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포항 스틸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포항 스틸러스는 1973년 포항제철 실업 축구단으로 창단하여 대한민국 프로 축구팀으로 발전했다. K리그1에서 5회 우승, FA컵에서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3회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 대한민국 최초의 축구 전용 구장인 포항스틸야드를 준공했고, 현재는 박태하 감독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의 스포츠 - 포항스틸야드
    포항스틸야드는 1990년 개장한 대한민국 최초의 축구 전용 경기장이자 K리그 포항 스틸러스의 홈 경기장으로, 지속적인 시설 개선을 통해 관람 환경을 개선해왔다.
  • 포항시의 스포츠 - 포항종합운동장
    포항종합운동장은 축구와 육상 경기가 가능한 20,000명 수용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이며, 과거 K리그 포항 스틸러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다.
  • 경상북도의 스포츠 - 김천 상무 FC
    김천 상무 FC는 대한민국 국군 체육 부대 축구팀으로, 병역 의무를 수행하는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K리그2에서 4번의 우승을 차지하고 2021년 김천시로 연고를 이전하여 김천종합운동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경상북도의 스포츠 -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는 1970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여자 프로 배구단으로, V-리그에서 2번의 우승과 4번의 준우승, KOVO컵에서 2011년 우승과 5번의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연고지는 김천시이고 홈 경기장은 김천실내체육관이다.
포항 스틸러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포항 스틸러스 엠블럼 (5개 별)
포항 스틸러스 엠블럼
풀 네임FC 포항 스틸러스
원래 이름Football Club Pohang Steelers (영어)
한국어 명칭포항 스틸러스 프로축구단 (한국어)
별칭강철전사, 스틸타카
약칭PHS
창단1973년 4월 1일
홈 구장포항스틸야드
수용 인원17,443명
소유주POSCO
회장신영권
감독박태하
리그K리그1
시즌2024
시즌 순위K리그1, 12개 팀 중 6위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클럽 컬러
색상빨간색, 검은색
유니폼
pattern_la1: _redhoops
pattern_b1: _redhoops
pattern_ra1: _redhoops
pattern_sh1:
pattern_so1: _hoops_black
leftarm1: FF0000
body1: 000000
rightarm1: FF0000
shorts1: 000000
socks1: FF0000
원정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우승 기록
K리그15회
FA컵6회
AFC 챔피언스리그3회

2. 역사

포항 스틸러스는 1973년 4월 1일 포항제철 축구단으로 창단되었다.[1][3] 초기에는 세미프로 구단이었으며, 1984년 프로로 전환하여 포항제철 돌핀스로 이름을 변경했다. 1985년에는 포항제철 아톰즈로 이름을 바꾸었고,[4] 1986년에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85년부터 1998년까지 K리그에서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했다.

1995년, 구단은 포항 아톰즈로 다시 이름을 변경했고, 1997년에는 현재의 이름인 포항 스틸러스로 확정했다. 1997년과 1998년에는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5]

2000년대 초반에는 하위권에 머물렀지만, 2004 K리그 챔피언십에서 전기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상위권으로 도약했다. 2004 시즌 최종 챔피언십 경기에서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게 승부차기 끝에 4-3으로 패했다.[6]

2007년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서는 성남 일화 천마를 꺾고 우승했다. 포항은 홈에서 열린 1차전에서 3-1로 이겼고, 성남에서 열린 2차전에서도 1-0으로 승리하며 종합 4-1로 우승을 차지했다. K리그 시즌을 5위로 마쳤지만, 플레이오프에서 경남 FC, 울산 현대 호랑이,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성남 일화 천마를 차례로 꺾었다.[7]

2008 시즌에도 5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울산 현대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하지만 2008 대한민국 FA컵에서는 경남 FC를 꺾고 우승하며 2009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8]

2009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포항은 움 살랄을 종합 4-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9]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알 이티하드를 2-1로 꺾고 우승했다.[10] 2009 K리그 시즌에는 정규 시즌을 2위로 마쳤지만, 플레이오프 준결승에서 성남 일화 천마에게 패했다.[11] 2009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아틀란테를 승부차기 끝에 4-3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2]

2013년에는 K리그 클래식과 대한민국 FA컵에서 모두 우승하며 2관왕을 달성했다.

