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시모토 만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시모토 만타로는 중국 문학을 전공하고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은 일본의 언어학자이다. 하와이 대학교, 오사카 시립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1970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도쿄 외국어 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 언어 문화 연구소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중국어 방언 연구를 통해 언어 유형 지리 이론을 개발했으며, 중국어의 북방화와 한자 분포의 특징을 연구했다. 또한, 언어 접촉과 통사 구조의 변화를 연구하며, 고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로의 변화가 중국 남부와 북부 방언의 차이와 같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어, 일본어, 영어로 다양한 저서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외국어대학 교수 - 쓰카다 주이치로
쓰카다 주이치로는 니가타현 지사, 중의원 및 참의원 의원을 지낸 일본의 정치인으로, 제5차 요시다 내각에서 체신대신, 자치청 장관, 행정관리청 장관을 겸임하며 니가타현 종합 개발 계획 수립과 니가타항 동항 건설, 시나노 강 세키야 분수 사업을 추진했다. - 도쿄 외국어대학 교수 - 이수정 (1842년)
이수정은 조선 말기 관료이자 개신교 신자, 성경 번역가로, 고종의 허락을 받아 일본으로 건너가 개신교로 개종한 후 한국어 성경 번역에 힘썼으며, 《현토한한신약전서》 발간과 《신약마가전복음서언해》 출판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일본의 중국학자 - 신조 신조
신조 신조는 일본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로, 교토 제국 대학 교수와 총장을 역임하고 중국 과학사 연구에 기여했으며 중일 전쟁 중 문화재 보호에 헌신하다 사망했다. - 일본의 중국학자 - 가노 나오키
가노 나오키는 1868년 구마모토에서 태어나 1947년에 사망한 일본의 중국 철학자이자 중국 문학 연구자로, 둔황 문서 연구를 통해 중국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중국 철학사》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중국어학자 -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는 영국의 외교관이자 언어학자, 중국학 교수로, 아편 전쟁 참전 후 청나라와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국어 교육에 기여했고,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발전한 로마자 표기법을 개발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초대 중국어 교수를 역임했다. - 중국어학자 - 마건충
마건충은 1845년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나 이홍장의 막료로 활동하며 프랑스 유학 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중국 최초의 문법서인 《문통》을 저술한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자 학자이다.
하시모토 만타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하시모토 만타로 |
원어 이름 | 橋本 萬太郎 |
로마자 표기 | Hashimoto Mantarō |
다른 이름 | 橋本 萬太郎, Mantarō J. Hashimoto |
출생일 | 1932년 11월 26일 |
출생지 | 군마현 오타시 |
사망일 | 1987년 6월 7일 |
사망지 | 도쿄도 |
배우자 | 앤 오이칸 위에 |
직업 | 중국학자 |
활동 기간 | 22년 |
학력 | |
출신 학교 | 도쿄 대학,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
경력 | |
근무지 | 하와이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도쿄 외국어 대학교 |
주요 연구 분야 | |
관심 분야 | 언어학(중국어학) |
주요 저서 | 하카 방언 |
2. 경력
도쿄 대학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66년부터 하와이 대학교 조교수, 오사카 시립 대학교 조교수, 프린스턴 대학교 부교수를 거쳐 1970년부터 도쿄 외국어 대학교 조교수, 1973년부터는 정교수가 되어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1]
하시모토 만타로는 중국어 방언이 주변의 비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이론화했다. 예를 들어 북부 방언은 상대적으로 적은 성조 구별과 더 많은 복음절 단어를 가지고 있는 반면, 남부 중국어 방언은 복잡한 성조 체계와 더 많은 단음절 단어를 가지고 있다. 통사론적 문장 구조는 북부 방언에서는 주어-목적어-동사 순서가 빈번하고, 남부 방언에서는 주어-동사-목적어 순서이다. 문법에서 수식어는 북부에서는 '수식어-핵 단어' 순서이고, 남부에서는 '핵-수식어' 순서로 대조를 이룬다.[1]
경력은 다음과 같다.[1]
연도 | 내용 |
---|---|
1955년 | 도쿄 대학 문학부 중국 문학과 졸업 |
1960년 | 도쿄 대학 대학원 박사 과정 중퇴 |
1965년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언어학 박사 학위 취득 |
1966년 2월 ~ 8월 | 하와이 대학교 조교수 |
