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론적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론적 함수는 정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함수로, 가법적 함수, 곱셈적 함수, q-가법적 함수 등으로 분류된다. 가법적 함수는 서로소인 두 수의 함수값을 더한 값과 같고, 곱셈적 함수는 서로소인 두 수의 함수값을 곱한 값과 같다. 완전 가법적 함수와 완전 곱셈적 함수는 각각 가법적 함수와 곱셈적 함수의 특수한 경우이다. 주요 수론적 함수로는 소수 계량 함수, 폰 망골트 함수, 약수 함수, 오일러 피 함수, 뫼비우스 함수 등이 있으며, 이들은 소인수 분해, 약수, 소수 등 정수의 다양한 속성과 관련되어 있다. 수론적 함수는 디리클레 컨벌루션과 같은 연산을 통해 다른 함수와 연결되며, 평균 차수와 같은 성질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론적 함수 - 디리클레 합성곱
디리클레 합성곱은 두 수론적 함수를 이용하여 새로운 수론적 함수를 생성하는 연산으로, n의 모든 양의 약수에 대한 함수값의 곱의 합으로 정의되며, 교환, 결합, 분배 법칙을 만족하고 곱셈적 함수의 곱셈성을 보존하며, 디리클레 급수 연구에 활용된다. - 수론적 함수 - 체비쇼프 함수
체비쇼프 함수는 소수 분포 연구에 쓰이는 두 종류의 함수로, 제1종 체비쇼프 함수 는 이하 소수 에 대한 의 합, 제2종 체비쇼프 함수 는 이하 소수 거듭제곱수 에 대한 의 합으로 정의되며, 소수 정리와 리만 제타 함수를 통한 소수 분포 분석에 활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수론적 함수 | |
---|---|
개요 | |
분야 | 수학 |
하위 분야 | 정수론 |
정의 | 양의 정수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
예시 | |
종류 | 오일러 피 함수 약수 함수 뫼비우스 함수 소수 계량 함수 |
성질 | |
종류 | 가산 함수 승법적 함수 완전 승법적 함수 |
2. 수론적 함수의 종류
서로소인 양의 정수 ''m''과 ''n''에 대해 이 성립할 때, '''가법적 함수'''라고 한다.
즉,
:
이 성립하는 함수이다.
특히, 임의의 양의 정수 ''m''과 ''n''에 대해 가 성립할 때, '''완전 가법적 함수'''라고 한다. 즉 완전 가법적 함수란
:
이 성립하는 수론적 함수이다.
서로소인 양의 정수 ''m''과 ''n''에 대해 이 성립할 때, '''곱셈적 함수'''라고 한다.
즉,
:
이 성립하는 함수이다.
특히, 임의의 양의 정수 ''m''과 ''n''에 대해 이 성립할 때, '''완전 곱셈적 함수'''라고 한다. 즉, 완전 곱셈적 함수란
:
이 성립하는 수론적 함수이다.
를 만족하는 경우, 이를 '''q-가법적 함수'''라고 부른다.
특히, ''q''-가법적 함수 가 를 만족할 때, 이를 '''강 q-가법적 함수'''라고 부른다.
을 만족할 때, '''q-승법적 함수''' (q-multiplicative function)라고 한다.
특히, ''q''-승법적 함수 이 을 만족할 때, '''강 q-승법적 함수''' (strongly q-multiplicative function)라고 한다.
2. 1. 곱셈적 함수
서로소인 양의 정수 ''m''과 ''n''에 대해 이 성립하는 수론적 함수를 곱셈적 함수라고 한다. 즉,:
이 성립한다.
곱셈적 함수의 예로는 오일러 피 함수 (φ), 뫼비우스 함수 (μ), 약수 함수 (σk) 등이 있다. 약수 함수 σ''x''(''n'')는 곱셈적 함수이지만, 완전 곱셈적 함수는 아니다.
2. 2. 덧셈적 함수
서로 소인 양의 정수 ''m'' 과 ''n'' 에 대해, 이 성립할 때, 가법적 함수(additive function}})라고 한다. 즉,이 성립하는 함수이다.
