적인" 정부 이익과 "합리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면 된다.
그러나 1976년 크레이그 대 보렌 사건(''Craig v. Boren'')에서 법원은 성차별과 관련하여 "중간 심사"라고 하는 또 다른 심사 단계를 추가했다. 법원은 또한 "강화된 합리적 근거" 심사[71] 및 "매우 설득력 있는 근거" 심사[72]와 같은 다른 단계를 추가했을 수 있다.
이 모든 것을 "계층적" 심사라고 하며, 이는 서굿 마셜 대법관을 비롯한 많은 비판을 받아왔으며, 그는 별도의 계층 대신 "차별을 검토하는 데 있어 일련의 기준"을 주장했다.[73] 존 폴 스티븐스 대법관은 "평등 보호 조항은 하나뿐"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단 하나의 심사 기준만을 주장했다.[73] 법원이 개발한 이 모든 계층적 전략은 평등 보호 원칙과 대부분의 법이 어떤 식으로든 차별을 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조화시키기 위한 것이다.[74]
심사 기준을 선택하는 것이 사건의 결과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엄격 심사 기준은 종종 "이론적으로는 엄격하지만 사실상 치명적"이라고 묘사된다.[75] 정확한 심사 수준을 선택하기 위해 안토닌 스칼리아 대법관은 법원에 평등 보호 조항이 채택되었을 때 이해된 내용을 분석하여 권리를 "기본적"으로 식별하거나, 분류를 "의심스러운" 것으로 식별할 것을 촉구했으며, 이는 더 주관적인 요인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었다.[76]
3. 1. 엄격 심사
인종, 국적 또는 원국적 등의 문제로 불이익을 받기 쉬운 이른바 ‘혐의집단’을 차별하는 법률의 합헌성 판단에는 이른바 “엄격한 심사기준”을 적용하였는데, 엄격한 심사기준 하에서 합헌성을 심사받는 경우에는 국가가 그 법률이 “긴절한 국가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과 그러한 긴절한 국가목적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또는 “엄정하게 선택된” 수단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경우에만 합헌이라는 판단을 받을 수 있다.[99] “엄격한 심사”기준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합헌성이 유지되는 법률이 거의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엄격한 심사기준을 적용받고도 합헌성이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99]3. 2. 중간 심사
미국 대 캐롤린 제품 회사 사건( ''United States v. Carolene Products Co.'' )(1938) 판결에서 할란 스톤 대법관의 각주는 평등 보호 법리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지지만, 이견도 존재한다. 현대적 접근 방식의 기본 아이디어는 "기본권"(생식권 등)과 관련된 차별이나, "의심스러운 분류"(단일 인종 집단 등)에 속하는 차별의 피해자가 발생한 경우, 더 많은 사법 심사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리는 스키너 대 오클라호마 사건( ''Skinner v. Oklahoma'' )(1942)에서 처음으로 제시되었다.1976년까지 연방 대법원은 차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엄격 심사" 또는 "합리적 근거 심사"의 두 가지 심사 기준 중 하나를 일반적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1976년 크레이그 대 보렌 사건( ''Craig v. Boren'' )에서 법원은 성차별과 관련하여 "중간 심사"라고 하는 또 다른 심사 단계를 추가했다. 법원은 "강화된 합리적 근거" 심사 및 "매우 설득력 있는 근거" 심사와 같은 다른 단계를 추가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계층적" 심사는 서굿 마셜 대법관을 비롯한 많은 비판을 받아왔으며, 존 폴 스티븐스 대법관은 "평등 보호 조항은 하나뿐"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단 하나의 심사 기준만을 주장했다. 법원이 개발한 이 모든 계층적 전략은 평등 보호 원칙과 대부분의 법이 어떤 식으로든 차별을 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조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심사 기준을 선택하는 것은 사건의 결과를 결정할 수 있으며, 엄격 심사 기준은 종종 "이론적으로는 엄격하지만 사실상 치명적"이라고 묘사된다. 안토닌 스칼리아 대법관은 정확한 심사 수준을 선택하기 위해 법원에 평등 보호 조항이 채택되었을 때 이해된 내용을 분석하여 권리를 "기본적"으로 식별하거나, 분류를 "의심스러운" 것으로 식별할 것을 촉구했으며, 이는 더 주관적인 요인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었다.
3. 3. 합리성 심사
수정헌법 제14조의 평등보호조항은 모든 사람에게 법의 평등한 보호를 보장하지만, 모든 법이 모든 사람을 똑같이 취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법은 어떤 식으로든 차별을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법원은 평등 보호 원칙과 차별의 현실을 조화시키기 위해 여러 심사 기준을 개발했다.[74]일반적으로, 합리적 근거 심사는 "합법적인" 정부 이익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차별은 허용한다. 즉, 경제적·사회적 차별과 같이 엄격 심사나 중간 심사의 대상이 아닌 차별은 합리적인 이유만 있으면 합헌으로 인정된다.
