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르투 포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투 포도주는 포르투갈에서 생산되는 주정 강화 와인으로, 도루강 하구의 항구 도시 포르투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유럽 연합의 원산지 명칭 보호를 받으며, 포르투갈 도루강 상류 지역에서 재배된 포도로만 생산된다.

포르투 포도주는 14세기부터 생산되었으며, 18세기 머슈언 조약으로 영국에 수출되면서 인기를 얻었다. 1756년 알투 도루 포도주 농장 종합 회사가 설립되어 품질을 관리했다. 영국 기업들이 수출을 주도했으며,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생산 과정은 도루 지역에서 재배된 포도를 발효 중단 후 아과르덴트를 첨가하여 강화하고, 빌라 노바 데 가이아 등에서 숙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포르투 포도주는 일반 포르투, 특별 범주로 분류되며, 루비, 토니, 화이트, 헤제르바, 빈티지, LBV, 숙성 토니, 콜례이타, 크러스티드, 가하페이라 등으로 나뉜다. 보관은 온도와 자세에 유의해야 하며, 종류에 따라 서빙 온도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 포도주 - 셰리
    셰리는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정 강화 와인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며 다양한 포도 품종과 독특한 숙성 방식을 통해 독특한 풍미를 내는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술이다.
  • 강화 포도주 - 과하주
    과하주는 여름철 술의 변질을 막기 위해 소주를 첨가하여 쌀의 풍미를 유지하는 한국 전통 술이며, 다양한 약재를 첨가하여 지역별 비법으로 제조된다.
  • 포르투갈의 포도주 - 비뉴 베르드
    포르투갈 북서부에서 생산되는 비뉴 베르데는 높은 산도와 과일 및 꽃 향을 지닌 와인으로, 백색, 적색, 로제 와인이 있으며 약간의 기포를 포함하기도 한다.
  • 포르투갈의 포도주 - 데노미나상 드 오리젱 콘트롤라다
    데노미나상 드 오리젱 콘트롤라다(DOC)는 포르투갈의 농산물 품질 및 원산지 보증 제도로, 엄격한 규정을 통해 관리되며 유럽 연합의 원산지 명칭 보호(PDO)를 받는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포르투 포도주
포트 와인
10년 숙성된 토니 포트
종류강화 포도주
알코올 도수19~20%
원산지포르투갈
유사 음료마데이라 포도주
개요
종류포르투갈의 강화 와인
어원포르투의 이름에서 유래
원산지 명칭 보호유럽 연합 법률에 따라 보호됨
포도 품종투리가 나시오날
틴타 호리스
틴타 바호카
틴토 캉
틴타 아마렐라
제조 지역도루 강 계곡
숙성 장소빌라노바 드 가이아
주요 생산자산데만
테일러 플라드게이트
코크번
그래햄
와레
특징
당도단맛이 강함
알코올 도수일반 와인보다 높음 (19~22%)
제조 과정발효 중 브랜디 첨가로 발효 중단 및 알코올 강화
종류
루비 포트 (Ruby Port)젊고 과일 향이 강렬한 스타일
토니 포트 (Tawny Port)오크 숙성을 거쳐 복합적인 풍미를 지닌 스타일
빈티지 포트 (Vintage Port)특정 해에 생산된 최고 품질의 포도로 만든 와인
LBV (Late Bottled Vintage)빈티지 포트와 유사하지만 숙성 기간이 더 김
화이트 포트 (White Port)청포도로 만든 포트 와인
로제 포트 (Rosé Port)로제 와인처럼 핑크색을 띠는 스타일
음용
음용 온도종류에 따라 다름 (루비 포트는 약간 차갑게, 토니 포트는 실온)
음식치즈, 디저트 등과 잘 어울림
보관개봉 후에는 냉장 보관
기타 정보

2. 이름

포르투갈어 "포르투(portopt)"와 영어 "포트(port영어)"는 모두 "항구"를 뜻한다. 17세기 후반 도루강 하구의 항구도시인 포르투(Portopt)에서 전 세계로 포도주가 수출되면서 "포르투 포도주"로 알려지게 되었다.[44]

유럽 연합의 원산지 명칭 보호 제도에 따라 포르투갈에서 생산된 포도주만 "포트(port영어)"나 "포르투(Portopt)"로 표기할 수 있다.[44]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자국산 유사 와인을 "포트(port영어)"로 칭하기도 하나, "포르투(Portopt)", "오포르투(Oportopt; 포르투의 영어식 이름)", "비뉴 두 포르투(vinho do Portopt)" 등은 포르투갈산에만 사용 가능하다.[45][46]

3. 역사

14세기 중반부터 포르투갈 북부에서 포르투 포도주 생산이 시작되었으며, 18세기에는 머슈언 조약(1703)으로 영국에 낮은 관세로 수출되면서, 프랑스 와인 대체재로 영국에서 인기를 얻었다.[28] 1756년 마르케스 드 폼발 시기, 포도주 품질 관리를 위해 알투 도루 포도주 농장 종합 회사(C.G.A.V.A.D.pt)가 설립되었다.[4] 이때 지정된 도루 포도주 산지는 이탈리아의 키안티 포도주 산지(1716년)와 헝가리의 토커이 포도주 산지(1730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보호 포도주 산지이다.

포트 와인을 생산하는 포도원은 포르투갈 북부의 도루강 계곡을 따라 뻗어 있는 언덕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존 싱어 사전트의 1884년 작품 〈유리잔의 포르투〉.


크로프트 사 등 영국 기업들이 포르투 포도주를 처음 수출하기 시작했다. 긴 항해 동안 포도주 보존을 위해 브랜디를 첨가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다.

