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맥 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토맥 군은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북군에서 활동한 주요 야전군으로, 1861년 창설되어 1865년 해산되었다. 어빈 맥도웰, 조지 매클렐런, 앰브로즈 번사이드, 조셉 후커, 조지 미드 등이 사령관을 역임했다. 주요 전투로는 제1차 불런 전투, 반도 전역, 앤티텀 전투, 프레데릭스버그 전투, 챈슬러즈빌 전투, 게티즈버그 전투, 오버랜드 전역, 피터스버그 포위전 등이 있으며, 율리시스 S. 그랜트가 북군 전체를 지휘하면서 포토맥 군에 작전 본부를 두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부연방의 부대 및 군조직 - 제54매사추세츠 의용보병연대
미국 남북 전쟁 중 창설된 북군 흑인 보병 연대인 제54매사추세츠 의용보병연대는 와그너 요새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용맹하게 싸우고 급여 차별에 저항하며 흑인들의 시민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영화 "영광"으로 널리 알려졌고 현재 의례 부대로 재창설되어 그 정신을 기리고 있다. - 북부연방의 부대 및 군조직 - 제20메인 의용보병연대
제20메인 의용보병연대는 남북 전쟁 당시 북군 의용보병연대로, 게티즈버그 전투의 리틀라운드톱 전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메인 육군 방위군의 제133공병대대로 그 정신이 이어지고 있다. - 1865년 폐지 - 고베 해군 훈련소
고베 해군 훈련소는 가쓰 가이슈가 에도 막부 말기에 서구 열강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고베에 설립한 해군 훈련 기관으로, 짧은 존속 기간에도 불구하고 메이지 유신에 기여할 인재를 배출하고 고베를 항구 도시로 변모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 - 1865년 폐지 - 제54매사추세츠 의용보병연대
미국 남북 전쟁 중 창설된 북군 흑인 보병 연대인 제54매사추세츠 의용보병연대는 와그너 요새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용맹하게 싸우고 급여 차별에 저항하며 흑인들의 시민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영화 "영광"으로 널리 알려졌고 현재 의례 부대로 재창설되어 그 정신을 기리고 있다. - 1861년 설립 - 이탈리아 육군
이탈리아 육군은 이탈리아 왕국 육군에서 유래하여 통일, 식민지 확장, 세계 대전, 냉전 등 다양한 역사적 사건에 참여했으며, 냉전 종식 후 개혁을 거쳐 지상군작전사령부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유연하고 기동성 있는 구조를 갖춘 군대이다. - 1861년 설립 - 로세르바토레 로마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는 1861년 로마에서 창간된 바티칸 시국의 공식 신문으로, 교황령 수호와 가톨릭 신학 논쟁, 교황청 입장을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현재 8개 언어로 발행된다.
포토맥 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창설일 | 1861년 7월 26일 |
해체일 | 1865년 6월 28일 |
국가 | 미국 |
군종 | 미국 육군 |
유형 | 야전군 |
역할 | 미국 남북 전쟁의 동부 전선에서 북군의 주력군 |
주둔지 | 워싱턴 D.C. |
별칭 | (없음) |
전투 | 미국 남북 전쟁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어빈 맥도웰 조지 B. 매클렐런 앰브로즈 번사이드 조지프 후커 조지 미드 |
2. 부대 역사
포토맥군은 1861년 창설되었으나, 초기에는 1개 군단급 규모였다. 어빈 맥도웰 준장이 지휘한 "북동버지니아군"이 핵심 전력이었으며, 남북 전쟁의 첫 주요 전투이자 처음으로 패배한 전투인 제1차 불런 전투를 치렀다. 이후 조지 매클렐런 소장이 워싱턴 D.C.에 도착하면서 포토맥군은 극적으로 변모했다. 맥클렐런은 포토맥 사단을 지휘하며 맥도웰의 북동 버지니아 군관구와 조지프 K. 맨스필드 준장의 워싱턴 군관구를 통합했다. 1861년 7월 26일, 네이턴 뱅크스 소장의 셰넌도어 군관구가 합쳐지면서, 맥클랠란은 북동 버지니아 군관구, 워싱턴, 볼티모어, 셰넌도어의 모든 군사력을 통합한 포토맥군을 편성했다. 뱅크스 휘하의 부하들은 포토맥군의 보병사단이 되었다.[9]
이후 포토맥군은 여러 차례 구조 개편과 전역을 거쳤다. 존 포프가 일시적으로 지휘를 맡기도 했으나, 제2차 불런 전투 이후 조지 B. 매클렐런이 다시 지휘권을 회복했다. 앰브로즈 번사이드, 조셉 후커 등 여러 지휘관을 거치면서 군단 편제에도 변화가 있었다.