임의의 양의 정수 ''m'' 과 ''n'' 에 대해, 가 성립할 때, 완전 가법적 함수()라고 한다. 즉 완전 가법적 함수란
이 성립하는 수론적 함수이다.
가법적 함수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n''의 서로 다른 소인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 ''n''의 중복도를 세어 소인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2. 3. 완전 곱셈적 함수
2. 4. 완전 덧셈적 함수
3. 주요 수론적 함수
''q''를 2 이상의 정수라고 한다.
이때, 임의의 정수 ''n''에 대해
:
와 같이 ''q''진 전개한다.
이 항목에서는 이 에 의해 얻어지는 수론적 함수에 대해 설명한다.
(1) 소수와 관련된 함수
(2) 수의 표현·분할
- ''n'' 을 두 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를 나타내는
- ''n'' 을 양의 정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를 나타내는
- 와링의 문제
- * 모든 양의 정수가 ''s'' 개의 ''k''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s'' 의 최소값
- * 충분히 큰 모든 양의 정수가 ''s'' 개의 ''k''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s'' 의 최소값
3. 1. 소인수 분해 관련 함수
산술의 기본 정리는 모든 양의 정수 ''n''이 소수의 거듭제곱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p''1 < ''p''2 < ... < ''p''''k''는 소수이고 ''aj''는 양의 정수이다. (1은 빈 곱으로 주어진다.)이것을 모든 소수에 대한 무한 곱으로 쓰는 것이 종종 편리하며, 유한 개를 제외한 모든 소수는 0의 지수를 갖는다. ''p''-진법 평가 '''ν''p''(''n'')'''를 ''n''을 나누는 소수 ''p''의 가장 높은 거듭제곱의 지수로 정의한다. 즉, ''p''가 ''p''''i'' 중 하나이면 ''ν''''p''(''n'') = ''a''''i''이고, 그렇지 않으면 0이다. 그러면
위의 내용에 따라 소수 오메가 함수 ω와 Ω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ω''(''n'') = ''k''
- Ω(''n'') = ''a''1 + ''a''2 + ... + ''a''''k''.
정수 에 대해
로 소인수분해한다.
이 절에서는 이 에 의해 얻어지는 수론적 함수에 대해 설명한다.
3. 1. 1. 오메가 함수 (ω, Ω)
산술의 기본 정리에 따르면 모든 양의 정수 ''n''은 소수의 거듭제곱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 즉, 이며, 여기서 ''p''1 < ''p''2 < ... < ''p''''k''는 소수이고 ''aj''는 양의 정수이다. (1은 빈 곱으로 주어진다.)이에 따라 소수 오메가 함수 ω와 Ω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ω''(''n'') = ''k''
- Ω(''n'') = ''a''1 + ''a''2 + ... + ''a''''k''.
'''ω(''n'')'''는 ''n''을 나누는 서로 다른 소수의 개수로 정의되며, 덧셈적 함수이다.( 소수 오메가 함수 참조).
'''Ω(''n'')'''는 중복을 포함하여 세는 ''n''의 소인수의 개수로 정의되며, 완전 덧셈적 함수이다. (오메가 함수 참조)
- ''n''의 서로 다른 소인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 ''n''의 중복도를 세어 소인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3. 1. 2. p-진 값 (νp)
산술의 기본 정리에 따르면, 모든 양의 정수 ''n''은 소수의 거듭제곱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 즉, 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여기서 ''p''1 < ''p''2 < ... < ''p''''k''는 소수이고, ''aj''는 양의 정수이다. (1은 빈 곱으로 주어진다.)이것은 모든 소수에 대한 무한 곱으로 쓰는 것이 편리할 때가 있는데, 유한 개를 제외한 모든 소수는 0의 지수를 갖는다. ''p''-진법 평가 '''ν''p''(''n'')'''는 ''n''을 나누는 소수 ''p''의 가장 높은 거듭제곱의 지수로 정의된다. 즉, ''p''가 ''p''''i'' 중 하나이면 ''ν''''p''(''n'') = ''a''''i''이고, 그렇지 않으면 0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고정된 소수 ''p''에 대해, 위에 정의된 ''n''을 나누는 ''p''의 가장 큰 거듭제곱의 지수인 '''''ν''''p''(''n'')''''는 완전 가법적이다.
