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힐 (1991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힐》은 1991년에 개봉한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스페인 영화이다. 유명 가수인 어머니와 텔레비전 뉴스 캐스터인 딸의 복잡한 관계를 중심으로, 살인 사건과 그 주변 인물들의 얽힌 관계를 그린다. 영화는 어머니의 귀국을 기다리는 딸의 회상으로 시작하여, 살인 사건, 체포, 감옥에서의 생활, 그리고 마지막 반전까지 이어진다. 《하이힐》은 1991년 스페인에서 흥행 1위를 기록했으며, 골든 글로브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화 영화 작품 - 피아노 (1993년 영화)
    제인 캠피언 감독의 영화 《피아노》는 선택적 함구증을 가진 여성 아다가 딸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주하여, 피아노 연주로 감정을 표현하며 남편과 은퇴한 선원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린, 여성의 억압과 자기표현을 다룬 작품이다.
  • 수화 영화 작품 - 문영
    문영은 말을 못하는 소녀가 카메라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이야기를 그린 2015년 서울독립영화제 공개작으로, 김태리 주연, 서울농아인협회와 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으며, 2017년 확장판이 개봉되었다.
  • 1991년 성소수자 영화 - 프랭키와 쟈니
    테런스 맥널리의 연극을 원작으로 한 영화 프랭키와 쟈니는 과거의 상처를 가진 웨이트리스 프랭키와 새로운 삶을 꿈꾸는 요리사 쟈니가 만나 사랑을 시작하는 로맨틱 코미디로, 알 파치노와 미셸 파이퍼가 주연을 맡았으며 케이트 넬리건은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1991년 성소수자 영화 -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
    패니 플래그의 소설을 원작으로 존 애브넷 감독이 연출한 1991년 영화 《프라이드 그린 토마토》는 1980년대와 전간기 앨라배마를 배경으로 여성들의 우정과 연대를 그리며 인종 차별, 동성애 등 사회 문제를 다룬 드라마이다.
  • 사카모토 류이치 영화 음악 - 토니 타키타니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토니 타키타니》는 고독한 일러스트레이터 토니 타키타니가 아내의 죽음 이후 상실과 애도를 겪으며 새로운 관계를 통해 고독 속에서 성장하는 이야기를 섬세하게 묘사하며, 원작과 달리 결말에 새로운 장면을 추가하고 사카모토 류이치의 피아노 독주곡 사운드트랙으로 호평을 받았다.
  • 사카모토 류이치 영화 음악 - 리틀 부다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1993년 영화 《리틀 부다》는 석가모니의 전생으로 여겨지는 소년 제시와 싯다르타 고타마의 깨달음 과정을 병행하여 보여주며, 네팔과 부탄에서 촬영되었고 사카모토 류이치가 음악을 맡았으나, 평단의 반응은 엇갈렸다.
하이힐 (1991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과 주연의 빅토리아 아브릴
원제Tacones lejanos
영어 제목High Heels
감독페드로 알모도바르
각본페드로 알모도바르
제작 총괄아구스틴 알모도바르 (가칭)
출연빅토리아 아브릴
마리사 파레데스
미겔 보세
음악사카모토 류이치
촬영알프레도 F. 메이요 (가칭)
편집호세 살세도 (가칭)
제작사엘 데세오 S.A (가칭)
시비 2000
카날+
TF1 Films Production (가칭)
배급사필마우로 (가칭) (스페인)
헤럴드 에이스/일본헤럴드 영화 (일본)
개봉일1991년 10월 23일 (스페인)
1992년 6월 20일 (대한민국)
1992년 12월 12일 (일본)
상영 시간112분
제작 국가
언어스페인어
흥행 수익$1,710,057

2. 줄거리

레베카는 15년 만에 멕시코에서 스페인으로 돌아오는 유명한 토치 송 가수인 어머니 베키 델 파라모를 맞이하기 위해 마드리드 공항에서 기다린다. 기다리는 동안 레베카는 어린 시절, 일과 연애에 빠져 자신을 소홀히 했던 어머니에 대한 기억을 떠올린다. 레베카는 현재 남편 마누엘이 소유한 텔레비전 방송국의 뉴스 앵커로 일하고 있다. 마누엘이 과거 베키의 연인이었다는 사실 때문에 모녀의 재회는 더욱 복잡해진다.