1966년 4월 | 오사카 시립 대학교 강사, 1967년부터 조교수 |
1968년 9월 | 프린스턴 대학교 부교수 |
1970년 7월 | 도쿄 외국어 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 언어 문화 연구소 조교수 |
1973년 6월 | 도쿄 외국어 대학교 교수 |
하시모토 만타로는 중국어 방언과 역사 연구에 큰 업적을 남긴 학자이다. 그는 하이난섬에서 쓰이는 하이난어가 민어의 하위 방언임을 밝혀냈다.[3]
3. 연구 내용 및 업적
하시모토는 비교언어학적 분석 외에도, 아시아 대륙의 여러 언어가 계통과 상관없이 하나의 연속체를 이룬다고 보았다. 그는 언어 유형 지리 이론을 통해, 월어부터 북방 방언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여러 언어가 남쪽은 타이카다이 계통 언어처럼 단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발달했으며 SVO형 어순을 가지는 반면, 북쪽은 알타이 계통 언어처럼 다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적으며 SOV형 어순을 가진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고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로의 변화가 남쪽에서 북쪽으로의 변화와 같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고대와 현대 문장의 어순 차이를 다음과 같이 비교했다.구분 내용 어순 고대 呉 敗 越 于夫椒。(오는 부초에서 월을 쳐부수었다.) 주어-동사-목적어-부사 현대 呉軍 在夫椒 把越軍 打敗了。 주어-부사-목적어-동사
하시모토는 이러한 언어 변화가 고대부터 북쪽에서 남쪽으로의 인구 이동으로 인해 중국어가 북방화되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또한, 한자가 북방을 중심으로 분포한다는 점도 지적했다.[3]
통사 구조 변화는 시간적으로도 나타난다. 은대 갑골문에서는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오는 순행 구조였으나, 주대 이후, 특히 춘추 시대부터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오는 역행 구조로 변화했다. 하시모토는 명사구 변화는 기원전 10세기 말, 동사 변화는 기원전 1000년 초로 추정하며, 이러한 변화가 주나라의 통일과 민족 동화로 인해 한민족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다.[3]
3. 1. 중국어 방언 연구
하시모토 만타로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을 정밀하게 연구하여, 하이난섬에서 사용되는 하이난어가 민어의 하위 방언임을 밝혔다.[3]
또한, 남부의 우어에서부터 북방 방언에 이르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이 남쪽은 따이까다이어족의 언어와 언어동조대를 이루어 단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다양하며, SVO어순을 가지는 반면, 북쪽에서 쓰이던 중국어는 알타이어족으로 분류되는 퉁구스어족 및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다음절어가 많으며, 성조의 수가 적고, SOV어순의 특징을 가진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고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로 변화하는 과정은 중국의 남부 지역의 방언과 북부 지역의 방언의 차이와 같다고 주장하였다.[3]
이러한 특징은 고대에서부터 일관되게 북쪽에서 남쪽으로 일어난 인구 이동의 결과이며, 중국어는 북방 민족과의 접촉의 영향으로 북방화되었다고 주장하였다.[3]
하시모토는 중국 북부와 남부의 중국어 방언을 분석하여 중국 북쪽으로 갈수록 중국어 방언이 주변에 인접한 알타이 어족과 유사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대로 중국 남쪽으로 갈수록 방언은 남쪽에 인접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유사해지기 시작했다. 하시모토는 중국어 방언이 주변의 비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이론화했다. 예를 들어 북부 방언은 상대적으로 적은 성조 구별과 더 많은 복음절 단어를 가지고 있는 반면, 남부 중국어 방언은 복잡한 성조 체계와 더 많은 단음절 단어를 가지고 있다. 통사론 문장 구조는 북부 방언에서는 빈번하게 주어-목적어-동사 순서이고, 남부 방언에서는 주어-동사-목적어 순서이다. 문법 수식어는 북부에서는 수식어-핵 단어 순서이고, 남부에서는 핵-수식어 순서로 대조를 이룬다.[3]
3. 2. 언어 접촉 이론
하시모토 만타로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을 정밀하게 연구하여, 하이난섬에서 사용되는 하이난어가 민어의 하위 방언임을 밝혔다.[3]
또한, 남부의 우어에서부터 북방 방언에 이르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이 남쪽은 따이까다이어족의 언어와 언어동조대를 이루어 단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다양하며, SVO어순을 가지는 반면, 북쪽에서 쓰이던 중국어는 알타이어족으로 분류되는 퉁구스어족 및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다음절어가 많으며, 성조의 수가 적고, SOV어순의 특징을 가진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고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로 변화하는 과정은 중국의 남부 지역의 방언과 북부 지역의 방언의 차이와 같다고 주장하였다.