3. 2. 약수 관련 함수
'''σ''k''(''n'')'''는 ''n''의 양의 약수들의 ''k''제곱의 합으로, 1과 ''n''을 포함하며, ''k''는 복소수이다.'''σ1(''n'')''', 즉 ''n''의 (양의) 약수들의 합은 보통 '''σ(''n'')'''로 표기된다.
0제곱의 양수는 1이므로, '''σ0(''n'')'''는 ''n''의 (양의) 약수의 개수이며, 보통 '''''d''(''n'')''' 또는 '''τ(''n'')''' (타일러/Teilerde = 약수)로 표기된다.
두 번째 곱에 ''k'' = 0을 대입하면,
3. 2. 1. 약수 함수 (σk)
'''σ''k''(''n'')'''는 ''n''의 양의 약수들의 ''k''제곱의 합으로, 1과 ''n''을 포함하며, ''k''는 복소수이다.'''σ1(''n'')''', 즉 ''n''의 (양의) 약수들의 합은 보통 '''σ(''n'')'''로 표기된다.
0제곱의 양수는 1이므로, '''σ0(''n'')'''는 ''n''의 (양의) 약수의 개수이며, 보통 '''''d''(''n'')''' 또는 '''τ(''n'')''' (타일러/Teilerde = 약수)로 표기된다.
σk(n) =
두 번째 곱에 ''k'' = 0을 대입하면,
약수 함수 σ''x''(''n'')는 곱셈적 함수이지만, 완전 곱셈적 함수는 아니다.
3. 2. 2. 오일러 피 함수 (φ)
'''φ(n)'''는 n과 서로소인 1부터 n까지의 양의 정수의 개수이다. 한국에서는 오일러 파이 함수라고도 불린다.:
3. 2. 3. 요르단 토션트 함수 (Jk)
'''J''k''(''n'')'''는 ''n''과 서로소인 (''k'' + 1)-튜플을 이루는, ''n''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의 ''k''-튜플의 개수이다. 이 함수는 φ(''n'') = J1(''n'')의 일반화이다.약수 함수 σ''x''(''n'')는 곱셈적 함수이지만, 완전 곱셈적 함수는 아니다.
3. 2. 4. 뫼비우스 함수 (μ)
μ(''n'')는 뫼비우스 반전 공식 때문에 중요한 함수이다. 아래 디리클레 합성곱을 참조하라.μ(n)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ω(n) = Ω(n)이면, μ(n) = (-1)ω(n) = (-1)Ω(n)
- ω(n) ≠ Ω(n)이면, μ(n) = 0
이는 μ(1) = 1임을 의미한다. (Ω(1) = ω(1) = 0이기 때문이다.)
3. 2. 5. 라마누잔 타우 함수 (τ)
'''τ(''n'')'''는 라마누잔 타우 함수로, 다음 생성 함수 항등식으로 정의된다.이 함수가 정확히 "''n''의 어떤 산술적 성질"을 "표현하는지" 정확히 말하기는 어렵지만,[7] (''τ''(''n'')은 모듈러 판별식 함수의 q-전개에서 ''n''번째 푸리에 계수의 (2π)−12 배이다)[8] 곱셈적이며, 특정 σ''k''(''n'') 및 ''r''''k''(''n'') 함수와 관련된 항등식에 나타나기 때문에 (이 함수들이 또한 모듈러 형식의 전개에서의 계수이기 때문에) 산술 함수에 포함된다.
- 약수 함수 σ''x''(''n'')는 곱셈적 함수이지만, 완전 곱셈적 함수는 아니다.
3. 2. 6. 라마누잔 합 (cq)
'''라마누잔 합'''(''c''''q''(''n''))은 원시 ''q''차 단위근의 ''n''제곱의 합이다.:
복소수의 합(대부분의 ''q'' 값에 대해 무리수)으로 정의되지만, 정수이다. 고정된 ''n'' 값에 대해 ''q''에 대해 곱셈적이다.
:'''만약 ''q''와 ''r''이 서로소이면''', 이다.
약수 함수 σ''x''(''n'')는 곱셈적 함수이지만, 완전 곱셈적 함수는 아니다.
