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탈리아 육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육군은 이탈리아 통일 이후 창설된 이탈리아 왕국 육군에서 비롯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를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다. 현재 육상작전사령부, 육상작전지원사령부, 육군 항공 사령부 등으로 구성되며, 아리에테 기갑여단, 폴고레 공수여단 등 여러 여단을 운용한다. 이탈리아 육군은 NATO의 일원으로서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등 여러 국제 분쟁에 파병되었으며, 자연 재해 시에도 구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 육군 - 군사정보보안국
    군사정보보안국은 이탈리아 국방부 소속 군사 정보 기관으로, 군사 방위 및 국가 안전 관련 정보 및 보안 활동을 수행했으나, 2007년 해체되어 해외 정보 및 보안 기관으로 기능이 이관되었으며, 존속 기간 동안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1861년 설립 - 로세르바토레 로마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는 1861년 로마에서 창간된 바티칸 시국의 공식 신문으로, 교황령 수호와 가톨릭 신학 논쟁, 교황청 입장을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현재 8개 언어로 발행된다.
  • 1861년 설립 - 다코타 준주
    다코타 준주는 1861년 미국 의회에서 현재의 노스다코타, 사우스다코타, 몬태나, 와이오밍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에 설립되었으나, 1889년 노스다코타와 사우스다코타 주로 분할되어 승격되었다.
이탈리아 육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이탈리아 육군
로마자 표기Esercito Italiano
약칭EI
창설일1861년 5월 4일
국가이탈리아
소속이탈리아군
종류육군
역할지상전
규모97,755명 (2018년)
본부로마
표어Salus Rei Publicae Suprema Lex Esto
표어 (번역)공화국의 수호는 최고의 법이 되어야 한다
군가4 Maggio (5월 4일) - 풀비오 크뢰 작곡
기념일11월 4일, 국가 통합 및 국군의 날
5월 4일, 육군의 날
군장3개의 이탈리아 군사 훈장 기사 십자장
1개의 군사 용맹 금메달
2개의 시민 용맹 금메달
1개의 시민 용맹 은메달
1개의 시민 공로 은메달
이탈리아 육군 문장
이탈리아 육군 로고
이탈리아 육군 워드마크
지휘관
총사령관세르조 마타렐라
육군 참모총장육군 대장 카르미네 마시엘로
주요 지휘관
주요 지휘관주세페 가리발디
루이지 카도르나
아르만도 디아스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아오스타 공작 2세
엔리코 카빌리아
피에트로 바돌리오
조반니 메세
주니오 발레리오 보르게세
전투
주요 전투이탈리아 통일 전쟁
1866년 전쟁
1887년-1889년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마흐디 전쟁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의화단 운동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스페인 내전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제2차 세계 대전
걸프 전쟁
코소보 전쟁
1999년 동티모르 위기
테러와의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14년)
과거 군기
군기 (왕국군 시대)
국방부 기

2. 역사

이탈리아 육군의 역사는 리소르지멘토라고 불리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함께 시작되었다. 1861년 주세페 가리발디의 요청으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이탈리아 왕국 육군(Regio Esercito)이 창설되었다.

이탈리아는 1900년 의화단 운동 진압을 위해 중국에, 1911-1912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에는 리비아에 원정군을 파견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이탈리아 왕국 육군이 참전한 첫 대규모 현대전이었다. 이탈리아군은 주로 북부 이탈리아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7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내는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1915년 5월부터 1917년 8월까지 이탈리아군의 공세는 서부 전선보다 빈번했으며, 이탈리아군의 규율은 다른 국가보다 엄격했다.[15]

전간기 동안 이탈리아 왕국 육군은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에 참여했고, 스페인 내전에 병력과 물자를 지원했으며,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을 감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 왕국 육군은 공수부대 운용의 선구자였지만, 실제 운용 가능한 병력은 제한적이었다. 이탈리아군은 이집트그리스-이탈리아 전쟁에서 졸전을 거듭하며 준비 부족과 무기 열세를 드러냈다. 조반니 메세 장군이 지휘한 러시아 원정군은 천왕성 작전으로 궤멸되었고, 북아프리카에서는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제132 아리에테 기갑사단과 제185 폴고레 공수사단이 전멸했다.

1943년 연합군의 시칠리아 상륙 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베니토 무솔리니를 축출했고, 이탈리아는 연합군과 평화협정을 맺었다. 그러나 북부에는 이탈리아 사회공화국이, 남부에는 바돌리오 정부가 들어서면서 내전이 벌어졌다. 이탈리아 공동교전군은 연합군 편에서 싸운 남부 왕당파 군대였다.

1946년 이탈리아 왕국이 공화국으로 전환되면서 이탈리아 왕국 육군은 이탈리아 육군("Esercito Italiano")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초기에는 이탈리아 공동교전군 출신 5개 사단과 3개 내부 치안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창설 후, 이탈리아 육군은 나토 남유럽 통합군에 편입되어 유고슬라비아를 통한 소련의 침공에 대비했다. 1951년 남유럽통합지상군(LANDSOUTH)이 창설되었고, "이탈리아 용접" 훈련을 통해 이탈리아 육군의 전투력을 시험했다.

1960년대 이탈리아 육군은 구조 개편을 통해 사단을 여단급으로 축소하고, 피사에 제1공수여단을 창설했다. 1972년에는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 간 긴장 완화로 제3군과 제6군단이 해체되었다.

1989년 냉전 종식 당시 이탈리아 육군은 26개 전투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3개 군단과 군사 지역 작전 통제하의 여단으로 분산 배치되었다. 냉전 이후 이탈리아 육군은 국제 분쟁에 미국, 유엔, NATO의 일원으로 지원 부대를 파병하고 있다.

1991년 냉전 종식 이후, 이탈리아 육군은 국제 분쟁에 미국, 유엔 또는 NATO의 일원으로 지원 부대 등을 파병하고 있다. 파병 지역은 다음과 같다.

파병 연도파병 지역비고
1982년레바논 내전
1989년나미비아
1991년알바니아, 쿠르디스탄
1992년소말리아 내전
1993년모잠비크
1995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
1999년동티모르, 코소보 분쟁
2001년콩고민주공화국
2002년아프가니스탄 분쟁
2003년이라크 전쟁, 다르푸르 분쟁, 유엔 레바논 임시 주둔군



또한 각국 주재 이탈리아 대사관 경비에도 종사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빈약한 산업력으로 물자 및 장비 부족에 시달렸던 이탈리아 육군은 현대에 들어 전후 부흥한 산업 지대의 산업력을 활용하여 많은 중장비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공군, 해군과 마찬가지로 장비 국산화에도 적극적이며, 1995년에 개발된 주력 전차 C1 아리에테는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대소전에서 이름을 날린 알피니 부대는 오늘날에도 육군의 중추로서 아프가니스탄이라크에서 미군영국군의 치안 유지를 돕고 있다.

