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르멜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르멜회는 12세기 십자군 시대에 갈멜 산에서 기원한 가톨릭 수도회로, 엘리야와 엘리사를 영적 아버지로 숭배한다. 13세기 교황의 인가를 받아 정식 수도회로 성립되었으며, 16세기 아빌라의 테레사와 십자가의 요한의 개혁 운동을 통해 맨발 가르멜회(O.C.D)가 분리 독립했다. 가르멜회는 관상 생활과 스카풀라를 중시하며, 마리아 막달레나 데 파치, 리시외의 테레즈 등 많은 성인과 영성가를 배출했다. 20세기에는 파티마의 성모 발현과 관련된 루시아 성녀가 가르멜회 수녀가 되었고, 현대에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관구와 수도원을 운영하며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가톨릭 탁발수도회 - 도미니코회
    도미니코회는 성 도미니코가 설립한 가톨릭 수도회로, 설교와 신학 연구를 통해 신앙을 전파하고 이단에 맞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하고 교육 기관을 운영하며 선교 활동을 한다.
  • 로마 가톨릭 탁발수도회 - 예수회
    예수회는 1534년 이냐시오 데 로욜라가 창립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도회로, 청빈, 순결, 순종을 서약하며 교육, 선교, 사회 정의, 인권 분야에서 활동한다.
  • 가르멜회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가르멜회 - 에디트 슈타인
    에디트 슈타인은 폴란드 출신의 유대인 철학자이자 가톨릭 성녀로, 현상학 및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 연구에 기여했으며, 나치의 박해로 아우슈비츠에서 순교, 가톨릭 개종 후 가르멜 수녀회 수녀로 활동하며 기독교적 존재론을 연구했고, 유럽의 수호성인 중 한 명이다.
가르멜회
기본 정보
카르멜회 문장
카르멜회 문장
기타 명칭백의 수도회
백의 수사
약칭OCarm
창립12세기 후반
창립자카르멜 산의 초기 은수자
종류걸식 수도회, 교황청 직속
지위봉헌 생활회
모토(주 하느님을 위해 열정으로 불탔습니다.)
총본부쿠리아 제네랄리치아 데이 카르멜리타니, 비아 조반니 란차 138, 00184 로마, 이탈리아
총장미켈 오닐, OCarm
수호성인카르멜 산의 성모
엘리야
소속가톨릭 교회
웹사이트카르멜회 공식 웹사이트
구성원
회원 수2,041명 (사제 1,303명 포함) (2022년 기준)
주요 인물아빌라의 테레사, 외

2. 역사

가르멜회의 기원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불확실하지만, 12세기 십자군 국가의 갈멜 산에서 창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전통적으로 칼라브리아의 베르톨드, 베르첼리의 알베르토가 수도회 창설과 관련되어 있지만, 초기 가르멜회 역사의 명확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12세기, B 수도사(원문에서는 "B"라는 머리글자만 확인되었으며, 가장 널리 알려진 해석으로는 "브로칼도"이다)라는 수도자가 팔레스타인의 카르멜 산에 수도원을 세워 생활한 것이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회의 명칭은 그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B 수도사는 원래 칼라브리아 출신이었으나, 순례자 또는 십자군 전사로서 팔레스타인으로 가서 발원하여 수도자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카르멜 산은 구약성서의 《열왕기상》에서 예언자엘리야가 바알의 예언자들과 대결하여 승리한 것으로 알려진 산이다.

1209년, 예루살렘의 라틴 총대주교 베르첼리의 알베르트는 카르멜 산 은둔자 그룹에게 기도에 중점을 둔 삶의 규칙을 서면으로 제공했다.

1226년 교황 호노리우스 3세에 의해 인가받아 정식 수도회로 성립되었다. 13세기에 동방과 서방의 괴리가 심화되면서 가르멜회 수도사들은 발상지인 카르멜 산을 떠나 시칠리아와 키프로스에 수도원을 세웠다. 이윽고 회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영국 등 유럽 전역에 가르멜회 수도원을 세웠다.


  • 1235년, 피에르 드 코르비와 그의 동료가 에노 공국(발랑시엔)에 정착했다.
  • 1242년, 가르멜회가 켄트주 에일스포드, 잉글랜드에 정착했다.
  • 1244년, 가르멜회가 프랑스 마르세유에 상륙하여 아일라드 동굴에 정착했다.
  • 1259년, 가르멜회가 루이 9세의 지원으로 프랑스 파리에 정착했다.
  • 1274년, 가르멜회가 아일랜드 더블린에 정착했다.

1291년 생 장 다르크의 함락과 십자군 국가의 멸망으로 성지 내 마지막 카르멜회 수도원이 파괴되었고, 그곳에 남기로 선택한 카르멜회는 맘루크에 의해 학살되었다.[6]

성 시몬 스톡에게 스카풀라를 건네는 성모 마리아


전통에 따르면, 성 시몬 스톡은 수도회를 돕기 위해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게 간절히 기도했고, 1251년, 가르멜 산의 성모는 수도회의 스카풀라를 그에게 건넸다.

1247년, 가르멜회는 교황 인노첸시오 4세에게 1209년의 ''성 알베르토 규칙''을 도시에서의 새로운 생활 방식에 맞게 수정해 줄 것을 요청했고, 교황은 1247년 10월 1일 교황 칙서로 이를 확정했다.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정규 법적 지위가 없는 모든 탁발 수도회를 폐지했지만, 가르멜회는 교황의 승인을 강조하며 자신들의 연대를 확인받았다.

1326년 교황 요한 22세가 가르멜회를 탁발 수도회로 받아들였다.