2. 1. 창단과 전성기 (1973~1998)

1973년 4월 1일 포항제철의 실업 축구단으로 창단하여 5월 2일 대한축구협회에 선수 등록을 완료하였다.[17] 창단 멤버는 이회택 등 총 13명이었고, 초대 감독은 한홍기가 맡았다. 창단 후 전국실업축구연맹전에 참가하였다. 창단 이듬해에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결승전에서 성균관대학교를 꺾고 우승하였고, 창단 2년만인 1975년에는 춘계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1년 추계 대회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였고, 1982년 연중 리그로 개편된 코리언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당시 실업축구 자체는 연고지 제도가 없었지만 창단후부터 구단 주관 친선경기 등을 대구포항 등에서 개최하며[18][19] 대구경북 지역을 대표하는 축구단으로 자리매김해 나가기 시작했다.

1983 시즌을 앞두고 새롭게 개편된 실업축구 코리언리그가 연고지 제도 도입을 계획하면서 포항시를 연고지로 채택하였다.(실제 연고지제가 시행되지는 않음)[20] 그러나 1983년 출범한 프로축구 수퍼리그가 코리언리그 우승 팀인 포항제철을 리그로 끌어들였고, 수퍼리그의 원년 멤버로 가입하였다. 그리고 수퍼리그는 광역연고지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대구경북 전체를 연고지로 하였고, 프로리그 가입에 맞추어 포항제철 돌핀스라는 이름으로 1983 시즌에 참가하였다. 1984년 2월에 프로 축구단으로 전환했고, 1985년에는 클럽 명칭을 포항제철 아톰즈로 변경하였다. 1985 시즌을 앞두고 12년 간 감독직을 수행해오던 한홍기가 부단장으로 승격하였고, 최은택이 2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그리고 1986년 축구대제전에서 우승함으로써 처음으로 프로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1년 만에 최은택 감독이 한양대학교 교수로 복귀하면서 이회택이 3대 감독으로 취임하였다. 1988 시즌에 리그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1990년 대한민국 최초로 축구 전용 구장인 포항스틸야드를 준공하였다. 1990년 11월 10일 고려대학교 축구부와 개장 기념 경기를 가졌고, 1991 시즌부터 홈 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1992 시즌에는 4년 만에 세 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

1993년에는 프로스펙스, 1994년부터 1995년까지는 조선맥주(하이트)와 유니폼 광고계약을 맺기도[21] 했으며 1995년 5월 29일 ㈜포항프로축구라는 이름의 독립 법인으로 출범하였고, 아톰 캐릭터 저작권 문제로 1997년 현재의 명칭인 포항 스틸러스로 변경하였다. 한편 1996 시즌 외국인 선수 라데는 한국 프로 축구 최초로 10골 10도움을 달성하며 10-10 클럽에 가입하였고, 1997년과 1998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2회 연속 우승, 대한민국 최초 프로 통산 200승을 달성하는 등 전성기를 맞았다.

시즌디비전FA컵챔피언십
리그경기득점실점승점순위
1983K리그4위-대회 없음
1984K리그전반기 6위
후반기 3위
-자격 없음
1985K리그2위-대회 없음
1986K리그전반기 1위
후반기 5위
-우승
1987K리그2위-대회 없음
1988K리그1위-대회 없음
1989K리그4위-대회 없음
1990K리그3위-대회 없음
1991K리그-대회 없음
1992K리그1위-대회 없음
1993K리그4위-대회 없음
1994K리그3위-대회 없음
1995K리그전반기 3위
후반기 1위
-준우승
1996K리그전반기 2위
후반기 3위
우승자격 없음
1997K리그4위준결승 탈락대회 없음
1998K리그3위준결승 탈락3위


2. 2. 하락기와 파리아스 감독 부임 (1999~2006)

2000 시즌에는 주전 골키퍼 조준호가 시즌 도중 부상으로 컨디션이 회복되지 않아 골문이 취약해져 10개 팀 중 9위에 그치는 부진을 겪었다.[22] 부진의 여파로 박성화 감독이 자진 사임하였고, 2군 감독이었던 최순호가 감독 대행으로 포항을 이끌었다. 다음 해 초 울산 현대 주전 골키퍼 김병지를 영입했는데, 주전급 골키퍼 영입은 1992년 차상광 이후 처음이었다.[23][24]

이듬해에도 포항은 5위에 그쳤으나, 최순호는 6대 감독으로 정식 부임하였고, FA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2003 시즌을 앞두고 명가재건을 외치며 대폭 물갈이를 하였다. 최순호 감독을 제외한 코칭 스태프를 교체하였고, 홍명보, 하석주, 이동국, 이싸빅 등이 떠난 자리는 우성용, 이민성, 김기동 등으로 채웠다.[25] 그러나 시즌 초까지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며 11위까지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시즌 중반이 지나자 살아난 조직력을 바탕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최종 7위로 시즌을 마쳤다. 지난 시즌 후반기의 상승세를 이어 2004 시즌에도 초반부터 1위를 고수하며 결국 전기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지만, 후기 리그 결과에 상관 없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됨에 따라 특별한 동기부여가 사라지면서 후기 리그에선 꼴찌를 기록하였다. 플레이오프 준결승에서 울산 현대 호랑이를 1-0으로 꺾고 결승전에 진출하였으나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게 승부차기 끝에 패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한편 문민귀신인왕에 올랐고, 5년 동안 팀을 이끌었던 최순호 감독은 시즌 종료 후 사임하였다.