할란 스톤 대법관은 미국 대 캐롤린 제품 회사 사건(''United States v. Carolene Products Co.'')(1938) 판결에서 평등 보호 법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각주를 제시했다.[67]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대한 이견도 존재한다.[69]
존 폴 스티븐스 대법관은 "평등 보호 조항은 하나뿐"이라는 점을 들어 단 하나의 심사 기준만을 주장하기도 했다.[73]
4. 차별의 유형
엄격한 심사규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차별적 대우가 있어야 한다. 법률이나 규정에서 사람들을 차별적으로 규정하는 경우 직접적 위반에 해당한다.[77]
대법원은 평등보호조항 자체가 의도치 않게 인종적 불균형을 초래하는 정부 정책을 금지하지는 않지만, 의도치 않은 차별적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의회가 다른 헌법 조항에 따라 일부 권한을 가질 수 있다고 판결했다.[77] 획기적인 사건인 ''알링턴 하이츠 대 메트로폴리탄 주택 공사''(1977)에서, 법원은 평등 보호 조항 위반을 보여주려면 인종 차별적 의도 또는 목적에 대한 증거가 필요하다고 판시했다.[77] 차별적 영향은 단지 증거적 가치를 가질 뿐이며, "뚜렷한" 패턴이 없는 경우 "영향은 결정적이지 않다".[77]
''워싱턴 대 데이비스''(1976) 사건과 유사하게, 평등 보호 조항은 동등한 결과가 아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다.[78] ''맥클레스키 대 켐프''(1987)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가 조지아 주의 입법부와 행정부의 차별적 의도를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고 판결했다.[80]
뉴욕시의 "스톱 앤 프리스크" 정책은 경찰관이 의심스럽다고 느끼는 사람을 누구든지 정지시킬 수 있도록 허용했는데, 흑인과 히스패닉계 사람들이 백인보다 더 자주 정지되었다는 통계가 있었다.
차별적인 법규가 진정한 의도를 숨길 수 있다는 우려 외에도, 의사 결정자가 허용하는 표면적으로 중립적인 평가 및 통계적 장치가 인종적 편견과 불공정한 능력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어 왔다.[81] 이러한 문제는 공공 복지, 고용, 대학 입학 등에서 특히 두드러질 수 있다.[81]
법률이나 정책이 겉으로는 중립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특정 집단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간접 차별이라고 한다. 대법원은 평등보호조항 자체가 의도치 않게 인종적 불균형을 초래하는 정부 정책을 금지하지는 않지만, 의회가 다른 헌법 조항에 따라 의도치 않은 차별적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권한을 가질 수 있다고 판결했다.[77]
''알링턴 하이츠 대 메트로폴리탄 주택 공사''(1977) 사건에서, 법원은 평등보호조항 위반을 증명하려면 인종 차별적 의도 또는 목적에 대한 증거가 필요하며, 차별적 영향은 단지 증거적 가치를 가질 뿐이라고 판시했다.[77] ''워싱턴 대 데이비스''(1976) 사건과 유사하게, 평등보호조항은 동등한 결과가 아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입법부가 의도치 않은 불균형한 결과를 시정하고자 한다면 추가 입법을 통해 가능하다.[78]
차별적인 주가 진정한 의도를 숨길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차별적 영향을 차별적 의도의 더 강력한 증거로 간주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79] ''맥클레스키 대 켐프''(1987)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가 조지아 주의 입법부와 행정부의 차별적 의도를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고 판결했다.[80]
뉴욕시의 "스톱 앤 프리스크" 정책은 흑인과 히스패닉계 사람들이 백인보다 더 자주 정지되는 결과를 낳았는데, 이는 "흑인이 운전 중"이라는 용어로 설명되기도 한다.
의사 결정자가 사용하는 중립적인 평가 및 통계적 장치가 인종적 편견과 불공정한 능력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어 왔다.[81] 평등 보호 원칙은 중립적인 평가 도구의 중립적인 선택 절차 참여 능력에 크게 의존하므로, 간접적으로 허용되는 인종적 편견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81][82]
구조적 차별은 사회 시스템이나 관행에 내재된 차별로 인해 특정 집단이 지속적으로 불이익을 받는 경우를 말한다.[77][78][79][80][81][82] 이는 의도적이거나 의도치 않을 수 있다. 미국 대법원은 평등보호조항 자체가 의도치 않게 인종적 불균형을 초래하는 정부 정책을 금지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77] 다만, 의도치 않은 차별적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의회가 다른 헌법 조항에 따라 일부 권한을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알링턴 하이츠 대 메트로폴리탄 주택 공사''(1977) 사건에서, 법원은 평등 보호 조항 위반을 입증하려면 인종 차별적 의도 또는 목적에 대한 증거가 필요하다고 판시했다.[77] 차별적 영향은 증거적 가치를 가질 뿐이며, "뚜렷한" 패턴이 없는 경우 "영향은 결정적이지 않다".[77]
''워싱턴 대 데이비스''(1976) 사건과 유사하게, 평등 보호 조항은 동등한 결과가 아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다.[78] 입법부는 추가 입법을 통해 의도치 않지만 인종적으로 불균형한 결과를 시정할 수 있다.[78]
''맥클레스키 대 켐프''(1987)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가 조지아 주의 입법부와 행정부의 차별적 의도를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고 판결했다.[80]
차별적인 법규가 진정한 의도를 숨길 수 있다는 우려 외에도, 의사 결정자가 허용하는 표면적으로 중립적인 평가 및 통계적 장치가 인종적 편견과 불공정한 능력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어 왔다.[81] 평등 보호 원칙은 중립적인 평가 도구의 중립적인 선택 절차 참여 능력에 크게 의존하므로, 이 원칙에 따라 간접적으로 허용되는 인종적 편견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불균형한 조건'을 초래할 수 있다.'[81][82] 이러한 문제는 공공 복지, 고용, 대학 입학 등에서 특히 두드러질 수 있다.[81]
뉴욕시의 "스톱 앤 프리스크" 정책은 흑인과 히스패닉계 사람들이 백인보다 더 자주 정지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는 "흑인이 운전 중"이라는 용어로 설명되기도 한다.