[[File:חזית_מנזר_סטלה_מאריס.jpg|thumb|right|스텔라 마리스 수도원 (Stella Maris Monastery) in 카르멜 산 (Mount Carmel), 하이파

14세기 중반 흑사병 대유행 이후 규율 완화가 이루어졌고, 1432년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가르멜회원들에게 교회와 회랑 등에서 자유롭게 머물고 걸을 수 있는 권한과 일주일에 3일 육식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교황 피우스 2세와 식스토 4세는 더 큰 자유를 부여했다.

1452년에는 가르멜 수녀회가 정식으로 설립되었다.[4]

2. 1. 기원과 발전

가르멜회는 카리스마적인 창시자를 언급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수도회 중 하나이며, 구약성경의 예언자 엘리야와 그의 제자 엘리사를 가르멜회의 영적 아버지로 여긴다.[5] 전통에 따르면, 카르멜 산에는 엘리야와 엘리사가 사용했던 동굴에서 생활하며 기도하고 가르침을 펼친 일련의 유대교 신자들과 기독교 은수자들이 있었다. 최초의 기독교 은수자들이 카르멜 산의 동굴에 정착하여 하느님께 기도하게 되었고, 이 은수자 공동체 내에 세워진 최초의 경당은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되었다. 가르멜회의 영성은 매우 빠르게 마리아에게로 향했으며, 마리아는 카르멜의 여왕이자 주인이 되었다.

17세기 카르멜 산과 하이파 만의 조감도


카르멜 산 비탈에 있는 최초의 교회의 폐허


6세기, 비잔틴 제국 시대의 수도사들이 현재 수도원 남쪽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계곡에 성 엘리야를 기리는 수도원을 지었으나, 614년 호스로 2세의 페르시아인들에 의해 파괴되었다.[6] 1150년경, 칼라브리아 출신의 그리스인 수도사가 고대 비잔틴 수도원의 폐허 위에 공동체를 세웠는데, 그는 이 수도원을 재건하고 성 엘리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약 10명의 수도사들이 이 공동체에 속해 있었다.

제3차 십자군 동안, 칼라브리아의 베르톨드가 이끄는 은둔자 그룹은 예언자 엘리야를 따라 카르멜 산의 동굴에 거주하기 시작했다. 이 첫 번째 수도원은 현재 수도원에서 3.5km 남쪽에 위치한 동서 방향의 계곡과 "하이파 스데 예호슈아 묘지"의 동쪽에 위치해 있었다. 13세기 초, 그들의 지도자는 성 브로카드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서면 증거는 부족하다.

1209년, 예루살렘의 라틴 총대주교 베르첼리의 알베르트는 카르멜 산 은둔자 그룹에게 기도에 중점을 둔 삶의 규칙을 서면으로 제공했다. 카르멜 산 복되신 동정 마리아 형제회의 첫 번째 행위는 바다의 별(라틴어: ''Stella Maris'')이라는 칭호로 동정 마리아에게 예배당을 봉헌하는 것이었다.

몇십 년 후, 이 은둔자들은 십자군의 종말을 알리는 이슬람 재정복과 관련된 불안으로 인해 성지를 떠나 유럽으로 돌아와 수도회를 퍼뜨렸다. 1226년 1월 30일 호노리우스 3세의 교서와 1229년 교황 그레고리 9세에 의해 규칙이 승인되었다.

''카르멜회 순교''는 카르멜 산에서 카르멜회 은둔자 생활의 종말을 알렸다


1254년 루이 9세가 이끈 첫 번째 십자군(제7차 십자군)이 성지에서 끝났을 때, 루이는 6명의 가르멜회를 프랑스로 데려왔다. 1291년 생 장 다르크의 함락과 십자군 국가의 멸망으로 성지 내 마지막 카르멜회 수도원이 파괴되었고, 그곳에 남기로 선택한 카르멜회는 맘루크에 의해 학살되었다.[6]

유럽으로 돌아온 가르멜회 은수자들은 은수 생활이 새로운 정착지에 잘 적응하지 못했고, 다른 탁발 수도회들과 "경쟁"하는 상황에 놓이는 등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 1235년, 피에르 드 코르비와 그의 동료가 에노 공국(발랑시엔)에 정착했다.
  • 1242년, 가르멜회가 켄트주 에일스포드, 잉글랜드에 정착했다.
  • 1244년, 가르멜회가 프랑스 마르세유에 상륙하여 아일라드 동굴에 정착했다.
  • 1259년, 가르멜회가 루이 9세의 지원으로 프랑스 파리에 정착했다.
  • 1274년, 가르멜회가 아일랜드 더블린에 정착했다.


전통에 따르면, 성 시몬 스톡은 수도회를 돕기 위해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게 간절히 기도했고, 1251년, 가르멜 산의 성모는 수도회의 스카풀라를 그에게 건넸다.

1247년, 가르멜회는 교황 인노첸시오 4세에게 1209년의 ''성 알베르토 규칙''을 도시에서의 새로운 생활 방식에 맞게 수정해 줄 것을 요청했고, 교황은 1247년 10월 1일 교황 칙서로 이를 확정했다. 그 후 가르멜회는 식당에서 공동으로 식사하고, 세속 교회에서 설교하고 고해성사를 들었다.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정규 법적 지위가 없는 모든 탁발 수도회를 폐지했지만, 가르멜회는 교황의 승인을 강조하며 자신들의 연대를 확인받았다. 1287년 프랑스 몽펠리에에서 열린 수도회 총회 이후, 가르멜회는 수도복의 흰색과 갈색 줄무늬 외투를 흰색 망토로 대체했다. 1326년 교황 요한 22세가 가르멜회를 탁발 수도회로 받아들였다.