2. 1. 이탈리아 통일과 창설 (1861년)

이탈리아 육군은 교황령 병합과 이탈리아의 통일 (리소르지멘토) 이후 창설된 이탈리아 왕국 육군(Regio Esercito)에서 비롯되었다.[1] 1861년, 주세페 가리발디의 요청으로 사보이아가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가 신생 이탈리아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였다.[1]

이탈리아는 1900년의 의화단 운동이 벌어지자 중국으로, 그리고 1911-1912년의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당시에는 리비아로 원정군을 파견했다.[1] 근대 이탈리아 육군의 역사는 이탈리아 통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탈리아의 모체인 사르데냐 왕국 육군이 독립에 관련된 무장 조직과 평정한 국가의 육군을 흡수하여 1861년 3월 4일 이탈리아 왕립 육군을 조직하였다.(초대 육군 장관에는 만프레도 판티가 임명되었다.)[1]

2. 2.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 ~ 1918년)

이탈리아 왕국 육군이 참전한 첫 대규모 현대전은 제1차 세계 대전이다. 대부분의 전투는 이탈리아 북부에서 벌어졌으며 왕국군은 700,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포함한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1915년 5월에서 1917년 8월까지, 3개월에 한 번꼴로 강행된 이탈리아군의 공세 횟수는 서부 전선보다도 빈번했다. 이탈리아군의 규율 또한 타국가보다 엄격해 병사의 실책에 대한 처벌 강도는 독일, 프랑스, 영국군에 비해 가혹했다.[15][2]

유럽 각국 간의 마찰이 심화되는 가운데, 이탈리아는 독일·오스트리아와 삼국동맹을 체결했으나, 미수복 이탈리아의 완전 반환(오스트리아 영토에는 남티롤, 트리에스테, 달마티아 등이 남아 있었다)을 둘러싼 협상이 결렬되면서 동맹에서 이탈했다. 이후 발발한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초기에 중립을 표명하며 관망했으나, 미수복 이탈리아를 할양한다는 비밀 외교에 편승하여 영국과 프랑스 측에 가담하여 참전했다. 이탈리아 육군은 알프스의 험준한 산악 지대에서 오스트리아 육군과 치열한 산악전을 벌인 끝에 1916년고리치아를 점령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의 탈락을 우려한 독일이 정예 부대를 파견했고, 독일군이 사용한 침투전술(당시에 막 발명된 신전술이었다)에 큰 타격을 입어 궁지에 몰렸다(카포레토 전투). 이후 이탈리아 육군은 프랑스와 영국군의 원군을 받아 전선을 재정비했고, 전쟁의 추세가 연합군의 승리로 기울 때까지 끈기 있게 버텼다.

이 전쟁으로 이탈리아는 트리에스테와 남티롤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지만(피우메와 달마티아는 합병하지 못했다), 프랑스와 영국처럼 막대한 전비를 배상금으로 충당할 수 없었기에, 승전국임에도 불구하고 경제 위기에 직면하여 도시는 실업자와 제대 군인들로 넘쳐났다. 이러한 경제적 불안은 이후 파시즘의 득세를 불러왔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 1945년)

이탈리아 왕국 육군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가장 큰 규모의 지상군 중 하나였으며, 공수부대 운용의 선구자였다. 하지만 실제 운용 가능한 병력 수는 제한적이었고, 사단들은 화력이 부족해 검은 셔츠단의 공격대대로 증원받았다.[15]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군사적 업적은 이집트에 대한 공세 실패와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에서의 졸전으로 인해 폄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탈리아 제10군은 이집트로 진격했지만, 나침반 작전에서 영국군에게 패퇴하여 중앙 리비아까지 밀려나 항복했다.[16]

이탈리아군은 1차 세계 대전 당시의 구식 무기를 사용했고, M11, M13, M14, M15 '중형' 전차는 셔먼 전차에 비해 전투력이 떨어졌다. 장비 부족과 보급 계획 부재도 문제였다.[17]

조반니 메세 장군이 지휘한 러시아 원정군은 물자 부족을 겪었고, 천왕성 작전으로 이탈리아 제8군은 궤멸되었다. 북아프리카에서는 제132 아리에테 기갑사단과 제185 폴고레 공수사단이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전멸했다.

1943년 7월 10일, 연합군이 시칠리아에 상륙하자 해안 방어사단들은 저항 없이 해체되었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베니토 무솔리니를 축출했다. 1943년 9월, 이탈리아는 연합군과 평화협정을 맺었지만, 북부의 이탈리아 사회공화국과 남부의 바돌리오 정부로 분할되었다. 이탈리아 공동교전군은 연합군 편에서 싸운 남부 왕당파 세력이었다.

2. 3. 1.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서술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정권은 시대착오적인 제국주의적 야욕을 드러내며 이탈리아를 전쟁의 소용돌이로 몰아넣었다. 무솔리니의 독단적인 결정은 이탈리아 국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을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 이탈리아의 위상을 추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1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육군은 무솔리니 정권의 무리한 전쟁 수행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참전한 이탈리아 육군은 연합군에게 번번이 패배하며 무능함을 드러냈고, 수많은 젊은이들이 희생되었다.[16] 특히 이집트그리스에서의 졸전은 이탈리아군의 무능함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였다.[3][4]

무솔리니 실각 후 북부에 수립된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은 나치 독일의 꼭두각시 정권에 불과했다. 이들은 파시즘의 잔재를 청산하지 못하고 전쟁 범죄에 가담하는 등 이탈리아 역사의 오점으로 남았다.

2. 4. 냉전 시대 (1947년 ~ 1991년)

1946년 6월, 이탈리아 왕국이 공화국으로 전환되면서 이탈리아 왕국 육군은 이탈리아 육군("Esercito Italiano")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초기 이탈리아 육군은 이탈리아 공동교전군의 5개 전투 집단을 모체로 하여 영국제 장비로 무장한 5개 사단을 보유했다. 이 외에도 이탈리아의 주요 섬인 시칠리아사르데냐를 방어하기 위해 3개의 내부 치안 사단을 운용했다.[18]

  • 보병사단 "크레모나" (토리노)
  • 보병사단 "폴고레" (피렌체)
  • 보병사단 "프리울리" (볼차노)
  • 보병사단 "레냐노" (베르가모)
  • 보병사단 "만토바" (바라체)
  • 내부치안사단 "아오스타" (시칠리아 팔레르모)
  • 내부치안사단 "사바우다" (시칠리아 엔나)
  • 내부치안사단 "칼라브리아" (사르데냐 사사리)


1947년,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를 둘러싼 유고슬라비아와의 영토 분쟁으로 인해 이탈리아 육군은 폴고레 사단을 트레비소로, 만토바 사단을 고리치아로 전진 배치했다. 이와 함께 7개의 사단과 5개의 산악여단을 추가로 창설했다.

  • 보병사단 "아오스타" (메시나, 1948년 2월 1일)
  • 보병사단 "사르데냐 척탄병" (치비타베키아, 1948년 4월 1일)
  • 보병사단 "아벨리노" (살레르노, 감축 전력, 1949년 9월 1일)
  • 산악여단 "줄리아" (치비달레 델 프리울리, 1949년 10월 15일)
  • 차량화보병사단 "트리에스테" (볼로냐, 1950년 6월 1일)
  • 산악여단 "트리덴티나" (브레사노네, 1951년 5월 1일)
  • 보병사단 "피네롤로" (바리, 감축 전력, 1952년 4월 15일)
  • 산악여단 "타우리넨세" (토리노, 1952년 4월 15일)
  • 기갑사단 "아리에테" (포르데노네, 1952년 10월 1일)
  • 기갑사단 "센타우로" (베로나, 1952년 11월 1일)
  • 산악여단 "오로비카" (메라노, 1953년 1월 1일)
  • 기갑사단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로마, 1953년 1월 1일)
  • 산악여단 "카도레" (벵우노, 1953년 7월 1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창설 이후, 이탈리아 육군은 나토 남유럽 통합군에 편입되어 유고슬라비아를 통한 소비에트 연방의 침공 가능성에 대비했다. 1951년 7월 10일, 북동부 이탈리아 방어를 위해 남유럽통합지상군(LANDSOUTH)이 창설되었고, 사령부는 베로나에 위치했다. 마우리치오 라자로 드 카스틸리오니 중장이 사령관을 맡았다.[18] 남유럽통합지상군은 3개 사단(만토바, 폴고레, 트리에스테)과 3개 여단(줄리아, 트리덴티나, 아리에테)을 운용했다. "이탈리아 용접" 훈련은 미국, 이탈리아, 튀르키예, 그리스의 육해공 통합 훈련으로, 신생 이탈리아 육군의 전투력을 처음으로 시험한 훈련이었다.[19]

1952년 5월 1일, 육군은 1개의 군 사령부와 2개의 군단 사령부를 창설했다. 제3군은 파도바에, 제4군단은 볼차노, 제5군단은 비토리오베네토에 배치되어 유고슬라비아와의 전쟁 발발 시 나토 사령부의 명령을 전군에 하달하는 역할을 맡았다.[20] 1952년 후반에는 볼로냐에 제6군단, 1957년에는 밀라노에 제3군단이 창설되어 제3군에 배속되었다.