베키가 돌아온 밤, 레베카는 베키와 마누엘을 데리고 '팜므 파탈'(레탈)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는 여성 연기자의 드래그 쇼를 보러 간다. 레탈은 쇼에서 베키를 흉내 내는 것으로 유명하며, 레베카는 이전에도 그의 쇼를 몇 번 관람한 적이 있다. 그날 밤, 레베카는 레탈의 요청으로 무대 뒤로 가서 분장을 지우는 것을 돕는다. 옷을 벗은 레탈의 남성적인 모습에 레베카는 강한 인상을 받는다. 레베카가 남편 마누엘과 5개월 동안 성관계를 갖지 않았다고 고백하자, 레탈은 그녀를 유혹한다. 한편, 관객석에 있던 마누엘은 베키에게 레베카와 이혼하고 싶다고 말하고, 두 사람은 다시 연인 관계가 된다.

한 달 후, 마누엘이 자신의 별장에서 살해된 채 발견된다. 그는 살해당하기 전 저녁 시간을 정부인 이사벨(레베카의 뉴스 프로그램 수화 통역사)과 보냈고, 이후 자신을 찾아온 베키와 만났다. 마누엘의 외도 사실을 따지러 별장에 도착했던 레베카는 시신을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한다. 수사를 맡은 도밍게스 판사는 얽히고설킨 관계를 파악하고 레베카와 베키 모녀를 모두 용의선상에 올린다.

마누엘의 장례식 날, 레베카는 자신이 진행하는 뉴스 생방송 도중 마누엘을 살해했다고 자백하고, 카메라 앞에서 체포된다. 그러나 도밍게스 판사는 명백한 자백에도 불구하고 레베카의 무죄를 입증하려는 듯한 태도를 보인다. 레베카가 감옥에서 첫날밤을 보내는 동안, 베키는 마드리드 무대에 성공적으로 복귀하고 라디오 방송을 통해 이 공연을 딸에게 헌정한다. 감옥에서 레베카는 사회복지사 파울라와 만나게 되는데, 그녀는 죽은 남자친구 휴고를 그리워하고 있었다. 파울라가 보여준 휴고의 사진을 본 레베카는 그가 레탈과 동일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도밍게스 판사는 베키와 레베카가 사적으로 만날 수 있도록 주선한다. 이 만남에서 레베카는 마누엘을 죽였다는 이전의 자백을 번복한다. 그녀는 자신을 영화 ''가을 소나타'' 속 딸에 비유하며, 항상 어머니 베키에게 열등감을 느끼고 경쟁해왔다고 말한다. 마누엘과의 결혼은 베키를 상대로 거둔 유일한 '승리'였지만, 베키가 다시 마누엘을 빼앗아 가면서 이마저도 허사가 되었다고 토로한다. 더 나아가 레베카는 15년 전 어린 시절, 베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약물을 바꿔치기하는 수법으로 계부를 살해했으며, 마누엘 역시 어머니의 애정을 빼앗아 갔기 때문에 자신이 살해했다고 고백한다. 베키는 레베카에게 남자에 대한 문제를 좀 더 건설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라고 충고한다. 딸의 집착과 숭배에 부담을 느낀 베키는 건강이 급격히 악화된다.

교도소 의사로부터 레베카가 임신했다는 사실(레탈의 아이일 수밖에 없는)을 알게 된 도밍게스 판사는 새로운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그녀를 석방한다. 레베카는 레탈의 마지막 드래그 공연 광고를 보고 공연장을 찾아간다. 그곳에서 그녀는 레탈이 바로 도밍게스 판사였으며, 그가 수사 전략의 일환으로 다른 사건에서도 레탈과 휴고라는 인물로 위장해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판사는 레베카의 임신 사실을 알고 있다며 그녀에게 청혼한다. 레베카가 이를 받아들여야 할지 고민하는 사이, 두 사람은 텔레비전 뉴스를 통해 베키가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쓰러졌다는 소식을 접한다.