포토맥 군은 1861년에 조직되었지만, "군"이라는 명칭과 달리 창설 당시 규모는 군단 정도였다. 어빈 맥도웰 준장 지휘 하의 북동 버지니아 군관구[6](북동 버지니아 군)은 제1차 불런 전투에 참가하여 패배했다. 이후 조지 매클레런 소장이 워싱턴 D.C.로 소환되어 포토맥 군관구 지휘를 맡았다. 1861년7월 26일, 나다니엘 뱅크스 소장의 셰넌도어 군관구(3개 여단)와 존 아담스 딕스의 볼티모어 사단이 합류하며 "포토맥 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뱅크스 부대는 포토맥 군의 보병 사단이 되었고,[7] 1862년 3월에는 군단제가 도입되어 5개 군단(제1~제5군단)으로 편성되었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요구로 매클레런과 포토맥 군은 버지니아 반도 상륙 후 리치먼드를 목표로 하는 반도 작전을 실행했으나, 1862년 5월 말 리치먼드 근처에서 공격이 좌절되었다. 6월 말, 로버트 E. 리의 반격(7일 전투)으로 포토맥 군은 철수했다. 이후 포토맥 군의 3개 군단은 존 포프 소장의 버지니아 군 지원에 파견되었다. 포프가 포토맥 군 지휘를 맡았다는 오해가 있지만, 이 기간 포토맥 군 사령부는 워싱턴 외곽에 있었고 매클레런이 계속 지휘했다. 8월 28일 ~ 8월 30일의 제2차 불런 전투에서 버지니아 군이 대패한 후, 포프 휘하의 6개 군단은 포토맥 군에 흡수되었다.
매클레런은 9월 17일 앤티텀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소극적인 태도로 해임되고 앰브로즈 번사이드가 포토맥 군 사령관이 되었다. 번사이드는 군을 3개의 "대사단(Grand Divisions)"으로 분할했으나, 12월 13일 프레데릭스버그 전투에서 패배하고 1863년1월 26일 해임되었다. 조셉 후커가 군 사령관이 되어 대사단을 폐지하고 기병 군단을 조직했으나, 4월 30일 ~ 5월 6일 챈슬러즈빌 전투에서 패배했다. 6월 28일, 조지 미드 소장이 포토맥 군 지휘를 맡았다.
7월 1일 - 7월 3일,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포토맥 군은 로버트 E. 리의 북버지니아 군에 승리했다. 이후 동부 전선에서 북군이 우세해졌지만, 미드의 소극적인 추격으로 전쟁은 2년 가까이 지속되었다. 포토맥 군은 브리스토 작전과 마인 런 전투를 실행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1864년 3월, 율리시스 S. 그랜트가 중장으로 승진하여 북군 전체 지휘를 맡고, 작전 본부를 포토맥 군 사령부에 두었다. 포토맥 군 사령관은 미드였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랜트가 지휘했다. 황야 전투와 스폿실베이니아 코트하우스 전투에서 큰 손실을 입었지만, 그랜트는 피터스버그 포위전을 감행했다. 애포매톡스 코트하우스 전투에서 패배한 리는 1865년 4월 6일 항복했다.