1960년, 육군은 트리에스테, 프리울리,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피네롤로, 아벨리노, 아오스타 사단을 여단급으로 축소하고, 피사에 제1공수여단을 창설했다. 1965년 10월 1일, 아벨리노 보병사단이 해체되었고, 1967년 6월 10일, 제1공수여단은 "폴고레"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 간 긴장 완화로 1972년 4월 1일 제3군과 제6군단이 해체되었고, 제3군의 역할은 베로나의 남유럽통합군이 담당하게 되었다.

1989년 냉전 종식 당시 이탈리아 육군은 26개의 전투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부대 유형수량비고
기갑여단4켄타우로, 아리에테, 마멜리,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기계화여단10고이토, 레냐노, 브레시아, 트리에스테, 가리발디, 비토리오 베네토, 고리치아, 만토바, 그라나티에리 디 사르데냐, 피네롤로
기동여단5크레모나, 프리울리, 아퀴, 아오스타, 사사리
알프스 여단5카도레, 율리아, 오로비카, 타우리넨세, 트리덴티나
공수여단1폴고레
로켓 포병여단1아퀼레이아



이 부대들은 3개의 군단에 분산 배치되었다.


  • '''제3군단''' (밀라노): 켄타우로, 고이토, 레냐노, 브레시아, 트리에스테, 크레모나
  • '''제4알프스군단''' (볼차노): 카도레, 율리아, 오로비카, 타우리넨세, 트리덴티나
  • '''제5군단''' (비토리오베네토): 아리에테, 마멜리,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가리발디, 비토리오 베네토, 고리치아, 만토바, 아퀼레이아


군사 지역 작전 통제하에 있는 여단은 다음과 같다.

  • '''제7지역 군사사령부''' (피렌체): 폴고레, 프리울리
  • '''제8지역 군사사령부''' (로마): 아퀴, 그라나티에리 디 사르데냐
  • '''제10지역 군사사령부''' (나폴리): 피네롤로
  • '''제11지역 군사사령부''' (팔레르모): 아오스타
  • '''사르데냐 자치군사사령부''' (칼리아리): 사사리


1989년 냉전 종식 시점 이탈리아 육군의 편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수량부대 유형장비비고
19전차 대대레오파르트 1A2, M60A1기갑여단 당 2개 대대, 기계화여단 당 1개 대대, "아리에테" 여단은 3개 전차 대대 운용. 각 전차 대대는 49대의 전차 운용.
9기갑 대대M47 패튼, M113 APC각 기계화여단에 1개 대대 배치. 제4 알프스 군단, 제5 군단, 중부 군관구, 기갑 기병학교, 제1 기갑 보병 연대에 각각 1개씩 훈련 대대 배치. 각 대대는 33대의 M47 패튼 전차와 24대의 M113 APC 운용.
2정찰 중대급 부대레오파르트 1A2, M113 APC"브레시아", "비토리오 베네토", "마멜리",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여단에 편입. 각 부대는 31대의 전차와 24대의 M113 운용.
35기계화 보병 대대M113 APC기갑여단 당 1개 대대, 기계화여단 당 3개 대대. 각 대대는 68대의 M113 APC와 17대의 M106 박격포 운반차 운용.
12기계화 보병 대대기계화여단 당 2개 대대, "아오스타" 여단에 3개 대대, 트리에스테에 1개 대대.
13알피니알프스 여단 당 2개 대대; "줄리아" 여단은 4개 알피니 대대 운용, 아오스타 군 알프스 학교에 1개 대대 추가.
5공수부대1개 카라비니에리 공수 대대, 2개 공수 대대, 1개 공수 강습(특수부대) 대대. 제4군단은 알피니 공수 중대 운용.
6요새화 보병이탈리아 동부 및 북부 국경 방어. 1개 알피니 대대, 5개 보병 대대, 1개 알피니 중대. 대대 규모는 10개에서 19개 중대로 다양.
2상륙 보병LVT-71개 라구나리 대대, 1개 수륙양용 차량 대대, 베네치아 방어 임무를 맡은 상륙군 사령부의 1개 훈련 중대.
33훈련 대대신병 기초 훈련 담당: 4개 알피니, 1개 공수, 1개 그라나티에리, 27개 보병 대대 훈련.
11자주포M109 자주포기갑 및 기계화 여단 당 1개 부대("피네롤로", "레냐노", "트리에스테", "그라나티에리 디 사르데냐", "브레시아" 기계화 여단 제외), 제3군단 예하 연대에 2개 부대, 로마 육군 포병학교에 1개 포대, 사르데냐에 1개 훈련 포대. 각 부대는 18문의 M109 자주포 운용.
18야전포병M114 곡사포기계화 여단 당 1개 부대("사사리" 기계화 여단 제외), 알프스 여단 당 1개 부대, "피네롤로", "레냐노", "트리에스테", "그라나티에리 디 사르데냐", "브레시아" 기계화 여단, 제5군단, 투스카니-에밀리아 군관구, 남부 이탈리아 남부 군관구, 로마 육군 포병학교에 각각 부대 배치. 각 부대는 18문의 M114 곡사포 운용.
6산악포병Mod 56 곡사포알프스 여단 당 1개 부대, "줄리아" 알프스 여단은 2개 부대 운용. 각 부대는 18문의 Mod 56 곡사포 운용.
1공중포병Mod 56 곡사포"폴고레" 공수여단 소속. 18문의 Mod 56 곡사포 운용.
8중(重)야전포병FH-70 곡사포군단 포병: 제3군단, 제4 알프스 군단, 제5군단, 로마 육군 포병학교에 각각 부대 배치. 각 부대는 18문의 FH-70 곡사포 운용.
1중(重)포병M115 곡사포제5군단 예하 1개 부대. 12문의 M115 곡사포 운용.
1중(重)자주포병M110A2 자주포"아퀼레이아" 여단 소속 1개 부대. 18문의 M110A2 자주포 운용.
1미사일 포병MGM-52 랜스육군 유일 미사일 포병 부대. 6개의 MGM-52 랜스 발사대 운용.
8표적획득군단 지원 6개 포병 레이더/드론 부대, "아퀼레이아" 미사일 여단 지원 1개 표적 획득 부대, 기병 포병 연대 예비 부대 1개.
7경(輕)대공포병FIM-92 스팅어, 40/70 대공포대공포병 사령부 예하 5개 현역 및 2개 예비 부대.
4대공 미사일 포병MIM-23 호크대공포병 사령부 예하 2개 연대. 각 부대는 24개의 MIM-23 호크 발사대 운용.
17공병 대대군단 및 군관구 예하: 8개 개척 대대, 2개 전투 공병 대대, 2개 철도 건설 대대, 2개 교량 건설 대대, 육군 공병학교 훈련/시범 부대 1개, 알프스 국경 요새 건설/유지 관리 2개 광산 대대. 24개 전투 공병 중대가 육군 여단("사사리" 여단 제외) 지원.
5정찰 헬리콥터AB 206, A109 EOAAB 206 운용 4개 중대, A109 EOA 헬리콥터 운용 1개 중대.
5수송 헬리콥터AB 205, AB 412, CH-47 치누크비테르보에 CH-47 치누크 헬리콥터 운용 1개 중대, AB 412 및 AB 205 헬리콥터 운용 6개 중대.
9일반 항공기AB 212, SM.1019전국 분산 배치, 다양한 지역 사령부 지원.
17통신 대대2개 독립 중대 추가.
3전자전 대대
1NBC 방어 대대공병대 소속, 육군참모총장 직할.
25수송 대대여단 당 1개 수송 대대; "사사리" 여단 제외.
6기동 수송 대대육군 3개 군단 사령부 지원.
9수송 대대로마 영토 사령부, 육군/국방군 참모총장 지원.
26지휘 및 통신 부대여단 당 1개, 육군 대공포병 사령부 1개, 상륙군 사령부 1개.