병원으로 달려간 레베카에게 베키는 자신의 이기심에 대해 용서를 구하고, 마누엘 살인에 대한 책임을 자신이 지겠다고 말하며 속죄하려 한다. 죽음을 앞두고 집으로 옮겨진 베키에게 레베카는 범행에 사용된 총을 건네고, 베키는 그 위에 자신의 지문을 남겨 스스로 죄를 뒤집어쓴다. 창밖에서 들려오는 여성들의 하이힐 소리를 들으며 레베카는 그 소리가 어렸을 때 어머니가 집에 돌아오는 것을 기다리던 자신을 떠올리게 한다고 어머니에게 말한다. 레베카가 말을 마치고 돌아보았을 때, 베키는 이미 숨을 거둔 상태였다.

3. 등장인물

(빈 문자열)

3. 1. 주요 인물

배우배역설명
빅토리아 아브릴레베카텔레비전 뉴스 캐스터
로시오 무뇨스어린 레베카
마리사 파레데스베키 델 파라모레베카의 어머니. 유명 가수. 15년 만에 멕시코에서 귀국.
루스 카살베키의 노래 목소리
미겔 보세에두아르도 도밍게스 판사 / 레탈 / 우고수사 판사이자, 베키를 모창하는 여장 연기자(레탈).
페도르 아트킨마누엘레베카의 남편. 텔레비전 방송국 사장. 베키의 옛 연인.
미리암 디아스 아로카이사벨수화 통역사. 레베카의 동료이자 마누엘의 정부.
안나 리사란마르가리타
비비아나 페르난데스
크리스티나 마르코스파울라사회복지사
페드로 디에스 델 코랄알베르토레베카의 의붓아버지. 베키의 남편.
마이라타 오'위시에도도밍게스 판사의 어머니
나초 마르티네스후안레베카의 친아버지. 베키의 전 남편.
하비에르 바르뎀TV 방송국 현장 매니저


3. 2. 조연


  • 미리암 디아스 아로카 Miriam Díaz-Arocaes - 이사벨 역. 레베카의 동료인 수화 통역사이자 마누엘의 정부.
  • 안나 리자란 Anna Lizaranes - 마르가리타 역. 교도소 교도관.
  • 비비아나 페르난데스 Bibiana Fernández|비비 안데르센es - 촌 역.
  • 크리스티나 마르코스 Cristina Marcoses - 파울라 역. 레베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 페드로 디에스 델 코랄 Pedro Díez del Corrales - 알베르토 역. 레베카의 의붓아버지이자 베키의 전 남편.
  • 마이라타 오'위시에도 Mayrata O'Wisiedoes - 도밍게스 판사의 어머니 역.
  • 나초 마르티네스 Nacho Martínezes - 후안 역. 레베카의 친아버지이자 베키의 전 남편.
  • 하비에르 바르뎀 - TV 방송국 현장 매니저 역.

4. 제작

두 명의 핵심 여배우인 마리사 파레데스빅토리아 아브릴에게 있어, 영화 ''하이힐''은 "알모도바르 세계"의 ''역작''이었다. 남성 주연 배우를 캐스팅하는 것은 어려웠는데, 배우는 드래그와 판사 역할 모두를 설득력 있게 소화해야 했다. 결국 이 역할은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에서 유명한 가수인 미겔 보세에게 돌아갔다. 그의 캐스팅은 영화 홍보에서 주목할 만한 사건이었다.

알모도바르가 결국 제작한 이 영화는 1986년 ''욕망의 법칙''을 완성한 후 그가 의도했던 것과는 달랐다. 원래 의도했던 영화는 가르시아 로르카의 고전 희곡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을 변형한 것으로, 마드리드가 아닌 스페인 시골을 배경으로 할 예정이었다. 이야기는 지배적인 어머니와 그녀의 두 딸을 중심으로 전개될 예정이었으며, 두 딸은 어머니의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집을 떠난다. 이후 어머니는 화재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15년 동안 딸 중 한 명을 계속 추적한다는 내용이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이 영화는 실현되지 못했고, 알모도바르는 대신 마드리드에서 쉽게 촬영할 수 있는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로 방향을 바꿨다. 결국 ''하이힐''을 제작했을 때, 그것은 그의 원래 아이디어와 근본적으로 달랐으며 제목만 남았다. 최종 줄거리는 누군가가 생방송 뉴스 속보에서 범죄를 자백하는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하이힐''은 멜로드라마와 소위 '여성 영화'라는 미국의 전통과 관련이 있다. 더글러스 시크가 감독한 ''열정의 랩소디''(1959)는 주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하이힐''과 시크의 영화 사이에는 몇 가지 놀라운 유사점이 있다. 두 영화 모두 어머니가 연예인(가수 또는 배우)이고, 그녀의 경력이 어린 딸보다 우선한다. 어머니와 딸은 한 남자를 두고 경쟁하며, 두 영화 모두 휴양지에서 딸이 어머니와 떨어져 있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또한 레베카가 어머니에게 연기를 멈추라고 말하는 대사는 시크의 영화에서 따온 것이다. ''열정의 랩소디''는 존 M. 스탈의 1934년 버전을 리메이크하고 재해석한 것이었듯, ''하이힐'' 역시 알모도바르 특유의 스타일과 관심사가 돋보이는 그만의 영화로 재창조되었다.