[[File:חזית_מנזר_סטלה_מאריס.jpg|thumb|right|스텔라 마리스 수도원 (Stella Maris Monastery) in 카르멜 산 (Mount Carmel), 하이파

14세기 중반 흑사병 대유행 이후 규율 완화가 이루어졌고, 1432년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가르멜회원들에게 교회와 회랑 등에서 자유롭게 머물고 걸을 수 있는 권한과 일주일에 3일 육식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교황 피우스 2세와 식스토 4세는 더 큰 자유를 부여했다.

14세기 이후, 다른 수도회에서도 볼 수 있었던 쇄신 운동이 발흥하면서, 원점 회귀가 외쳐지게 되었다. 1452년 교황 니콜라 5세는 프랑스에 가르멜회를 도입하는 교황 칙서를 공포했다. 프랑수아즈 당부아즈는 프랑스에 가르멜 수녀회를 위한 첫 번째 수도원을 세웠다. 요한 소레스는 재속 가르멜회 창설에 지대한 역할을 했다. 프랑스 혁명 동안 많은 복되신 동정 마리아 가르멜산 제3회 형제회원들이 사망했지만, 소수는 진화하여 사도 생활을 하는 수도회로 조직되었다.

16세기의 여자 수도회에서의 아빌라의 테레사와 남자 수도회에서의 십자가의 요한은 개혁 운동에 큰 역할을 했다. 1562년, 테레사는 최초의 개혁파 여자 수도원을 아빌라에 창립했으며, 1568년에는 십자가의 요한의 협력을 얻어 개혁파 남자 수도원을 창립했다. 이들은 맨발 가르멜 수도회(O.C.D)로 불렸고, 1593년 원래의 가르멜회에서 분리 독립했다. 개혁파는 17세기에 성 요셉 일족과 성 엘리야 일족으로 나뉘었으나, 1875년 교황 비오 9세의 명에 의해 합병되었다.

프랑스 혁명과 근대 계몽사상의 발달로 인해 반 가톨릭 교회·반 수도회적인 풍조가 유럽에 강해지면서 가르멜회도 큰 타격을 받았지만, 이 위기를 극복하고 현대에도 전 세계에 많은 수도원이 존속하고 있다.

2021년 9월 4일, 미겔 마르케스 칼레 신부가 남자 맨발 가르멜 수도회의 신임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임기는 6년이다.

2. 2. 개혁 운동

13세기 이후, 다른 수도회에서도 볼 수 있었던 쇄신 운동이 발흥하면서 원점 회귀가 이루어졌다. 그 움직임 속에서 특히 큰 역할을 한 것은 16세기의 여자 수도회에서의 아빌라의 테레사이며, 남자 수도회에서의 십자가의 요한이다. 아빌라의 테레사는 1562년, 최초의 개혁파 여자 수도원을 아빌라에 창립했으며, 1568년에는 십자가의 요한의 협력을 얻어 개혁파 남자 수도원을 창립했다.

아빌라의 테레사 (1515–1582)


십자가의 요한 (1542–1591)


스페인에서의 개혁은 1560년대에 아빌라의 테레사의 활동으로 본격화되었으며, 그녀는 십자가의 요한과 함께 맨발 가르멜회를 설립했다.[7] 테레사의 재단은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에 의해 환영받았는데, 그는 모든 수도회가 트리엔트 공의회 (1545–1563)의 원칙에 따라 개혁되기를 간절히 바랐다.[7] 그러나 그녀는 현장에서 실질적인 문제를 야기했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마을에 새로운 수도원이 급증하는 것은 반갑지 않은 전망이었다.[7] 지역 주민들은 귀족과 교구 성직자의 지시에 저항했다.[7] 테레사는 수도원을 가능한 한 자급자족하게 만들려고 노력했으며, 이에 따라 각 공동체의 수녀 수를 제한했다.[7]

아빌라 (스페인)의 산 호세 수도원은 맨발 가르멜회의 첫 번째 재단이었다.


맨발 가르멜회는 개혁되지 않은 가르멜 수도원으로부터 많은 반대에 직면했는데, 예를 들어 톨레도에서 온 가르멜회 수도사들이 십자가의 요한을 체포하여 수도원에 감금한 사건이 있었다.[7] 1580년대에 이르러서야 맨발 가르멜회는 그들의 지위에 대한 공식적인 승인을 얻었다.[7] 1593년, 맨발 가르멜회는 자체 총장(praepositus general)을 두었으며, 첫 번째 총장은 니콜라스 도리아였다.[7] 설립 정치로 인해 이탈리아의 맨발 수도사들은 별도의 법적 실체로 정식 설립되었다.[7] 그들의 사상에 공감하여 뒤를 이은 가르멜회 수도사들은 개혁을 의미하는 맨발(선속)의 그룹이라고 칭하게 되었다(후의 맨발 가르멜 수도회 O.C.D: Ordo Carmelitarum Discultiatorum). 약 20년 동안 16개의 여자 수도원, 15개의 남자 수도원이 스페인에 설립되었다. 이 그룹은 1593년에 원래의 가르멜회에서 분리 독립한다. 개혁파는 17세기에 성 요셉 일족이라고 불리는 스페인 계열과 성 엘리야 일족이라고 불리는 이탈리아 계열로 나뉘어, 그대로 독자적인 회헌, 독자적인 총장을 가지고 활동했지만, 1875년, 당시 교황 비오 9세의 명에 의해 합병되어 O.C.D.가 되었고, 비개혁파(履足派)는 O.Carm.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1451년-1471년에 총장으로 재임한 존 소레트는 이미 뿌려진 씨앗을 키우고 이미 존재하는 운동을 장려하여 더 엄격한 종교 생활을 이끌도록 구성원들을 설득하려 했다. 그의 좌우명은 "성 알베르토의 규칙으로 돌아가자"였다. 그는 초기의 법령에서 특권과 면제를 비난했는데, 이는 수도회의 쇠퇴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졌다.