또한 육군은 "사사리" 여단을 제외한 각 전투 여단에 1개씩 총 24개의 대전차 중대를 운용했다.

냉전 시기에는 서방 국가의 일원으로서 동구권의 공격에 대비했다.

2. 5. 냉전 이후 (1991년 ~ 현재)

1991년 냉전 종식 이후, 이탈리아 육군은 국제 분쟁에 미국, 유엔 또는 NATO의 일원으로 지원 부대 등을 파병하고 있다. 파병 지역은 다음과 같다.

파병 연도파병 지역비고
1982년레바논 내전
1989년나미비아
1991년알바니아, 쿠르디스탄
1992년소말리아 내전
1993년모잠비크
1995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
1999년동티모르, 코소보 분쟁
2001년콩고민주공화국
2002년아프가니스탄 분쟁
2003년이라크 전쟁, 다르푸르 분쟁, 유엔 레바논 임시 주둔군



또한 각국 주재 이탈리아 대사관 경비에도 종사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빈약한 산업력으로 물자 및 장비 부족에 시달렸던 이탈리아 육군은 현대에 들어 전후 부흥한 산업 지대의 산업력을 활용하여 많은 중장비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공군, 해군과 마찬가지로 장비 국산화에도 적극적이며, 1995년에 개발된 주력 전차 C1 아리에테는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대소전에서 이름을 날린 알피니 부대는 오늘날에도 육군의 중추로서 아프가니스탄이라크에서 미군영국군의 치안 유지를 돕고 있다.

2. 6.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자료에는 이탈리아 육군과 한국 간의 직접적인 군사 관계에 대한 내용이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3. 조직

이탈리아 육군의 조직은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다. 1975년 군사 개혁에서는 연대급 부대가 해체되고 대대들이 새로 창설된 통합 여단들의 직속 명령을 받게 되었다.

1975년 이전1975년 이후참고
보병사단 "크레모나"차량화보병여단 "크레모나"제3군단 소속
보병사단 "사르데냐 척탄병"기계화보병여단 "사르데냐 척탄병"중앙군지역 소속
차량화여단 "아퀴"중앙군지역 소속
보병사단 "레냐노"기계화보병여단 "레냐노"기갑사단 "센타우로"에 합류
기계화보병여단 "브레시아"기계화보병사단 "만토바"에 합류
기병여단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기갑여단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기계화보병사단 "만토바"에 합류
기갑여단 "비토리오 베네토"기계화보병사단 "폴고레"에 합류



1986년에는 4개의 사단 사령부가 해체되고, 북부 이탈리아의 여단들은 3개 군단의 직접 명령을, 중부와 남부 이탈리아의 여단들은 군지역사령부의 명령을 받게 되었다. 냉전 종식 후 1991년, 1997년, 2002년에 추가적인 여단 해체 및 재편성이 이루어졌다.

2023년 5월, "아퀴" 사단과 "비토리오 베네토" 사단 및 육군 시뮬레이션 및 검증 센터가 작전 지상군 사령부 및 육군 작전 사령부에 배속되었다.[11]

2024년 현재, 이탈리아 육군의 주요 편성은 다음과 같다.

군단급사단급여단
COMFOTER
COMTA
-- 줄리아 알프스 여단
-- 타우리넨세 알프스 여단
COMFOP 노르드
--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기병 여단
-- 아리에테 132 기갑 여단
COMFOP 수드
-- 사르데냐 그라나티에리 기계화 여단
-- 아오스타 기계화 여단
-- 피네롤로 기계화 여단
-- 사사리 기계화 여단
-- 가리발디 베르사글리에리 여단
COMFOTER 지원
포병사령부
대공포병사령부
공병사령부
통신사령부
전술정보여단
육군 항공 사령부
-- 프리울리 공중기동 여단
육군 항공 지원 여단
아퀴 사단
비토리오 베네토 사단
육군 시뮬레이션 및 검증 센터
-- 폴고레 공수 여단
육군 특수전 사령부
NRDC - 이탈리아
-- NRDC-ITA 지원 여단
COMLOG
군수지원사령부
COMFORDOT



각 여단은 3,000~5,000명의 병력을 운용하며, 다음과 같은 부대를 포함한다.


  • '''여단 사령부'''
  • 지휘 및 전술 지원 대대
  • 지휘 중대
  • 통신 중대
  • '''기갑 연대'''
  • 지휘 및 군수 지원 중대
  • 기갑 중대 그룹
  • 3개 정찰 중대
  • 중기갑 중대
  • '''포병 연대'''
  • 지휘 및 군수 지원 포대
  • 감시, 표적 획득 및 전술 연락 포대
  • 포병 그룹
  • 3개 야포 포대
  • 사격 및 기술 지원 포대
  • '''공병 연대'''
  • 지휘 및 군수 지원 중대
  • 공병 대대
  • 3개 사퍼 중대
  • 배치 지원 중대
  • '''군수 연대'''
  • 지휘 및 군수 지원 중대
  • 군수 대대
  • 보급 중대
  • 정비 중대
  • 수송 중대


여단의 유형에 따라 3개의 기동 대대를 운용한다.

  • '''경보병 연대'''
  • 지휘 및 군수 지원 중대
  • 보병 대대
  • 3개 소총 중대
  • 기동 지원 중대
  • '''중보병 연대'''
  • 지휘 및 군수 지원 중대
  • 보병 대대
  • 3개 소총 중대
  • 기동 지원 중대
  • '''중장갑 보병 연대'''
  • 지휘 및 군수 지원 중대
  • 보병 대대
  • 3개 소총 중대
  • 기동 지원 중대
  • '''전차 연대'''
  • 지휘 및 군수 지원 중대
  • 전차 대대
  • 3개 전차 중대


방공여단과 야전포여단은 다음과 같다.