'**포토맥군'''은 제1차 불런 전투 당시 피에르 보우리가드의 남군 부대 이름이기도 했으나, 북버지니아군으로 바뀌었고, 로버트 리 장군 휘하에서 유명해졌다. 1869년에는 참전 용사 단체인 포토맥 군 협회가 결성되어 1927년에 마지막 재회를 가졌다.[2]
2. 1. 창설과 초기 편성 (1861)
1861년 포토맥군은 창설되었으나, 초기에는 1개 군단급 규모였다. 포토맥군의 핵심 전력은 어빈 맥도웰 준장이 지휘한 "북동버지니아군"이었고, 남북 전쟁의 첫 주요 전투이자 처음으로 패배한 전투인 제1차 불런 전투를 치렀다.[9] 이후 조지 매클렐런 소장이 워싱턴 D.C.에 도착하면서 포토맥군은 극적으로 변모했다. 원래 맥클랠란의 임무는 포토맥 사단을 지휘하는 것이었고, 맥도웰의 북동 버지니아 군관구와 조지프 K. 맨스필드 준장의 워싱턴 군관구가 포함되어 있었다.[6] 1861년 7월 26일, 네이턴 뱅크스 소장의 셰넌도어 군관구가 합쳐졌고, 이날 맥클랠란은 포토맥군을 편성했는데, 포토맥군은 북동 버지니아 군관구, 워싱턴, 볼티모어와 셰넌도어의 모든 군사력을 통합한 것이었다. 뱅크스 휘하의 부하들은 포토맥군의 보병사단이 되었다.[9]2. 2. 구조 개편과 전역 (1862-1865)
1861년 7월 26일, 나다니엘 P. 뱅크스 소장이 지휘하는 셰난도어 부서가 조지 B. 매클렐런 소장의 부서와 합병되었다. 같은 날 매클렐런은 포토맥 군을 창설했는데, 이 군은 이전의 북동 버지니아, 워싱턴, 펜실베이니아 부서, 셰난도어의 모든 군사력으로 구성되었다. 뱅크스 휘하의 병사들은 포토맥 군의 보병 사단이 되었다.[1] 포토맥 군은 4개의 군단으로 시작했지만, 반도 전역 동안 두 개로 나뉘었고, 이후 두 개가 더 추가되었다. 제2차 불런 전투 이후, 포토맥 군은 존 포프 소장이 지휘했던 부대를 흡수했다.존 포프가 매클렐런의 실패한 반도 전역 이후 1862년 여름에 포토맥 군을 지휘했다는 것은 잘못된 사실이다. 포프의 버지니아 군은 다른 부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지만, 포토맥 군의 3개 군단은 북부 버지니아로 파견되어 북부 버지니아 전역 동안 포프의 작전 통제를 받았다. 버지니아 군이 존재하는 동안, 포토맥 군은 버지니아 반도에 본부를 두고 있다가 워싱턴 D.C. 외곽으로 이동했다. 매클렐런은 여전히 포토맥 군을 지휘하고 있었지만, 그의 병력 대부분은 임시로 재배치되었다. 포프가 제2차 불런 전투에서 패배한 후, 매클렐런은 원래 부대와 함께 버지니아 군의 부대 대부분을 돌려받았고, 이는 포토맥 군에 통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통합이 항상 성공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포토맥 군은 존속 기간 동안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겪었다. 앰브로즈 번사이드는 포토맥 군을 각 2개 군단으로 구성된 3개의 대사단과 2개의 군단으로 구성된 예비대로 나누었다. 조셉 후커는 대사단을 폐지했다. 그 후, 버지니아에 남아 있던 7개의 개별 군단은 군 본부에 직접 보고했다. 후커는 또한 이전에 소규모 부대로 활동했던 부대를 통합하여 기병 군단을 만들었다. 1863년 말에 2개 군단이 서부로 보내졌고, 1864년에는 나머지 5개 군단이 다시 3개 군단으로 재편성되었다. 번사이드의 제9군단은 율리시스 S. 그랜트의 오버랜드 전역이 시작될 때 포토맥 군과 함께 했지만, 나중에 다시 합류했다.