1362년의 수도회 헌장은 수정되었고, 1462년 브뤼셀에서 열린 총회에서 그 내용이 승인되었다. 그들은 신성한 사무, 빈곤의 서약, 침묵과 고독, 수도원과 수도실의 보존, 학문, 노동 및 상위자의 방문.la을 강조했다. 개혁은 일부 수도원, 즉 "준수 수도원"과 "혼합 수도원"에서 자리를 잡았다. 존 소레트는 그의 개혁이 수도회의 모든 수도원에 점차적으로 시행되기를 바랐지만, 이 개혁 시도는 대부분 실현되지 못했는데, 그를 이은 총장이 규칙의 완화를 선호했고 교황 비오 2세와 식스토 4세의 승인을 받았기 때문이다.

1499년, 알비 개혁은 더 엄격한 준수를 목표로 했으며 1513년에는 "준수 수도회"로 승인되었다. 그러나 이 개혁은 1584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철회되었다.

프로테스탄트교의 부상과 프랑스 종교 전쟁의 황폐함 이후, 개혁의 정신이 16세기~17세기 프랑스뿐만 아니라 프랑스 가르멜회에도 영향을 미쳤다.[7] 16세기 말, 피에르 브호르트는 투렌 관구의 상태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고, 이는 필립 티보의 실질적인 개혁으로 이어졌다.[7] 1604년 관구 회의는 티보를 렌의 수도원 원장으로 임명하고, 수련소를 렌으로 옮겨 관구의 새로운 구성원들이 개혁적인 수도사들에 의해 양성되도록 했다.[7] 렌 준수는 빈곤, 내면의 삶, 규칙적인 준수를 종교 생활이 빠졌던 나태함과 타락에 대한 해독제로 옹호했으며, 또한 맨발 개혁, 프랑스 영성 학교, 예수회에서 온 갱신의 흐름을 통합했다.[7] 티보는 가능한 한 사회의 정신과 가르멜회 수도회의 정신을 결합하고자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8]

1603년, 수도회 총장 앙리 실비우스는 프랑스의 앙리 4세 국왕의 요청으로 프랑스로 건너가 필리프 티보와 함께 투렌 지방의 개혁을 착수했다. 피에르 베후르, 루이 샤르팡티에, 필리프 티보, 장 드 생 삼손은 이 개혁의 창시자이자 설계자였다. 가톨릭 개혁의 주요 인물인 그들은 밀라노의 추기경이자 대주교인 카를로 보로메오의 지원을 받았다. 1604년 6월 20일, 낭트에서 열린 지방 총회에서 앙리 실비우스는 성모 마리아와 성 요셉의 후원 아래 내면의 삶을 증진하고 수도회의 고대 전통으로 돌아가려는 개혁의 규정을 발표했다.

개혁의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한 명은 맹인 평신도 형제인 성 삼손의 요한으로, 그의 겸손함과 고귀한 영적 삶으로 높이 평가받았다.[9] 1612년, 형제 요한은 렌의 수도원으로 옮겨져 오르간 연주 외에도 수련자들의 교사 및 영적 지도자로 봉사했다.[9] 그리하여 성 삼손의 요한은 "개혁의 영혼"으로 알려지게 되었다.[9] 결국, 렌 준수는 프랑스, 벨기에, 독일 전역의 수도원으로 퍼져나가 투렌 관구에서 유래된 운동이기 때문에 투렌 개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9]

17세기 중반까지 대부분의 프랑스 지방은 개혁을 채택했으며, 이는 이미 벨기에(1624년)와 독일의 수도원을 사로잡았다. 그 헌법은 1635년에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1645년 로마에서 열린 총회에서 투렌 지방의 레옹 드 생 장은 수도회의 모든 개혁 수도원에 채택될 수 있도록 이 헌법을 더욱 개정하는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가르멜회 수녀원은 누에바 에스파냐 (멕시코)에 설립되었으며, 첫 번째 수녀원은 1604년 누에바 에스파냐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푸에블라 데 로스 안헬레스에 설립되었고, 1616년 수도 멕시코 시티에 수녀원이 설립되었다.[10] 1821년 멕시코 독립 이전까지 총 56개의 수녀원 중 5개의 가르멜회 수도원이 있었다.[10]

2. 3. 근현대

가르멜회 지도자들은 때때로 총회를 열었는데, 가장 최근의 총회는 2016년 9월 포르투갈 파티마에서 열렸다.[11] 1430년대부터 활동해 온 만토바 수도회는 19세기 말 뚜렌 개혁(당시 "엄격한 관습"으로 알려짐)을 따르는 이들과 공식적으로 통합되었다. 만토바 수도회 수사들은 뚜렌의 헌장에 동의했지만, 이전 형태의 수도복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티투스 브란즈마는 수련자 시절 뚜렌의 수도복을 입었으나, 이후 사진에서는 새롭게 스타일이 변경된 고대 관습의 수도복을 입고 있다.