  • 방공여단
  • 제4방공연대
  • 제5방공연대
  • 제17방공연대
  • 제121방공연대

  • 야전포여단
  • 제2산악포병연대
  • 제5로켓포연대
  • 제7NBC방위연대
  • 제28공공관련연대
  • 제52포병연대

3. 1. 작전 부대

제3기계화보병여단 "고이토"기갑사단 "센타우로"제31기갑여단 "쿠르타토네"제3기계화보병여단 "고이토"기계화보병여단 "레냐노"이전 보병사단 "레냐노"기갑사단 "아리에테"제8기계화보병여단 "가리발디"
제32기갑여단 "마멜리"
제132기갑여단 "마닌"기갑사단 "아리에테"제8기계화보병여단 "가리발디"제32기갑여단 "마멜리"제132기갑여단 "마닌"



개혁 이후 육군의 군 편제는 다음과 같다.



군 지역사령부의 명령을 받는 연대급 부대는 다음과 같다.

1984년 이탈리아 육군의 군 편제


1986년, 남아있던 4개의 사단 사령부가 모두 해체되고, 북부 이탈리아의 모든 여단급 부대들은 육군이 운용하는 3개 군단의 명령을 직접 받게 되었다. 중부와 남부 이탈리아의 여단들은 각 지역의 군지역사령부의 명령을 받게 되었다. 사단급 부대 폐지로 육군은 이전에 사단급 부대 소속이었던 여단들에게 새로 얻은 사단급 부대로부터의 독립을 반영하기 위해 새로운 휘장을 부여했다.

1989년 냉전 종식 당시, 이탈리아 육군은 26개의 전투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갑여단 4개, 기계화여단 10개, 기동여단 5개, 알프스 여단 5개, 공수여단 1개, 로켓 포병여단 1개였다.

이 부대들은 세 개의 군단 아래에 배치되었다.

군사 지역 작전 통제하에 있는 여단은 다음과 같다.

기갑여단은 사령부 및 통신대대 1개, 레오파르트 1A2 전차를 보유한 전차대대 2~3개, M113 장갑차를 보유한 기계화 보병대대 1개, M109 자주포를 보유한 자주포 야전포병대대 1개, 지원대대 1개, 대전차 중대 1개, 공병중대 1개로 구성되었다.

기계화여단은 사령부 및 통신대대 1개, 전차대대 1개(레오파르트 1), 기계화 보병대대 3개(M113 장갑차), M109 자주포를 보유한 자주포 야전포병대대 1개, 지원대대 1개, 대전차 중대 1개, 공병중대 1개로 구성되었다. 단, 피네롤로 기계화여단은 FH-70 곡사포를 보유한 야전포병대대를 운용했다. 또한 고리치아와 만토바 기계화여단은 각각 2개의 방어 보병대대를 운용했는데, 이들은 유고슬라비아-이탈리아 국경을 따라 요새와 벙커를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기동여단은 사령부 및 통신대대 1개, 전차 및 기계화 보병의 혼성 부대인 기갑대대 1개, 기동 보병대대 3개, 야전포병대대 1개(FH-70), 지원대대 1개, 대전차 중대 1개, 공병중대 1개로 구성되었다. 단, 사사리 여단은 야전포병대대가 없었다.

폴고레 공수여단은 사령부 및 통신대대 1개, 공수강습대대 1개(특수부대), 공수대대 3개, Mod 56 곡사포를 보유한 공수 야전포병대대 1개, 지원대대 1개, 육군항공 헬리콥터대대 1개, 공병중대 1개로 구성되었다.

5개의 알피니 여단 중 3개는 사령부 및 통신대대 1개, 알피니 대대 2개, 알피니 훈련대대 1개, 산악포병대대 2개(Mod 56), 지원대대 1개, 대전차 중대 1개, 공병중대 1개로 구성되었다. 반면 트리덴티나 여단은 알피니 훈련대대 대신 알피니 다레스트 대대를 운용했다. 예외적으로 율리아 알피니 여단은 사령부 및 통신대대 1개, 알피니 대대 4개, 알피니 다레스트 대대 1개, 알피니 훈련대대 1개, 산악포병대대 3개, 지원대대 1개, 대전차 중대 1개, 공병중대 1개로 구성되어 이탈리아 육군에서 가장 큰 여단이었다.

알피니 다레스트와 보병 부대는 공격하는 적을 지연시키기 위해 국경에 있는 특정 요새화된 지역을 방어하도록 지정되었다. 이들은 기동 부대가 아니었지만 국경 근처에 주둔하는 여단에 훈련 및 지원 목적으로 배속되었다.

아퀼레이아 미사일여단은 전술 핵무기를 발사할 수 있는 중포병 및 미사일 부대를 혼합하여 운용했다. 여단의 주요 미사일 무기는 MGM-52 랜스 미사일이었다.

냉전 종식 시점 이탈리아 육군의 편제 현황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수량 !! 부대 유형 !! 장비 !! 비고

|-

| 19

| 전차 대대

| 레오파르트 1A2
M60A1

| 기갑여단 당 2개 대대, 기계화여단 당 1개 대대, "아리에테" 여단은 3개 전차 대대를 운용. 각 전차 대대는 16대의 전차가 배치된 3개의 전차 중대와 대대장 전차 1대를 포함하여 총 49대의 전차를 운용.

|-

| 9

| 기갑 대대

| M47 패튼
M113 APC

| 기갑 대대는 전차와 기계화 보병을 혼합하여 운용했으며, 각 기계화여단에 1개 대대가 배치. 제4 알프스 군단에 1개, 제5 군단에 1개, 중부 군관구에 1개, 기갑 기병학교 및 제1 기갑 보병 연대에 각각 1개씩의 훈련 대대가 배치됨. 각 대대는 33대의 M47 패튼 전차와 24대의 M113 APC를 운용.

|-

| 2

| 정찰 중대급 부대

| 레오파르트 1A2
M113 APC

| 원래 각 사단에 1개의 정찰 중대급 부대가 있었음. 사단급이 폐지됨에 따라, 1개 중대는 전차 중대급 부대로 개편되어 "브레시아" 여단에 편입. 또 다른 1개 중대는 기계화 중대급 부대로 개편되어 "비토리오 베네토" 여단에 편입. 나머지 2개의 정찰 중대급 부대는 "마멜리"와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여단에 편입. 각 부대는 10대의 전차와 8대의 M113 APC가 배치된 3개의 정찰 중대와 대대장 전차를 포함하여 총 31대의 전차와 24대의 M113을 운용.

|-

| 35

| 기계화 보병 대대

| M113 APC

| 기갑여단 당 1개 대대, 기계화여단 당 3개 대대. 12개의 베르사글리에리 대대는 모두 기계화 보병 부대였으며, 나머지 기계화 보병은 2개의 그라나티에리 디 사르데냐 대대, 16개의 보병 대대, 4개의 기병 중대급 부대로 구성. 1개 대대는 육군 보병 및 기병학교의 훈련 및 시범 부대였음. 각 대대는 68대의 M113 APC와 17대의 M106 박격포 운반차를 운용.

|-

| 12

| 기계화 보병 대대

|

| 기계화여단 당 2개 대대, "아오스타" 여단에 3개 대대, 트리에스테에 1개 대대(유고슬라비아 공격에 대비한 "비토리오 베네토" 여단 방어 임무). 5개의 기계화 대대를 위한 장비를 비축.

|-

| 13

| 알피니

|

| 알프스 여단 당 2개 대대; "줄리아" 여단은 총 4개의 알피니 대대를 운용, 아오스타의 군 알프스 학교에 1개 대대 추가.

|-

| 5

| 공수부대

|

| 1개의 카라비니에리 공수 대대, 2개의 공수 대대, 1개의 공수 강습(특수부대) 대대. 또한, 제4군단은 알피니 공수 중대를 운용.

