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 망골트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 망골트 함수는 Λ(''n'')으로 표기하며, 소수 p와 정수 k에 대해 n = pk일 경우 log p, 그렇지 않으면 0의 값을 갖는 함수이다. 이 함수는 수론적 함수이며, 산술의 기본 정리를 통해 log n = Σd|n Λ(d) 관계를 갖는다. 또한, 체비쇼프 함수, 뫼비우스 함수, 디리클레 급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리만 제타 함수의 로그 도함수와 연관된다. 폰 망골트 함수는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을 이용한 근사 및 리스 평균과도 연결되어 있으며, 하디와 리틀우드는 이 함수와 관련된 지수 급수를 연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론적 함수 - 디리클레 합성곱
디리클레 합성곱은 두 수론적 함수를 이용하여 새로운 수론적 함수를 생성하는 연산으로, n의 모든 양의 약수에 대한 함수값의 곱의 합으로 정의되며, 교환, 결합, 분배 법칙을 만족하고 곱셈적 함수의 곱셈성을 보존하며, 디리클레 급수 연구에 활용된다. - 수론적 함수 - 체비쇼프 함수
체비쇼프 함수는 소수 분포 연구에 쓰이는 두 종류의 함수로, 제1종 체비쇼프 함수 는 이하 소수 에 대한 의 합, 제2종 체비쇼프 함수 는 이하 소수 거듭제곱수 에 대한 의 합으로 정의되며, 소수 정리와 리만 제타 함수를 통한 소수 분포 분석에 활용된다. -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수론 - 최소공배수
최소공배수는 둘 이상의 정수들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서, 소인수분해나 최대공약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분수 통분이나 기어 회전 수 계산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폰 망골트 함수 | |
---|---|
개요 | |
함수 기호 | Λ(n) |
함수 종류 | 수론적 함수 |
정의 | Λ(n) = log p, 만약 n = p^k (p는 소수, k는 양의 정수) Λ(n) = 0, 그 외의 경우 |
다른 이름 | 망골트 함수, 폰 망골트 함수 |
최초 사용 | 수학 |
성질 | |
합 | Σ[d|n] Λ(d) = log n |
체비쇼프 함수 관련 | ψ(x) = Σ[n≤x] Λ(n) |
디리클레 급수 | -ζ'(s)/ζ(s) = Σ[n=1 to ∞] Λ(n)n^(-s) |
리만 제타 함수 관련 | 망골트 명시 공식에서 중요한 역할 |
적용 분야 | 소수 정리 증명, 해석적 정수론 |
2. 정의
폰 망골트 함수는 Λ(''n'')으로 표현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n이 어느 소수 의 거듭제곱일 경우
- 나머지 경우
처음 아홉 개의 양의 정수(즉, 자연수)에 대한 Λ(''n'')의 값은 0, log 2, log 3, log 2, log 5, 0, log 7, log 2, log 3이다.
3. 성질
폰 망골트 함수는 수론적 함수이지만, 곱셈적 함수는 아니다. 산술의 기본 정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1]
:
예를 들어 인 경우를 들 수 있다.
체비쇼프 함수는 폰 망골트 함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다.[5]
:
모든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3. 1. 뫼비우스 반전 공식과의 관계
뫼비우스 반전 공식에 의해 폰 망골트 함수 Λ(n)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4][15][16]:
여기서 μ(d)는 뫼비우스 함수이고, 합은 n의 모든 약수 d에 대해 취한다. 로그의 곱셈 규칙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2][3][4]
:
4. 디리클레 급수와의 관계
폰 망골트 함수는 디리클레 급수 이론, 특히 리만 제타 함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리만 제타 함수의 로그는 다음과 같은 디리클레 급수로 표현할 수 있다. (Re(s) > 1)
:
리만 제타 함수의 로그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6][17]
:
4. 1. 일반적인 디리클레 급수와의 관계
''f''(''n'')이 완전 곱셈 함수이고,:
가 Re(''s'') > σ0에서 수렴하면,
:
가 Re(''s'') > σ0에서 수렴한다.[6][17]
5. 체비쇼프 함수
파프누티 체비쇼프가 소개한 두 번째 체비쇼프 함수 ''ψ''(''x'')는 폰 망골트 함수의 총합 함수이다.[7]
:
이 함수는 소수 계량 함수 의 정확한 순서가 임을 보이는 데 사용되었다. 폰 망골트는 리만 제타 함수의 비자명 영점들의 합을 포함하는 ''ψ''(''x'')에 대한 명시적 공식의 엄밀한 증명을 제공했는데, 이는 소수 정리의 첫 번째 증명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체비쇼프 함수의 멜린 변환은 페론 공식을 적용하여 구할 수 있다.
:
이는 에 대해 성립한다.[18]
6. 지수 급수
하디와 리틀우드는 다음 급수를 연구했다.[8][19]
:
극한에서. 리만 가설을 가정하면, 그들은 다음을 증명했다.
:
특히 이 함수는 발산하는 진동과 함께 진동한다. 즉, 다음 부등식이 모두 성립하는 값이 존재한다.
:
0의 모든 근방에서 무한히 자주. 오른쪽 그림은 이러한 동작이 처음에는 수치적으로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급수가 1억 개 이상의 항으로 합산될 때까지 진동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으며, 일 때만 쉽게 볼 수 있다.
7. 리스 평균
폰 망골트 함수의 리스 평균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와 는 리스 평균을 특징짓는 숫자이다. 이어야 한다. 에 대한 합은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에 대한 합이며,
:
는 에 대해 수렴하는 급수로 나타낼 수 있다.
8.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을 이용한 근사
합산 폰 망골트 함수 에 대한 명시적인 공식은 다음과 같다.[9]
: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한 영점, 즉 음의 짝수를 분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합은 절대 수렴하지 않으므로, 허수 부분의 절대값 순서로 영점을 취한다.)
폰 망골트 함수의 푸리에 변환은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의 허수 부분과 같은 종선(스파이크)을 갖는 스펙트럼을 제공한다. 이것은 때때로 쌍대성이라고 부른다.[20]
참조
[1]
서적
Apostol (1976) p.32
[2]
서적
Tenenbaum (1995) p.30
[3]
서적
Apostol (1976) p.33
[4]
서적
Number theory in science and communication. With applications in cryptography, physics, digital information, computing, and self-similarity
Springer-Verlag
[5]
서적
Apostol (1976) p.88
[6]
서적
Hardy & Wright (2008) §17.7, Theorem 294
[7]
서적
Apostol (1976) p.246
[8]
학술지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the Riemann Zeta-Function and the Theory of the Distribution of Primes
http://www.ift.uni.w[...]
2014-07-03
[9]
학술지
The Riemann hypothesis
http://www.ams.org/n[...]
2003-03
[10]
기타
E. Landau, Über die Nullstellen der Zetafunktion, Math. Annalen 71 (1911 ), 548-564.
[11]
간행물
Opera de cribro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0
[12]
서적
Apostol (1976) p.32
[13]
서적
Tenenbaum (1995) p.30
[14]
서적
Tenenbaum (1995) p.30
[15]
서적
Apostol (1976) p.33
[16]
서적
Number theory in science and communication. With applications in cryptography, physics, digital information, computing, and self-similarity
Springer-Verlag
[17]
서적
Hardy & Wright (2008) §17.7, Theorem 294
[18]
서적
Apostol (1976) p.246
[19]
학술지
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the Riemann Zeta-Function and the Theory of the Distribution of Primes
http://www.ift.uni.w[...]
2014-07-03
[20]
학술지
The Riemann hypothesis
http://www.ams.org/n[...]
20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