주요 영국 회사로는 굴드 캠벨(Gould Campbell영어), 그레이엄(Graham영어), 다우(Dow영어), 바러(Warre영어), 브로드벤트(Broadbent영어), 샌더먼(Sandeman영어), 오즈번(Osborne영어), 오플리(Offley영어), 콕번(Cockburn영어), 크로프트(Croft영어), 테일러(Taylor영어) 등이 있다. 네덜란드독일 회사로는 니포르트(Niepoortnl)와 부르메스터(Burmesterde) 등이 있다. 포르투갈 회사 가운데서는 페헤이라(Ferreirapt)와 킨타 두 크라스투(Quinta do Crastopt)가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페헤이라는 1952년부터 "바르카 벨랴(Barca Velhapt)"를 판매하기 시작했다.[28]

4. 생산

도루 포도주 산지는 포르투에서 동쪽으로 100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페주다헤구아와 피냥 등이 주요 생산 거점이지만 더 동쪽에서도 몇몇 좋은 포도주가 생산된다. 도루강 유역은 올리브, 아몬드 및 포르투 포도주에 쓰이는 포도가 자라는 데 적합한 미기후(microclimate영어)를 보인다. 포르투 포도주 생산의 거점으로 여겨지는 피냥과 상주앙다페스케이라 근처 지역에는 "킨타(quintapt)"라 불리는 계단식 포도밭이 펼쳐져 있다.[1]

도루강과 계단식 포도밭


포트 와인은 도루 지역에서 재배 및 가공된 포도로 생산되며,[1] 발효를 멈추고 와인에 잔류 당분을 남기며 알코올 도수를 높이기 위해 중성 포도 증류주인 아과르덴트를 첨가하여 강화한다. 이러한 강화 증류주는 때때로 브랜디로 불리지만, 상업용 브랜디와는 거의 관련이 없다. 그 후 와인은 빌라 노바 데 가이아와 같이 종종 로지(지하실이라는 뜻)에 보관된 배럴에서 저장 및 와인 숙성된다. 그 후 병입된다. 이 와인은 17세기 후반에 도루강 어귀에 위치한 포르투라는 항구 도시에서 "포트"라는 이름을 얻었다.

포트 와인이 생산되는 도루 계곡은 1756년에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고, ''도루''라는 이름은 공식적인 원산지 명칭이 되었다. 이는 키안티 (1716)와 토카이 (1730)에 이어 세 번째로 오래된 와인 지역이다.

나무 통에서 숙성


포르투 근처 빌라 노바 데 가이아에 있는 동굴에서 보관 및 숙성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포르투 와인 통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배의 일종인 ''라벨루스''


포르투 와인 통을 운반하는 바르코 라벨루
]

4. 1. 포도 재배지

도루강 유역은 선캄브리아기 편암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포르투에서 동쪽으로 약 70km 정도 떨어진 바르케이루스를 시작으로, 거의 스페인 접경 지역까지 동쪽으로 이어지는 이 지역은 마랑산맥 덕분에 대서양의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롭다.[4]

도루 포도주 산지는 크게 세 지구로 나뉜다.[47]

지구설명특징주요 생산 포도주
바이슈 코르구(Baixo Corgopt)가장 서쪽에 위치하며, 도루 포도주 산지의 51%를 차지한다. 도루강 오른쪽으로는 바르케이루스부터 코르구강(페주다헤구아)까지, 왼쪽으로는 바호부터 테미로부스강(아르마마르)까지 이르며, 중심지는 페주다헤구아이다.연평균 강수량은 900mm 정도이며, 세 지구 중 연평균 기온이 가장 낮다.저가 루비와 토니 포도주[47]
시마 코르구(Cima Corgopt)바이슈 코르구의 동쪽 경계부터 발레이라폭포까지 이르며, 도루 포도주 산지 면적의 36%를 차지한다. 중심지는 피냥이다.여름 평균 기온이 바이슈 코르구보다 약간 더 높고 연평균 강수량은 700mm 이하이다.빈티지, 헤제르바(reservapt, reserve|리저브영어), 숙성 토니, LBV(late bottled vintage|레이트 보틀드 빈티지영어) 등 고품질 포도주[47]
도루 수페리오르(Douro Superiorpt)가장 동쪽에 있는 지구로, 시마 코르구의 동쪽 경계부터 스페인 접경 지역 근처까지 이어진다. 도루 포도주 산지의 13% 정도로, 포도 재배량도 가장 적다. 발레이라폭포의 급류를 거슬러 통항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가장 건조하고 따뜻한 지역이며, 지형이 비교적 평평해 향후 기계화를 통해 대규모 포도 재배가 가능할 수도 있다.[47]


4. 2. 포도 품종

토리가 나시오날


토리가 프란세자


포르투 포도주를 만드는 데는 100개가 넘는 포도 품종이 쓰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틴타 바호카(Tinta Barrocapt), 틴타 캉(Tinta Cãopt), 틴타 호리스(Tinta Rorizpt), 토리가 프란세자(Touriga Francesapt), 토리가 나시오날(Touriga Nacionalpt) 다섯 개 품종이 주로 재배된다.[48] 토리가 나시오날이 가장 품질 좋은 포르투 포도주를 만드는 데 쓰이는 품종으로 여겨지지만, 재배가 까다롭고 수확량이 많지 않아 토리가 프란세자가 가장 널리 재배된다.[48]

포르투 백포도주는 포르투 적포도주와 같은 방식으로 양조되는데, 다만 청포도 품종(돈젤리뉴 브랑쿠, 이즈가나 캉, 폴가장, 고베이우, 말바지아 피나, 하비가투, 비오지뉴)이 쓰인다.