최순호의 후임으로 브라질 출신의 세르지우 파리아스가 새로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창단 이후 최초의 외국인 감독이었다. 파리아스 데뷔 시즌에 포항은 통합 5위에 그쳤으나, 파리아스의 공격 축구에 팬들은 만족을 표하였다. 또, 시즌 후반기인 11월에는 프로 구단 사상 최초로 1천 호 골을 터뜨리는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을 세운 선수는 수비수 이정호였다.

2. 3. 네 번째 우승과 아시아 정복 (2007~2010)

2007년 K리그는 포스트시즌 제도가 확대 개편되어 정규리그 6위까지 플레이오프 진출이 가능해졌다. 포항은 정규리그 5위로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 경남 FC울산 현대를 차례로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2006년 자신들을 좌절시켰던 수원따바레즈의 프리킥과 박원재의 백헤딩 결승골로 1-0으로 꺾고 챔피언결정전에 진출, 정규리그 1위 성남 일화 천마와 맞붙었다. 포항은 챔피언결정전 1차전 홈 경기에서 박원재, 고기구, 이광재의 골로 3-1 완승을 거두었고, 2차전 원정 경기에서도 슈벵크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합계 4-1로 15년 만에 K리그 정상에 올랐다. 이 우승으로 2008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도 획득했다. FA컵 결승에도 진출했지만, 전남 드래곤즈에 패하며 더블 달성에는 실패했다.[7]

2008년, AFC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했으나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리그컵에서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고, K리그 2008에서도 울산에 승부차기로 패하며 K리그 2연패에 실패했다. 그러나 FA컵에서 경남 FC를 2-0으로 꺾고 12년 만에 우승하며 2009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했다.[8]

2009년 9월 13일,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8-1 대승을 거두며 K리그 한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 이 기세를 몰아 피스컵 코리아 2009 결승 2차전에서 부산 아이파크를 꺾고 우승했다.

2009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조별 예선을 무패로 통과, 16강전에서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를 최효진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6-0으로 대파했다. 8강에서 부뇨드코르를, 준결승에서 움 살랄 SC을 꺾고 결승에 진출, 일본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알이티하드를 2-1로 꺾고 통산 3번째 아시아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9][10]

FIFA 클럽 월드컵 6강전에서 데닐손의 2골로 TP 마젬베를 2-1로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에스투디안테스에 1-2로 패했다. 이 경기에서 심판 판정 논란으로 신화용, 김재성, 황재원이 퇴장당하고 데닐손이 골키퍼 장갑을 끼는 해프닝도 있었다. 3, 4위 결정전에서는 아틀란테 FC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3위를 차지했다. 데닐손은 4골로 득점왕에 올랐다.[12]

클럽 월드컵 이후 세르지우 파리아스 감독이 알아흘리로 이적하며 논란이 있었고, 포항은 2010년 와우데마르 레모스 감독을 선임했다. 구정컵 국제축구대회에서 우승했지만, K리그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자 레모스 감독을 경질하고 박창현 수석코치 체제로 전환했다. 세르지우 파리아스 감독 재영입설이 있었으나 박창현 수석코치가 감독 대행을 맡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26]

2. 4. 황선홍 감독의 '스틸타카' (2011~2015)

부산 아이파크 감독이었던 황선홍이 2010년 11월 8일 포항 스틸러스의 새로운 감독으로 부임하였다.[27] 2011 시즌에는 아사모아슈바 외에는 특별한 선수 보강 없이 리그 2위를 기록했지만, 울산과의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였다.

2012 시즌 초반에는 부진했으나, 6월 이후 선수 세대 교체와 포항 특유의 패스 축구가 살아나며 FA컵 2012 우승과 정규리그 3위를 달성하였다. 이명주K리그 신인선수상을 수상했고, 황진성은 40-40 클럽에 가입하였다.