3. 2. 7. 데데킨트 프사이 함수 (ψ)
데데킨트 함수, 모듈러 함수 이론에서 사용되며, 다음 공식으로 정의된다.:
약수 함수 σ''x''(''n'')는 곱셈적 함수이지만, 완전 곱셈적 함수는 아니다.
3. 3. 리우빌 함수 (λ)
'''리우빌 함수'''(''λ''(''n''))는 소인수의 개수에 따라 ±1 값을 갖는 완전 곱셈적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3. 4. 디리클레 지표 (χ)
모든 디리클레 지표 ''χ''(''n'')''는 완전 곱셈적 함수이다. 주 지표 (mod ''n'')는 ''χ''0(''a'') (또는 ''χ''1(''a''))로 표시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홀수 ''n''에 대한 이차 지표 (mod ''n'')는 야코비 기호로 표시된다(짝수 ''n''에 대해서는 정의되지 않는다).
:
여기서 는 모든 정수 ''a''와 모든 홀수 소수 ''p''에 대해 정의되는 르장드르 기호이다.
:
빈 곱에 대한 일반적인 규칙에 따라 이다.
3. 5. 소수 계량 함수 (π, Π, ϑ, ψ)
이러한 중요한 함수(수론적 함수가 아님)는 음이 아닌 실수 인수에 대해 정의되며, 소수 정리의 다양한 명제와 증명에 사용된다. 이들은 곱셈적이지도 않고 가법적이지도 않은 수론적 함수의 합산 함수이다.π(''n'')는 소수 계량 함수로, 주어진 ''n''과 같거나 작은 소수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π(1) = 0 이고, π(10) = 4 이다. (10 이하의 소수는 2, 3, 5, 7).
π(''x'')는 ''x''를 초과하지 않는 소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는 소수의 특성 함수의 합산 함수이다.
:
Π(x)는 소수에 대해 가중치 1, 제곱에 대해 1/2, 세제곱에 대해 1/3 등을 갖는 소수 거듭제곱을 계산하는 함수이다. 이는 어떤 소수의 ''k''제곱인 정수에 대해 1/''k'' 값을 갖고 다른 정수에 대해 0 값을 갖는 수론적 함수의 합산 함수이다.
:
체비쇼프 함수 ''ϑ''(''x'')와 ''ψ''(''x'')는 ''x''를 초과하지 않는 소수의 자연 로그 합으로 정의된다.
:
:
두 번째 체비쇼프 함수 ''ψ''(''x'')는 폰 망골트 함수의 합산 함수이다.
3. 5. 1. 소수 계량 함수 (π)
π(''n'')는 소수 계량 함수로, 주어진 ''n''과 같거나 작은 소수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π(1) = 0 이고, π(10) = 4 이다. (10 이하의 소수는 2, 3, 5, 7).π(''x'')는 ''x''를 초과하지 않는 소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는 소수의 특성 함수의 합산 함수이다.
:
3. 5. 2. 소수 거듭제곱 계량 함수 (Π)
Π(x)는 소수에 대해 가중치 1, 제곱에 대해 1/2, 세제곱에 대해 1/3 등을 갖는 소수 거듭제곱을 계산하는 함수이다. 이는 어떤 소수의 ''k''제곱인 정수에 대해 1/''k'' 값을 갖고 다른 정수에 대해 0 값을 갖는 수론적 함수의 합산 함수이다.3. 5. 3. 체비쇼프 함수 (ϑ, ψ)
체비쇼프 함수 ''ϑ''(''x'')와 ''ψ''(''x'')는 ''x''를 초과하지 않는 소수의 자연 로그 합으로 정의된다.두 번째 체비쇼프 함수 ''ψ''(''x'')는 폰 망골트 함수의 합산 함수이다.
3. 6. 폰 망골트 함수 (Λ)
'''폰 망골트 함수'''(Λ(''n''))는 n이 소수 거듭제곱 pk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0이며, 이 경우 소수 p의 자연 로그값을 갖는다.:
폰 망골트 함수는 소수 계량 함수와 관련이 있다.
