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폰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 《폰》은 원조교제 기사를 쓴 기자가 협박에 시달리다 친구 부부의 별장으로 피신하지만, 그곳에서 의문의 전화와 연관된 사건에 휘말리는 공포 영화이다. 주인공 서지원은 바뀐 번호로 걸려오는 전화와 관련된 과거 실종 사건을 조사하며, 친구 호정과 남편 창훈, 그리고 죽은 여고생 진희를 둘러싼 비밀을 파헤친다. 2002년 개봉하여 흥행에 성공했으며, 미국에서 리메이크 판권이 구매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휴대 전화를 소재로 한 영화 - 더 폰
    《더 폰》은 아내의 죽음 1년 후 아내로부터 전화를 받은 변호사가 과거와의 소통을 통해 아내를 살리려 하지만 살인 용의자가 되고 사건 배후의 인물과 대결하는 스릴러 영화이다.
  • 휴대 전화를 소재로 한 영화 - 핸드폰 (영화)
    핸드폰은 2009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스릴러 영화로, 분실된 핸드폰을 되찾으려는 매니저가 겪는 사건들을 다루며, 배우 박용우, 엄태웅 등이 출연하고 인도에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공포 영화 - 파닥파닥
    2012년 개봉한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파닥파닥》은 횟집 수족관에 갇힌 고등어의 탈출기를 통해 자유와 억압 등 철학적 주제를 다루며 한국 사회의 부조리한 현실을 풍자하고 억압적인 시스템에 대한 저항 의식을 고취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공포 영화 - 괴물 (2006년 영화)
    괴물 (2006년 영화)은 주한미군의 유해물질 방류로 한강에 나타난 괴생물체에 맞서 딸을 구하려는 가족의 사투를 그린 봉준호 감독의 영화로, 가족애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아 한국 영화 역대 최다 관객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 대한민국의 미스터리 영화 - 그때 그사람들
    2005년 개봉한 임상수 감독의 블랙 코미디 영화 《그때 그사람들》은 10·26 사건을 소재로 권력의 암투와 허망함을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 초청되었으나 법정 공방을 겪었다.
  • 대한민국의 미스터리 영화 - 4인용 식탁
    인테리어 디자이너 정원이 타인의 트라우마를 보는 능력을 지닌 정연을 만나 어린 시절 트라우마와 죄책감으로 인한 비극적인 사건의 진실을 추적하는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 《4인용 식탁》은 이수연 감독이 시체스 영화제와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폰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폰 포스터
극장 포스터
원제
로마자 표기Pon
영어 제목The Phone
감독안병기
제작자안병기
각본가안병기
이유진
출연하지원
김유미
음악이상호
촬영문용식
편집박순덕
제작사토일렛 픽쳐스
배급사브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
개봉일2002년 7월 26일
상영 시간103분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흥행 수익2,170만 미국 달러
장르
장르공포
미스터리
스릴러

2. 줄거리

취재기자 서지원은 원조교제 기사를 쓴 후 협박 전화에 시달린다. 이에 서지원은 전화번호를 바꾸고 친한 친구인 호정과 그의 남편 창훈의 권유로 부부의 별장에 잠시 몸을 숨긴다. 하지만 바뀐 번호(011-9998-6644)로도 발신자 표시 제한 전화가 계속 걸려온다.

어느 날, 호정의 딸 영주가 지원의 전화를 받고 이상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지원은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고, 이전 번호 사용자들 또한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지원은 이전 번호의 소유자였던 진희의 실종 사건을 조사하던 중, 진희의 어머니를 통해 진희와 진희의 친구 상미의 사진을 발견한다. 진희의 유령에 시달려 스스로 눈과 귀를 멀게 한 상미는 진희가 실종 전 "월광 소나타"를 연주하며 연상의 남자에게 맹목적인 사랑을 했다고 말한다.

조사 결과, 진희의 연인은 창훈이었고, 진희는 창훈의 아이를 임신했음에도 버려졌다. 창훈이 진희의 실종과 관련 있다고 믿은 지원은 그를 추궁하고, 영주가 진희의 유령에 씌어 사고를 당한다. 지원은 집 벽 안에서 진희의 시신을 발견하고, 창훈에게 진실을 듣게 된다.

사실 호정은 진희와의 관계를 알고 진희를 찾아가 다투다 우발적으로 살해했다. 호정은 진희의 시신을 벽에 숨기고, 지원에 대한 질투심으로 창훈을 살해하고 자살로 위장한다.