2013 시즌에는 모기업 포스코의 재정 악화로 외국인 선수 없이 국내 선수로만 팀을 운영하였다. 유스 출신 선수들의 활약과 '스틸타카' 전술로 FA컵 2013과 K리그 클래식 2013에서 모두 우승하며 K리그 최초로 더블을 달성하였다.[28][29] 고무열K리그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고, 황선홍 감독은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하였다.[30]

2014 시즌에는 황진성 등이 팀을 떠났지만, 이명주김승대의 활약으로 AFC 챔피언스리그 8강에 진출하였다. 하지만 이명주의 이적 이후 후반기에 부진하며 리그 4위로 마감하였다. 김승대K리그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하며 포항은 3년 연속 영플레이어상 수상자를 배출하였다.[31]

2015 시즌에는 외국인 선수들을 다시 영입했지만, 김재성 등이 팀을 떠났다. 신진호의 복귀 이후 팀 분위기가 반전되어 15경기 무패(9승 6무)를 기록하며 리그 3위로 시즌을 마쳤다. 황선홍 감독은 시즌을 끝으로 포항 감독직에서 물러났으며, 포항에서의 리그 통산 99승을 기록하였다.

2. 5. 위기와 재도약 (2016~2019)

최진철 감독은 김승대, 고무열, 신진호, 조찬호, 김태수 등 주축 선수들이 대거 이탈하고 양동현조수철만 영입된 상황에서 K리그 클래식 3위를 목표로 부임했지만, 주축 선수들의 부상과 팀 부진으로 리그 10위까지 처졌고, 2016 ACL에서도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32] 외국인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며 분위기 반전을 노렸으나 성적은 더욱 하락했고, 결국 2016년 9월 24일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진 사임했다.[33]

이후 2016년 9월 26일, 포항 6대 감독이었던 최순호 감독이 12년 만에 복귀했고, 김기동이 수석 코치로 합류했다.[34] 최순호 감독은 부임 첫 경기인 성남 FC전에서 4-1 대승을 거두었으나, 이후 하위 스플릿 4경기에서 2무 2패를 기록하며 강등 위기에 놓였다. 하지만 시즌 마지막 경기인 성남전에서 양동현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최종 9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 6. 김기동 감독 시대와 FA컵 우승 (2019~)

2019년 4월, 김기동 감독이 부임했다.[37] 김기동 감독은 2019시즌 하위권으로 내려앉은 포항을 잘 추스려 팀을 상위 스플릿으로 올리는 데 성공시켰다.

2020시즌에는 새로 영입된 일류첸코, 팔로세비치의 활약에 상위권으로 치고 나왔으며 3위를 기록해 차기 시즌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에 성공했다. 이와 같은 공로로 김기동 감독은 2020시즌 K리그 감독상을 수상했다.

2021시즌을 앞두고 일류첸코, 팔로세비치, 김광석과 같은 팀 내 주축 선수들을 떠나보냈다. 그럼에도 새로 영입된 임상협, 신진호 등이 좋은 활약을 보여주어 중위권을 유지하였다. 여름 이적시장에서 팀 내 에이스인 송민규를 전북에 넘기며 논란이 있었지만[38] 새로 영입한 박승욱 등이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정규 리그 종료 후 파이널 B로 떨어졌지만 강등권과의 승점을 벌리는 데 성공하면서 조기에 K리그1 잔류를 확정시켰다.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도 순항은 계속되어 나고야 그램퍼스, 울산 현대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하지만 결승에서 알힐랄 SFC에 패배하면서 준우승에 머물렀다.

2023 시즌에는 창단 50주년을 맞아 FA컵에서 전북을 무너뜨리고 10년 만에 우승을 차지하였다.

2. 7. 박태하 감독 시대 (2023~)

2023년 12월 15일, 김기동 감독이 FC 서울로 자리를 옮기면서, 포항 스틸러스는 과거 팀의 원클럽맨이자 한국프로축구연맹 기술위원장을 지낸 박태하를 신임 감독으로 선임하였다.[37]

3. 스틸러스 웨이


  • Playing Time을 5분 이상 더 많이 뛰겠습니다.
  • 깨끗한 경기 매너를 꼭 지키겠습니다.
  • 심판의 권위를 존중하며 판정을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
  • 포항 스틸러스 선수로서 자부심을 가지겠습니다.

이 방안은 구단 내부뿐만 아니라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41] 팬들의 재미를 추구한다는 점은 프로축구팀의 공통적인 목표이므로 다른 구단에까지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컸고, 2009 리그컵 우승과 K리그 3위, 특히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통해 포항 스틸러스만의 운영 방식인 스틸러스 웨이가 크게 주목받았으며, 경기의 재미 측면에서는 많은 향상이 이루어졌다는 평가가 많았다.[42] 객관적인 통계치로 2009년 9월 기준 2008 시즌에 대비해 평균 관중 1만 1000명은 1만 4000명으로 늘었고 승률도 52%에서 71%까지 증가했다. 득점은 2.19골로 0.6골이 올랐고, 실점은 1골로 0.7골 줄었다.[43]

2010 시즌에는 연맹 자체에서 스틸러스 웨이를 본뜬 '''5분 더 캠페인'''을 전 구단에 선포하며 스틸러스 웨이의 영향력을 실감하게 하였다.