단일 품종 포도로 포르투 포도주를 양조하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현재 포르투 포도주는 모두 여러 가지 포도 품종을 섞어 양조한다. 필록세라 진드기 사태 이후 대부분의 포도나무는 다른 뿌리와 접붙이기해 재배되고 있지만, 킨타 드 노발(Quinta do Novalpt)에서는 1925년부터 가장 값비싼 빈티지 포르투 포도주를 만드는 데 쓰이는 접목하지 않은 포도를 기르고 있다.

포르투 포도주 생산에 쓰이는 포도는 알갱이가 작고 단단하여 여운이 길고 강하며, 오래 숙성하는 데 적합하다. 포르투갈에서 생산되는 포르투 포도주는 포르투포도주기구(Instituto do Vinho do Portopt)가 엄격하게 관리하지만, 다른 지역에서 "포트"라는 이름으로 생산하는 포도주에는 여러 가지 포도 품종이 쓰일 수 있다.

4. 3. 판매

2013년에 포르투 포도주는 약 870만 병, 약 4.099억달러에 판매되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3.6% 하락한 수치이다.[49] 포르투 포도주의 판매량은 2005년부터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해 2013년까지 16% 줄었는데, 이는 제조 시 사용되는 술 가격 상승에 따른 포르투 포도주 가격 상승 및 일반 포도주의 알코올 함량 증가 추세 때문으로 추정된다.[49][50] 2023년에는 약 720만 상자가 판매되었으며, 판매액은 3.64억유로였다.[7] 2014년 기준 포르투갈의 대표 포르투 포도주 제조사는 칼렝(Cálem)으로, 연간 약 260만 병을 판매하고 있다.[51]

4. 4. 운송

포르투 포도주는 도루 계곡에서 재배된 포도로 만들어진다. 1986년까지 포르투갈에서 포르투 인근 빌라노바드가이아를 통해서만 수출할 수 있었다.[43] 전통적으로 포도주는 '바르쿠 헤벨루'라고 불리는 평저선으로 강을 따라 내려와 가공 및 보관되었다.[43]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여러 개의 수력 발전 댐이 강을 따라 건설되면서 이러한 전통적인 운송 방식은 중단되었다. 현재 포도주는 탱크로리로 포도원에서 운송되며, 바르쿠 헤벨루는 경주 및 기타 전시에만 사용된다.

5. 특성

포르투 포도주는 강화하지 않은 포도주보다 진하고 달며 알코올 함량이 높다. 이는 포도주 발효 과정 중에 아구아르덴트 비니카(증류포도주)를 첨가해 강화함으로써 모든 당분이 알코올 성분으로 분해되기 전에 발효를 멈추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알코올 함량은 19~20%가 된다.[1]

유럽에서 포르투 포도주는 식전주로 낸다. 영미권에서는 포르투 적포도주를 디저트 와인으로 분류해 식후주로 내는 경우가 많으며, 치즈, 견과류, 초콜릿 등을 곁들여 먹는다. 포르투 토니나 포르투 백포도주는 식전주로 내기도 한다.

6. 분류

포르투 포도주는 크게 유리병 숙성과 나무 배럴 숙성으로 나뉜다.


  • 유리병 숙성: 공기 접촉 없이 "환원 숙성"을 거쳐 색 변화가 느리고, 타닌이 적어 부드럽다.
  • 나무 배럴 숙성: 배럴의 미세한 구멍으로 산소가 유입되어 "산화 숙성"을 거친다. 색 변화가 빠르며, 증발("천사의 몫")로 인해 양이 줄고 점성이 생긴다.


포르투·도루 포도주 연구소(IVDP)는 포르투 포도주를 일반 포르투 포도주와 특별 범주로 나눈다. 일반 포도주는 3년 숙성한 "스탠더드"이며, 특별 범주는 그보다 오래 나무 배럴에서 숙성하거나, 특별히 좋은 포도 산지나 기후 조건에서 생산된 포도로 만든다.

6. 1. 일반 범주

포르투 포도주는 크게 포르투 브랑쿠(화이트), 포르투 루비(레드), 포르투 토니(레드)로 나뉜다. 포르투 브랑쿠는 백포도주로 만들며, 칵테일 베이스나 토닉 워터와 섞어 마시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당도에 따라 세쿠(secopt), 메이우세쿠(meio-secopt), 도스(docept)로 분류된다. 포르투 루비는 적포도주로 만들며, 짙은 선홍색과 과일 향이 강하다. 품질에 따라 루비, 헤제르바, LBV, 빈티지로 나뉜다. 포르투 토니는 적포도주를 오크통에서 숙성시켜 만들며, 산화 숙성을 통해 적갈색, 금빛, 호박색 등을 띠고 견과류 풍미를 지닌다. 품질에 따라 토니, 헤제르바, 숙성 토니(10년산, 20년산, 30년산, 40년산), 콜례이타로 나뉜다.

6. 1. 1. 포르투 브랑쿠 (화이트)

포르투 브랑쿠, 시밍턴


포르투 브랑쿠(Porto Brancopt)는 백포도주로, 포도껍질 없이 머스트를 발효하며, 발세이루(balseiropt; tun|턴영어)라 불리는 커다란 (20000L급, 또는 그보다 큰) 참나무 배럴에서 발효한다.

숙성 기간이 3년 정도로 짧고 과일 향이 강한 스탠더드 백포도주가 많이 만들어진다. 포르투 백포도주를 나무 배럴에서 오랜 기간 숙성하면, 색깔이 점점 짙어져서 결국 겉모습만 보아서는 원래 적포도주였는지 백포도주였는지 알 수 없을 정도가 된다. 일반적인(3년 숙성한) 포르투 백포도주는 칵테일 베이스로 알맞으며, 그보다 오래 숙성한 것은 그대로 차게 마신다. 포르투 지역에서는 단맛이 강한 포르투 백포도주를 토닉 워터와 섞어 마시기도 한다.