호정은 집을 불태우려 하지만, 진희의 유령이 나타나 호정을 죽이고 지원을 구한다. 영화는 지원이 저주받은 휴대전화를 바다에 던지는 것으로 끝이 나지만, 물속에서 전화벨이 울린다.

3. 등장인물


: 본작의 주인공으로 잡지 기자이다. 원조교제 기사를 쓰고 협박 전화에 시달리던 중 호정의 남편인 창훈의 권유로 별장에 들어가게 되지만, 그날부터 불가사의한 일에 휘말린다. 애차는 르노삼성 SM5(1세대 전기형 6기통)이다.
: 학생 시절부터 지원의 절친이자 창훈의 아내이다. 외동딸 연주가 있지만, 불임이었기 때문에 지원이 난자를 제공하여 얻은 생명이다.
: 호정의 남편이자 은주의 아버지이다.
: 이변 조사에서 떠오른 행방불명된 여고생. 처음에는 남자친구가 생기면 자랑하는 쾌활한 성격이었지만 어느 날을 기점으로 차가운 성격으로 변해버렸다.
: 호정과 창훈의 딸. 4세. 지원을 "언니"라고 부르지만, 지원의 딸이기도 하다. 미술관에서 지원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으면서부터 아이답지 않은 언행과 발작을 반복하게 된다.

  • 스토커

: 원조교제 기사가 원인이 되어 지원에게 협박 전화와 섬뜩한 사진을 보내는 남자. 이야기 중반, 전화번호를 바꾸고 경찰에 출두한 지원에게 진저리가 나서 죽이기 직전까지 몰아붙이지만 지원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자마자 갑자기 고통스러워하며, 몰아붙이던 지원을 남겨두고 그 자리에서 도망친다. 이후, 자신이 운전하는 차(현대 쏘나타)로 단독 사고를 내고 차 안에서 사망했다.
: 초반에 등장하는 코트의 여성으로 엘리베이터에서 정신성 심장마비를 일으켜 사망한다. 연기한 최정윤은, 전작 "폰"에서 하지원이 연기한 "은주"를 괴롭히는 "선혜"를 연기했다.

  • 정성환 : 차진우 역
  • 박민관 : 김 형사 역
  • 김경룡 : 수위 역
  • 오창경 : 택시회사 직원 역
  • 최영진 : 선생님 역
  • 정운선 : 여고생 1 역
  • 차미정 : 여고생 2 역
  • 이경선 : 여고생 3 역
  • 백형재 : 소아과의사 역
  • 임지선 : 담당여의사 역
  • 이정성 : 선배 역
  • 김호승 : 후배 역
  • 이유신 : 선배부인 역
  • 조윤정 : 후배부인 역
  • 신경선 : 장훈회사 여비서 역
  • 정종훈 : 직원 1 역
  • 서상우 : 직원 2 역
  • 이지연 : 간호원 역
  • 가령: 핸드폰여직원 역
  • 현숙희 : 진희 모 역
  • 이미화 : 미란 역
  • 김대환 : 택배회사직원 역
  • 한보배 : 아이환자 역
  • 박혜빈 : 여자아이 역
  • 백승현 : 어린 영주 역
  • 김수영 : 공원여고생 1 역
  • 이안나 : 공원여고생 2 역
  • 이진희 : 공원여고생 3 역
  • 윤정원 : 공원여고생 4 역
  • 이종수 : 허상만 역 (우정출연)
  • 김재인 : 상미 역 (우정출연)

3. 1. 주요 인물


: 본작의 주인공으로 잡지 기자이다. 원조교제 기사를 쓰고 협박 전화에 시달리던 중 호정의 남편인 창훈의 권유로 별장에 들어가게 되지만, 그날부터 불가사의한 일에 휘말린다. 애차는 르노삼성 SM5(1세대 전기형 6기통)이다.
: 학생 시절부터 지원의 절친이자 창훈의 아내이다. 외동딸 연주가 있지만, 불임이었기 때문에 지원이 난자를 제공하여 얻은 생명이다.
: 호정의 남편이자 은주의 아버지이다.
: 이변 조사에서 떠오른 행방불명된 여고생. 처음에는 남자친구가 생기면 자랑하는 쾌활한 성격이었지만 어느 날을 기점으로 차가운 성격으로 변해버렸다.
: 호정과 창훈의 딸. 4세. 지원을 "언니"라고 부르지만, 지원의 딸이기도 하다. 미술관에서 지원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으면서부터 아이답지 않은 언행과 발작을 반복하게 된다.