고대 관습의 가르멜회(OCarm)와 맨발 가르멜회(OCD) 총회의 모습


프랑스 혁명은 수도회의 해산을 초래했고, 수녀들은 소규모 그룹으로 흩어져 사저에서 은둔 생활을 했다. 콩피에뉴 순교자로 알려진 가르멜회 수녀원은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혼란이 끝난 후, 카미유 드 소예쿠르(카미유 드 소예쿠르는 나중에 가르멜회 테레즈-카미유 드 랑팡-제쥐가 되었다.)는 프랑스에서 가르멜회 생활을 회복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12] 19세기 초 독일에서 일어난 나폴레옹의 세속화는 가르멜회에 큰 타격을 주었다. 나폴레옹이 라인란트의 많은 지역을 점령한 후, 1806년 이후 거의 모든 수도원이 해산되었고, 하부 독일 지방의 16개 수도원이 사라졌다.[13][14]

19세기 말 전 세계적으로 약 200명의 가르멜회 수사들이 있었으나, 20세기 초 새로운 지도력과 정치적 간섭의 감소로 수도회가 부활했다. 기존 지방들은 폐지되었던 지방을 재건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로마의 성 알베르토 대학 설립과 함께 가르멜회의 신학적 준비가 강화되었다.

2001년까지 회원 수는 25개 지방에 약 2,100명의 수사, 70개의 수도원에 700명의 수녀, 13개의 부속 수도회 및 연구소로 증가했다. 재속 가르멜회 제3회는 전 세계적으로 25,000~30,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지방은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영국, 캐나다, 칠레, 크로아티아, 헝가리, 독일, 인도,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이탈리아,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싱가포르, 스페인, 포르투갈 및 미국에 존재한다. 총장 직속 대표부는 아르헨티나, 프랑스, 체코, 도미니카 공화국, 레바논, 필리핀 및 포르투갈에 있다.

가르멜회 선교는 볼리비아,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콜롬비아, 인도, 케냐,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페루, 루마니아, 탄자니아, 트리니다드, 베네수엘라 및 짐바브웨에 있다.

봉쇄 수도회의 가르멜회 수녀원은 브라질, 크로아티아, 덴마크, 도미니카 공화국, 핀란드, 독일, 헝가리, 인도네시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스라엘, 이탈리아, 케냐, 네덜란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1933년부터 크라이스트처치에 위치), 니카라과, 노르웨이, 페루, 필리핀, 스페인, 스웨덴, 포르투갈, 영국 및 미국에 존재한다. 남녀 은수자 공동체는 브라질, 프랑스, 인도네시아, 레바논, 이탈리아 및 미국에 있다.

티투스 브란즈마.


맨발 가르멜회는 엘리야의 바알 예언자들과의 대결이 있었던 장소(열왕기상 18:20–40)에 엘리야 수도원(1911)을 건설했다. 이 수도원은 하이파에서 동쪽으로 약 25km 떨어진 카르멜 산에 위치하며, ''el-Muhraqa''라 불리는 이 장소는 기독교인, 드루즈, 유대인 및 무슬림에게 신성하게 여겨진다.[15][16][17]

20세기와 21세기에 주목받은 가르멜회 성인들이 많다. 1970년, 아빌라의 테레사는 최초의 여성 교회 학자로 지정되었다.[18] 1997년, 리시외의 테레즈[19]는 "신뢰와 사랑의 길"에 대한 가르침으로 4명의 여성 교회 학자 중 한 명이 되었다.[20][21] 프랑스 혁명 동안 살해된 콩피에뉴 순교자는 소설, 연극, 오페라 및 영화의 영감이 되었다. 티투스 브란즈마는 나치즘에 반대하여 다하우 강제 수용소에서 살해된 네덜란드 학자이자 작가이고, 십자가의 테레사 베네딕타(본명: 에디트 슈타인)는 가톨릭으로 개종한 유대인으로 아우슈비츠에서 살해되었다. 과달라하라 가르멜회 순교자 세 명의 수녀는 1936년 7월 24일 스페인 공화파에 의해 순교했다.[22]

라파엘 칼리노프스키 (1835–1907)는 십자가의 요한 이후 수도회에서 처음으로 성인으로 시성된 수사였다. 17세기 가르멜회 수사 부활의 로렌스의 저술과 가르침은 ''하느님 현존의 실천''이라는 영적 고전으로 남아 있다. 조지 프레카는 몰타의 사제이자 가르멜회 제3회원이다. 모든 가르멜회 성인과 복자의 축일은 11월 14일에 기념된다.[23]

3. 한국 가르멜회

1933년(쇼와 8년), 프랑스 시인이자 외교관폴 클로델의 제안과 해군 소위이자 가톨릭 신자인 야마모토 신지로의 협력, 초대 일본인 주교로 서임된 하야사카 큐노스케의 초청으로 프랑스 쇼레(Cholet)의 수녀들이 일본을 방문하여 도쿄 이치반초에 최초의 여자 맨발 가르멜 수도원을 설립하였다.[32] 1946년 (쇼와 21년)에는 제3회원(신도회)이 발족되었다. 이후 니시노미야, 홋카이도 등에 여자 수도원이 창립되었다(프랑스 계).

1950년에는 벨기에 브루주 수도원에서 3명의 수녀가 일본을 방문하여 도쿄의 수도원에 머무른 후, 1951년에 후쿠오카에 수도원을 창립했다. 후쿠오카 수도원에서는 1959년에 벨기에인 수녀 1명을 포함한 9명이 교토 수도원을, 1978년에는 일본인 수녀 8명이 오이타 수도원을 각각 창립했다(벨기에 계).

1951년 (쇼와 26년)에는 공산주의 정권 수립에 따른 박해로 중국에서 탈출해 온 남자 맨발 가르멜 수도회의 이탈리아인 회원들이 일본을 방문하여 나고야에 최초의 남자 수도원을 창립했다. 1952년에는 밀라노에서 일본을 방문한 남자 회원들에 의해 도쿄와 교토에 남자 수도원을 설립했다[33](이탈리아 계).