4. 역대 감독

번호감독재임 기간주요 우승 기록
1韓洪基|한홍기한국어1973년 5월 2일 ~ 1984년 11월 29일
2崔殷澤|최은택한국어1984년 11월 29일 ~ 1986년 12월 16일1986 K리그
3이회택1986년 12월 16일 ~ 1992년 12월 31일1988 K리그, 1992 K리그
감독 대행김순기, 金哲洙|김철수 (축구 선수)한국어1989년
감독 대행曺允玉|조윤옥한국어1989년 ~ 1990년
4허정무1993년 ~ 1995년 11월 25일1993 리그컵
감독 대행김순기1994년
5박성화1995년 12월 12일 ~ 2000년 7월 31일1996 FA컵, 1996-97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7-98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6최순호2000년 8월 1일 ~ 2004년 12월 5일
7Sergio Farias|세르지우 파리아스pt2005년 1월 6일 ~ 2009년 12월 20일2007 K리그, 2008 FA컵, 2009 리그컵, 2009 AFC 챔피언스리그
8Waldemar Lemos|발데마르 레모스pt2010년 1월 8일 ~ 2010년 5월 10일
감독 대행박창현2010년 5월 11일 ~ 2010년 11월 7일
9황선홍2010년 12월 13일 ~ 2015년 11월 29일2012 FA컵, 2013 FA컵, 2013 K리그 클래식
10최진철2015년 12월 28일 ~ 2016년 9월 24일
11최순호2016년 9월 26일 ~ 2019년 4월 22일
12김기동2019년 4월 23일 ~ 2023년 12월 14일2023 FA컵
13박태하2023년 12월 15일 ~ 현재2024 FA컵


5. 선수



2024년 3월 11일 현재 포항 스틸러스의 선수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선수 국적은 FIFA 규정에 따른다.

감독은 박태하이다.

5.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3월 11일 기준 포항 스틸러스 선수 명단이다.[13]

등번호포지션이름비고
1GK윤평국
2DF어정원
3DF이동희
4DF전민광
5DF아스프로
6MF김종우
7FW김인성
8MF오베르당
9FW조르지
10MF백성동
11MF조성준
12DF김륜성
13MF윤석주
14FW허용준
15MF이규민
16MF한찬희
17DF신광훈
18FW강현제
19MF윤민호
20DF박찬용
21GK황인재
22MF김규형
23DF이동협
26MF조재훈
27FW정재희
28MF김정현
29FW박형우
30FW윤재운
32GK이승환
33FW이호재
34DF이규백
37MF홍윤상
41GK강성혁
55DF최현웅
66MF김준호
70MF황서웅
77FW완데르손
88MF김동진
89FW김명준
90MF김동민
박태하 감독


5. 2. 임대 및 군 복무 선수

포지션이름비고
DF박승욱김천 상무 복무
DF박찬용김천 상무 복무
MF김준호김천 상무 복무
FW박수빈CD 레가네스 임대
GK강현무김천 상무 복무
MF조재훈전남 드래곤즈 임대


6. 우승 기록

6. 1. 국내 대회


우승 횟수우승 연도
51986, 1988, 1992, 2007, 2013



준우승 횟수준우승 연도
51985, 1987, 1995, 2004, 2023


  • '''한국실업축구연맹전'''

우승 횟수우승 연도
51975년 봄, 1981년 가을, 1982년, 1986년 가을,[14] 1988년 가을[14]



준우승 횟수준우승 연도
21977년, 1989년 봄[14]


  • '''FA컵'''

우승 횟수우승 연도
61996, 2008, 2012, 2013, 2023, 2024



준우승 횟수준우승 연도
32001, 2002, 2007


  • '''리그컵'''

우승 횟수우승 연도
21993, 2009



준우승 횟수준우승 연도
21996, 1997s


준우승 횟수준우승 연도
21977, 1985[14]


우승 횟수우승 연도
11974



준우승 횟수준우승 연도
11989[14]