  • '''스토커'''

: 원조교제 기사가 원인이 되어 지원에게 협박 전화와 섬뜩한 사진을 보내는 남자. 이야기 중반, 전화번호를 바꾸고 경찰에 출두한 지원에게 진저리가 나서 죽이기 직전까지 몰아붙이지만 지원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자마자 갑자기 고통스러워하며, 몰아붙이던 지원을 남겨두고 그 자리에서 도망친다. 이후, 자신이 운전하는 차(현대 쏘나타)로 단독 사고를 내고 차 안에서 사망했다.
: 초반에 등장하는 코트의 여성으로 엘리베이터에서 정신성 심장마비를 일으켜 사망한다. 연기한 최정윤은, 전작 "폰"에서 하지원이 연기한 "은주"를 괴롭히는 "선혜"를 연기했다.

  • 정성환 : 차진우 역
  • 박민관 : 김 형사 역
  • 김경룡 : 수위 역
  • 오창경 : 택시회사 직원 역
  • 최영진 : 선생님 역
  • 정운선 : 여고생 1 역
  • 차미정 : 여고생 2 역
  • 이경선 : 여고생 3 역
  • 백형재 : 소아과의사 역
  • 임지선 : 담당여의사 역
  • 이정성 : 선배 역
  • 김호승 : 후배 역
  • 이유신 : 선배부인 역
  • 조윤정 : 후배부인 역
  • 신경선 : 장훈회사 여비서 역
  • 정종훈 : 직원 1 역
  • 서상우 : 직원 2 역
  • 이지연 : 간호원 역
  • 가령: 핸드폰여직원 역
  • 현숙희 : 진희 모 역
  • 이미화 : 미란 역
  • 김대환 : 택배회사직원 역
  • 한보배 : 아이환자 역
  • 박혜빈 : 여자아이 역
  • 백승현 : 어린 영주 역
  • 김수영 : 공원여고생 1 역
  • 이안나 : 공원여고생 2 역
  • 이진희 : 공원여고생 3 역
  • 윤정원 : 공원여고생 4 역
  • 이종수 : 허상만 역 (우정출연)
  • 김재인 : 상미 역 (우정출연)

3. 2. 조연

하지원은 주인공 서지원 역을 맡아 원조교제 기사를 쓴 후 협박 전화에 시달리는 젊은 여기자를 연기했다. 지원은 협박을 피해 친구 호정의 남편 창훈의 권유로 별장에 들어가지만, 그곳에서 불가사의한 일에 휘말리게 된다. 지원의 애차는 르노삼성 SM5(1세대 전기형 6기통)이다.

김유미는 지원의 절친이자 창훈의 아내인 강호정 역을 연기했다. 호정은 불임이었기 때문에 지원이 난자를 제공하여 외동딸 연주를 얻었다.

최우제는 호정의 남편이자 은주의 아버지인 이장훈 역을 맡았다.

최지연은 이변 조사에서 행방불명된 여고생 박진희 역을 연기했다. 진희는 처음에는 쾌활했지만 어느 날을 기점으로 차가운 성격으로 변한다.

은서우는 호정과 창훈의 딸 이영주 역을 맡았다. 4세인 영주는 지원을 "언니"라고 부르지만, 지원의 딸이기도 하다. 영주는 미술관에서 지원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은 후 아이답지 않은 언행과 발작을 반복한다.

정성환은 차진우 역, 박민관은 김 형사 역, 최정윤은 민자영 역을 맡았다. 김경룡은 수위 역, 오창경은 택시회사 직원 역, 최영진은 선생님 역을 연기했다. 정운선, 차미정, 이경선은 각각 여고생 1, 2, 3 역을 맡았다. 백형재는 소아과의사 역, 임지선은 담당여의사 역, 이정성은 선배 역, 김호승은 후배 역, 이유신은 선배부인 역, 조윤정은 후배부인 역을 연기했다. 신경선은 장훈회사 여비서 역, 정종훈과 서상우는 각각 직원 1, 2 역을 맡았다. 이지연은 간호원 역, 가령은 핸드폰여직원 역, 현숙희는 진희 모 역, 이미화는 미란 역, 김대환은 택배회사직원 역, 한보배는 아이환자 역, 박혜빈은 여자아이 역, 백승현은 어린 영주 역을 연기했다. 김수영, 이안나, 이진희, 윤정원은 각각 공원여고생 1, 2, 3, 4 역을 맡았다.

이종수는 허상만 역, 김재인은 상미 역으로 우정출연했다.