4. 1. 직접 차별
엄격한 심사규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차별적 대우가 있어야 한다. 법률이나 규정에서 사람들을 차별적으로 규정하는 경우 직접적 위반에 해당한다.[77]대법원은 평등보호조항 자체가 의도치 않게 인종적 불균형을 초래하는 정부 정책을 금지하지는 않지만, 의도치 않은 차별적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의회가 다른 헌법 조항에 따라 일부 권한을 가질 수 있다고 판결했다.[77] 획기적인 사건인 ''알링턴 하이츠 대 메트로폴리탄 주택 공사''(1977)에서, 법원은 평등 보호 조항 위반을 보여주려면 인종 차별적 의도 또는 목적에 대한 증거가 필요하다고 판시했다.[77] 차별적 영향은 단지 증거적 가치를 가질 뿐이며, "뚜렷한" 패턴이 없는 경우 "영향은 결정적이지 않다".[77]
''워싱턴 대 데이비스''(1976) 사건과 유사하게, 평등 보호 조항은 동등한 결과가 아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다.[78] ''맥클레스키 대 켐프''(1987)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가 조지아 주의 입법부와 행정부의 차별적 의도를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고 판결했다.[80]
뉴욕시의 "스톱 앤 프리스크" 정책은 경찰관이 의심스럽다고 느끼는 사람을 누구든지 정지시킬 수 있도록 허용했는데, 흑인과 히스패닉계 사람들이 백인보다 더 자주 정지되었다는 통계가 있었다.
차별적인 법규가 진정한 의도를 숨길 수 있다는 우려 외에도, 의사 결정자가 허용하는 표면적으로 중립적인 평가 및 통계적 장치가 인종적 편견과 불공정한 능력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어 왔다.[81] 이러한 문제는 공공 복지, 고용, 대학 입학 등에서 특히 두드러질 수 있다.[81]
4. 2. 간접 차별
법률이나 정책이 겉으로는 중립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특정 집단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간접 차별이라고 한다. 대법원은 평등보호조항 자체가 의도치 않게 인종적 불균형을 초래하는 정부 정책을 금지하지는 않지만, 의회가 다른 헌법 조항에 따라 의도치 않은 차별적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권한을 가질 수 있다고 판결했다.[77]''알링턴 하이츠 대 메트로폴리탄 주택 공사''(1977) 사건에서, 법원은 평등보호조항 위반을 증명하려면 인종 차별적 의도 또는 목적에 대한 증거가 필요하며, 차별적 영향은 단지 증거적 가치를 가질 뿐이라고 판시했다.[77] ''워싱턴 대 데이비스''(1976) 사건과 유사하게, 평등보호조항은 동등한 결과가 아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입법부가 의도치 않은 불균형한 결과를 시정하고자 한다면 추가 입법을 통해 가능하다.[78]
차별적인 주가 진정한 의도를 숨길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차별적 영향을 차별적 의도의 더 강력한 증거로 간주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79] ''맥클레스키 대 켐프''(1987)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가 조지아 주의 입법부와 행정부의 차별적 의도를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고 판결했다.[80]
뉴욕시의 "스톱 앤 프리스크" 정책은 흑인과 히스패닉계 사람들이 백인보다 더 자주 정지되는 결과를 낳았는데, 이는 "흑인이 운전 중"이라는 용어로 설명되기도 한다.
의사 결정자가 사용하는 중립적인 평가 및 통계적 장치가 인종적 편견과 불공정한 능력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어 왔다.[81] 평등 보호 원칙은 중립적인 평가 도구의 중립적인 선택 절차 참여 능력에 크게 의존하므로, 간접적으로 허용되는 인종적 편견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81][82]
4. 3. 구조적 차별
구조적 차별은 사회 시스템이나 관행에 내재된 차별로 인해 특정 집단이 지속적으로 불이익을 받는 경우를 말한다.[77][78][79][80][81][82] 이는 의도적이거나 의도치 않을 수 있다. 미국 대법원은 평등보호조항 자체가 의도치 않게 인종적 불균형을 초래하는 정부 정책을 금지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77] 다만, 의도치 않은 차별적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의회가 다른 헌법 조항에 따라 일부 권한을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알링턴 하이츠 대 메트로폴리탄 주택 공사''(1977) 사건에서, 법원은 평등 보호 조항 위반을 입증하려면 인종 차별적 의도 또는 목적에 대한 증거가 필요하다고 판시했다.[77] 차별적 영향은 증거적 가치를 가질 뿐이며, "뚜렷한" 패턴이 없는 경우 "영향은 결정적이지 않다".[77]
''워싱턴 대 데이비스''(1976) 사건과 유사하게, 평등 보호 조항은 동등한 결과가 아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다.[78] 입법부는 추가 입법을 통해 의도치 않지만 인종적으로 불균형한 결과를 시정할 수 있다.[78]
''맥클레스키 대 켐프''(1987)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가 조지아 주의 입법부와 행정부의 차별적 의도를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고 판결했다.[80]
차별적인 법규가 진정한 의도를 숨길 수 있다는 우려 외에도, 의사 결정자가 허용하는 표면적으로 중립적인 평가 및 통계적 장치가 인종적 편견과 불공정한 능력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어 왔다.[81] 평등 보호 원칙은 중립적인 평가 도구의 중립적인 선택 절차 참여 능력에 크게 의존하므로, 이 원칙에 따라 간접적으로 허용되는 인종적 편견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불균형한 조건'을 초래할 수 있다.'[81][82] 이러한 문제는 공공 복지, 고용, 대학 입학 등에서 특히 두드러질 수 있다.[81]
뉴욕시의 "스톱 앤 프리스크" 정책은 흑인과 히스패닉계 사람들이 백인보다 더 자주 정지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는 "흑인이 운전 중"이라는 용어로 설명되기도 한다.