포르투 포도주로는 유일하게 당도에 따라 분류한다. 달지 않은 세쿠(secopt), 별로 달지 않은 메이우세쿠(meio-secopt) 및 달콤한 도스(docept)가 있으나, 강화 포도주의 특성상 브랑쿠 세쿠도 어느 정도 단맛이 있다. 화이트 포트는 '말바시아 피나', '돈젤리뉴', '고우베이오', '코데가' 및 '라비가토'와 같은 백포도 품종으로 만들어지며,[17] 테일러는 1934년에 새로운 스타일의 화이트 아페리티프 포트인 칩 드라이를 선보였다. 전통적인 백포도 품종으로 만들어지며, 상쾌하고 드라이한 마무리를 위해 평소보다 더 오래 발효된다.

6. 1. 2. 포르투 루비 (레드)

샌더먼 포르투 루비


포르투 루비(Porto Rubypt)는 적포도주로, 포르투 브랑쿠와 마찬가지로 발세이루에서 발효한다. 나무와 비교적 적게 접촉하기 때문에 산화가 덜 일어나 보존 기간이 길다. 또한, 원래 모습이 그대로 유지되어 짙은 선홍색(루비색)을 띠며, 과일 향(베리나 자두 같은 붉은 과일 풍미)이 강하다.

품질에 따라 루비, 헤제르바, LBV, 빈티지로 나뉜다. 일반 루비는 가장 저렴하고 많이 생산되는 포르투 포도주로서, 발효가 끝나면 산화 숙성을 방지하고 선홍색과 과일 향을 유지하기 위해 콘크리트스테인리스강 탱크에서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브랜드에 따라 여러 포도 품종을 블렌딩하는 경우도 많으며, 일반적으로 병에 담기 전에 청징과 냉여과를 거치고, 병에 담긴 뒤에는 시간이 지나도 숙성되지 않는다. 고품질 루비는 발세이루에서 4~6년간 숙성하며, 병에 담긴 뒤에도 시간이 지나면서 풍미가 더 좋아진다.[10]

로제 포트는 시장에 매우 최근에 출시된 변종으로, 2008년 포카스와 테일러 플래드게이트 파트너십의 일원인 크로프트에 의해 처음 출시되었다. 기술적으로는 루비 포트이지만, 로제 와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발효되며, 포도 껍질에 대한 노출을 제한하여 로제 색상을 낸다.

6. 1. 3. 포르투 토니 (레드)

포르투 토니, 코르테스


포르투 토니(Porto Tawnypt)는 적포도주로, 포르투 루비와 같은 포도로 만들지만 발세이루에서는 2~3년만 숙성하고, 그 다음에는 550L급 오크통에서 숙성하여 산화 숙성이 일어난다.[1] 이로 인해 포도주는 나무와 공기와 더 많이 접촉하며, 산화하면서 원래의 선홍색을 잃고 적갈색, 금빛을 거쳐 호박색과 같은 엷은 색을 띠게 된다. 또한 호두나 아몬드 같은 견과류의 풍미를 지니며, 시간이 지나며 견과류, 나무, 볶은 향, 커피, 초콜릿, 꿀 향 등 향미가 더욱 풍부해진다. 달콤하거나 약간 달콤한 맛이 나는데, 식사 후 디저트 와인으로 마시거나 식사와 곁들여 마시기도 한다.

품질에 따라 토니, 헤제르바, 숙성 토니(10년산, 20년산, 30년산, 40년산), 콜례이타로 나뉜다. 콜례이타를 제외한 토니는 오크통에서 숙성한 여러 가지 토니 포도주를 블렌딩해 만들기 때문에 라벨에 표기된 나이는 실제 숙성 기간은 아니며, 해당 기간 숙성한 포도주의 풍미 특성을 보인다는 뜻이다. 포르투 브랑쿠(백포도주) 또한 같은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다.

숙성 연도 표시 없이 토니로 설명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최소 3년 이상 나무통에서 숙성된 나무 숙성 포트의 기본적인 블렌드이다. 리저브 토니 포트는 약 7년 동안 숙성된다.[12] 숙성 연도가 표시된 토니는 여러 빈티지를 블렌딩한 것이며, 10, 20, 30, 40년 단위로 표시된다.

콜례이타 포트는 최소 7년 이상 숙성된 단일 빈티지 토니 포트이며, 숙성 연도 대신 빈티지 연도가 병에 표시된다.