|-

| 6

| 요새화 보병

|

| 이탈리아 동부 및 북부 국경의 특정 요새 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배치된 1개 알피니 대대, 5개 보병 대대, 1개 알피니 중대. 대대 규모는 10개에서 19개 중대로 다양.

|-

| 2

| 상륙 보병

| LVT-7

| 1개 라구나리 대대, 1개 수륙양용 차량 대대 및 베네치아 방어 임무를 맡은 상륙군 사령부의 1개 훈련 중대. 라구나리 대대는 기계화 보병 대대와 유사하게 조직.

|-

| 33

| 훈련 대대

|

| 신병 기초 훈련을 담당: 4개 알피니, 1개 공수, 1개 그라나티에리, 27개 보병 대대 훈련.

|-

| 11

| 자주포

| M109 자주포

| 기갑 및 기계화 여단 당 1개 부대( "피네롤로", "레냐노", "트리에스테", "그라나티에리 디 사르데냐", "브레시아" 기계화 여단 제외), 제3군단 예하 연대에 2개 부대, 로마의 육군 포병학교에 배속된 1개 포대, 사르데냐에 1개 훈련 포대. 각 부대는 6문의 M109 자주포가 배치된 3개 포대로 구성.

|-

| 18

| 야전포병

| M114 곡사포

| 기계화 여단 당 1개 부대("사사리" 기계화 여단 제외), 알프스 여단 당 1개 부대, "피네롤로", "레냐노", "트리에스테", "그라나티에리 디 사르데냐", "브레시아" 기계화 여단에 각각 1개 부대, 제5군단 예하 1개 부대, 투스카니-에밀리아 군관구 예하 1개 부대, 남부 이탈리아 남부 군관구 예하 2개 부대, 로마의 육군 포병학교에 배속된 1개 포대. 각 부대는 6문의 M114 곡사포가 배치된 3개 포대로 구성.

|-

| 6

| 산악포병

| Mod 56 곡사포

| 알프스 여단 당 1개 부대, "줄리아" 알프스 여단은 2개 부대 운용. 각 부대는 6문의 Mod 56 곡사포가 배치된 3개 포대로 구성.

|-

| 1

| 공중포병

| Mod 56 곡사포

| "폴고레" 공수여단에 속한 1개의 공중 야전포병 부대는 각각 6문의 Mod 56 곡사포가 배치된 3개의 포대로 구성.

|-

| 8

| 중(重)야전포병

| FH-70 곡사포

| 군단 포병으로 운용되는 중(重)야전포병 부대: 제3군단 예하 2개, 제4 알프스 군단 예하 2개, 제5군단 예하 4개, 로마의 육군 포병학교에 배속된 1개 포대. 각 부대는 6문의 FH-70 곡사포가 배치된 3개 포대로 구성.

|-

| 1

| 중(重)포병

| M115 곡사포

| 제5군단 예하 1개 부대. 원래 전술 핵무기를 발사할 수 있었고 "아퀼레이아" 포병여단의 일부였으나, 1986년 핵무기 운용 역할 상실. 이 부대는 4문의 M115 곡사포가 배치된 3개 포대로 구성.

|-

| 1

| 중(重)자주포병

| M110A2 자주포

| 전술 핵무기를 발사할 수 있는 "아퀼레이아" 여단에 속한 1개 부대. 이 부대는 6문의 M110A2 자주포가 배치된 3개 포대로 구성.

|-

| 1

| 미사일 포병

| MGM-52 랜스

| 육군의 유일한 미사일 포병 부대는 전술 핵미사일 발사 능력을 보유. 이 부대는 2개의 MGM-52 랜스 발사대가 배치된 3개 포대로 구성.

|-

| 8

| 표적획득

3. 2. 지원 부대

이탈리아 육군의 지원 부대는 1975년, 1986년, 1991년, 1997년, 2002년 그리고 2023년의 개혁을 거치면서 변화했다.

1975년 군사 개혁에서는 연대급 부대가 해체되고 대대들이 새로 창설된 통합 여단들의 직속 명령을 받게 되었다.

1975년 이전1975년 이후참고
보병사단 "크레모나"차량화보병여단 "크레모나"제3군단 소속
보병사단 "사르데냐 척탄병"기계화보병여단 "사르데냐 척탄병"중앙군지역 소속
차량화여단 "아퀴"중앙군지역 소속
보병사단 "레냐노"기계화보병여단 "레냐노"기갑사단 "센타우로"에 합류
기계화보병여단 "브레시아"기계화보병사단 "만토바"에 합류
기병여단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기갑여단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기계화보병사단 "만토바"에 합류
기갑여단 "비토리오 베네토"기계화보병사단 "폴고레"에 합류



1986년에는 4개의 사단 사령부가 해체되고, 북부 이탈리아의 여단들은 3개 군단의 직접 명령을, 중부와 남부 이탈리아의 여단들은 군지역사령부의 명령을 받게 되었다.

냉전 종식 후 1991년, 1997년, 2002년에 추가적인 여단 해체 및 재편성이 이루어졌다.

2023년 5월, "아퀴" 사단과 "비토리오 베네토" 사단 및 육군 시뮬레이션 및 검증 센터가 작전 지상군 사령부 및 육군 작전 사령부에 배속되었다.[11]

2024년 현재, 이탈리아 육군의 주요 편성은 다음과 같다.

군단급사단급여단
COMFOTER COMTA-- 줄리아 알프스 여단
-- 타우리넨세 알프스 여단
COMFOP 노르드--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기병 여단
-- 아리에테 132 기갑 여단
COMFOP 수드-- 사르데냐 그라나티에리 기계화 여단
-- 아오스타 기계화 여단
-- 피네롤로 기계화 여단
-- 사사리 기계화 여단
-- 가리발디 베르사글리에리 여단
COMFOTER 지원 포병사령부
대공포병사령부
공병사령부
통신사령부
전술정보여단
육군 항공 사령부-- 프리울리 공중기동 여단
육군 항공 지원 여단
아퀴 사단
비토리오 베네토 사단
육군 시뮬레이션 및 검증 센터
-- 폴고레 공수 여단
육군 특수전 사령부
NRDC - 이탈리아-- NRDC-ITA 지원 여단
COMLOG 군수지원사령부
COMFORDOT



각 여단은 3,000~5,000명의 병력을 운용하며, 다음과 같은 부대를 포함한다.


3개 정찰 중대
중기갑 중대
3개 야포 포대
사격 및 기술 지원 포대
3개 사퍼 중대
배치 지원 중대
보급 중대
정비 중대
수송 중대

여단의 유형에 따라 3개의 기동 대대를 운용한다.

방공여단과 야전포여단은 다음과 같다.

4. 계급

계급은 제복의 일부이다.