5. 현대적 적용
==== 투표권 ====
미국 대법원은 1927년 ''닉슨 대 허던'' 판결에서 수정 헌법 제14조가 인종에 근거한 투표 거부를 금지한다고 판결했다.[83] 투표법에 대한 평등보호조항의 최초의 현대적 적용은 1962년 ''베이커 대 카'' 판결에서 이루어졌으며, 대법원은 테네시 주 의회에 대표를 파견하는 지역구가 부당하게 배분되어 평등보호조항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83]
평등보호조항이 평등한 투표권을 규정한다는 것은 직관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는 수정 헌법 제15조와 수정 헌법 제19조를 불필요하게 만드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대법관 존 M. 할란은 ''레이놀즈'' 판결의 반대 의견에서 1866년 의회 토론을 인용하여 수정 헌법 제14조를 제정한 사람들이 평등보호조항을 투표권에까지 확대할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83] 그는 수정 헌법 제14조의 제2조가 "명시적으로 주가 '어떤 방식으로든' 자국 거주자의 '주의회' 의원 투표권을 침해할 수 있는 권한을 인정"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83]
그러나 미국 대법원은 투표는 "기본적인 권리"이며, 기본 권리에 대한 어떠한 차별도 헌법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법률이 엄격한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이러한 이론에 따라 평등보호 법리가 투표권에 적용되어 왔다.
평등보호 법리의 최근 사용은 ''부시 대 고어'' (2000) 판례에서 나타났다. 2000년 대통령 선거 이후 플로리다에서 논란이 된 재검표 과정에서 미국 대법원은 플로리다 전역의 투표지 집계 기준이 다르다는 것이 평등보호조항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84] 미국 대법원은 1960년대 투표권 관련 판례(그중 하나가 레이놀즈 대 심스) 4건을 인용하여 판결을 지지했다.[84] 이 판결은 해설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으며, 대법관 소터와 브레이어는 평등보호 위반에 대한 판결에만 동의했다. 더 논란이 된 것은 대법원이 선택한 구제책, 즉 주 전체의 재검표 중단이었다.[84]
==== 적극적 우대조치 ====
적극적 우대 정책은 소외된 집단을 지원하거나 과거 그 집단에 가해진 불공정을 해결하기 위해 인종, 성별 또는 기타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육 입학, 채용, 승진, 계약 수여 등에서 그 집단에 속하는 개인은 그 집단에 속하지 않는 사람보다 우선시된다.[95] 이러한 조치는 다른 모든 요소가 결정적이지 않을 경우 "동점자 처리"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집단에 특정 수의 혜택을 할당하는 할당제를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재건 시대 동안, 의회는 이전에 노예 신분이었기 때문에 삶에서 많은 혜택을 개인적으로 거부당했던 새로 해방된 노예를 돕기 위해 주로 프로그램을 제정했다. 이러한 입법은 평등 보호 조항을 제정한 사람들과 동일한 사람들 중 많은 사람에 의해 제정되었지만, 해당 조항은 이러한 연방 입법에는 적용되지 않고 대신 주 입법에만 적용되었다.[96] 그러나 이제 평등 보호 조항은 ''공정한 입학을 위한 학생회 대 하버드''(2023)에 따라 사립 대학 및 기타 사립 기업(특히 연방 기금을 받는 기업)에도 적용된다.
대법원에 회부된 몇몇 중요한 적극적 우대 정책 사건은 정부 계약자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Adarand Constructors v. Peña''(1995)와 ''Richmond시 대 J.A. Croson Co.''(1989)가 있다. 그러나 가장 유명한 사건은 공립 대학교에서 시행된 적극적 우대 정책과 관련이 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이사회 대 바키''(1978)에서 법원은 인종 할당량은 위헌이지만 교육 기관은 입학 과정에서 인종을 여러 요소 중 하나로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Grutter v. Bollinger''와 ''Gratz v. Bollinger''(2003)에서 법원은 ''바키''를 선례로 인정하고 미시간 대학교 로스쿨의 입학 정책을 지지했다. 그러나 법원을 대변하여 판결문을 작성한 오코너 대법관은 반론에서 25년 후에는 인종적 선호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Gratz''에서 법원은 미시간 대학교의 학부 입학 정책을 무효화했는데, 이는 로스쿨 정책과 달리, 개별 지원자를 고려하는 입학 과정에서 인종을 여러 요소 중 하나로 취급하는 반면, 학부 정책은 지나치게 기계적인 점수 시스템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적극적 우대 정책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고가 인종별로 분류한 적극적 우대 정책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적용하거나 적용했다고 밝혔다. ''Grutter''의 정책과 ''바키''에서 파월 판사의 의견에서 칭찬받은 하버드 칼리지 입학 정책은 법원이 다양성을 위한 강력한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좁게 맞춰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통과되었다. 한편에서는 비평가들이 주장했는데, 그중에는 ''Grutter''에 대한 반대 의견을 작성한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도 있는데, 법원이 일부 사건에서 적용한 심사는 진정한 엄격한 심사보다 훨씬 덜 철저하며 법원은 원칙 있는 법적 기관이 아니라 편향된 정치적 기관으로 행동해 왔다고 주장했다.[97] 다른 한편에서는 평등 보호 조항의 목적은 분류를 막는 것이 아니라, 일부 집단이 다른 집단에 의해 사회 정치적으로 종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적극적 우대 정책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비악의적 분류는 강화된 심사를 받아야 하지 않는다.[98]
''공정한 입학을 위한 학생회 대 하버드''(2023)와 그 관련 사건인 '''''공정한 입학을 위한 학생회 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2023)에서 대법원은 입학 결정에 인종과 민족을 사용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즉, 인종 또는 민족에 따른 우선적 대우는 평등 보호 조항을 위반한다. 비록 "이 의견의 어떤 내용도 인종이 차별, 영감 또는 기타 방식으로 지원자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지원자의 논의를 금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했지만, 로버츠 대법원장은 "대학이 지원 에세이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오늘 우리가 불법이라고 판단하는 제도를 단순히 구축할 수 없다"라고 분명히 했다. 또한,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것은 간접적으로도 할 수 없다." 이러한 판결은 학교에서 적극적 우대 정책을 효과적으로 종식시켰다.
