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라하의 아기 예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하의 아기 예수는 14세기 스페인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아기 예수상으로, 기적과 치유의 힘으로 숭배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공경받고 있다. 보헤미아로 전래된 후, 30년 전쟁 중에도 잊히지 않고 기적을 통해 신심을 얻었으며, 현재는 체코를 넘어 다양한 국가에서 복사본이 제작되어 숭배되고 있다. 교황청의 승인을 받았으며, 아일랜드 등지에서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숭배하는 등, 가톨릭 신자들에게 중요한 신앙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기 예수 - 세부의 아기예수상
    세부의 아기예수상은 1521년 마젤란이 세부에 선물한 아기 예수 조각상으로, 1565년 레가스피에 의해 재발견된 후 축제와 의례를 통해 숭배받으며 필리핀 가톨릭 신앙의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 예수상 - 구세주 그리스도상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코르코바도 산 정상에 위치한 구세주 그리스도상은 브라질 가톨릭 신자들의 기부금으로 1926년부터 1931년까지 건설되었으며 평화를 상징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조각상으로, 브라질의 랜드마크이자 관광 명소이다.
  • 예수상 - 그리스도상
    그리스도상은 예수 그리스도를 묘사한 조각상으로, 전 세계 여러 지역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구세주 그리스도상, 그리스도왕상, 르 크리스토 루아 등이 대표적이다.
프라하의 아기 예수
기본 정보
현재의 정경관과 함께 일반적인 녹색 제복을 입은 이미지
현재의 정경관과 함께 일반적인 녹색 제복을 입은 이미지
위치프라하, 체코
날짜1556년
목격자아빌라의 테레사
María Manrique de Lara y Mendoza
로브코비츠의 폴릭세나 공주
유형나무 받침대와 은색 직립기가 있는 왁스 코팅된 나무 조각상
승인교황 레오 12세
교황 비오 10세
교황 비오 11세
교황 베네딕토 16세
성지승리의 성모 마리아 교회
수호프라하
프라하의 아기 예수 학교
비낭고난, 리잘 주
체코어 이름Pražské Jezulátko
스페인어 이름Niño Jesús de Praga
기타 이름Gratiosus Jesulus Pragensis
Pražské Jezulátko
Santo Niño de Praga
Divino Menino Jesus
Prager Jesulein

2. 역사

스페인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진 프라하의 아기 예수 성상은 여러 역사적 사건과 전설을 거쳐 현재 체코 프라하의 승리의 성모 교회에 모셔져 있다.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스페인의 한 수도원에서 수사가 아기 예수의 발현을 보고 밀랍으로 만들었다는 전설[39][4] 또는 아빌라의 테레사가 소유했던 성상을 귀족 가문에 선물했다는 전설[2] 등이 전해진다. 역사적으로는 1556년, 스페인 귀족 마리아 만리케스 데 라라 이 멘도자가 체코 귀족과 결혼하면서 이 성상을 보헤미아로 가져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3] 이후 딸인 로브코비츠의 폴릭세나에게 상속되었고, 폴릭세나 공주는 1628년 프라하의 맨발의 가르멜회 수도원에 이 성상을 기증했다.[13][3]

30년 전쟁 중인 1631년, 프라하가 스웨덴 군대에 점령되면서 수도원이 약탈당했고, 아기 예수상은 파손되어 제단 뒤에 버려졌다.[39][4] 7년 후인 1637년, 키릴로 신부가 성상을 다시 발견하여 복원했으며,[4][39] 이후 기적적인 일이 일어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면서[5] 다시 공경받기 시작했다.