가톨릭 도쿄 대교구 보좌 주교였던 모리 카즈히로 주교, 동 교구 사제 이노우에 요지 신부, 호시노 마사미치 신부는 남자 맨발 가르멜 수도회 출신이다.

3. 1. 한국 진출과 발전

1933년 (쇼와 8년), 프랑스 시인이자 외교관폴 클로델의 제안과 해군 소위이자 가톨릭 신자인 야마모토 신지로의 협력, 초대 일본인 주교로 서임된 하야사카 큐노스케의 초청으로 프랑스 쇼레(Cholet)의 수녀들이 일본을 방문하여 도쿄 이치반초에 최초의 여자 맨발 가르멜 수도원을 설립하였다.[32] 1946년 (쇼와 21년)에는 제3회원(신도회)이 발족되었다. 이후 니시노미야, 홋카이도 등에 여자 수도원이 창립되었다(프랑스 계).

1950년에는 벨기에 브루주 수도원에서 3명의 수녀가 일본을 방문하여 도쿄의 수도원에 머무른 후, 1951년에 후쿠오카에 수도원을 창립했다. 후쿠오카 수도원에서는 1959년에 벨기에인 수녀 1명을 포함한 9명이 교토 수도원을, 1978년에는 일본인 수녀 8명이 오이타 수도원을 각각 창립했다(벨기에 계).

1951년 (쇼와 26년)에는 공산주의 정권 수립에 따른 박해로 중국에서 탈출해 온 남자 맨발 가르멜 수도회의 이탈리아인 회원들이 일본을 방문하여 나고야에 최초의 남자 수도원을 창립했다. 1952년에는 밀라노에서 일본을 방문한 남자 회원들에 의해 도쿄와 교토에 남자 수도원을 설립했다[33](이탈리아 계).

가톨릭 도쿄 대교구 보좌 주교였던 모리 카즈히로 주교, 동 교구 사제 이노우에 요지 신부, 호시노 마사미치 신부는 남자 맨발 가르멜 수도회 출신이다.

3. 2. 한국 가르멜회의 특징

3. 3. 한국의 가르멜회 수도원 현황

한국 가르멜회와 관련된 내용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일본의 가르멜회 수도원 목록은 다음과 같다.

4. 영성

가톨릭 수도회 중에서 가르멜회 수녀들은 예수를 뵙는 환시와 성모 마리아를 뵙는 환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중요한 가톨릭 신심을 담당해 왔다.

마리아 막달레나 데 파치는 가르멜회 수녀복을 입은 시기(1583년)부터 사망(1607년)까지 일련의 황홀경과 엑스터시를 경험했다고 한다.


  • 첫째, 이러한 황홀경은 때때로 그녀의 온 존재를 사로잡아 그녀를 빠른 움직임(예: 어떤 성스러운 대상에게로)으로 몰아넣었다.
  • 둘째, 그녀는 엑스터시 상태에서도 완벽한 침착함과 효율성으로 자수, 그림과 같은 작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 셋째, 이러한 황홀경 동안 마리아 막달레나 데 파치는 신성한 사랑의 격언과 영혼의 완덕을 위한 조언을 했다. 이것들은 그녀의 동료들이 보존했는데, 그녀는 그들이 기록하는 것을 알지 못했다.


포르투갈 베자의 가르멜 수도원


포르투갈 베자의 가르멜 수도원에서, 고대 관상 수도원의 두 가르멜 수녀는 평생 동안 여러 번의 발현과 신비로운 계시를 보고했다. 정화의 마리아나는 아기 예수의 수많은 발현을 받았고 그녀의 시신은 사망 후 썩지 않음이 발견되었다.[27] 마리아 페르페투아 다 루스는 하늘에서 온 메시지를 담은 60권의 책을 썼다.[28] 두 수녀 모두 성덕의 향기를 풍기며 사망했다.

19세기에는 또 다른 가르멜 수녀인 리지외의 테레즈가 1890년대 프랑스 전역에 거룩한 얼굴에 대한 신심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9] 결국 교황 비오 12세는 1958년에 그 신심을 승인했고, 모든 가톨릭 신자들을 위해 예수 성안 축일을 사순절 (재의 수요일 전날)로 선포했다. 리지외의 테레즈는 20세기에 가톨릭 신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성인 중 한 명으로 떠올랐으며, 그녀의 조각상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 지어진 많은 유럽 및 북미 가톨릭 교회에서 찾아볼 수 있다(그 이후 교회 건축 시 조각상 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20세기에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마지막 발현에서 파티마에서 루시아 성녀, 가장 유명한 성모 발현자 중 한 명은 성모께서 갈색 스카풀라를 들고 가르멜 산의 성모로 나타나셨다고 말했다. 여러 해가 지난 후, 루시아는 가르멜 수녀가 되었다. 루시아는 인터뷰에서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서 마지막 발현에서 가르멜 산의 성모로 나타나신 이유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성모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스카풀라를 착용하기를 바라시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그녀는 설명했다, "스카풀라가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대한 우리 봉헌의 표징이기 때문입니다." 갈색 스카풀라가 성모님의 요청을 이행하는 데 묵주만큼이나 필수적인지 질문을 받았을 때, 루시아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스카풀라와 묵주는 불가분입니다."[30]

많은 가르멜회원들이 가톨릭 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모든 가르멜 성인 축일은 11월 14일에 기념된다.[31] 가르멜회 모든 선종자 기념일은 11월 15일에 거행된다.