==== 성소수자 권리 ====
수정 헌법 제14조의 평등보호조항은 초기에는 성소수자 차별을 금지하는 조항으로 해석되지 않았다.[85] 그러나 1996년 ''로머 대 에반스'' 사건에서 미국 대법원은 동성애자에게 "소수 지위, 할당량 특혜, 보호 지위 또는 차별 주장"을 부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콜로라도 주 헌법 개정을 무효화했다.[89] 법원은 이 개정이 동성애자에게 다른 모든 사람에게 제공되는 일반적인 보호를 박탈할 것이라고 판결했다.[89]
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 사건에서 법원은 동성애 소도미를 금지하는 텍사스 법률을 실체적 적법 절차를 근거로 무효화했다.[90] 샌드라 데이 오코너 대법관은 동의 의견에서 텍사스 법률이 "동성애" 소도미만을 금지하고 "이성애" 소도미는 금지하지 않음으로써 평등 보호 조항에 따른 합리적 근거 심사를 충족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90]
2015년 ''오버게펠 대 호지스'' 사건에서 대법원은 결혼에 대한 기본적 권리가 미국 헌법 수정 헌법 제14조의 적법 절차 조항과 평등 보호 조항에 의해 동성 커플에게 보장된다고 판결했다.[94] 이에 따라 모든 주는 동성 커플에게 혼인 증명서를 발급하고 다른 관할 구역에서 유효하게 수행된 동성 결혼을 인정해야 한다.
일부 학자들은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을 성 차별의 일종으로 해석하여 중간 심사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91] 다른 학자들은 "동성애 혐오"가 사회학적 의미에서 성 차별과 구별되므로 그렇게 취급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92]
==== 장애인 권리 ====
장애인 차별 금지는 평등보호조항 적용의 중요한 사례 중 하나이다. 미국 대법원은 ''클리번 시 대 클리번 생활 센터''(1985) 사건에서 발달 장애인을 의심스러운 계층으로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클리번 시가 지적 장애인 그룹 홈에 대한 허가를 거부한 것을 합리적 근거 심사보다 높은 수준으로 심사했다.[88] 이는 사실상 장애인 차별에 대한 더 엄격한 사법적 심사를 적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서굿 마셜 대법관은 부분적 동의 의견에서 이러한 점을 지적했다.[88]
대한민국의 경우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해 장애인 차별을 금지하고, 대한민국 헌법 제11조에서 모든 국민의 평등권을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 권리 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의무 고용 제도가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이 여전하다는 문제가 있다.
5. 1. 투표권
미국 대법원은 1927년 ''닉슨 대 허던'' 판결에서 수정 헌법 제14조가 인종에 근거한 투표 거부를 금지한다고 판결했다.[83] 투표법에 대한 평등보호조항의 최초의 현대적 적용은 1962년 ''베이커 대 카'' 판결에서 이루어졌으며, 대법원은 테네시 주 의회에 대표를 파견하는 지역구가 부당하게 배분되어 평등보호조항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83]평등보호조항이 평등한 투표권을 규정한다는 것은 직관에 어긋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는 수정 헌법 제15조와 수정 헌법 제19조를 불필요하게 만드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대법관 존 M. 할란은 ''레이놀즈'' 판결의 반대 의견에서 1866년 의회 토론을 인용하여 수정 헌법 제14조를 제정한 사람들이 평등보호조항을 투표권에까지 확대할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83] 그는 수정 헌법 제14조의 제2조가 "명시적으로 주가 '어떤 방식으로든' 자국 거주자의 '주의회' 의원 투표권을 침해할 수 있는 권한을 인정"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83]
그러나 미국 대법원은 투표는 "기본적인 권리"이며, 기본 권리에 대한 어떠한 차별도 헌법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법률이 엄격한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이러한 이론에 따라 평등보호 법리가 투표권에 적용되어 왔다.
평등보호 법리의 최근 사용은 ''부시 대 고어'' (2000) 판례에서 나타났다. 2000년 대통령 선거 이후 플로리다에서 논란이 된 재검표 과정에서 미국 대법원은 플로리다 전역의 투표지 집계 기준이 다르다는 것이 평등보호조항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84] 미국 대법원은 1960년대 투표권 관련 판례(그중 하나가 레이놀즈 대 심스) 4건을 인용하여 판결을 지지했다.[84] 이 판결은 해설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으며, 대법관 소터와 브레이어는 평등보호 위반에 대한 판결에만 동의했다. 더 논란이 된 것은 대법원이 선택한 구제책, 즉 주 전체의 재검표 중단이었다.[84]
5. 2. 적극적 우대조치
적극적 우대 정책은 소외된 집단을 지원하거나 과거 그 집단에 가해진 불공정을 해결하기 위해 인종, 성별 또는 기타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육 입학, 채용, 승진, 계약 수여 등에서 그 집단에 속하는 개인은 그 집단에 속하지 않는 사람보다 우선시된다.[95] 이러한 조치는 다른 모든 요소가 결정적이지 않을 경우 "동점자 처리"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집단에 특정 수의 혜택을 할당하는 할당제를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재건 시대 동안, 의회는 이전에 노예 신분이었기 때문에 삶에서 많은 혜택을 개인적으로 거부당했던 새로 해방된 노예를 돕기 위해 주로 프로그램을 제정했다. 이러한 입법은 평등 보호 조항을 제정한 사람들과 동일한 사람들 중 많은 사람에 의해 제정되었지만, 해당 조항은 이러한 연방 입법에는 적용되지 않고 대신 주 입법에만 적용되었다.[96] 그러나 이제 평등 보호 조항은 ''공정한 입학을 위한 학생회 대 하버드''(2023)에 따라 사립 대학 및 기타 사립 기업(특히 연방 기금을 받는 기업)에도 적용된다.