하시모토는 이러한 특징은 고대에서부터 일관되게 북쪽에서 남쪽으로 일어난 인구 이동의 결과이며, 중국어는 북방 민족과의 접촉의 영향으로 북방화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시나어파의 여러 언어를 정밀하게 관찰하여, 하이난섬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민어의 일종임을 밝혀냈다.[3]
또한, 기존의 비교언어학에 의한 계통론적 분석에 의하지 않고도, 아시아 대륙의 여러 언어는 계통이 달라도 하나의 연속체를 구성한다고 생각하여 언어 유형 지리 이론을 개발했다.
통사 구조 등의 특징에 따라 지역 분포를 유형 분석하면, 월어에서 북방 방언에 이르는 중국의 여러 언어에서, 남쪽일수록 타이카다이적이며, 단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많고, SVO형이며, 북쪽일수록 알타이적이며, 다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적고, SOV형임을 지적하고, 고대 한어에서 현대 한어로의 변화가 남쪽에서 북쪽으로의 변화와 같음을 나타냈다. 예를 들어 다음의 고대와 현대의 문장에서는 어순이 전혀 다르다.
그리고 이것을, 중국 대륙에서는 고대로부터 일관되게 북쪽에서 남쪽으로의 인구 이동이 있었고, 중국어 자체가 북방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한자가 북방을 중심으로 하는 주원 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냈다. 고대 한어, 월어, 일본어로 '目(눈)', '口(입)', '食(먹다)', '飲(마시다)'라고 쓰는 것을, 현대 북방어에서는 '眼睛(눈)', '嘴(입)', '吃(먹다)', '喝(마시다)'라고 쓴다.
통사 구조의 변화는 시간적 역사적으로도 나타나, 은대의 갑골문을 보면 '猶大(커다란 길)', '祖甲(갑이라는 조상)', '丘商(상의 언덕)' 등, 수식어를 피수식어 뒤에 겹쳐가는 순행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현재의 태국어, 캄보디아어, 말레이어 등의 남방계 언어도 같다. 그런데 주대 이후, 특히 춘추 시대(기원전 8세기경) 이후, '大道(큰 길)', '甲祖(갑 조상)' 등,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붙는 역행 구조로 변화한다. 이 중국어의 명사구의 변화 시기에 대해 하시모토는 기원전 10세기 말로 보았다. 더 나아가 동사의 변화에 대해서는 1세기 정도 늦어 기원전 1000년 초로 추정했다. 주에 의한 여러 민족의 통일 동화에 의해, 이러한 언어 구조의 변화가 생겨, 후의 한민족의 형성이 되었다고 하시모토는 보고 있다.[3]
3. 3. 언어 유형 지리 이론
하시모토 만타로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을 정밀하게 연구하여, 하이난섬에서 사용되는 하이난어가 민어의 하위 방언임을 밝혔다.[3]
또한, 남부의 우어에서부터 북방 방언에 이르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이 남쪽은 따이까다이어족의 언어와 언어동조대를 이루어 단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다양하며, SVO어순을 가지는 반면, 북쪽에서 쓰이던 중국어는 알타이어족으로 분류되는 퉁구스어족 및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다음절어가 많으며, 성조의 수가 적고, SOV어순의 특징을 가진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고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로 변화하는 과정은 중국의 남부 지역의 방언과 북부 지역의 방언의 차이와 같다고 주장하였다.[3]
이러한 특징은 고대에서부터 일관되게 북쪽에서 남쪽으로 일어난 인구 이동의 결과이며, 중국어는 북방 민족과의 접촉의 영향으로 북방화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시나어파의 여러 언어를 정밀하게 관찰하여, 하이난섬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민어의 일종임을 밝혀냈다.[3]
하시모토는 기존의 비교언어학에 의한 계통론적 분석에 의하지 않고도, 아시아 대륙의 여러 언어는 계통이 달라도 하나의 연속체를 구성한다고 생각하여 언어 유형 지리 이론을 개발했다.