시즌리그순위FA컵
19831부54
19841부85
19851부82
19861부61
19871부52
19881부51
19891부64
19901부63
19911부63
19921부61
19931부64
19941부73
19951부82
19961부93우승
19971부104준결승
19981부103준결승
19991부10516강
20001부1098강
20011부105준우승
20021부106준우승
20031부1278강
20041부13232강
20051부1358강
20061부14316강
20071부141준우승
20081부145우승
20091부1538강
20101부15916강
20111부163준결승
20121부163우승
20131부141우승
20141부12416강
20151부1238강
20161부12932강
20171부12732강
20181부12432강
20191부12432강
20201부123준결승
20211부1298강
20221부1238강
20231부122우승
20241부126우승


  • '''K리그1 우승''' ----------: 1986, 1988, 1992, 2007, 2013
  • '''FA컵 우승''' ------------: 1996, 2008, 2012, 2013, 2023, 2024
  • '''리그컵 우승''': 1993, 2009

6. 2. 국제 대회

포항 스틸러스는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1996-97, 1997-98, 2009년에 우승하여, 총 3회 우승을 기록했다.[1] 모든 결과는 포항의 득점 수를 먼저 표시한다.

시즌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2008E조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0–20–13위
베카멕 빈즈엉0–04–1
창춘 야타이2–20–1
2009H조 센트럴 코스트 매리너스3–20–01위
가와사키 프론탈레1–12–0
톈진 터다1–00–0
16강 뉴캐슬 제츠6–0colspan="2"|
8강 분요드코르4–11–35–4
준결승 움 살랄2–02–14–1
결승 알이티하드2–1
2010H조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0–00–12위
산프레체 히로시마2–13–4
산둥 루넝1–02–1
16강 가시마 앤틀러스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DFFDD;"| 1–0
8강 조브 아한1–11–22–3
2012플레이오프 촌부리2–0colspan="2"|
E조 감바 오사카2–03–03위
분요드코르0–20–1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1–00–1
2013G조 베이징 궈안0–00–23위
분요드코르1–12–2
산프레체 히로시마1–11–0
2014E조 세레소 오사카1–12–01위
부리람 유나이티드0–02–1
산둥 루넝2–24–2
16강 전북 현대 모터스1–02–13–1
8강 FC 서울0–00–00–0
2016플레이오프 하노이 FC3–0colspan="2"|
H조 광저우 헝다0–20–04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1–01–1
시드니 FC0–10–1
2021G조 라차부리 미트르 폴2–00–02위
나고야 그램퍼스1–10–3
조호르 다룰 타짐4–12–0
16강 세레소 오사카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DDFFDD;"| 1–0
8강 나고야 그램퍼스3–0
준결승 울산 현대1–1
결승 알 힐랄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FDDDD;"| 0–2
2023-24J조 하노이 FC4–22–01위
우한 싼전3–11–1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2–12–0
16강 전북 현대 모터스1–10–21–3


6. 3. 친선 대회

(내용 없음)

7. 클럽 관련 정보

1973년 포스코(구 포항 제철) 축구단을 모체로 창단된 포항 스틸러스는 포항 스틸야드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며, 유니폼 색상은 빨간색과 검은색이다. AFC 챔피언스리그를 포함해 아시아 클럽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우승했으며, 2009년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포항 스틸러스는 엠블럼을 여러 차례 변경했다. 초기에는 단순한 디자인으로 시작하여, 돌고래, 우주소년 아톰 캐릭터를 거쳐 현재의 빨간색 S자 형상 엠블럼에 이르렀다. 유니폼 또한 주황색, 검은색과 빨간색 가로줄 무늬, 황금색, 파란색 계통을 거쳐 현재의 검은색과 빨간색 조합으로 변화했다.

포항 스틸러스의 마스코트는 '쇠돌이'와 '쇠순이'이다. 2017년에 도입된 쇠돌이는 강철 몸체와 파도 모양 머리, 승리의 V자가 새겨진 이마를 가진 반인반로봇 소년이다. 2018년에는 쇠돌이의 짝으로 강철 심장을 가진 걸 크러시 매력의 반인반로봇 소녀 '쇠순이'가 추가되었다.

포항 스틸러스의 역대 유니폼 스폰서는 다음과 같다.

키트 공급업체기간
아디다스1984–1987, 1990–1992
프로스펙스1987–1989, 1993–1995
아디다스1996–2001
디아도라2002
푸마2003–2005
카파2006–2012
Atemi2013–2014
험멜2015–2016
Astore2017–2020
푸마2021–현재


7. 1. 경기장

포항스틸야드는 포항 스틸러스의 홈 경기장이다. 1973년 포스코(구 포항 제철) 축구부를 모체로 창단한 포항 스틸러스는 포항스틸야드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유니폼 색상은 빨간색과 검은색이다.

