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근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폐쇄근막은 골반의 내벽을 덮는 근막으로, 엉덩뼈 활꼴선 뒤쪽과 엉덩근막에 연결되어 있으며, 속폐쇄근의 이는곳을 따라 엉덩근막에서 분리된다. 폐쇄혈관과 폐쇄신경 아래에서 아치를 형성하여 폐쇄신경관을 이루며, 두덩뼈, 엉치결절인대, 두덩활, 그리고 볼기 영역에 부착된다. 속음부동맥, 속음부정맥, 음부신경은 폐쇄근막에 의해 형성된 음부신경관에 둘러싸여 있고, 항문올림근의 엉덩꼬리근 부분은 폐쇄근막과 연결되어 골반 가쪽벽에 붙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막 - 족저근막
족저근막은 발꿈치뼈에서 발가락까지 이어진 섬유띠로, 족궁을 지지하고 발의 탄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손상 시 족저근막염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근막 - 관자근막
관자근막은 측두근을 덮고 있는 섬유성 막으로, 얕은층과 깊은층으로 나뉘어 관자 지방체, 혈관, 신경 등이 위치하며 주변 근육과 연결되어 턱의 움직임과 얼굴 기능에 기여한다. - 골반 - 난소
난소는 여성의 생식 기관으로 난자 생성과 여성 호르몬 분비를 담당하며, 자궁 옆에 위치하고 월경 주기와 임신, 출산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나이가 들면서 기능이 저하되어 폐경에 이르게 된다. - 골반 - 자궁
자궁은 여성 골반 내에 위치한 배 모양의 생식 기관으로, 수정란 착상과 태아 발달을 담당하며 자궁저부, 자궁체부, 자궁협부, 자궁경부의 네 부분과 자궁내막, 자궁근층, 자궁외막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임신과 여성 생식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폐쇄근막 | |
---|---|
개요 | |
이름 | 폐쇄근막 |
라틴어 이름 | fascia obturatoria |
시스템 | 해당 사항 없음 |
전구체 | 해당 사항 없음 |
상세 정보 | |
![]() | |
![]() |
2. 위치 및 연결 구조
폐쇄근막은 뒤쪽에서 볼기 영역으로 연장된다. 속음부동맥, 속음부정맥, 음부신경은 속폐쇄근의 골반쪽 표면을 가로지르며, 이들은 폐쇄근막에 의해 형성된 음부신경관(올콕관)에 둘러싸여 있다. 항문올림근의 엉덩꼬리근 부분은 폐쇄근막의 힘줄활을 통해 폐쇄근막과 연결되어 골반의 가쪽 벽에 붙는다.
2. 1. 엉덩뼈 및 엉덩근막과의 연결
위쪽에서는 엉덩뼈의 활꼴선 뒷부분과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고, 엉덩근막으로 연속되어 있다.폐쇄근막 앞쪽에서는 속폐쇄근의 이는곳을 따라 있으며 점차 엉덩근막에서 분리된다. 이 부분에서 폐쇄근막과 엉덩근막 사이의 연속성은 오직 뼈막을 통해서만 유지된다.
폐쇄혈관, 폐쇄신경 아래에서는 아치를 형성하며 폐쇄신경관을 이루고 골반 앞쪽에서는 두덩뼈의 위쪽 가지 뒤쪽에 붙는다.
아래쪽에서 폐쇄근막은 엉치결절인대와 두덩활에 붙는다.
2. 2. 속폐쇄근과의 관계
폐쇄근막 앞쪽에서는 속폐쇄근이 시작되는 곳을 따라 있으며 점차 엉덩근막에서 분리된다. 이 부분에서 폐쇄근막과 엉덩근막 사이의 연속성은 오직 뼈막을 통해서만 유지된다.2. 3. 폐쇄신경관 형성
폐쇄혈관, 폐쇄신경 아래에서는 아치를 형성하며 폐쇄신경관을 이루고 골반 앞쪽에서는 두덩뼈의 위쪽 가지 뒤쪽에 붙는다.2. 4. 주변 인대 및 뼈와의 부착
아래쪽에서 폐쇄근막은 엉치결절인대와 두덩활에 붙는다. 뒤쪽에서는 볼기 영역으로 연장된다.2. 5. 음부신경관 형성
속음부동맥, 속음부정맥, 음부신경은 속폐쇄근의 골반쪽 표면을 가로질러 폐쇄근막에 의해 형성된 음부신경관(올콕관)에 둘러싸여 있다.2. 6. 항문올림근과의 연결
항문올림근의 엉덩꼬리근 부분은 폐쇄근막의 힘줄활을 통해 폐쇄근막과 연결되어 골반의 가쪽벽에 붙게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