대법원에 회부된 몇몇 중요한 적극적 우대 정책 사건은 정부 계약자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Adarand Constructors v. Peña''(1995)와 ''Richmond시 대 J.A. Croson Co.''(1989)가 있다. 그러나 가장 유명한 사건은 공립 대학교에서 시행된 적극적 우대 정책과 관련이 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이사회 대 바키''(1978)에서 법원은 인종 할당량은 위헌이지만 교육 기관은 입학 과정에서 인종을 여러 요소 중 하나로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Grutter v. Bollinger''와 ''Gratz v. Bollinger''(2003)에서 법원은 ''바키''를 선례로 인정하고 미시간 대학교 로스쿨의 입학 정책을 지지했다. 그러나 법원을 대변하여 판결문을 작성한 오코너 대법관은 반론에서 25년 후에는 인종적 선호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Gratz''에서 법원은 미시간 대학교의 학부 입학 정책을 무효화했는데, 이는 로스쿨 정책과 달리, 개별 지원자를 고려하는 입학 과정에서 인종을 여러 요소 중 하나로 취급하는 반면, 학부 정책은 지나치게 기계적인 점수 시스템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적극적 우대 정책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고가 인종별로 분류한 적극적 우대 정책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적용하거나 적용했다고 밝혔다. ''Grutter''의 정책과 ''바키''에서 파월 판사의 의견에서 칭찬받은 하버드 칼리지 입학 정책은 법원이 다양성을 위한 강력한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좁게 맞춰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통과되었다. 한편에서는 비평가들이 주장했는데, 그중에는 ''Grutter''에 대한 반대 의견을 작성한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도 있는데, 법원이 일부 사건에서 적용한 심사는 진정한 엄격한 심사보다 훨씬 덜 철저하며 법원은 원칙 있는 법적 기관이 아니라 편향된 정치적 기관으로 행동해 왔다고 주장했다.[97] 다른 한편에서는 평등 보호 조항의 목적은 분류를 막는 것이 아니라, 일부 집단이 다른 집단에 의해 사회 정치적으로 종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적극적 우대 정책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비악의적 분류는 강화된 심사를 받아야 하지 않는다.[98]
''공정한 입학을 위한 학생회 대 하버드''(2023)와 그 관련 사건인 '''''공정한 입학을 위한 학생회 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2023)에서 대법원은 입학 결정에 인종과 민족을 사용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즉, 인종 또는 민족에 따른 우선적 대우는 평등 보호 조항을 위반한다. 비록 "이 의견의 어떤 내용도 인종이 차별, 영감 또는 기타 방식으로 지원자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지원자의 논의를 금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했지만, 로버츠 대법원장은 "대학이 지원 에세이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오늘 우리가 불법이라고 판단하는 제도를 단순히 구축할 수 없다"라고 분명히 했다. 또한,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것은 간접적으로도 할 수 없다." 이러한 판결은 학교에서 적극적 우대 정책을 효과적으로 종식시켰다.
5. 3. 성소수자 권리
수정 헌법 제14조의 평등보호조항은 초기에는 성소수자 차별을 금지하는 조항으로 해석되지 않았다.[85] 그러나 1996년 ''로머 대 에반스'' 사건에서 미국 대법원은 동성애자에게 "소수 지위, 할당량 특혜, 보호 지위 또는 차별 주장"을 부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콜로라도 주 헌법 개정을 무효화했다.[89] 법원은 이 개정이 동성애자에게 다른 모든 사람에게 제공되는 일반적인 보호를 박탈할 것이라고 판결했다.[89]2003년 ''로렌스 대 텍사스'' 사건에서 법원은 동성애 소도미를 금지하는 텍사스 법률을 실체적 적법 절차를 근거로 무효화했다.[90] 샌드라 데이 오코너 대법관은 동의 의견에서 텍사스 법률이 "동성애" 소도미만을 금지하고 "이성애" 소도미는 금지하지 않음으로써 평등 보호 조항에 따른 합리적 근거 심사를 충족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90]
2015년 ''오버게펠 대 호지스'' 사건에서 대법원은 결혼에 대한 기본적 권리가 미국 헌법 수정 헌법 제14조의 적법 절차 조항과 평등 보호 조항에 의해 동성 커플에게 보장된다고 판결했다.[94] 이에 따라 모든 주는 동성 커플에게 혼인 증명서를 발급하고 다른 관할 구역에서 유효하게 수행된 동성 결혼을 인정해야 한다.
일부 학자들은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을 성 차별의 일종으로 해석하여 중간 심사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91] 다른 학자들은 "동성애 혐오"가 사회학적 의미에서 성 차별과 구별되므로 그렇게 취급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92]
5. 4. 장애인 권리
장애인 차별 금지는 평등보호조항 적용의 중요한 사례 중 하나이다. 미국 대법원은 ''클리번 시 대 클리번 생활 센터''(1985) 사건에서 발달 장애인을 의심스러운 계층으로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클리번 시가 지적 장애인 그룹 홈에 대한 허가를 거부한 것을 합리적 근거 심사보다 높은 수준으로 심사했다.[88] 이는 사실상 장애인 차별에 대한 더 엄격한 사법적 심사를 적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서굿 마셜 대법관은 부분적 동의 의견에서 이러한 점을 지적했다.[88]대한민국의 경우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해 장애인 차별을 금지하고, 대한민국 헌법 제11조에서 모든 국민의 평등권을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 권리 보호를 위한 실질적인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장애인 의무 고용 제도가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이 여전하다는 문제가 있다.
5. 5. 기타 사회적 소수자 권리
참조
[1]
encyclopedia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https://books.google[...]
Infobase
[2]
웹사이트
Fair Treatment by the Government: Equal Protection
https://www.georgial[...]
Carl Vinson Institute of Government at University of Georgia
2004-07-30
[3]
웹사이트
Equal Protection
https://www.law.cor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at Cornell Law School
2020-07-24
[4]
간행물
Equal Protection outside the Clause
https://scholarship.[...]
2019-07-08
[5]
뉴스
Dred Scott v. Sandford, 60 U.S. 393 (1856)
https://supreme.just[...]