3. 7. 분할 함수 (p)
'''p(n)'''는 분할 함수로, n을 양의 정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이며, 순서가 다른 동일한 덧셈 항을 갖는 두 표현은 다른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3. 8. 카마이클 함수 (λ)
'''카마이클 함수|''λ''(''n'')'''는 카마이클 함수로, 모든 ''n''과 서로소인 모든 ''a''에 대해 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이다. 이는 정수 모듈로 ''n''의 곱셈 그룹 원소들의 최소공배수이다.홀수 소수의 거듭제곱과 2와 4의 경우, ''λ''(''n'')은 ''n''의 오일러 피 함수와 같다. 4보다 큰 2의 거듭제곱의 경우, 이는 ''n''의 오일러 피 함수의 절반과 같다.
일반적인 ''n''의 경우, 이는 ''n''의 각 소수 거듭제곱 인수의 λ의 최소공배수이다.
3. 9. 유수 (h)
'''''h''(''n'')'''는 판별식 ''n''을 갖는 유리수의 대수적 확대의 아이디얼 유군의 위수이다. 동일한 판별식을 갖는 확장이 일반적으로 많기 때문에 표기법은 모호하다. 고전적인 예로는 이차 체와 원분체를 참조하라.3. 10. 제곱수의 합 함수 (rk)
''r''''k''(''n'')는 ''n''을 ''k''개의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이며, 덧셈의 순서나 제곱근의 부호가 다른 표현은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한다.:
4. 수론적 함수의 성질
두 수론적 함수 ''a''와 ''b''의 디리클레 컨벌루션은 로 표기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1]
:
이는 주어진 수론적 함수 ''a''(''n'')에 대해, 복소수 ''s''에 대한 ''F''''a''(''s'')를 해당 디리클레 급수로 정의할때, ''F''''a''(''s'')는 ''a''(''n'')의 생성 함수라고 불리는데, 두 수론적 함수 ''a''와 ''b''와 각각의 생성 함수 ''F''''a''(''s'')와 ''F''''b''(''s'')를 고려해 볼때, 곱 ''F''''a''(''s'')''F''''b''(''s'')는 와 같이 표현이 가능하다.[11]
특히 모든 ''n''에 대해 상수 함수 ''a''(''n'') = 1과 컨벌루션 하는 경우는 생성 함수에 리만 제타 함수를 곱하는 것에 해당한다.
:
뫼비우스 반전 공식은 제타 함수의 역수를 곱하여 얻어진다.
:
만약 ''f''가 곱셈적이라면 ''g''도 곱셈적이다. 곱셈적 함수 에 대해, 디리클레 곱 로 얻어진 수론적 함수는 곱셈적 함수가 된다.[11]
리우빌 함수 ''λ''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뫼비우스 반전 공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아래는 기타 다른 공식들이다.
:
:
:
:
:
:
:
:
:
:
수론적 함수 에 대해, 디리클레 곱 를
:
로 정의하면, 는 수론적 함수가 된다. 따라서, 수론적 함수 전체 집합은 다원환이 된다.
수론적 함수 이, 어떤 양수 ''C''와, 수론적 함수 이 존재하여, 로 표기된다고 하자. 그러면, 이 (완전) 곱셈적 함수일 필요충분 조건은, 은 (완전) 가법적 함수이다.
4. 1. 디리클레 합성곱 (*)
두 수론적 함수 ''a''와 ''b''의 디리클레 컨벌루션은 로 표기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1]:
이는 주어진 수론적 함수 ''a''(''n'')에 대해, 복소수 ''s''에 대한 ''F''''a''(''s'')를 해당 디리클레 급수로 정의할때, ''F''''a''(''s'')는 ''a''(''n'')의 생성 함수라고 불리는데, 두 수론적 함수 ''a''와 ''b''와 각각의 생성 함수 ''F''''a''(''s'')와 ''F''''b''(''s'')를 고려해 볼때, 곱 ''F''''a''(''s'')''F''''b''(''s'')는 와 같이 표현이 가능하다.[11]
특히 모든 ''n''에 대해 상수 함수 ''a''(''n'') = 1과 컨벌루션 하는 경우는 생성 함수에 리만 제타 함수를 곱하는 것에 해당한다.