6. 2. 특별 범주

포르투 포도주의 특별 범주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헤제르바(Reserva): 엄선된 고품질 포도로 만들어지며, 포르투·도루 포도주 연구소(IVDP)의 맛 평가단인 카마라 드 프로바도르스(Câmara de Provadorespt)의 인정을 거친다. 헤제르바에는 루비, 토니, 브랑쿠 세 종류가 있다.
  • * 헤제르바 루비는 어리고 과일 향이 강하며, 바디감이 있고 약간 떫다.
  • * 헤제르바 토니는 금빛을 띠며, 오크통에서 최소 7년 숙성하여 신선한 과일 향 외에 견과류, 볶은 향, 나무 향을 지니고 부드럽다.
  • * 헤제르바 브랑쿠는 백포도주를 오크통에서 최소 7년 숙성시켜 만들며, 황금색을 띠고 복합적인 풍미를 지닌다.
  • 빈티지(Vintage): 최상품 포르투 포도주이다. 품질이 이례적으로 좋은 해에 특정 비냐(vinhapt) 한 곳에서 수확한 한 가지 포도 품종으로 양조한다. 오크통에서 최대 2년 반 숙성 후 병에 넣어 10~40년 이상 숙성한다. 포르투 포도주에서 "빈티지"는 최고의 해에 양조된 포도주만을 의미하며, 전체 생산량의 2%에 불과하다.
  • LBV (Late Bottled Vintage): 품질이 매우 좋은 단일 연도에 수확한 포도로 만든다. 발세이루에서 4~6년 숙성하며, '레이트 보틀드 빈티지(Late Bottled Vintage)'를 줄여 LBV라고 부른다.
  • 숙성 토니(Tawny envelhecido): 10년산, 20년산, 30년산, 40년산이 있다. 오크통에서 각각 10년, 20년, 30년, 40년 이상씩 숙성한다. 나이가 많을수록 고급품이며, 산화 숙성으로 인해 색이 엷어지고 복합적인 향미를 얻는다.
  • 콜례이타(Colheita): 포도 품질이 아주 좋은 해에 수확된 단일 수확 연도 포도로 생산하는 고품질 포도주이다. 오크통에서 7년 이상 숙성한다.
  • 크러스티드(Crusted): 여러 빈티지 해에 생산된 포도주를 블렌딩한 것이다. 병입 전 여과를 거치지 않아 부유물이 생기므로 디캔팅이 필요하다.
  • 가하페이라(Garrafeira): 단일 수확 연도에 생산된 포도를 오크통에서 산화 숙성한 뒤, 봉봉(bon-bonpt)이라 불리는 유리 카보이에서 환원 숙성하여 생산한다.

6. 2. 1. 헤제르바

포르투 헤제르바, 크루스


포르투 헤제르바(Reservapt)는 엄선된 고품질 포도로 만들어진다. 백포도주 또는 적포도주로, 보통 오크통에서 6년 숙성한 다음 병에 담는다. 주로 루비 포도주로 만드는데, 포르투·도루 포도주 연구소(IVDPpt)의 맛 평가단인 카마라 드 프로바도르스(Câmara de Provadorespt)의 인정 과정을 거친다. 토니 포도주나 백포도주로 만든 것은 "헤제르바 토니", "헤제르바 브랑쿠"로 따로 구분한다. 스탠더드 포르투 포도주와 마찬가지로 병에 담긴 뒤에는 시간이 지나도 숙성되지 않기 때문에, 세워 보관하며, 연 다음에는 적어도 여섯 달 안에 마셔야 한다. 헤제르바는 식전주로 내거나, 디저트 와인으로서 식후주로 내며, 식사 전에 마시는 경우 적포도주여도 차갑게 낸다.[11]

  • 헤제르바 루비: 어리고 과일 향이 강한 루비 적포도주로 만들어, 바디감이 있고 약간 떫다.
  • 헤제르바 토니: 금빛을 띠는 적포도주로, 오크통에서 최소 7년을 숙성하기 때문에 신선한 과일 향 외에도 견과류 향, 볶은 향, 나무 향을 지니며, 아주 부드럽다.
  • 헤제르바 브랑쿠: 백포도주를 오크통에서 최소 7년 숙성시켜 만들어, 황금색을 띠며 복합적인 풍미를 지닌다. 입안에서 향이 오래 남는다.


리저브 루비는 IVDP(포르투 와인 연구소)의 테이스팅 패널인 Câmara de Provadorespt(심사 위원회)에서 승인한 프리미엄 루비 포트이다. 2002년 IVDP는 "빈티지 캐릭터"라는 용어의 사용을 금지했는데, 이는 리저브 루비 포트가 단일 빈티지(일반적으로 여러 빈티지의 루비를 블렌딩)도 아니고, 빈티지 포트의 전형적인 특성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6. 2. 2. 빈티지

포르투 빈티지


포르투 빈티지(Vintage영어)는 최상품 포르투 포도주이다. 품질이 이례적으로 좋은 포도가 생산된 해에, 특정한 비냐(vinhapt) 한 곳에서 수확한 한 가지 포도 품종으로 양조한다. 오크통에서 최대 2년 반 숙성 후 병에 넣어 숙성하는데, 10~40년 이상 숙성한다.

포르투 포도주의 "빈티지"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일반 포도주의 "빈티지"는 그 포도주가 양조된 해를 뜻하지만, 포르투 포도주에서는 최고의 해에 양조된 포도주만을 "빈티지"로 생산한다. 이는 보르도 포도주의 세컨드 와인과 대조되는데, 보르도 포도주 생산자들은 거의 매년 빈티지 포도주를 만들지만, 포도 품질이 떨어지는 해에는 세컨드 와인을 만든다. 반면 포르투 포도주는 "빈티지 해"로 승인받은 해에만 빈티지를 양조하며, 전체 포도주 생산량 중 빈티지 포르투가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불과하다.

가을에 포도를 수확하고 이듬해 봄에 "빈티지 해" 선정이 이루어진다. 어떤 해를 "빈티지 해"로 지정할지는 포르투 포도주 제조사들이 결정하며, 포르투·도루 포도주 연구소(IVDP)에 표본을 보내 최종 승인을 받는다. 빈티지 선정은 가볍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경기 침체나 전쟁 시기에는 경제적 이유로 선정되지 않기도 한다. 평균적으로 10년에 3차례 정도 "빈티지 해"가 지정된다.