2018-11-10
[6]
간행물
Dred Scott, 150 Years Ago
2007
[7]
간행물
Dred Scott One Hundred Years After
1957
[8]
서적
Reconstruction: America's Unfinished Revolution, 1863—1877
https://archive.org/[...]
Harper & Row
[9]
문서
Brest et al. (2000), pp. 242–46.
[10]
문서
"Rosen, Jeffrey. ''The Supreme Court: The Personalities and Rivalries That Defined America'', p. 79 (MacMillan 2007)."
[11]
문서
"Newman, Roger. ''The Constitution and its Amendments'', Vol. 4, p. 8 (Macmillan 1999)."
[12]
문서
Hardy, David. "Original Popular Understanding of the 14th Amendment As Reflected in the Print Media of 1866-68", Whittier Law Review, Vol. 30, p. 695 (2008-2009).
[13]
서적
We the People, Volume 2: Transformations
Belknap Press
[14]
간행물
Completing the Constitution: The Fourteenth Amendment and Constitutional Rights
1992
[15]
뉴스
Coleman v. Miller, 307 U.S. 433 (1939)
https://supreme.just[...]
2018-11-30
[16]
간행물
Modern Equal Protection: A Conceptualization and Appraisal
1979
[17]
간행물
The Second Emancipation
1955
[18]
문서
Sumner, Charles, and Daniel Murray Pamphlet Collection. . Washington: S. & R. O. Polkinhorn, Printers, 1874. Pdf. https://www.loc.gov/item/12005313/ .
[19]
간행물
The Original Understanding of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https://digitalcommo[...]
1950
[2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 We the People
https://www.launchkn[...]
2020-09-10
[21]
뉴스
Slaughterhouse Cases, 83 U.S. 36 (1872)
https://supreme.just[...]
2018-11-10
[22]
문서
Kelly, Alfred. "[http://www.utexas.edu/law/journals/tlr/sources/Issue%2087.1/fn7.kelly.pdf Clio and the Court: An Illicit Love Affair]{{dead link|date=September 2017 |bot=InternetArchiveBot |fix-attempted=yes }}", ''The Supreme Court Review'' at p. 148 (1965) reprinted in ''The Supreme Court in and of the Stream of Power'' (Kermit Hall ed., Psychology Press 2000).
[23]
문서
'[[Alexander Bickel|Bickel, Alexander]]. "[http://digitalcommons.law.yale.edu/cgi/viewcontent.cgi?article=4958&context=fss_papers The Original Understanding and the Segregation Decision]", ''[[Harvard Law Review]]'', Vol. 69, pp. 35-37 (1955). Bingham was speaking on February 27, 1866. ''See'' [http://memory.loc.gov/ll/llcg/071/0100/01061064.tif transcript].'
[24]
문서
Curtis, Michael. "[http://lawdigitalcommons.bc.edu/cgi/viewcontent.cgi?article=2059&context=bclr Resurrecting the Privileges or Immunities Clause and Revising the Slaughter-House Cases Without Exhuming Lochner: Individual Rights and the Fourteenth Amendment]", ''Boston College Law Review'', Vol. 38 (1997).
[25]
서적
'[https://books.google.com/books?id=XROaAAAAQBAJ&pg=PA79 Congress and the Fourteenth Amendment: Enforcing Liberty and Equality in the States]'
Lexington Books
[26]
웹사이트
Ratificat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http://www.usconstit[...]
2007-01
[27]
서적
The Adoption of the Fourteenth Amendment
Johns Hopkins Press
[28]
문서
requires citation
[29]
서적
'[https://books.google.com/books?id=HFei2wFmNfsC&pg=PA253 Tell the Court I Love My Wife: Race, Marriage, and Law--An American History]'
Palgrave Macmillan
[30]
서적
What Comes Naturally: Miscegenation Law and the Making of Race in America
Oxford U. Press
[31]
문서
Calabresi, Steven and Matthews, Andrea. "Originalism and Loving v. Virginia", ''Brigham Young University Law Review'' (2012).
[32]
서적
'[https://books.google.com/books?id=FhvA0S_op38C&pg=PA321 Reconstruction: America''s Unfinished Revolution, 1863–1877]'
HarperCollins
[33]
문서
'[[Alexander Bickel|Bickel, Alexander]]. "[http://digitalcommons.law.yale.edu/cgi/viewcontent.cgi?article=4958&context=fss_papers The Original Understanding and the Segregation Decision]", ''[[Harvard Law Review]]'', Vol. 69, pp. 35–37 (1955).'
[34]
서적
'[https://books.google.com/books?id=dNtyyzGUNzYC&pg=PA19 Rehearsal for Reconstruction: Antebellum Origins of the Fourteenth Amendment]'
LSU Press
[35]
서적
Women and the American Experience
Alfred A. Knopf
[36]
서적
Is This Any Way to Run a Democratic Election?
https://books.google[...]
CQ PRESS
[37]
서적
A Traveller's History of the USA
https://books.google[...]
Interlink Books
[38]
서적
No Constitutional Right to Be Ladies: Women and the Obligations of Citizenship
https://books.google[...]
Macmillan
[39]
판례
Yick Wo v. Hopkins
[40]
웹사이트
Annotation 18 - Fourteenth Amendment: Section 1 – Rights Guaranteed: Equal Protection of the Laws: Scope and application state action
http://constitution.[...]
FindLaw for Legal Professionals - Law & Legal Information by FindLaw, a Thomson Reuters business
2013-11-23
[41]
서적
The Strange Career of Jim Crow
Oxford University Press
[42]
학술지
The Plessy Myth: Justice Harlan and the Chinese Cases
[43]
서적
We the Corporations, How American Businesses Won Their Corporate Rights
Liveright Publishing Corporation
[44]
학술지
Personalizing the Impersonal: Corporations and the Bill of Rights
http://reclaimdemocr[...]