1655년에는 프라하 대교구 주교 주관으로 대관식이 거행되었고,[39] 오스트리아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도 직접 방문하여 예복을 봉헌하는 등[39] 왕족과 귀족들의 후원을 받으며 신심이 널리 퍼져나갔다. 이후 성상은 폴란드를 비롯한 유럽 각지와 전 세계로 퍼져나가 많은 가톨릭 신자들의 공경 대상이 되었다.[7][8][9]

2. 1. 기원과 스페인 시대

프라하의 아기 예수 조각상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역사적 자료에 따르면 1340년경 스페인 아스투리아스 지방 시토회 수도원인 '산타 마리아 데 라 발보나'(Santa María de la Valbonna)에 있던, 오른손에 새를 든 48cm 크기의 성스러운 아동 조각상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 중세 유럽 전역에서 많은 아기 예수 조각상이 제작되었는데, 이 조각상에서 새는 영혼 또는 성령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성상은 당시 귀족들의 유행을 반영하여 제왕의 예복을 입고 있다.[1]

스페인 남부 코르도바세비야 사이 콰달키비르 지역의 한 수도원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에 따르면, 아기 예수에 대한 신심이 깊었던 요셉이라는 수사가 있었다. 어느 날 그가 바닥을 쓸고 있을 때, 우아한 모습의 한 아이가 나타나 성모송을 바쳐달라고 청했다. 수사가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부분에 이르자 아이는 "그게 바로 나다!"라고 외치며 자신의 정체를 드러낸 뒤 사라졌다. 이후 아기 예수를 그리워하던 수사는 기도 중에 "네 모습대로 밀랍 인형을 만들어라"는 목소리를 들었다. 그는 기억을 더듬어 인형을 만들기 시작했고, 작업 중에 천사들에 둘러싸인 아기 예수가 다시 나타나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수사는 아기 예수의 모습을 그대로 본떠 밀랍 인형을 완성한 뒤 평온하게 숨을 거두었고, 수도원장은 이 성상을 성당에 모셨다고 한다.[39][4]

다른 전설에 따르면, 이 조각상은 아빌라의 테레사가 소유했던 것으로, 그녀가 스페인 귀족 여성인 도냐 이사벨라 만리케스 데 라라에게 선물했다고도 전해진다.[2] 도냐 이사벨라는 이 성상을 딸 마리아 만리케스 데 라라 이 멘도자에게 물려주었다. 1526년부터 합스부르크 왕가가 보헤미아 왕국을 통치하면서 스페인과 보헤미아의 관계가 밀접해졌는데,[13] 1556년 마리아는 체코 귀족 페른슈테인 브라티슬라프 2세와 결혼하면서 이 성상을 혼인 선물로 보헤미아로 가져왔다.[13] 이후 마리아는 1587년 자신의 딸 로브코비츠의 폴릭세나가 아달베르트 폰 롭코비츠와 결혼할 때 이 성상을 다시 결혼 선물로 주었다.

1623년 남편과 사별한 폴릭세나 공주는 1628년, 당시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던 프라하의 승리의 성모 성당 소속 맨발의 가르멜회 수도사들에게 이 가보를 기증했다.[13] 성상을 전달하며 폴릭세나 공주는 "존경하는 신부님들, 제가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을 가져왔습니다. 이 상을 공경하십시오. 그러면 결코 부족함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3] 이 조각상은 수도원의 기도실에 안치되어 매일 두 차례 특별 기도가 봉헌되었다.[4]

2. 2. 보헤미아로의 전래

1526년 합스부르크 왕가가 보헤미아 왕국을 통치하기 시작하면서, 보헤미아는 스페인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프라하의 아기 예수상이 보헤미아로 오게 된 것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였다.

1556년, 스페인 귀족 마리아 막시밀리아나 만리케스 데 라라 이 멘도자(María Maximiliana Manriquez de Lara y Mendoza)는 체코 귀족 페른슈테인 브라티슬라프 2세와 결혼하면서 아기 예수상을 보헤미아로 가져왔다.[13] 로브코비츠 가문의 전설에 따르면, 마리아의 어머니 도냐 이사벨라는 아빌라의 테레사로부터 이 조각상을 선물 받았으며, 마리아는 이를 결혼 선물로 받았다고 한다.[2]

1587년, 마리아는 자신의 딸인 로브코비츠의 폴릭세나가 아달베르트 폰 롭코비츠(Adalbert von Lobkowicz)와 결혼할 때[39] 이 조각상을 결혼 선물로 물려주었다. 이후 1623년 남편과 사별한[39] 폴리세나 공주는 프라하의 승리의 성모 교회 소속 맨발의 가르멜회 수도회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39] 1628년 가보로 간직해 온 아기 예수상을 수도원에 기증했다.[13] 성상을 기증하며 폴리세나 공주는 "존경하는 아버지들, 제가 가장 소중한 소유물을 가져왔습니다. 이 상을 존경하십시오. 그러면 결코 가난해지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3]