단일 킨타 빈티지, 킨타 드 노발


포도 품질이 적당히 좋은 해에는 단일 킨타(quintapt)에만 빈티지를 지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996년 테일러는 킨타 드 바르젤라스(Quinta de Vargellaspt)에, 다우는 킨타 두 봉핑(Quinta do Bomfimpt)에 빈티지를 지정했다. 일반적인 포르투 빈티지는 여러 킨타에서 수확된 포도로 만들지만, 단일 킨타 빈티지는 "빈티지 해"로 지정될 만큼 전반적인 포도 품질이 좋지 못한 해에 특별히 품질이 좋은 킨타에서 수확한 포도로 만든다. 이러한 단일 킨타 빈티지는 일반적인 빈티지보다 가격이 조금 낮게 책정된다. 테일러의 킨타 드 바르젤라스(Quinta de Vargellaspt)와 그레이엄의 킨타 두스 말베두스(Quinta dos Malvedospt)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단일 킨타 빈티지가 고급 포도주로 생산되기도 한다. 도루 포도주 산지의 작은 제조사들이 생산한 포르투 포도주는 항상 단일 킨타에서 생산되며, 킨타 이름이 붙여진다. 킨타 두 크라스투(Quinta do Crastopt)가 대표적이다. 큰 제조사가 단일 킨타를 독립된 자회사로 두기도 하는데, 시밍턴 패밀리 에스테이트(Symington Family Estates영어)의 자회사인 킨타 두 베주비우(Quinta do Vesuviopt)가 대표적이다. 킨타 두 베주비우는 작황이 좋지 않았던 1993년과 2002년을 제외하고는 거의 매년 빈티지 지정이 이루어졌다.

최근 양조 기술 발달과 날씨 예측 정확성 증가로 "빈티지 해" 승인을 받는 해가 많아지고 있다. 2013년 기준으로 지난 30년 동안 한두 개 포도주만 빈티지 승인을 받는 해는 있었으나, 빈티지 승인이 아예 없었던 해는 없었다. 2011년은 생산자 대부분이 "빈티지 해" 승인을 받았는데, 강수량과 기온이 포도 재배에 이상적인 해였기 때문이다.[52][53] 그 외에 빈티지 승인이 많이 이루어진 해는 2007년, 2003년, 2000년, 1997년, 1994년이 있다.[52]

포르투 빈티지의 침전물, 테일러


포르투 빈티지는 식후주로만 내며, 아주 적은 양을 마신다. 장기간 숙성했지만 오크통 숙성 시간은 2년에서 2년 반 정도로 짧아, 짙은 적포도주색과 신선한 과일 향을 잃지 않는다. 병 안에서 숙성되면서 더 부드러워지며, 떫은 맛이 사라지고, 균형이 뛰어나고 복합적이며 독특한, 우아한 풍미를 지니게 된다. 오래 숙성한 포르투 빈티지는 고소한 향(볶은 향, 초콜릿 향, 카카오 향, 커피 향, 엽궐련 상자 향 등), 향신료 향(계피 향, 후추 향) 및 과일 향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다. 19세기에 양조된 포르투 빈티지가 아직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는 일이 드물지 않으며, 아직 판매되고 있는 가장 오래된 포르투 빈티지는 1815년에 페헤이라에서 양조한 것이다. 포르투 빈티지 특유의 복합적인 풍미는 병 안에서 포도 잔류물이 계속해서 천천히 분해되면서 만들어지는데, 이 때문에 마실 때는 꼭 디캔팅 과정을 거쳐야 한다.

1985년 빈티지 포트 Delaforce


퀸타 도 노발(Quinta do Noval) 빈티지 포트 1963 병

6. 2. 3. LBV (Late Bottled Vintage)

포르투 LBV영어는 루비 포르투의 특성(짙은 붉은색과 과일 향)을 띠는 포도주로, 품질이 매우 좋은 단일 연도에 수확한 포도로 만든다. 발세이루에서 4~6년 숙성하며, '레이트 보틀드 빈티지(Late Bottled Vintage)'를 줄여 LBV영어라는 이름이 붙었다. 원래는 포르투 빈티지로 만들려고 했으나, 수요가 부족하여 병에 담기 전에 발세이루에서 오래 보관하면서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54] 발세이루에서 산화 숙성을 거치기 때문에, 병 숙성을 오래 하지 않아도 포르투 빈티지와 비슷한 특성을 보인다.

여러 포르투 포도주 생산자가 LBV의 기원이 자신이라고 주장한다. LBV 스타일 포르투 포도주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더 와인 소사이어티의 1964년 봄 카탈로그에 등장하는데, 영국에서 병입된 폰세카 사의 킨타 밀리에우 1958년, 1964년산 포도주가 언급되어 있다. 1962년부터 포르투갈에서 포르투 LBV가 생산되었다. 영국의 테일러 사 또한 1965년에 첫 포르투 LBV를 생산했고, 이것이 1970년에 영국 시장에서 출하되었다.[54]

포르투 LBV는 발세이루에서 4~6년 숙성 후 병에 담기 전 여과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18]

  • 여과 LBV: 병입 후 숙성이 거의 진행되지 않아 바로 마셔도 좋으며, 디캔팅이 필요 없다. 포르투 빈티지보다 바디감이 가볍다.[19]
  • 비여과 LBV: 병 안에서 장기 숙성이 가능하며, 숙성되면 포르투 빈티지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다. 뉘어서 보관해야 하며, 디캔팅 후 수일 안에 마셔야 한다. 최근에는 '여과하지 않은' 또는 '병 숙성' 등으로 표기하며, 2002년 규제 이전에는 '전통적인' 표기도 사용했으나 현재는 허용되지 않는다. 2002년 이후 '병 숙성' 표기된 LBV는 출시 전 3년 이상 병 숙성을 거친다.[18]

6. 2. 4. 숙성 토니

킨타 다 로마네이라 포르투 토니 40년산


포르투 토니 인벨례시두(Tawny envelhecidopt)는 나이를 표기한 포르투 토니로서, 10년산, 20년산, 30년산, 40년산이 있다. 오크통에서 각각 10년, 20년, 30년, 40년 이상씩 숙성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고급품이다. 산화 숙성이 일어나기 때문에 오래 숙성할수록 색이 엷어지며, 꿀 향, 계피 향, 초콜릿 향, 나무 향 등의 복합적인 향미를 얻는다.