4. 1. 엘리야와 성모 마리아

가르멜회는 카리스마적인 창시자를 언급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수도회 중 하나이며, 구약성경의 예언자 엘리야와 그의 제자 엘리사를 가르멜회의 영적 아버지로 여긴다.[5] 전통에 따르면, 카르멜 산에는 엘리야와 엘리사가 사용했던 동굴에서 생활하며 기도하고 가르침을 펼친 일련의 유대교 신자들과 기독교 은수자들이 있었다.[5] 이렇게 최초의 기독교 은수자들(수도회 창설의 시초)이 카르멜 산의 동굴에 정착하여 하느님께 기도하게 되었다. 은수자 공동체 내에 세워진 최초의 경당은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되었다. 가르멜회의 영성은 매우 빠르게 마리아에게로 향했으며, 마리아는 카르멜의 여왕이자 주인이 되었다.[5]

4. 2. 관상 생활과 스카풀라

가르멜회의 생활 방식은 1287년 시몬 스톡의 주도와 교황 인노첸시오 4세의 명령에 따라 탁발 수도회의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4][25][26] 이들은 도미니코회와 같은 옷을 입었지만, 망토는 흰색이었다. 그들은 또한 도미니코회와 프란치스코회의 헌장을 많이 차용했다. 가르멜회의 독특한 의복은 가슴과 등에 착용하고 어깨에 고정된 두 개의 어두운 천 조각으로 된 스카풀라였다. 전통에 따르면 복되신 동정 마리아가 시몬 스톡에게 나타나 스카풀라를 주고, 믿음과 경건함으로 그것을 착용하고 죽는 모든 사람은 구원받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스카풀라 친교회가 생겨났고, 많은 평신도가 가르멜회에 소속되었다.

갈색 스카풀라.


가르멜회 스카풀라(일명 "갈색 스카풀라")의 미니어처 버전은 로마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으며 교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신심 중 하나이다. 착용자들은 일반적으로 가르멜회 스카풀라를 충실히 착용하고 은총 상태에서 죽으면 영원한 고통에서 구원받을 것이라고 믿는다. 스카풀라를 착용하기로 결정한 가톨릭 신자는 일반적으로 사제에 의해 입회되며, 일부는 스카풀라 친교회에 가입하기로 선택한다.

가톨릭 수도회 중에서 가르멜회 수녀들은 예수를 뵙는 환시와 성모 마리아를 뵙는 환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중요한 가톨릭 신심을 담당해 왔다. 19세기 가르멜 수녀인 리지외의 테레즈는 1890년대 프랑스 전역에 거룩한 얼굴에 대한 신심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9] 교황 비오 12세는 1958년에 그 신심을 승인했고, 모든 가톨릭 신자들을 위해 예수 성안 축일을 사순절 (재의 수요일 전날)로 선포했다.

20세기에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마지막 발현에서 파티마에서 루시아 성녀는 성모께서 갈색 스카풀라를 들고 가르멜 산의 성모로 나타나셨다고 말했다. 루시아는 인터뷰에서 "성모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스카풀라를 착용하기를 바라시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스카풀라가 마리아의 티 없는 성심에 대한 우리 봉헌의 표징이기 때문입니다."라고 설명했다. 스카풀라와 묵주는 불가분하다고 언급하였다.[30]

4. 3. 주요 성인과 영성가

가톨릭 수도회 중 가르멜회 수녀들은 예수를 뵙는 환시와 성모 마리아를 뵙는 환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중요한 가톨릭 신심을 담당해 왔다.[30]

마리아 막달레나 데 파치는 가르멜회 수녀복을 입은 시기(1583년)부터 사망(1607년)까지 황홀경과 엑스터시를 경험했다고 한다. 그녀는 엑스터시 상태에서도 완벽한 침착함과 효율성으로 자수, 그림과 같은 작업을 계속할 수 있었고, 황홀경 동안 신성한 사랑의 격언과 영혼의 완덕을 위한 조언을 하기도 했다.[29]

『가르멜산의 성모와 가르멜회의 여러 성인들』(피에트로 노벨리 그림, 1641년)


포르투갈 베자의 가르멜 수도원에서는 정화의 마리아나와 마리아 페르페투아 다 루스가 평생 동안 여러 번의 발현과 신비로운 계시를 보고했다.[27][28]

19세기에는 리지외의 테레즈가 1890년대 프랑스 전역에 거룩한 얼굴에 대한 신심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교황 비오 12세는 1958년에 그 신심을 승인했고, 모든 가톨릭 신자들을 위해 예수 성안 축일을 사순절 (재의 수요일 전날)로 선포했다.[29]

20세기에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마지막 발현에서 파티마에서 루시아 성녀는 성모께서 갈색 스카풀라를 들고 가르멜 산의 성모로 나타나셨다고 말했다. 루시아는 스카풀라와 묵주는 불가분하다고 강조했다.[30]

많은 가르멜회원들이 가톨릭 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모든 가르멜 성인 축일은 11월 14일에 기념된다.[31] 가르멜회 모든 선종자 기념일은 11월 15일에 거행된다.