2. 3. 30년 전쟁과 시련

30년 전쟁(1618-1648)으로 보헤미아가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리면서 프라하의 맨발의 가르멜회 수도원은 어려운 시기를 맞았고, 아기 예수상에 대한 신심도 점차 약해졌다.[39][4]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가 수도회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기도 했으나,[4] 전쟁의 혼란 속에서 1630년 가르멜회 수련원은 뮌헨으로 이전되었고, 아기 예수상에 대한 특별한 헌신은 중단되었다.[4]

1631년 11월 15일, 스웨덴구스타브 2세 아돌프 왕이 이끄는 군대가 프라하를 점령했다.[4] 이 과정에서 가르멜회 수도원은 약탈당했으며, 프라하의 아기 예수상은 제대 뒤 쓰레기 더미에 던져져 손이 부러진 채 방치되는 수모를 겪었다.[39][4]

7년 동안 잊혀졌던 아기 예수상은 1637년, 과거 이 수도원의 수련자였던 키릴로(Cyrillus a Matre Dei) 신부에 의해 먼지 속에서 다시 발견되었다.[4][39] 키릴로 신부가 성상 앞에서 기도하던 중 "나를 불쌍히 여기면 내가 너를 불쌍히 여기리라. 내 손을 돌려주면 내가 너에게 평화를 주리라. 나를 더 존경할수록 내가 너를 더 축복하리라."라는 목소리를 들었다고 전해진다.[5][39]

키릴로 신부는 즉시 수도원장에게 훼손된 성상의 수리를 청원했고, 이는 받아들여졌다. 이후 성상은 승리의 성모 교회 내 전용 경당 중앙 제대 위 감실에 안치되어 다시 공경받게 되었다.[39]

2. 4. 기적과 공경의 확산

30년 전쟁의 혼란 속에서 1631년 작센 군대가 프라하의 승리의 성모 가르멜회 수도원을 약탈했을 때, 아기 예수상은 제대 뒤 쓰레기 더미에 버려져 팔이 부러진 채 잊혀졌다.[4]

아기 예수상이 모셔져 있는 승리의 성모 성당의 중앙 제대.


7년 후인 1637년, 과거 이 수도원의 수련자였던 키릴루스 아 마트레 데이(Cyrillus a Matre Dei) 신부가 프라하로 돌아와 먼지 속에 버려진 아기 예수상을 발견했다.[4] 그가 성상 앞에서 기도하던 중, 다음과 같은 목소리를 들었다고 전해진다.[5]

"나를 불쌍히 여기면 내가 너를 불쌍히 여기리라. 내 손을 돌려주면 내가 너에게 평화를 주리라. 나를 더 존경할수록 내가 너를 더 축복하리라."


키릴루스 신부는 즉시 수도원장에게 성상 복원을 요청했고, 이는 받아들여졌다. 복원된 성상은 교회의 기도실에 안치되었고,[4] 이후 전용 경당의 중앙 제대 위 감실에 모셔져 다시 공경받기 시작했다. 이후 매년 1월에는 '은총을 풍성히 내려 주시는 프라하의 아기 예수님 축제'가 이곳에서 열리게 되었다.

성상에 대한 공경은 점차 확산되어, 1655년 4월 4일에는 프라하 대교구 부교구장 주교의 집전 아래 귀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한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오스트리아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는 프라하 방문 시 승리의 성모 성당을 찾아 아기 예수상에 보석이 박힌 초록색 벨벳 옷을 직접 봉헌하기도 했다.

이후 성상은 프라하에 남아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공경을 받게 되었다. 아기 예수상 앞에서 기도하여 축복, 은혜, 기적적인 치유를 경험했다는 신자들의 증언이 보고되었다.[6] 1741년, 이 조각상은 프라하에 있는 승리의 성모 교회의 서신 쪽(Epistle side)으로 옮겨졌다.