포토맥 군은 동부 전역의 대부분의 전투, 주로 (동부) 버지니아, 메릴랜드, 펜실베이니아에서 전투를 벌였다. 전쟁이 끝난 후, 군대의 그랜드 리뷰에 참여한 직후인 1865년 6월 28일에 해산되었다.
2. 3. 해체 (1865)
1865년 5월 23일부터 5월 24일까지 이틀 동안 워싱턴 D.C.에서 열린 군대의 대관열식(Grand Review of the Armies)에 참가한 직후인 6월 28일에 해산되었다.[2]3. 역대 사령관
4. 주요 전투 및 전역
전역 | 연도 | 주요 전투 | 지휘관 | 비고 |
---|---|---|---|---|
1861년 | 제1차 불런 전투 (제1차 매너서스 전투) | 어빈 맥도웰 | ||
반도 전역 | 1862년 | 7일 전투, 게인스밀 전투, 멜번힐 전투 등 | 조지 매클레런 | |
북버지니아 전역 | 1862년 | 제2차 불런 전투 (제2차 매너서스 전투) | 조지 매클레런 | |
메릴랜드 전역 | 1862년 | 앤티텀 전투 (샤프스버그) | 조지 매클레런 | |
프레더릭스버그 전역 | 1862년 | 프레데릭스버그 전투 | 앰브로즈 번사이드 | |
챈슬러스빌 전역 | 1863년 | 챈슬러스빌 전투 | 조지프 후커 | |
게티스버그 전역 | 1863년 | 게티스버그 전투 | 조지프 후커, 조지 미드 | 6월 28일에 미드로 교체. |
브리스토 전역 | 1863년 | 조지 미드 | ||
마인런 전역 | 1863년 | 조지 미드 | ||
오버랜드 전역 | 1864년 | 윌더니스 전투, 스팟실베니아 전투, 콜드하버 전투 | 조지 미드 | |
리치먼드-피터스버그 전역 | 1864년 ~ 1865년 | 피터스버그 포위전 | 조지 미드 | |
애포매톡스 전역 | 1865년 | 파이브 포크스 전투 | 조지 미드 | |
1864년 오버랜드 전역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북군 최고사령관이 된 율리시스 그랜트 중장이 조지 미드의 사령부와 동행하면서 포토맥군을 포함한 북군 전체의 작전을 지휘했다. 그러나 미드는 포토맥군의 전선 지휘를 계속했다.[6]
포토맥 군은 주로 동 버지니아, 메릴랜드 및 펜실베이니아에서 발생한 동부 전선의 대부분의 전투에 참가했다. 주요 전투 및 전역은 다음과 같다.
- 제1차 불런 전역 또는 제1차 매너서스: 어빈 맥도웰 ( "북동 버지니아군"으로)
- 반도 전역, 7일 전투 포함: 조지 매클레런
- 북부 버지니아 전역, 제2차 불런 전투 포함 (제1, 11, 12 군단이 버지니아군의 통제를 받아 참전)
- 메릴랜드 전역, 앤티텀 전투 포함: 조지 매클레런
- 프레데릭스버그 전역: 앰브로즈 번사이드
- 챈슬러스빌 전역: 조지프 후커
- 게티스버그 전역: 조지프 후커/조지 미드 (미드는 1863년 6월 28일 임명)
- 브리스토 전역: 조지 미드
- 마인 런 전역: 조지 미드
- 오버랜드 전역: 율리시스 그랜트 & 조지 미드
- 리치먼드-피터스버그 전역, 크레이터 전투 포함: 율리시스 그랜트 & 조지 미드
- 애포매톡스 전역, 애포매톡스 코트 하우스에서 로버트 E. 리의 항복 포함: 율리시스 그랜트 & 조지 미드
5. 잘 알려진 부대
필라델피아, 뉴욕 시, 워싱턴 D.C. 등 북부의 대도시들과 가까웠기 때문에 포토맥군은 다른 북군 야전군들보다 언론의 주목을 많이 받았다. 이 덕분에 아일랜드 여단, 필라델피아 여단, 제1 뉴저지 여단, 버몬트 여단, 철의 여단과 같이 널리 알려진 유명한 부대들이 많이 나왔다.