  • 아빌라의 테레사 (1515년 - 1582년): 여자 가르멜회의 개혁자, 성인, 교회학자.
  • 십자가의 요한 (1542년 - 1591년): 남자 가르멜회의 개혁 협력자, 성인, 교회학자.
  • 바르브 아카리 (1566년 - 1618년): 17세기 프랑스 가톨릭계의 귀족 부인. 복자. 개혁(맨발) 가르멜회를 프랑스에 도입하고 남편 사망 후 그곳의 수녀가 된다.
  • 부활의 라우렌시오: 17세기 프랑스 가르멜회 수사. 원래는 병사였지만 부상 후 퇴역하여 수도원에 들어가 성스러운 생활을 보내며 신앙에 관한 저서를 남겼다.
  • 루이즈 드 라 발리에르 (1644년 - 1710년): 17세기 프랑스, 루이 14세의 애첩. 후에 가르멜회에 들어가 수녀가 된다.
  • 리시외의 테레즈 (1873년 - 1897년): 19세기 프랑스 가르멜회 수녀, 성인, 교회학자.
  • 콩피에뉴의 16수녀 순교자: 복자. 프랑스 혁명 하에서 처형된다.
  • 카미유 드 소와예쿠르: 수녀. 프랑스 혁명으로 폐쇄된 가르멜회 수도원의 부흥자.
  • 프란시스코 팔라우: 복자. 가르멜 선교 수녀회 및 성 테레지아의 가르멜 선교 수녀회를 설립.
  • 삼위일체의 엘리자베트 (1880년 - 1906년): 수녀, 성인.
  • 티투스 브란즈마 (1881년 - 1942년): 네덜란드의 사제, 저널리스트, 복자. 다하우 강제 수용소에서 살해된다.
  • 과달라하라의 3수녀 순교자: 복자. 스페인 내전 하에서 살해된다.
  • 에디트 슈타인 (1891년 - 1942년): 성인, 후설 문하의 철학자, 아빌라의 테레사의 사상에 감명받아 가르멜회에 입회.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강제 수용소에서 처형된다.
  • 조르주 티에리 다르장류: 사제, 프랑스 해군 장교.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군의 일원으로서 지휘를 맡았다.
  • 마리-우제느 드 랑팡 제쥐: 사제, 노트르담 드 비의 창립자.
  • 루시아 도스 산토스 (1907년 - 2005년): 파티마에서의 성모 발현의 환시자.
  • 오쿠무라 이치로: 사제. 선종으로부터의 개종자로 불교와의 대화를 깊이 하고 있다.

5. 현대 가르멜회

5. 1. 전 세계 현황

가르멜회는 전 세계 여러 지역에 관구를 두고 활동하고 있다.

  • 영국에는 성모 승천 관구 가르멜회가 있으며, 1241년경 설립되었다가 1969년 재설립되었다.
  • 미국, 캐나다, 페루, 멕시코, 엘살바도르에는 지극히 순결한 마리아의 가르멜회 관구가 1890년에 설립되어 활동 중이다.
  • 북미 성 엘리야 관구 가르멜회는 1931년에 설립되었다.
  • 필리핀에는 복자 티투스 브란즈마 관구 가르멜회가 1968년에 설립되었다.

5. 2. 주요 활동

5. 3. 미래 전망

참조

[1] 서적 Annuario Pontificio per l'Anno 2022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22
[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 The Carmelite Order https://www.newadven[...] 2019-05-24
[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 The Carmelite Order https://www.newadven[...]
[4] 웹사이트 Carmelite Nuns of Great Britain https://carmelitenun[...]
[5] 문서 Chapter The "Vitae Formula" of Saint Albert
[6] 웹사이트 Our Lady of Mount Carmel https://www.catholic[...]
[7] 서적 The Mirror of Carmel: A Brief History of the Carmelite Order Carmelite Media
[8]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Religious Thought in France from the Wars of religion Down to Our Own Times; Vol. 2 [II], The Coming of Mysticism (1590–162)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930
[9] 서적 The Mirror of Carmel: A Brief History of the Carmelite Order
[10] 문서 Brides of Christ: Conventual Life in Colonial Mexico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8
[11] 웹사이트 Major Events of the Order 2016 https://ocarm.org/en[...]
[12] 뉴스 Camille de Soyécourt, the 'Mademoiselle de trop' who restored Carmel in France https://fr.aleteia.o[...] 2023-05-08
[13] 웹사이트 Carmelites – German Province https://www.ocarm.or[...]
[14] 웹사이트 Karmeliten – Orte https://karmeliten.d[...]
[15] 서적 Holy Places i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Confrontation and Co-existence Routledge
[16] 서적 Peace Journeys: A New Direction in Religious Tourism and Pilgrimage Research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ruzes Rowman & Littlefield
[18] 뉴스 Theresa Named Doctor of Church, First Such Honor for Woman https://www.nytimes.[...] 1970-09-28
[19] 웹사이트 "Saint Therese of Lisieux: A Gateway" Blog – Saint Therese of Lisieux http://www.thereseof[...]
[20] 웹사이트 Doctor of the Universal Church http://www.thereseof[...]
[21] 웹사이트 The Writings of St. Therese of Lisieux http://www.thereseof[...]
[22] 웹사이트 Carmelite Figures https://www.carmelit[...]
[23] 웹사이트 All Carmelite Saints (Feast) http://ocarm.org/en/[...]
[24] 웹사이트 Brown Scapular or Scapular of Our Lady of Mount Carmel http://www.ewtn.com/[...]
[25] 서적 The Catholic Almanac
[26] 서적 Treasury of Catholic Stories OSV Press
[27] 간행물 Venerável Madre Mariana da Purificação: Carmelita Calçada de Beja
[28] 간행물 'Vida da Insigne Mestra de Espírito, a Virtuosa Madre Maria Perpétua da Luz, Religiosa Carmelita Calçada' 1742
[29] 웹사이트 Therese and the Holy Face of Jesus http://www.thereseof[...]
[30] 간행물 Mary in Her Scapular Promise AMI Press 1954
[31] 웹사이트 Feast of All Carmelite Saints https://olmc.us/2023[...] 2023-11-10
[32] 문서
[33] 웹사이트 日本における男子カルメル http://www.carmel-mo[...] 跣足カルメル修道会 2015-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