그는 통사 구조 등의 특징에 따라 지역 분포를 유형 분석하면, 월어에서 북방 방언에 이르는 중국의 여러 언어에서, 남쪽일수록 타이카다이적이며, 단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많고, SVO형이며, 북쪽일수록 알타이적이며, 다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적고, SOV형임을 지적하고, 고대 한어에서 현대 한어로의 변화가, 남쪽에서 북쪽으로의 변화와 같음을 나타냈다.[3]
구분 | 내용 | 어순 |
---|---|---|
고대 | 呉 敗 越 于夫椒。(오는 부초에서 월을 쳐부수었다.) | 주어-동사-목적어-부사 |
현대 | 呉軍 在夫椒 把越軍 打敗了。 | 주어-부사-목적어-동사 |
그리고 이것을, 중국 대륙에서는 고대로부터 일관되게 북쪽에서 남쪽으로의 인구 이동이 있었고, 중국어 자체가 북방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한자가 북방을 중심으로 하는 주원 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냈다.[3] 고대 한어, 월어, 일본어로 '目(눈)', '口(입)', '食(먹다)', '飲(마시다)'라고 쓰는 것을, 현대 북방어에서는 '眼睛(눈)', '嘴(입)', '吃(먹다)', '喝(마시다)'라고 쓴다.
통사 구조의 변화는 시간적 역사적으로도 나타나는데, 은대의 갑골문을 보면 '猶大(커다란 길)', '祖甲(갑이라는 조상)', '丘商(상의 언덕)' 등, 수식어를 피수식어 뒤에 겹쳐가는 순행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현재의 태국어, 캄보디아어, 말레이어 등의 남방계 언어도 같다. 그런데 주대 이후, 특히 춘추 시대 (기원전 8세기경) 이후, '大道(큰 길)', '甲祖(갑 조상)' 등,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붙는 역행 구조로 변화한다. 이 중국어의 명사구의 변화 시기에 대해 하시모토는 기원전 10세기 말로 보았다. 더 나아가 동사의 변화에 대해서는 1세기 정도 늦어 기원전 1000년 초로 추정했다. 주에 의한 여러 민족의 통일 동화에 의해, 이러한 언어 구조의 변화가 생겨, 후의 한민족의 형성이 되었다고 하시모토는 보고 있다.[3]
3. 4. 한자 분포 연구
하시모토는 한자가 북방을 중심으로 하는 주원(周圓) 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밝혔다[3]. 고대 한어, 월어, 일본어에서는 '目(눈)', '口(입)', '食(먹다)', '飲(마시다)'와 같이 썼지만, 현대 북방어에서는 '眼睛(눈)', '嘴(입)', '吃(먹다)', '喝(마시다)'와 같이 쓴다.3. 5. 통사 구조 변화 연구
하시모토 만타로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을 정밀하게 연구하여, 하이난섬에서 사용되는 하이난어가 민어의 하위 방언임을 밝혔다. 또한, 남부의 우어에서부터 북방 방언에 이르는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이 남쪽은 따이까다이어족의 언어와 언어동조대를 이루어 단음절어가 많고, 성조가 다양하며, SVO어순을 가지는 반면, 북쪽에서 쓰이던 중국어는 알타이어족으로 분류되는 퉁구스어족 및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다음절어가 많으며, 성조의 수가 적고, SOV어순의 특징을 가진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고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로 변화하는 과정은 중국의 남부 지역의 방언과 북부 지역의 방언의 차이와 같다고 주장하였다.- 고대: 呉 敗 越 于夫椒。 (오는 부초에서 월을 쳐부수었다. 주어-동사-목적어-부사 순서)
- 현대: 呉軍 在夫椒 把越軍 打敗了。 ( 주어-부사-목적어-동사 순)
이러한 특징은 고대에서부터 일관되게 북쪽에서 남쪽으로 일어난 인구 이동의 결과이며, 중국어는 북방 민족과의 접촉의 영향으로 북방화되었다고 주장하였다.