프라하의 아기 예수에 대한 신심은 체코를 넘어 다른 나라로 퍼져나갔다. 1680년경에는 폴란드에 복사본이 전해졌으며,[7][8] 18세기에는 중부 유럽 교회들로 확산되었다. 반종교개혁 시대가 시작된 17세기에 이 조각상에 대한 신심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카리브해, 태국, 스리랑카의 기독교 공동체로 퍼져나갔다.[9]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석고나 금속으로 만든 저렴한 복사본들이 대량 생산되면서 유럽 가정집에서도 아기 예수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22][26]

프라하의 아기 예수의 맨몸 형태의 대리석 복사본


오늘날에도 프라하 승리의 성모 교회의 가르멜회 수녀들은 아기 예수상을 정성껏 돌보며, 신자들이 봉헌한 100여 벌의 의복 중 하나를 골라 교회력 시기에 맞춰 갈아입히는 예식을 거행한다.[20][21] 신자들은 여전히 아기 예수에게 기도하면 은혜를 받을 수 있다고 믿으며 성상을 공경한다.[22][23] 성상의 복사본은 전 세계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도 널리 공경받고 있다.[35] 프라하 교회는 4년에 한 번씩 나무로 만든 아기 예수상 복사본 두 점을 제작하여 전 세계 가톨릭 교회로 보내며, 매주 성상 복사본, 성화 카드, 종교 기념품 등을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발송하는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24] 미국과 아프리카 등 다른 지역에도 프라하의 승리의 성모 교회를 본뜬 교회가 세워지기도 했다.[25]

프라하의 아기 예수와 관련된 묵주 기도는 12개의 고리와 3개의 추가 묵주알을 사용하는 독특한 형태를 지닌다.

3. 성상의 모습과 의복

이 조각상은 나무로 조각된 48cm 크기의 아기 예수를 묘사한 것으로, 린넨으로 덮여 있으며 표면은 색깔 있는 왁스로 모델링되어 있다.[10] 왁스 표면은 매우 섬세하며, 이를 보호하기 위해 허리 아래쪽 부분은 은색 케이스로 덮여 있다.[11]

1788년부터 이 조각상의 손가락 두 개에는 체코 귀족 가문이 딸의 치유에 대한 감사의 선물로 준 반지 두 개가 끼워져 있다. 일부 초기 기록에 따르면 원래 가발은 흰색이었을 수도 있다.[12]

1870년경의 독일 복제품 조각상, 전통적인 금발 대신 흰색 가발 착용


여러 값비싼 자수 성의(聖衣)가 기증자들에 의해 기증되었다. 그중에는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와 오스트리아의 페르디난트 1세 황제가 기증한 것들도 있으며, 이들은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 소장품 중 주목할 만한 의상은 족제비털 망토인데, 이는 1655년 4월 4일 프라하의 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 대주교에 의해 동상에 대한 대관식이 거행된 날을 기념하여 입혀지는 것이다.[3] 1713년부터는 전례 규범에 따라 의복을 교체하기 시작했다. 이미지에 사용된 다른 귀중한 의복으로는 다양한 보석이 박혀 있고 금사 자수로 수놓아졌으며, 수제 레이스로 맞춤 제작된 실크 직물 성의가 있다.

전례력에 따라 교체되는 의복의 색상은 다음과 같다.

  • 녹색: 연중 시기
  • 자색: 사순 시기, 주님 봉헌 축일, 대림 시기
  • 적색 또는 금색: 성탄절, 부활절
  • 로열 블루: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성모 승천 대축일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사제들이 사용하는 전례색[10]을 따르며, 이는 사제직을 나타낸다.