원조교제 기사가 원인이 되어 지원에게 협박 전화와 섬뜩한 사진을 보내는 스토커는 이야기 중반, 전화번호를 바꾸고 경찰에 출두한 지원에게 진저리가 나서 지원을 죽이기 직전까지 몰아붙이지만 지원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자마자 갑자기 고통스러워하며, 몰아붙이던 지원을 남겨두고 그 자리에서 도망친다. 이후, 자신이 운전하는 차(현대 쏘나타)로 단독 사고를 내고 차 안에서 사망했다.

초반에 등장하는 코트의 여성 자영은 엘리베이터에서 정신성 심장마비를 일으켜 사망한다. 자영을 연기한 최정윤은 전작 "폰"에서 하지원이 연기한 "은주"를 괴롭히는 "선혜"를 연기했다.

4. 제작

2000년 9월부터 안병기 감독은 모교인 서울예술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던 중, 학생들에게 "휴대 전화를 소재로 한 호러는 어떨까?"라고 물었고, 학생들의 반응이 좋아 시나리오를 쓰기 시작했다. 본작에 사용된 휴대 전화 번호 011-9998-6644는 안병기 감독 본인의 것이었는데, 한국에서 공개된 후 하루에 천 건 이상의 장난 전화가 걸려왔다고 한다.

하지원은 전작 《가위》에서 은주 역을 연기했는데, 감독은 하지원을 마음에 들어하여 본작에서 주역으로 발탁했다. 배역명인 '지원'은 배우 하지원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처음에는 다른 이름이었지만 하지원의 이름이 후보로 거론되었을 때 같은 이름이라면 거절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감독이 생각했기 때문이다.

개봉 후, 극중에 나오는 "우리는 사랑할 운명이야"라는 대사를 이메일로 주고받는 것이 한국에서 유행했다.

4. 1. 기획

2000년 9월부터 안병기 감독은 모교인 서울예술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던 중, 학생들에게 "휴대 전화를 소재로 한 호러는 어떨까?"라고 물었고, 학생들의 반응이 좋아 시나리오를 쓰기 시작했다. 본작에 사용된 휴대 전화 번호 011-9998-6644는 안병기 감독 본인의 것이었는데, 한국에서 공개된 후 하루에 천 건 이상의 장난 전화가 걸려왔다고 한다.

하지원은 전작 《가위》에서 은주 역을 연기했는데, 감독은 하지원을 마음에 들어하여 본작에서 주역으로 발탁했다. 배역명인 '지원'은 배우 하지원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처음에는 다른 이름이었지만 하지원의 이름이 후보로 거론되었을 때 같은 이름이라면 거절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감독이 생각했기 때문이다.

개봉 후, 극중에 나오는 "우리는 사랑할 운명이야"라는 대사를 이메일로 주고받는 것이 한국에서 유행했다.

4. 2. 캐스팅


  • 하지원 : 서지원 역
  • 김유미 : 강호정 역
  • 최지연 : 박진희 역
  • 정성환 : 차진우 역
  • 박민관 : 김 형사 역
  • 최정윤 : 민자영 역
  • 김경룡 : 수위 역
  • 오창경 : 택시회사 직원 역
  • 최영진 : 선생님 역
  • 정운선 : 여고생 1 역
  • 차미정 : 여고생 2 역
  • 이경선 : 여고생 3 역
  • 백형재 : 소아과의사 역
  • 임지선 : 담당여의사 역
  • 이정성 : 선배 역
  • 김호승 : 후배 역
  • 이유신 : 선배부인 역
  • 조윤정 : 후배부인 역
  • 신경선 : 장훈회사 여비서 역
  • 정종훈 : 직원 1 역
  • 서상우 : 직원 2 역
  • 이지연 : 간호원 역
  • 가령: 핸드폰여직원 역
  • 현숙희 : 진희 모 역
  • 이미화 : 미란 역
  • 김대환 : 택배회사직원 역
  • 한보배 : 아이환자 역
  • 박혜빈 : 여자아이 역
  • 백승현 : 어린 영주 역
  • 김수영 : 공원여고생 1 역
  • 이안나 : 공원여고생 2 역
  • 이진희 : 공원여고생 3 역
  • 윤정원 : 공원여고생 4 역
  • 은서우 : 이영주 역
  • 최우제 : 이장훈 역
  • 이종수 : 허상만 역 (우정출연)
  • 김재인 : 상미 역 (우정출연)

4. 3. 촬영

5. 흥행 및 평가

Toilet Pictures가 제작한 영화 ''폰''은 2002년 7월 26일 부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를 통해 대한민국에서 개봉했다.[2] 영화 ''폰''은 2002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흥행을 기록한 국내 영화 중 하나였으며, 2,182,915장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여 그 해 대한민국에서 8번째로 높은 흥행 수입을 올렸다.[3]

필리핀에서는 2003년 10월 29일 부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을 통해 ''The Phone''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4] 2004년 8월 영국에서 멀티플렉스 영화관에서 극장 배급되었다.