7. 2. 클럽하우스

포항시 북구 송라면에 클럽하우스가 위치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이며, 천연잔디 2면과 인조잔디 2면의 연습구장을 갖추고 있다. 이곳은 한국 최초로 준공된 프로축구단의 클럽하우스이다.[44]

7. 3. 엠블럼

포항 스틸러스의 엠블럼은 크게 6번 바뀌었는데, 첫 번째 엠블럼은 매우 단순하게 동그란 검정 바탕의 문장 가운데 황금색 알파벳 S를 상징적으로 그려 넣었다. 1984년 2월 포항제철 돌핀스로 팀 명칭을 변경하면서 처음으로 엠블럼을 교체하였는데, 축구공을 마스코트인 돌고래가 감싸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하였고 축구공 가운데에는 S를 삽입하였다.

1985년 2월 포항제철 아톰즈로 팀 명칭을 변경하면서 만화 캐릭터 우주소년 아톰의 모습을 그대로 엠블럼에 사용하였다. 이는 저작권 문제로 팀 명칭이 바뀔 때까지 유지되었다. 1997년 1월 포항 스틸러스로 팀 명칭을 변경하고 마스코트를 새로 제작하면서 구단 이미지를 연청색으로 표시하고, 포항의 푸른 바다와 머리에 승리를 의미하는 V자를 새겨 명문 구단으로 도약하겠다는 뜻을 담았다. 그 후 방패 모양의 엠블럼으로 변경했고, 다시 한번 빨간색 S자를 형상화한 현재의 엠블럼으로 변경되었다.

7. 4. 유니폼

K리그 참가 이전까지 포항제철은 주황색의 단순한 유니폼을 입었다. 1982년부터 검은색, 빨간색의 가로줄 무늬가 등장했으며 1994년까지 사용되었다. 1995년에는 잠시 동안 황금색 유니폼을 입었다가, 1996년부터 1998년까지 파란 계통의 색깔을 사용하였다. 1999년에 들어서 검은색과 빨간색이 전통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94년, 포항 아톰스는 녹색 유니폼과 중앙에 여러 색깔의 해가 그려진 흰색 유니폼을 착용했다. 1997년, 포항 스틸러스는 어깨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는 흰색 상의와 검은색 반바지를 착용했다. 2000년, 홈 유니폼은 하늘색 상의와 흰색 반바지로 구성되었고, 원정 유니폼은 검은색 반바지와 함께 검정색과 붉은색 줄무늬 상의(현재 유니폼과 유사)였다. 2002년 유니폼은 가슴에 검은색 "V"자가 있는 빨간색 유니폼이었다.

키트 공급업체기간
아디다스1984–1987, 1990–1992
프로스펙스1987–1989, 1993–1995
아디다스1996–2001
디아도라2002
푸마2003–2005
카파2006–2012
Atemi2013–2014
험멜2015–2016
Astore2017–2020
푸마2021–현재


7. 5. 마스코트

포항 스틸러스의 마스코트는 '쇠돌이'와 '쇠순이'이다.

2017년, 포항 스틸러스는 '쇠돌이' 마스코트를 도입했다. 쇠돌이는 강철 몸체, 포항의 푸른 바다를 상징하는 파도 모양 머리, 이마에 새겨진 승리의 V자가 특징이다. 시크한 표정과 용광로처럼 뜨거운 심장을 가진 반인반로봇 소년이다. 쇠돌이 디자인은 1997년 엠블럼에 있던 마스코트를 복원한 것이며, 상징 색상은 시안 블루이다.