6. 2. 5. 콜례이타

콜례이타(Colheitapt)는 포도 품질이 아주 좋은 해에 수확된 단일 수확 연도 포도로 생산하는 고품질 포도주로, 오크통에서 7년 이상, 보통 12년 정도 숙성한다.[23] 토니 10년산, 20년산과 비슷한 풍미 특성을 보이지만, 향미가 더 풍부하고 우아하다. 병에는 숙성 기간 대신에 제조 연도가 표기된다. 포르투 빈티지가 18개월 정도만 오크통에서 숙성하고 병 속에서 천천히 숙성되는 것과 달리, 콜례이타는 병에 넣기 전 오크통에서 길게는 20년 이상 숙성하기도 한다. 산화 숙성을 거치는 동안, 어린 포도주의 과일 향과 신선한 향이 견과류 향, 고소한 향, 나무 향 등으로 변화하며 복합적이고 관능적인 향미가 생긴다. 색깔은 점점 엷어져 거의 호박색에 가까운, 황금빛 띠는 갈색이 되는데, 아주 오래된 콜례이타에서는 녹색 빛이 돌기도 한다. 포도 품질이 이례적으로 좋았던 1994년산 콜례이타가 유명하다. 백포도주가 콜례이타로 생산되기도 한다.[24]

6. 2. 6. 크러스티드

크러스티드(Crusted영어)는 여러 빈티지 해에 생산된 포도주를 블렌딩한 것으로, 병입 전 여과를 거치지 않아 포르투 빈티지와 마찬가지로 부유물(또는 "크러스트")이 생겨 오픈 후 디캔팅이 필요하다.[20] 병에 표기하는 해는 포도 수확 연도가 아니라 병입 연도이다. 병 안에서 숙성이 일어나지만, 블렌딩 시 포르투 빈티지보다 일찍 마실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인다. 또한, 시장에 나오기 전 적어도 3년 이상 숙성하지만 제조사 대부분이 그보다 훨씬 긴 기간 숙성한 뒤 판매를 시작하여, 소비자가 구매 후 바로 오픈해 마셔도 되는 경우가 많다.

크러스티드 포트는 일반적으로 여러 빈티지를 블렌딩한 것이다.[20] 단일 빈티지의 포도로 생산해야 하는 빈티지 포트와 달리, 크러스티드 포트는 포트 블렌더가 서로 다른 빈티지의 다양한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크러스티드 포트는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병입되며 박힌 코르크로 밀봉된다. 빈티지 포트와 마찬가지로 음용 전에 디캔팅이 필요하다.[21][22]

6. 2. 7. 가하페이라

포르투 가하페이라(Garrafeirapt)는 흔치 않은 포르투 포도주로, 단일 수확 연도에 생산된 포도를 오크통에서 산화 숙성한 뒤, 봉봉(bon-bonpt)이라 불리는 11L급 암녹색 유리 카보이에서 환원숙성해 생산한다. 포르투·도루 포도주 연구소(IVDPpt)는 오크통에서 3~6년 숙성한 뒤 카보이에서 적어도 8년 이상 숙성한 뒤 것을 가하페이라로 인정한다. 보통은 카보이 숙성 기간이 그보다 훨씬 길다. 니포르트 사에서 가장 많이 생산한다.

일부 감정가들은 가하페이라가 약간 베이컨 맛이 난다고 묘사하는데, 이는 숙성의 두 번째 단계에서 특정 오일이 침전되어 유리 표면에 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1]

7. 보관 및 서빙

다른 모든 포도주와 마찬가지로 포르투 포도주는 너무 춥지도 덥지도 않고 온도가 일정한 어두운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코르크로 봉인되어 있을 경우 특히 눕혀서 보관해야 하며,[29] 마개가 있는 병은 세워서 보관해야 한다.[29]

화이트 포트는 15and(-)에서 제공되어야 한다.[30] 토니 포트 또한 일반적인 포도주보다 좀 더 시원한 온도에 제공될 수 있다.[30]

여과되지 않은 포르투 포도주 (빈티지 포르투, 크러스티드 포트, 일부 LBV)는 병 안에 침전물을 형성하므로 디캔터에 부어 사용해야 한다. 이 과정을 통해 포르투 포도주가 숨을 쉴 수 있게 되어(포도주가 산소와 섞이게 하여) 풍미를 더한다.[31]

빈티지 포트를 여는 전통적인 방법은 포르투 와인 토옹을 사용하는 것이다. 토옹을 불꽃 위에 가열하여 병목에 대고, 찬물로 병목을 식혀 깨끗하게 잘라낸다. 이렇게 하면 오래된 코르크 마개에 코르크 스크루를 사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코르크 마개가 부서져 포도주에 부스러기가 들어갈 수 있다.

일단 개봉된 포르투 포도주는 일반 포도주보다 오래 보관할 수 있지만, 짧은 시간 안에 소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토니, 루비, LBV 포르투는 개봉 후 몇 달 동안 보관할 수 있는데, 배럴에서 더 오래 숙성되기 때문에 이미 어느 정도의 산화에 노출되었기 때문이다.[32] 오래된 빈티지 포르투는 개봉 후 며칠 이내에 마시는 것이 가장 좋지만,[32] 어린 빈티지 포르투는 매우 어린 경우 개봉 후 몇 주, 심지어 몇 달 동안 보관할 수 있다.[33]

영국에서는 공식 만찬에서 포르투 포도주를 왼쪽으로 전달하고("포르투 포도주를 좌현으로 전달하라") 병이나 디캔터가 테이블에 닿지 않게 하는 전통이 있다.[34] 만약 식사자가 포르투 포도주를 전달하지 않으면, 테이블의 다른 사람들은 "노리치 주교를 아십니까?"라고 물을 수 있다.[36]