4. 신심과 전례

프라하는 중앙 유럽의 주요 순례지 중 하나이며, 아기 예수상이 있는 프라하 교회에서는 체코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영어, 독일어로 정기 미사를 제공한다.[24] 프라하의 아기 예수 축일은 성육신의 신비를 기념하며 매년 1월 14일에 열린다.[13]

매년 5월 첫째 주 일요일에는 신자와 관광객들이 모인 가운데 아기 예수상의 복제품을 들고 대관식 축제와 약 45분간의 공개 행렬이 열린다.[14] 이 행렬은 1651년 마르티니체 백작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당시 아기 예수상은 프라하의 여러 교회를 순회했다. 가장 최근의 왕관은 2009년 프라하 방문 중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기증한 것이다.[15]

원본 조각상이 보관된 교회에서는 카르멜회 수녀들이 의례적으로 조각상을 돌보고 씻기며 옷을 입힌다. 신자들이 헌신적인 선물로 기증한 약 100벌의 의상 중에서 교회의 전례력에 맞는 옷으로 갈아입힌다.[20][21] 신자들은 프라하의 아기 예수에게 기도하는 이들에게 예수께서 은혜, 축복, 기적적인 치유를 베푸는 능력이 있다고 믿으며 조각상을 숭배한다.[6][22][23] 조각상의 복사본은 전 세계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가톨릭 신자들에게도 숭배받고 있다.[35]

4년에 한 번씩 프라하에서 제작된 아기 예수의 나무 조각상 두 점이 전 세계 여러 가톨릭 교회로 보내진다. 프라하 교회는 또한 매주 조각상, 카드, 종교 기념품 등의 복사본을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발송하는 전용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24]

아일랜드에서는 이 조각상이 Child of Prague영어("프라하의 아이")로 불리며 인기가 높다. 특히 결혼 선물로 상서로운 의미를 지니며, 아일랜드 신부들은 결혼식 날 행운과 좋은 날씨를 기원하며 조각상 복제품을 집 밖에 두기도 한다.[18] 날씨에 영향을 미치는 힘에 대한 믿음은 여전히 강하며, 더블린 등 일부 지역에서는 집 창문에 조각상을 전시하거나 좋은 날씨를 위해 울타리에 놓거나 정원에 묻는 관습이 있다.[19] 미국에서는 오클라호마, 코네티컷, 미시간 주의 교회에 프라하의 아기 예수 조각상이 축성되었다.[17] 미국과 아프리카 등 다른 지역에도 프라하 교회를 본뜬 교회가 세워졌으며, 신자들은 노래, 춤, 설교 등으로 신심을 표현한다.[25] 프라하의 아기 예수 숭배는 18세기에 중앙 유럽 교회들로 퍼져나갔고,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더 저렴해진 석고 및 금속 복제품을 통해 현대 유럽 가정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22][26]

프라하의 아기 예수 신심과 관련된 묵주 기도 의례에는 12개의 고리와 세 개의 추가적인 묵주알이 사용된다.

5. 한국에서의 공경

한국 가톨릭 교회에서도 프라하의 아기 예수에 대한 공경이 이루어진다. 특히 어린이의 건강과 안전을 기원하는 부모들이 많이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내 일부 성당에서는 프라하의 아기 예수 성상을 모시고 특별 기도를 바치기도 한다.

6. 다른 나라에서의 공경

프라하의 아기 예수 공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럽을 넘어 전 세계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 다양한 문화권에서 아기 예수상은 현지 신앙과 결합하여 독특한 형태로 받아들여졌다.