:
뫼비우스 반전 공식은 제타 함수의 역수를 곱하여 얻어진다.
:
만약 ''f''가 곱셈적이라면 ''g''도 곱셈적이다. 곱셈적 함수 에 대해, 디리클레 곱 로 얻어진 수론적 함수는 곱셈적 함수가 된다.[11]
리우빌 함수 ''λ''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뫼비우스 반전 공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아래는 기타 다른 공식들이다.
:
:
:
:
:
:
:
:
:
:
수론적 함수 에 대해, 디리클레 곱 를
{{Indent|}}
로 정의하면, 는 수론적 함수가 된다. 따라서, 수론적 함수 전체 집합은 다원환이 된다.
수론적 함수 이, 어떤 양수 ''C''와, 수론적 함수 이 존재하여, 로 표기된다고 하자. 그러면, 이 (완전) 곱셈적 함수일 필요충분 조건은, 은 (완전) 가법적 함수이다.
4. 2. 함수의 평균 차수
수론적 함수 ''a''(''n'')에 대해, 어떤 단순한 형태를 가진 ''n''의 함수 ''ψ''(''n'')이 존재하여:
이 성립할 때, ''a''(''n'')의 '''평균 위수'''는 ''ψ''(''n'')이라고 한다.
''a''(''n'')은 대체로 ''ψ''(''n'')이라고 생각되지만, 수론적 함수의 대부분은 값의 움직임이 복잡하며, ''a''(''n'')이 거의 ''ψ''(''n'')인 ''n''은 양의 정수 중에서 소수인 경우도 드물지 않다.
평균 위수와 정규 위수는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평균 위수는 가지지만 정규 위수는 가지지 않는 수론적 함수가 존재하며, 그 반대로 평균 위수는 가지지 않지만 정규 위수를 가지는 수론적 함수가 존재한다.
- 약수 함수(d(n))의 평균 차수는 이다.
- 약수 합 함수(σ(n))의 평균 차수는 이다.
- 오일러 함수(φ(n))의 평균 차수는 이다.
- ''n''의 서로 다른 소인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 ω(''n'')의 평균 차수는 이다.
- ''n''의 중복을 포함한 소인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 Ω(''n'')의 평균 차수는 이다.
5. 수론적 함수들 간의 관계
수론적 함수는 서로, 특히 거듭제곱, 근, 지수 및 로그 함수와 같은 해석학적 함수와 매우 많은 공식으로 연결된다. 약수 합 항등식 문서에는 산술 함수와 관련된 일반화되고 관련된 더 많은 항등식 예가 있다.
6.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인물 및 사건 서술 (예시)
6. 1. 김대중
6. 2. 노무현
6. 3. 이명박
6. 4. 박근혜
7. 참고 사항
참조
[1]
Harvtxt
[2]
Harvtxt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Ramanujan
[8]
문서
Modular Functions ...
[9]
문서
[10]
서적
Introduction to Analytic and Probabilistic Number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문서
[12]
문서
Thm. 263
[13]
문서
Thm. 63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Thm. 288–290
[17]
문서
[18]
문서
Thm. 264
[19]
문서
Thm. 296
[20]
문서
Thm. 278
[21]
문서
Thm. 386
[22]
문서
Ramanujan
[23]
문서
Ex. III.5.2
[24]
문서
[25]
문서
Ramanujan
[26]
문서
Ramanujan
[27]
문서
Ramanujan
[28]
문서
[29]
문서
On Certain Arithmetical Functions
[30]
문서
ex. III.2.8
[31]
문서
ex. III.2.3
[32]
문서
ex. III.2.2
[33]
문서
ex. III.2.4
[34]
문서
Modular Functions ...
[35]
문서
Modular Functions...
[36]
서적
Asymptotic Formulæ in Combinatory Analysis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문서
Divisor function
[43]
서적
[44]
문서
Prime-counting functions
[45]
서적
[46]
서적
[47]
논문
Menon's Identity and Arithmetical Sums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서적
Ramanujan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논문
Some Formulæ in the Analytic Theory of Numbers
[59]
논문
Some Formulæ in the Analytic Theory of Numbers
[60]
서적
Modular Functions ...
[61]
서적
Modular Functions ...
[6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