NATO 계급 부호계급장계급
이탈리아어한국어
OR-1
Soldato이등병
OR-2
Caporale일등병
OR-3
Caporal Maggiore상등병
OR-4
Primo caporale maggiore상급상등병
Caporale maggiore scelto선발상등병
Caporale maggiore capo오장
Caporale maggiore capo scelto상급오장
Caporale maggiore capo scelto q.s.특임상급오장
OR-5
Sergente삼등중사
OR-6
Sergente Maggiore이등중사
OR-7
Sergente Maggiore Capo일등중사
Sergente maggiore capo q.s.특임일등중사
OR-8
Maresciallo조장
Maresciallo ordinario선임조장
Maresciallo capo상급조장
OR-9
Primo maresciallo최상급조장
Luogotenente준위
Primo luogotenente q.s.특임준위
OF-D
Allievo Ufficiale사관후보생
OF-1
Sottotenente소위
Tenente중위
OF-2
Capitano대위
Primo capitano상급대위
OF-3
Maggiore소령
OF-4
Tenente Colonnello중령
OF-5
Colonnello대령
OF-6
Generale di Brigata준장
OF-7
Generale di Divisione소장
OF-8
Generale di Corpo d'Armata중장
OF-9
Generale di Corpo d'Armata con Incarichi Speciali특임중장
OF-10
Generale대장


5. 장비

이탈리아 육군의 장비는 ''이탈리아 육군 장비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탈리아는 서방 국가의 일원으로서 서방 국가에서 개발된 무기를 많이 보유하고 있지만, 아리에테 전차, 첸타우로 전투정찰차와 같이 독자 개발한 무기도 운용하고 있다. 보병 권총소총은 자국 베레타사 제품을 사용한다.

1975년, 이탈리아 육군은 대대적인 군사 개혁을 단행했다. 연대급 부대가 해체되고, 대대들은 새로 창설된 통합 여단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게 되었다. 또한 육군과 공군의 복무 기간이 15개월에서 12개월로, 해군은 24개월에서 18개월로 단축되면서 육군은 병력 규모를 약 45,000명 감축해야 했다.

개혁 이전과 이후, 사단급 부대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1975년 이전1975년 이후참고
보병사단 "크레모나"차량화보병여단 "크레모나"제3군단 소속
보병사단 "사르데냐 척탄병"기계화보병여단 "사르데냐 척탄병"중앙군지역 소속
차량화여단 "아퀴"중앙군지역 소속
보병사단 "레냐노"기계화보병여단 "레냐노"기갑사단 "센타우로"에 합류
기계화보병여단 "브레시아"기계화보병사단 "만토바"에 합류
기병여단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기갑여단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기계화보병사단 "만토바"에 합류
기갑여단 "비토리오 베네토"기계화보병사단 "폴고레"에 합류



나머지 4개 사단 역시 변화와 병력 감축을 겪었지만, 위 3개 사단과 달리 군사 개혁 이후에도 계속 운용되었다.

1975년 이전 명칭사단급 부대를 분할/감축해서 만들어진 여단급 부대1975년 이후 명칭1975년 이후 합류한 여단급 부대참고
보병사단 "폴고레"기계화보병여단 "고리치아"기계화보병사단 "폴고레"기계화보병여단 "고리치아"
기계화보병여단 "트리에스테"토스카나-에밀리아 군지역에서 합류함
기갑여단 "비토리오 베네토""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사단으로부터 분할
보병사단 "만토바"기계화보병여단 "이손초"기계화보병사단 "민토바"기계화보병여단 "이손초"
기계화보병여단 "브레시아""레냐노" 사단으로부터 분할
기갑여단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제5군단으로부터 합류
기갑사단 "센타우로"제31기갑여단"쿠르타토네"기갑사단 "센타우로"제31기갑여단 "쿠르타토네"
제3기계화보병여단 "고이토"
기계화보병여단 "레냐노"전 "레냐노" 사단
기갑사단 "아리에테"제8기계화보병여단 "가리발디"기갑사단 "아리에테"제8기계화보병여단 "가리발디"
제32기갑여단 "마멜리"
제132기갑여단 "마닌"



1986년, 남아있던 4개의 사단 사령부가 모두 해체되면서 북부 이탈리아의 모든 여단급 부대들은 육군 3개 군단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게 되었고, 중부와 남부 이탈리아의 여단들은 각 지역 군지역사령부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냉전 종식 당시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한 부대 수는 다음과 같다.

수량부대 종류장비Notes
19전차대대레오파르트 1A2각 전차대대는 49대의 전차를 운용했다.
9기갑대대M47 패튼각 대대는 33대의 M47 패튼 전차와 24대의 M113 장갑차를 운용했다.
2정찰단(정찰대대)레오파르트 1A2은 31대의 전차와 24대의 M113 장갑차를 운용했다.
35기계화보병M113 장갑차각 대대는 68대의 M113 장갑차와 17대의 M106 자주박격포 장갑차를 운용했다.
12차량화보병|
13산악병|
5공수부대|
6요새 보병|
2상륙보병(해병대)LVT-7
33훈련대대|
11자주포M109 자주포각 자주포대대는 6문의 M109 자주포로 이루어진 포대 3개를 운용했다.
18야전포M114 곡사포각 포병대대는 6문의 M114 곡사포로 이루어진 포대 3개를 운용했다.
6산악포병Mod 56 산포각 대대는 6문의 Mod 56 산포로 이루어진 포대 3개를 운용했다.
1공수포병Mod 56 산포6문의 Mod 56 산포로 이루어진 포대 3개를 운용했다.
8중야전포FH70각 부대는 6문의 FH-70 견인곡사포로 이루어진 포대 3개를 운용했다.
1중포M115 곡사포4문의 M115 곡사포로 이루어진 포대 3개를 운용했다.
1중자주포M110A2 자주포6문의 M110A2 자주포로 이루어진 포대 3개를 운용했다.
1미사일포병MGM-52 란스3문의 MGM-52 란스 발사대로 이루어진 포대 3개를 운용했다.
8표적획득대대|
7경대공포FIM-92 스팅어
4대공미사일MIM-23 Hawk각 부대는 6문의 MIM-23 호크 발사대로 이루어진 포대 4개를 운용했다.
17공병대대|
5정찰 헬리콥터AB 206
5수송 헬리콥터AB 205
9육군항공대AB 212 SM-1019
17통신대대|
3전자전대대|
1NBC-방어 대대|
25보급대대|
6보급이동대대|
9수송대대|
26지휘통신대대|



2013년, 이탈리아 육군은 다시 한번 대대적인 개혁을 시작했다. 군단급 사령부가 해체되고, 여단급 부대들이 재편성되었다. 개혁 이후 육군의 기동 여단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계획이었다.



6. 작전

1946년 6월, 이탈리아는 왕국에서 공화국으로 전환되었고, 이탈리아 왕국 육군은 이탈리아 육군("Esercito Italiano")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초기 이탈리아 육군은 이탈리아 공동교전군의 다섯 전투 집단에서 비롯된 영국제 장비로 무장한 5개 사단을 보유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육군은 이탈리아의 두 주요 섬을 방비하기 위해 중화기 없이 3개의 내부 치안 사단을 운용하였다.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를 두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 영토 분쟁이 벌어지자, 이탈리아 육군은 1947년에 "폴고레" 사단을 트레비소로, "만토바" 사단을 고리치아로 전진 배치하였다. 그와 동시에 육군은 추가적으로 7개의 사단과 5개의 알피니 여단을 창설하였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창설되자 이탈리아 육군은 NATO의 남유럽 통합군에 병합되어 유고슬라비아를 통해 올 가능성이 있는 소련의 침공에 대비했다. 남유럽통합지상군(LANDSOUTH)은 북동부 이탈리아의 방어를 목적으로 1951년 7월 10일 활성화되었다. 사령부는 베로나에 위치했으며 마우리치오 라자로 데 카스틸리오니 중장이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8] 남유럽통합지상군은 북동부 이탈리아를 방어했지만 고작 3개의 사단과 3개의 여단만 운용할 수 있었다. 이 중 통합군 지휘하에 있던 3개 사단은 보병사단 "만토바", 차량화보병사단 "폴고레", 보병사단 "트리에스테"였다. 통합군 지휘하에 있던 3개 여단 중 2개는 산악여단 "줄리아"와 산악여단 "트리덴티나"였으며 나머지 하나는 기갑여단 "아리에테"였다. "이탈리아 용접" 훈련은 북부 이탈리아에서 시행된 미국, 이탈리아, 터키, 그리스의 육해공 통합 훈련이었다. 이는 신생 이탈리아 육군이 최초로 전투력을 시험한 훈련이었다.[19]

1952년 5월 1일, 육군은 하나의 군 사령부와 2개의 군단 사령부를 활성화했다. 제3군은 파도바에, 제4군단은 볼차노에, 제5군단은 비토리오 베네토에 배치해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를 두고 유고슬라비아와 전쟁이 발발했을 시 NATO 사령부의 명령을 전군에 지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20] 1952년 후반기에는 볼로냐에 제6군단이, 1957년에는 밀라노에 제3군단이 배치되었고 두 군단 모두 제3군에 배속되었다.