  • 이베리아 반도와 멕시코: 1200년경부터 포르투갈스페인에서는 바구니를 든 모습의 아토차의 성스러운 아기( Santo Niño de Atochaes )와 관련된 기적 이야기가 전해졌다. 이 신앙은 스페인 식민 시대멕시코로 전파되어 유사한 형태로 발전했다.
  • 이탈리아: 로마에서는 1499년부터 아라코엘리의 산토 밤비노( Santo Bambinoit , 거룩한 아기)라는 이름의 유사한 성상이 공경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크리스마스 시기에 아라코엘리의 성 마리아 대성당에서 중요한 의례 대상으로 여겨졌으며,[31][32] 1897년 교황 레오 13세는 이 성상에 대한 교황 대관을 승인했다. 또한, 아렌차노의 바실리카에는 1902년 이탈리아 후작 부인이 기증한 복사본인 아렌차노의 밤비노 제수( Bambino Gesù di Arenzanoit )가 있으며, 이 성상은 1924년 교황 비오 11세의 승인 아래 라파엘 메리 델 발 추기경에 의해 대관되었다.
  • 필리핀: 1521년 스페인의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세부에 도착하면서 산토 니뇨 데 세부( Santo Niño de Cebues )라는 아기 예수상을 전파했다. 이 성상은 현재 1739년에 세워진 산토 니뇨 성당에 보관되어 있다. 매년 1월에는 이 성상을 기리는 9일 기도(노베나)와 성대한 행렬이 열리며, 백만 명이 넘는 순례자들이 참여한다.[33] 1965년 교황 바오로 6세는 이 성상에 대한 교황 대관을 승인했다.
  • 벨기에: 1536년부터 메헬렌의 아기 예수가 공경받기 시작했는데, 이는 필리핀의 산토 니뇨 데 세부와 표현 방식, 장신구, 손 모양 등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두 성상 모두 벨기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4][35]
  • 폴란드: 1680년경 아기 예수상의 복사본이 폴란드에 전해졌으며, 이후 유리 덮개가 있는 벽감 등에 안치하는 형태로 가정집 장식으로 인기를 끌었다.[7][8]
  • 기타 지역: 반종교개혁 시기인 17세기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카리브해, 태국, 스리랑카 등 세계 각지의 기독교 공동체로 아기 예수 공경이 확산되었다.[9]
  •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세인트 존 네포무크 교구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체코계 교구 중 하나로, 1897년 요제프 헤순 몬시뇰이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가져온 아기 예수상을 모시고 있다. 이 성상은 신자들이 기증한 보석으로 만든 왕관과 장식물로 치장되었으며, 1948년 1월 4일 교구 차원에서 공식적인 대관식을 거행했다.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세인트 존 네포무크 교구에 안치된 프라하의 아기 예수상. 1948년 교구 차원에서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 인도: 1971년 5월부터 방갈로르 비베크나가르의 아기 예수 교회에 아기 예수상이 안치되어 있으며, 1989년 당시 방갈로르 대교구장이었던 알퐁수스 마티아스가 신자들의 요청에 따라 공식적으로 축복했다.[36]
  • 산테리아: 프라하의 아기 예수는 아프리카 전통 종교와 가톨릭 신앙이 혼합된 쿠바산테리아 및 유사 종교에서도 받아들여졌다. 이 종교에서는 아기 예수상이 요루바 신화의 길과 운명의 신인 엘레구아( Eleguayo )를 상징하는 가톨릭 성상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신자들은 아기 예수상에 비둘기를 제외한 다양한 음식(염소, 수탉, 훈제 생선 등)을 봉헌한다.[37]