통사 구조의 변화는 시간적, 역사적으로도 나타나는데, 은대의 갑골문을 보면 '猶大(커다란 길)', '祖甲(갑이라는 조상)', '丘商(상의 언덕)' 등, 수식어를 피수식어 뒤에 겹쳐가는 순행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현재의 태국어, 캄보디아어, 말레이어 등의 남방계 언어도 같다. 그런데 주대 이후, 특히 춘추 시대 (기원전 8세기경) 이후, '大道(큰 길)', '甲祖(갑 조상)' 등,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붙는 역행 구조로 변화한다. 이 중국어의 명사구의 변화 시기에 대해 하시모토는 기원전 10세기 말로 보았다. 더 나아가 동사의 변화에 대해서는 1세기 정도 늦은 기원전 1000년 초로 추정했다. 주나라에 의한 여러 민족의 통일, 동화에 의해 이러한 언어 구조의 변화가 생겨, 후의 한민족의 형성이 되었다고 하시모토는 보고 있다[3].
4. 주요 저서
하시모토 만타로는 일본어, 영어, 중국어로 된 학술 자료를 다수 출판했다. 연구 분야는 음운론, 어휘론, 방언학, 한어족 언어, 객가어, 대만어, 알타이어족이 중국 표준어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했다. 다음은 하시모토 만타로의 주요 저서 목록이다.
- "
- "hP'ags-pa로 표기된 중국어 파열음" (1967), ''Monumenta Serica'' 26: 149–174.
- ''객가 방언: 음운론, 통사론 및 어휘 연구'' (1973),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네와르어: 바드가온 방언의 분류 어휘집'' (1977), 아시아 및 아프리카 언어 문화 연구소.
- "중국-베트남 연구의 현재 발전" (1978), ''중국 언어학 저널'' 6.1: 1-26.
- ''고대 중국어의 음운론'' (1978, 1979), 2권, 아시아 및 아프리카 언어 문화 연구소.
- "동아시아 대륙 언어의 음운 배열 및 초분절음에 대한 유형지리학" (1980), ''아시아 및 아프리카 언어의 전산 분석'' 13: 153–164.
- ''베어: 림코우 방언의 분류 어휘집'' (1980), 아시아 및 아프리카 언어 문화 연구소.
- "소위 성조 언어의 음절 억양에 대한 음운적 특성" (1981), ''대륙을 가로지르는 언어학: Richard S. Pittman 헌정 연구'', Andrew B. Gonzalez와 David D. Thomas 편집,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47–155.
- ''
- "파동 이론 관점에서의 객가어" (1992), ''중국 언어학 저널'' 20.1: 1-48.
- 객가어 기초 어휘집 도쿄 외국어 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 언어 문화 연구소 1972-73
- 언어 유형 지리학일본어 고분도, 1978
- 현대 박언학 언어 연구의 최전선일본어 다이슈칸 서점 1981.2
- 나시어 자료 : 고 하시모토 만타로 교수에 의한 조사 자료일본어 도쿄 외국어 대학교 아시아・아프리카 언어 문화 연구소, 1988-03
- 하시모토 만타로 저작집 전 3권 우치야마 서점 1999-2000
- 세계 속의 일본 문자: 그 뛰어난 시스템과 역할 홍문당 1980.3
- 한민족과 중국 사회 산천출판사 1983.12 (민족의 세계사)
- 현대 언어학의 기초 노엄 촘스키, 모리스 할레 하라다 신이치 공역 대수관 서점 1972
- 언어학 입문 언어와 기호 시스템 자오 위안런 이와나미 서점 1980.2
- 중국어 동사 연구 세르게이 야혼토프 백제사 1987.11 (중국어학 연구 총서)
참조
[1]
서적
言語の 20 世紀 101 人
大修館書店
[2]
논문
故橋本萬太郎教授 : 年譜と業績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1988-03
[3]
문서
橋本萬太郎(1978)また佐々木高明(1997)
[4]
간행물
The IACL Awards
http://www.iacling.o[...]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hinese Linguistics
2008-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