5. 1. 군단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1862년 3월 13일, 군대를 5개 군단으로 나누는 명령을 내렸다.군단 | 지휘관 |
---|---|
제1군단 | 어빈 맥도웰 소장 |
제2군단 | 에드윈 보즈 섬너 소장 |
제3군단 | 새뮤얼 P. 하인젤만 소장 |
제4군단 | 라스무스 D. 키스 소장 |
제5군단 (이후 제12군단) | 너새니얼 P. 뱅크스 소장 |
링컨은 군대에서 계급이 가장 높은 5명의 사단 지휘관을 군단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조지 B. 매클렐런은 군단 지휘관에 적합한 장군을 판단하기 전에 군대가 전투에서 시험을 거치기를 원했기 때문에 이에 불만을 품었다.
윌리엄스버그 전투(1862년 5월 5일) 이후, 매클렐런은 피츠 존 포터가 지휘하는 제5군단과 윌리엄 B. 프랭클린이 지휘하는 제6군단, 두 개의 군단을 추가로 창설했다.
1862년 6월, 제1군단에서 조지 A. 맥콜의 펜실베이니아 예비대 사단이 반도로 보내져 제5군단에 임시로 배속되었다. 7일 전투에서 제5군단은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2차 불런 전투 동안, 제3군단과 제5군단은 임시적으로 포프의 군대에 배속되었다.
메릴랜드 전역에서 포토맥 군은 6개 군단을 보유했다.
군단 | 지휘관 |
---|---|
제1군단 | 조지프 후커 (어빈 맥도웰이 지휘권을 박탈당한 후) |
제2군단 | 에드윈 보즈 섬너 |
제5군단 | 피츠 존 포터 |
제6군단 | 윌리엄 B. 프랭클린 |
제9군단 | 암브로스 번사이드 (이전에 노스캐롤라이나 부서였음) |
제12군단 | 조셉 K. 맨스필드 (앤티텀 전투 불과 이틀 전에 부임, 그곳에서 전사) |
앤티텀 전투에서 제1군단과 제12군단은 엄청난 사상자를 냈다. 제2군단과 제9군단도 격렬한 전투를 벌였지만, 제5군단과 제6군단은 대부분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
가을에 암브로스 번사이드는 매클렐런으로부터 군대 지휘권을 넘겨받았고, 군대를 4개의 대군단으로 편성했다.
프레데릭스버그 전투 이후, 조지프 후커는 군대 지휘관이 되었고 대군단을 폐지했다. 또한 기병대를 조지 스토너맨이 이끄는 군단으로 조직했다.
게티즈버그 전역 동안 군대의 기존 조직은 대체로 유지되었지만, 많은 여단이 병역 기간 만료로 떠났다. 조지 미드는 1868년 6월 28일, 게티즈버그 전투 불과 3일 전에 갑자기 군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전투에서 제1, 제2, 제3군단은 심각한 손실을 입었다.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군단이 군대에 추가되고 제거되었다. 1864년 3월, 군대는 제2, 제5, 제6, 기병대로 재편성되었다. 제9군단은 1864년에 군대로 돌아왔으며, 1864년 3월부터 5월 24일까지 포토맥 군의 일부가 아닌, 포토맥 군과 함께 복무했다. 그 후 제9군단은 포토맥 군에 공식적으로 추가되었다.[4]
참조
[1]
서적
undefined
[2]
웹사이트
Civil War Medal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14-02-28
[3]
서적
undefined
[4]
서적
undefined
[5]
서적
undefined
[6]
문서
undefined
[7]
서적
undefined
[8]
문서
undefined
[9]
서적
undefin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