7. 교황청의 승인


  • 교황 레오 12세: 1824년 9월 24일, 프라하의 아기 예수 조각상에 대한 교황 대관식을 허가했다. 이는 로마 가톨릭 교황청의 카메를렝고인 추기경 피에트로 프란체스코 갈레피가 공증했으며, 권위 있는 영예를 받은 최초의 기독론적 이미지였다.
  • 교황 비오 10세: 1913년 3월 30일, 칙령 ''Significat Nobis''를 통해 맨발의 가르멜 수도회를 위한 동명의 친교회 설립을 승인했다. 이는 교황 클레멘스 8세가 반포한 이전 규정을 기반으로 하며, 추기경 라파엘 메리 델 발이 서명하고 공증했다.[27][28] 이는 1636년 프랑스 에서 설립된 성 어린 시절의 대친교회와는 구별된다.[29]
  • 교황 비오 11세: 1923년 1월 25일, 칙령 ''Per Similes Literras''를 통해 프라하의 맨발의 가르멜 수도회에 주어진 친교회 관련 특권을 재확인했다.
  • 교황 베네딕토 16세: 2009년 9월 체코 사도적 방문 중 프라하의 승리의 성모 교회를 방문하여, 다수의 진주와 가넷이 박힌 금색 왕관을 기증했다. 이 왕관은 현재 조각상이 착용하고 있다.[30] 이로 인해 1924년에 만들어진 기존의 "쿠션 왕관"은 교회 박물관에 영구 보관 및 전시되었고, 베네딕토 16세가 기증한 가넷 왕관이 조각상이 영구적으로 착용하는 왕관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nfant Jesus .com :: Devotion http://www.infantjes[...] 2018-10-05
[2] 서적 The Holy Infant of Prague Martin, Prague
[3] 서적 Miraculous Images of Our Lord TAN Books and Publishers, Inc
[4]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Veneration of the Infant Jesus of Prague https://www.pragjesu[...]
[5] 웹사이트 History - Miraculous Infant Jesus of Prague https://www.shrineof[...]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nfant Jesus of Prague http://www.ewtn.com/[...]
[7] 서적 The Santo Niño of Cebu https://books.google[...] Catholic Trade School, University of San Carlos
[8] 서적 Our Young People, Volume 20, Number 6 https://books.google[...] Wisconsin: St Francis Press
[9] 서적 Body, Movement, and Culture: Kinesthetic and Visual Symbolism in a Philippine Commu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0] 웹사이트 Statue of the Infant Jesus https://www.pragueci[...]
[11] 웹사이트 The statue of Infant Jesus of Prague http://www.pragjesu.[...]
[12] 서적 A Handbook of Catholic Sacramentals Our Sunday Visitor Publishing Division, Our Sunday Visitor
[13] 웹사이트 What is the origin of the Infant Jesus of Prague? https://www.national[...]
[14] 웹사이트 Czech Rep. Procession https://www.efe.com/[...]
[15] 웹사이트 The Prague Infant Jesus' Coronation Celebration https://www.pragjesu[...]
[16] 웹사이트 Davies, O.Carm., Peter. "The Miraculous Infant Jesus of Prague" http://www.catholicp[...] 2014-03-31
[17] 서적 The Encyclopedia of Religious Phenomena https://books.google[...] Visible
[18] 서적 Great Irish Reportag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9] 웹사이트 The Infant of Prague Irish customs - World Cultures European http://www.irishcult[...] 2018-10-05
[20] 서적 Encyclopedia of Occultism & Parapsychology: A-L https://books.google[...] Gale
[21] 서적 The Grace of Playing: Pedagogies for Leaning into God's New Crea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2] 서적 La Nativité et le temps de Noël: XVIIe-XXe siècle https://books.google[...] Publ. de l'Université de Provence
[23] 서적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nd Foreign Christian Union, Volume 10, Number 7 (July) https://books.google[...] American and Foreign Christian Union
[24] 서적 Pilgrimage: From the Ganges to Graceland :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5] 학위논문 Creating Selves: An Interdisciplinary Exploration of Self and Creativity in African American Religion https://scholarship.[...] Rice University
[26] 간행물 Review: La Nativité et le temps de Noël, XVIIe-XXe sièc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Confraternity of the Divine Infant of Prague https://books.google[...] American Ecclesiastical Review
[28] 웹사이트 Devotion to the Infant Jesus https://books.google[...] American Ecclesiastical Review
[29] 뉴스 THE MIRACULOUS INFANT JESUS OF PRAGUE https://newspapers.b[...] The Sacred Heart Review 1897-10-02
[30] 웹사이트 Child of Prague http://www.czechtour[...]
[31] 서적 L'enfant Jésus: Histoire et anthropologie d'une dévotion dans l'occident chrétien https://books.google[...] Presses Universitaires du Mirail
[32] 서적 Encyclopedia of Sacred Places,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33] 서적 Encyclopedia of Sacred Places,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34] 서적 Body, Movement, and Culture: Kinesthetic and Visual Symbolism in a Philippine Commun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5] 서적 Acta Comeniana, Volume 20-21 https://books.google[...] Academia
[36] 웹사이트 INFANT JESUS CHURCH http://infantjesusba[...] 2022-06-16
[37] 웹사이트 The Infant of Prague doubles as a Santeria idol - https://magicbohemia[...] 2024-08-06
[3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Devotion http://www.infantjes[...]
[39] 웹사이트 Prague Infant Jesus (Niño Jesus de Praga) http://www.prague.c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