임프린트 엔터테인먼트는 2009년에 미국리메이크 판권을 구매했다.[5]

올무비의 제이슨 기브너는 영화 ''폰''에 대해 "많은 좋은 공포 장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람객이 '''', ''디 아이'' 또는 ''주온''을 알고 있다면, ''폰''이 "과거에 여러 번 실행된 시각적 공포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 영화에서 신선함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평했다.[6]

5. 1. 대한민국

Toilet Pictures가 제작한 영화 ''폰''은 2002년 7월 26일 부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를 통해 대한민국에서 개봉했다.[2] 영화 ''폰''은 2002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흥행을 기록한 국내 영화 중 하나였으며, 2,182,915장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여 그 해 대한민국에서 8번째로 높은 흥행 수입을 올렸다.[3]

5. 2. 해외

영화 ''폰''은 2002년 7월 26일 부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를 통해 대한민국에서 개봉했다.[2] 2002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흥행을 기록한 국내 영화 중 하나였으며, 2,182,915장의 티켓 판매를 기록하여 그 해 대한민국에서 8번째로 높은 흥행 수입을 올렸다.[3] 필리핀에서는 2003년 10월 29일 부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을 통해 ''The Phone''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다.[4] 2004년 8월 영국에서 멀티플렉스 영화관에서 극장 배급되었다.

임프린트 엔터테인먼트는 2009년에 미국리메이크 판권을 구매했다.[5]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소프트판후지 TV
지원하지원스미나 리사히다카 노리코
호정김유미야마자키 미키
창훈최우재테라소마 마사키요코보리 에츠오
지니최지연카와모토 아야코오가사와라 아리사
연주은서우쿠노 미사키미무라 유나
그 외소노자키 미에
쿠스노키 타이텐
나카노 쥰이치로
타케다 마도카
노무라 켄지
호소노 마사요
핫토리 사치코
하스이케 류조
하야시 치에
타니 마사키
타네다 후미코
사토 미오
쿠보타 타미에
미즈타 와사비
코바야시 사나에
쿠스노키 타이텐
키노시타 사야카
사토 시노부
미야모토 미츠루
이시즈미 아키히코
도도 마코
야마노이 진
테라우치 요리에
아카기 스스무
고토 아츠시
카노 치아키
코구레 에마
아오야마 토코
엔도 아야
연출이와미 준이치타카하시 고
번역네모토 리에
하라구치 마유미
하라구치 마유미
조정키쿠치 사토시이이즈카 히데야스
효과릴레이션
제작AC 크리에이트
DISNEY CHARACTER VOICES INTERNATIONAL, INC.
글로비전
첫 방송2006년 4월 21일
『미드나잇 아트 시어터』
02:50-4:44


5. 3. 비평

제이슨 기브너는 올무비에 기고한 글에서 '''', ''디 아이'', ''주온''과 같은 영화를 통해 이미 익숙해진 시각적 공포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어, 영화 ''폰''에서 신선함을 느끼기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영화 속에 좋은 공포 장면이 많이 있다고 덧붙였다.[6]

6. 사회적 영향

6. 1. 유행

6. 2. 사회 문제

7. 기타

일본 개봉과 거의 동시에 카도카와 호러 문고에서 작가 요시무라 타츠야에 의해 노벨라이즈되었다.


  • 「보이스」

참조

[1] 웹사이트 Pōn (Phone) https://boxofficemoj[...] 2014-06-02
[2] 웹사이트 The Phone ( Pon ) https://www.kmdb.or.[...] Korean Movie Database 2020-12-02
[3] 웹사이트 2002 http://www.koreanfil[...] 2020-12-02
[4] 뉴스 Opens Today! https://news.google.[...] The Philippine Daily Inquirer, Inc. 2003-10-29
[5] 웹사이트 Imprint Entertainment Answers the Phone for Remake https://dreadcentral[...] 2014-06-02
[6] 웹사이트 Phone (2002) https://www.allmovie[...] AllMovie 2020-12-03
[7] 웹사이트 폰 폰 (フォン) http://kmdb.or.kr/mo[...] 2011-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