8. 포르투·도루 포도주 연구소 (Instituto dos Vinhos do Douro e Porto)

포르투 및 도루 와인 연구소(Instituto dos Vinhos do Douro e do Porto)는 포르투갈 농림부 산하의 공식 기구로서 포트 와인 제조 산업 및 지식 증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전에는 포르투 와인 연구소(Instituto do Vinho do Porto)로 알려져 있었다.[38][39]

참조

[1] 서적 Frommer's Portugal https://www.worldcat[...] IDG Books Worldwide 2000
[2] 웹사이트 Labelling of wine and certain other wine sector products https://eur-lex.euro[...] European Union 2023-06-18
[3] 웹사이트 Office of the Law Revision Counsel, U.S. House of Representatives http://uscode.house.[...]
[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5] 문서 Port and the Douro 1999
[6] 웹사이트 Global Port Volume Slips, But Premiumization Well Underway in U.S. http://www.shankenne[...] 2014-06-05
[7] 웹사이트 Global Statistics (2023) https://www.ivdp.pt/[...] 2024-10-26
[8] AV media Alcohol Levels and Wine http://www.graperadi[...] 2024-02-01
[9] 웹사이트 Bright Outlook Port Side http://m.drinksint.c[...] 2014-01-10
[10] 웹사이트 Ruby Port https://www.portwine[...] 2024-02-01
[11] 웹사이트 Vintage Character http://www.bbr.com/r[...] Berry Bros. & Rudd 2013-10-28
[12] 웹사이트 Understanding Tawny Port https://www.decanter[...] 2019-06-21
[13] 웹사이트 They called it Port http://www.winesofca[...] 2019-12-29
[14] 웹사이트 Labelling law change: Australian 'sherry' and 'port' forbidden https://www.ausfoodn[...] 2021-08-16
[15]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Vintage Port, Late-Bottled Vintage, and Colheita? http://www.winespect[...] 2018-05-15
[16] 웹사이트 What is Colheita Port? https://www.forthelo[...] 2018-05-15
[17] 웹사이트 Types of Port Wine: An In-Depth Guide to Portugal's Famous Drink https://www.agcte.co[...] 2024-02-29
[18] 웹사이트 Vintage Port http://www.decanter.[...] Time (UK) 2018-05-29
[19] 웹사이트 To filter or not to filter? That is the question http://dailynews.com[...] L.A. Daily News 2006-09-28
[20] 웹사이트 Know your Port http://www.decanter.[...] Time (UK) 2018-05-29
[21] 웹사이트 Crusted Port http://www.fonseca.p[...] Fonseca Port Wine 2018-05-29
[22] 웹사이트 Graham's Crusted Port https://www.grahams-[...] Graham's Port 2018-05-29
[23] 뉴스 Sotheby's auctions 1815 'Waterloo Vintage' port for record sum https://algarvedaily[...] 2015-05-08
[24] 뉴스 Rare bottle of port that dates from Battle of Waterloo to be auctioned https://www.telegrap[...] Telegraph Media Group Limited 2015-05-01
[25] 웹사이트 2016 Port: 'Classic' But Tiny https://www.thedrink[...] 2018-05-29
[26] 웹사이트 Tried & tasted: Sandeman, Ferreira & Offley 2011 Vintage Ports http://thewinedetect[...] 2013-04-29
[27] 뉴스 Major Port Houses Declare 2011 Vintage http://www.winespect[...] 2013-04-24
[28] 서적 The Sotheby's Wine Encyclopedia https://www.worldcat[...] DK 2007
[29] 웹사이트 Storing http://www.portwine.[...] 2007-12-27
[30] 웹사이트 Enjoying http://www.portwine.[...] 2007-12-27
[31] 웹사이트 Decanting port Info http://ukwinesonline[...] 2008-07-03
[32] 웹사이트 Words About Port: A quick overview http://www.winelover[...] 2023-01-11
[33] 뉴스 5 Misconceptions of Vintage Port 2012-10-26
[34] 뉴스 Pass the Port: Why do you pass to the left https://www.telegrap[...] 2010-09-27
[35] 웹사이트 How to Serve Vintage Port http://www.vintagepo[...] 2023-01-11
[36] 웹사이트 The Bishop of Norwich https://web.archive.[...] 2014-08-07
[37] 웹사이트 The Port and Douro Wines Institute http://www.ivp.pt/pa[...] 2010-09-25
[38]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stunning wine region? https://www.cnn.com/[...] CNN 2019-02-12
[39] 웹사이트 Caves do Vinho do Porto – AEVP http://www.oportogui[...] 2019-02-12
[40] 서적 The Younger Pitt https://www.worldcat[...] Constable 2004
[41] 간행물 New Family of Bluish Pyranoanthocyanins
[42] 간행물 Oxovitisins: A New Class of Neutral Pyranone-anthocyanin Derivatives in Red Wines
[43] 서적 https://archive.org/[...]
[44] 웹인용 http://eur-lex.europ[...] 2017-10-10
[45] 웹인용 http://uscode.house.[...] 2017-10-10
[46] 웹인용 http://frwebgate3.ac[...] 2017-10-10
[47] 서적 https://archive.org/[...]
[48] 서적 https://archive.org/[...]
[49] 웹인용 http://www.shankenne[...] 2015-11-27
[50] 웹인용 http://www.graperadi[...] 2016-05-23
[51] 뉴스 http://drinksint.com[...] 2015-11-20
[52] 뉴스 http://www.winespect[...] 2017-08-15
[53] 웹인용 http://thewinedetect[...] 2017-08-15
[54] 뉴스 https://www.dailynew[...] 2017-08-15
[55] 서적
[5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