2018년에는 쇠돌이의 짝 '쇠순이' 마스코트가 추가되었다. 쇠순이는 깜찍하고 발랄하지만 강철 심장을 가진 걸 크러시 매력의 반인반로봇 소녀이다. 쇠순이 디자인은 쇠돌이를 약간 수정했으며, 상징 색상은 검정, 빨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hang Steelers: 50 Years of Footballing Heritage https://www.the-afc.[...] 2023-04-01
[2] 뉴스 포항스틸러스, AFC 예선 히로시마전 아쉬운 무승부 http://www.nocutnews[...] 2021-02-06
[3] 웹사이트 South Korea – Foundation Dates of Clubs https://www.rsssf.or[...] 2021-11-24
[4] 웹사이트 ko:역대 클럽 엠블렘 & 마스코트 변천사 http://www.steelyard[...] 2020-12-16
[5] 웹사이트 Asian Champions' Cup https://www.rsssf.or[...] 2021-11-24
[6] 웹사이트 South Korea 2004 https://www.rsssf.or[...] 2021-11-24
[7] 웹사이트 South Korea 2007 https://www.rsssf.or[...] 2021-11-24
[8] 웹사이트 South Korea 2008 https://www.rsssf.or[...] 2021-11-24
[9] 웹사이트 East to meet West in AFC final https://www.fifa.com[...] 2009-12-21
[10] 웹사이트 Pohang book UAE berth https://www.fifa.com[...] 2009-12-21
[11] 웹사이트 Asian champions Pohang go down to Seongnam http://www.the-afc.c[...] 2011-07-02
[12] 웹사이트 Pohang penalty joy http://soccernet.esp[...] 2009-12-21
[13] 웹사이트 STEELERS PLAYER – ALL https://www.steelers[...] Pohang Steelers 2023-03-07
[14] 문서
[15] 웹사이트 India – D.C.M. Trophy https://www.rsssf.or[...] 2021-12-19
[16] 웹사이트 D.C.M. Trophy – List of Finals (1988) https://www.rsssf.or[...] 2022-03-07
[17] 뉴스 포항제철 축구팀 창단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3-05-03
[18] 뉴스 新日本製鐵(신일본제철) 축구來韓(내한) 浦項製鐵(포항제철)과 親善(친선)게임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73-07-03
[19] 뉴스 浦項製鐵(포항제철)축구팀 브라질 프로蹴球(축구)팀 招請(초청)경기 14日(일)부터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1-05-13
[20] 뉴스 實業(실업)축구도 운영은 프로처럼… 본거지제도 채택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2-12-15
[21] 뉴스 "<프로축구소식> 포철 조선맥주와 유니폼 광고계약 체결"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19-12-08
[22] 뉴스 골키퍼 김병지, 포항으로 이적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4-09-24
[23] 뉴스 골키퍼 김병지, 포항으로 이적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4-09-24
[24] 뉴스 스포츠 게시판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4-09-24
[25] 뉴스 '명가 재건', 포항 스틸러스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03-04-09
[26] 뉴스 파리아스 "포항 부르면 가겠다"..포항 "올해는 박창현 감독대행 체제" https://news.naver.c[...] 스포츠조선 2010-05-14
[27] 뉴스 황선홍, 포항 감독 확정 http://sports.media.[...] 스포츠조선 2010-11-08
[28] 뉴스 "'스틸타카' 포항, 승부차기 끝에 전북 꺾고 FA컵 우승" http://sports.news.n[...] 마이데일리 2013-10-19
[29] 뉴스 "포항, 극적인 더블 달성…2013 K리그 클래식 우승" http://sports.news.n[...] 마이데일리 2013-12-01
[30] 뉴스 포항, 6개 부문 휩쓸었다…2013 K리그 대상 시상식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013-12-04
[31] 뉴스 "'영플레이어상' 김승대 \"포항의 3년 연속 수상, 뿌듯하다\"" http://sports.news.n[...] 조이뉴스24 2014-12-01
[32] 뉴스 "[오피셜] 포항, 새사령탑에 최진철 감독 선임...2년 계약" http://sports.news.n[...] 인터풋볼 2015-11-23
[33] 뉴스 최진철, 광주전 마치고 자진사퇴 http://sports.news.n[...] Osen
[34] 뉴스 포항, 최순호 감독 선임…김기동 코치 합류 http://sports.news.n[...] MK스포츠
[35] 뉴스 포항스틸러스 서포터즈 12년만에 감독 퇴진 운동 추진? http://m.sports.nave[...]
[36] 뉴스 최순호 감독 출사표 "날 반대한 이들이 '아니었구나' 느끼게 해야지" http://sports.news.n[...] 스포츠서울 2016-09-30
[37] 뉴스 ‘K리그 철인’ 김기동, 포항 새 사령탑 부임 https://www.joongang[...]
[38] 뉴스 송민규 ‘이적 후’ 포항 현장… 팬들 뿔났다 https://www.goal.com[...]
[39] 뉴스 Daum 스포츠 http://sports.media.[...]
[40] 뉴스 Sportsseoul.com - 축구 - 기사내용 - 포항 '스틸러스 웨이' 새 패러다임 제시하다 http://www.sportsseo[...]
[41] 뉴스 NO.1 뉴미디어 마이데일리 http://www.mydaily.c[...]
[42] 뉴스 Sportsseoul.com - 축구 - 기사내용 - [터치라인] 포항 '스틸러스 웨이'의 진화 http://www.sportsseo[...]
[43] 뉴스 스포츠동아-[사커피플] “박지성 넘어설 ‘K리그 희망’ 봤죠”] http://sports.donga.[...]
[44] 웹인용 포항스틸러스 클럽하우스 https://www.steeler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