2007-02-24
[45]
서적
We the Corporations, How American Businesses Won Their Corporate Rights
Liveright Publishing Corporation
[46]
서적
We the Corporations, How American Businesses Won Their Corporate Rights
Liveright Publishing Corporation
[47]
판례
Santa Clara County v. Southern Pacific Railroad
http://supreme.justi[...]
[48]
서적
We the Corporations, How American Businesses Won Their Corporate Rights
Liveright Publishing Corporation
[49]
서적
We the Corporations, How American Businesses Won Their Corporate Rights
Liveright Publishing Corporation
[50]
학술지
The Constitution in the Supreme Court: The New Deal, 1931–1940
https://chicagounbou[...]
[51]
서적
Scorpions: The Battles and Triumphs of FDR's Great Supreme Court Justices
Hachette Digital
[52]
서적
Origin of the Civil Rights Movements: Black Communities Organizing for Change
Free Press
[53]
학술지
What Can Brown® do for You?: Neutral Principles and the Struggle over the Equal Protection Clause
2009
[54]
서적
Simple Justice
https://archive.org/[...]
Vintage
[55]
서적
"Hesitating Between Two Worlds": The Civil Rights Odyssey of Robert H. Jackson
ProQuest
[56]
서적
I Dissent: Great Opposing Opinions in Landmark Supreme Court Cases
Beacon Press
[57]
문서
For a comprehensive history of school desegregation from Brown through Milliken (one on which this article relies for its assertions), see Brest et al. (2000), pp. 768–794.
[58]
서적
The Warren Court and American Politics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58]
서적
Judgment Days: Lyndon Baines Johnson,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Laws That Changed America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58]
서적
The Hollow Hope: Can Courts Bring About Social Chang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8]
학술지
Brown, Racial Change,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59]
학술지
Education Finance Reform Litigation and Separation of Powers: Kentucky Makes Its Contribution
[60]
학술지
Confronting the Seduction of Choice: Law, Education and American Pluralism
[61]
웹사이트
Schools More Separate
http://www.civilrigh[...]
2008-07-16
[62]
학술지
Racial, Economic, and Linguistic Segregation: Analyzing Market Supports in the District of Columbia's Public Charter Schools.
http://eus.sagepub.c[...]
2013-10-28
[63]
웹사이트
FindLaw | Cases and Codes
http://caselaw.lp.fi[...]
Caselaw.lp.findlaw.com
2012-08-13
[64]
판례
Lawrence v. Texas
[65]
서적
What Brown v. Board of Education should have said : the nation's top legal experts rewrite America's landmark civil rights decision
New York University Press
[66]
학술지
Discriminatory Cooperative Federalism
https://digitalcommo[...]
2020
[67]
판례
[67]
서적
Democracy and Distrust
Harvard University Press
[68]
학술지
Between the Tiers: The New(est) Equal Protection and Bush v. Gore
https://www.law.upen[...]
[69]
학술지
Is Carolene Products Dead--Reflections on Affirmative Action and the Dynamics of Civil Rights Legislation
[70]
판례
Skinner v. Oklahoma
[70]
판례
Korematsu v. United States
[71]
판례
City of Cleburne v. Cleburne Living Center, Inc.
1985
[72]
판례
United States v. Virginia
1996
[73]
논문
'There is Only One Equal Protection Clause': An Appreciation of Justice Stevens's Equal Protection Jurisprudence
http://ir.lawnet.for[...]
2006
[74]
판례인용
Romer v. Evans
U.S.
1996
[75]
서적
Constitutional Government: The American Experience
Kendall Hunt
2003
[76]
서적
Civil Rights & Liberties in the 21st Century
Pearson
2009
[77]
학술지
Accountable Algorithms (Ricci v. DeStefano: The Tensions Between Equal Protection, Disparate Treatment, and Disparate Impact)
https://scholarship.[...]
2017
[78]
웹사이트
Constitutional Rights: Two
http://left2right.ty[...]
2005-03-22
[79]
학술지
The Content of Our Categories: A Cognitive Bias Approach to Discrimination and Equal Protection Opportunity
[80]
학술지
Comparative Review of Death Sentences: An Empirical Study of the Georgia Experience
https://scholarlycom[...]
[81]
학술지
Equal Protection Design Defects
https://scholarship.[...]
2019
[82]
학술지
Big Data's Disparate Impact
2016
[83]
논문
The Fourteenth Amendment, the Right to Vot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hirty-Ninth Congress
1965
[84]
서적
Bush v. Gore: the question of legitimacy
Yale University Press
[85]
서적
Encyclopedia of Women's History in America
Infobase Publishing
2009-01-01
[86]
서적
A History of Women in America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2011
[87]
판례
Craig v. Boren
U.S.
1976
[88]
학술지
Rational Basis with Bite: Intermediate Scrutiny by Any Other Name
[89]
논문
Romer v. Evans: Judicial Judgment or Emotive Utterance?
1996
[90]
학술지
Equal Protection and Anti-Gay Legislation
[91]
학술지
Why Discrimination against Lesbians and Gay Men is Sex Discrimination
[92]
서적
Same Sex Marriage and the Constitu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93]
뉴스
Justice Kennedy's World
http://m.law.com/mod[...]
2013-07-01
[94]
뉴스
United States v. Windsor
http://www2.bloomber[...]
2013-06-26
[95]
웹사이트
Affirmative Action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12-04-06
[96]
학술지
Affirmative Action and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Fourteenth Amendment
http://www.utexas.ed[...]
[97]
웹사이트
Reflections on Grutter
http://jurist.law.pi[...]
2003-09-05
[98]
학술지
Equality Talk: Antisubordination and Anticlassification Values in Constitutional Struggles over Brown
http://digitalcommon[...]
[99]
간행물
平等權 保障에 있어서의 違憲法律審査基準 : 美國에 있어서 嚴格審査基準의 최근의 이론적 동향을 중심으로
20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