1960년에 육군은 "트리에스테", "프리울리", "포주올로 델 프리울리", "피네롤로", "아벨리노", "아오스타" 사단의 규모를 여단급으로 줄이고 피사에 제1공수여단을 창설하였다. 1965년 10월 1일에 보병사단 "아벨리노"는 해체되고 1967년 6월 10일, 제1공수여단은 "폴고레"라는 명칭을 받았다. 제1공수여단의 명칭은 공수여단 "폴고레"로 바뀌었다.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 간의 긴장 완화로 제3군과 제6군단은 1972년 4월 1일에 해체되었다. 제3군의 역할은 베로나의 남유럽통합군이 맡게 되었다.

1975년, 이탈리아 육군은 창설 이래 가장 큰 규모의 군사 개혁을 단행했다. 연대급 부대는 모두 해체되고 대대들은 새로 창설된 통합 여단들의 직속 명령을 받게 되었다. 동시에 육군과 공군은 복무 기간을 15개월에서 12개월로, 해군은 24개월에서 18개월로 단축하여 육군은 병력 규모를 거의 45,000명 감축하게 되었다.

1991년에 육군은 냉전이 종결되자 대규모 군축을 시행했다. "아퀼레이아", "브레시아", "고이토", "마멜리", "오로비카", "트리에스테", "비토리오 베네토" 여단과 많은 소규모 부대들이 해산되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으로 유럽의 안보 상황이 변화하면서 2013년 개혁은 중단되었다. 2019년 7월 1일, 육군은 공식적으로 2013년 개혁을 종료했다.[9]

이탈리아 육군은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을 돕기 위한 작전에 참여해 왔다. 또한, 볼차노/보젠 주(1967년), 사르데냐("포르차 파리스" 1992년), 시칠리아("시칠리아의 만종" 1992년), 칼라브리아(1994년)의 영토 관리를 위한 경찰 병력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현재는 미국에서 발생한 9.11 테러 이후 전국적으로 중요한 목표물과 장소를 보호하는 작전("오페라치오네 도미노")을 수행하고 있다.

육군은 UN, NATO, 다국적군의 후원 하에 해외 파병에도 참여하고 있는데, 레바논 베이루트(1982년), 나미비아(1989년), 알바니아(1991년), 쿠르디스탄(1991년), 소말리아(1992년), 모잠비크(1993년), 보스니아(1995년), 동티모르코소보(둘 다 1999년), 콩고민주공화국(2001년), 다르푸르(2003년), 아프가니스탄(2002년), 이라크(2003년), 레바논(2006년) 등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가 체결한 평화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는 전쟁 종전 후 25년 동안 해외 작전에 군대를 파병할 수 없었고, 고정익 함재기를 보유할 수도 없었다. 이 조약은 1970년에 만료되었지만, 이탈리아가 처음으로 외국 땅에 군대를 파병한 것은 1982년이었다.

이탈리아 육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규모 전투 작전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탈리아 특수부대는 '니비오' 특수임무부대의 일원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반탈레반 작전에 참여했다. 이탈리아는 1950년 한국 전쟁 당시에는 UN 회원국이 아니었다. 이탈리아는 1990~1991년 걸프 전쟁에 참전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에 이탈리아 공군의 판비아 토네이도 IDS 폭격기 8대를 배치하는 것에 그쳤다. 이후 이탈리아 육군 병력이 갈등 이후 북부 이라크쿠르드 난민들을 돕기 위해 배치되었다.

항구적 자유 작전의 일환으로 9·11 테러에 대응하여 이탈리아는 아프가니스탄의 국제 작전에 기여했다. 이탈리아군은 ISAF와 주재건팀에 병력을 제공했으며, 53명의 이탈리아 병사가 ISAF에서 사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apporto Esercito 2018 http://www.esercito.[...] Esercito Italiano 2019-04-25
[2] 서적 The first World War; An Illustrated History Hutchinson
[3] 서적 War without Hate: The Desert Campaign of 1940–1943 Penguin Books
[4] 서적 Iron Hulls, Iron Hearts; Mussolini's Elite Armoured Divisions in North Africa The Crowood Press
[5] 웹사이트 The Birth of AFSOUTH https://web.archive.[...] 2022-01-13
[6] 웹사이트 Chapter 9 http://www.nato.int/[...] NATO 2008-11-03
[7] 웹사이트 31 marzo 1972. Riordino degli Alti Comandi Militari http://legislature.c[...] Italian Parliament 2017-12-23
[8] 웹사이트 Notizie, Eventi – Esercito Italiano https://web.archive.[...] 2016-12-19
[9] 웹사이트 La Friuli diventa Vittorio Veneto http://www.esercito.[...] Italian Army 2019-08-12
[10] 웹사이트 A Lecce arriva il Reggimento "Cavalleggeri di Lodi" (15°) http://www.esercito.[...] Italian Army 2020-01-10
[11] 웹사이트 Comando Operativo delle Forze Terrestri https://www.esercito[...] Italian Army 2023-07-06
[12] 웹사이트 Cambio al vertice del COMFOTER https://www.esercito[...] Italian Army 2023-07-06
[13] 웹사이트 Military of Romania https://cia.gov/cia/[...]
[14] 뉴스 MoND Budget as of 2007 http://www.zf.ro/art[...] Ziarul Financiar 2006-10-30
[15] 서적 The first World War; An Illustrated History https://archive.org/[...] Hutchinson
[16] 서적 War without Hate: The Desert Campaign of 1940–1943 Penguin Books
[17] 서적 War without Hate: The Desert Campaign of 1940–1943 Penguin Books
[18] 웹사이트 The Birth of AFSOUTH https://web.archive.[...] 2022-01-13
[19] 웹사이트 Chapter 9 http://www.nato.int/[...] NATO 2008-11-03
[20] 웹사이트 31 marzo 1972. Riordino degli Alti Comandi Militari http://legislature.c[...] Italian Parliament 2017-12-23
[21] 웹사이트 Notizie, Eventi – Esercito Italiano https://web.archive.[...] 2016-12-19
[22] 웹사이트 La Friuli diventa Vittorio Veneto http://www.esercito.[...] Italian Army 2019-08-12
[23] 웹사이트 A Lecce arriva il Reggimento "Cavalleggeri di Lodi" (15°) http://www.esercito.[...] Italian Army 2020-01-10
[24] 웹사이트 Comando Operativo delle Forze Terrestri https://www.esercito[...] Italian Army 2023-07-06
[25] 웹사이트 Cambio al vertice del COMFOTER https://www.esercito[...] Italian Army 2023-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