긴장된 모녀 관계를 다룬다는 점에서 마이클 커티즈의 ''밀드레드 피어스''(1945)와도 유사점이 있는데, 이 영화에서는 사업가인 어머니가 딸을 맹목적으로 사랑한다. 킹 비더가 감독한 ''스텔라 달라스''(1937)에서도 비슷한 관계가 두드러지는데, 여기서는 어머니 스텔라가 예술가도 사업가도 아닌, 딸을 위해 사회적 야망을 품고 있는 하층 계급 여성이다. 이 영화는 또한 라나 터너와 조앤 크로포드가 출연한 영화들과 그들의 삶, 특히 딸에게 연인이 살해당한 터너의 실제 사건 및 크로포드와 딸 크리스티나의 격동적인 관계를 암시하기도 한다.

4. 1. 음악

알모도바르 감독 영화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목소리, 음악, 가사의 결합이다. 그는 이 영화에서 매우 표현력이 풍부한 볼레로를 중요한 음악적 요소로 사용했으며, 볼레로는 영화 전면에 등장한다. 알모도바르는 영화에 사용할 곡을 찾기 위해 수많은 노래를 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결국 Piensa en Mí|피엔사 엔 미es와 Un Año De Amor를 선택했다. 그의 의도는 베키 델 파라모 같은 가수의 경력 시작과 끝 모두에 어울리는 노래를 찾는 것이었다.

Piensa en Mí|피엔사 엔 미es아구스틴 라라가 작곡하고 롤라 벨트란이 부른 멕시코의 매우 유명한 노래이다. 알모도바르는 차벨라 바르가스가 부른 애절한 버전의 노래를 선택했다. 레탈이 공연 중 립싱크하는 Un año de amor|운 아뇨 데 아모르es는 니노 페레의 프랑스 노래이다. 미나가 부른 유명한 이탈리아어 버전이 있으며, 알모도바르는 이 곡의 스페인어 가사를 새로 썼다.

두 곡을 선택한 후, 알모도바르는 베키 델 파라모 역에 어울리는 목소리를 찾아야 했다. 여러 목소리를 시험해 본 끝에, 그는 루스 카살의 목소리가 배우 마리사 파레데스의 외모와 잘 어울린다고 판단했다. 스페인에서 록 가수로 유명했던 카살은 알모도바르의 제안을 수락했고, 이 두 곡은 그녀의 대표적인 히트곡이 되었다. 카살이 영화를 위해 부른 Piensa en mí|피엔사 엔 미es와 Un año de amor|운 아뇨 데 아모르es는 1991년에 발매된 그녀의 앨범 ''A contraluz''에 모두 수록되었다.

영화에는 교도소 마당에서 벌어지는 예상치 못한 댄스 장면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엘비스 프레슬리 주연의 ''감옥 록''(1957)이나 존 워터스 감독의 ''Cry-Baby''(1990)처럼 교도소를 배경으로 한 유명 뮤지컬 장면들을 연상시킨다. 이 장면에서 사용된 곡은 로스 에르마노스 로사리오의 Pecadora|페카도라es로, 메렝게 장르의 노래이다.

사카모토 류이치가 작곡한 영화의 배경 음악(스코어)에 대해 알모도바르 감독은 만족하지 않았다. 오프닝 장면과 레베카의 두 번째 고백 장면에서는 마일스 데이비스가 1960년대에 플라멩코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곡들을 사용했다. 레베카가 공항에서 어머니를 기다리며 홀로 있을 때 처음 등장하는 곡은 Solea|솔레아es인데, 이는 안달루시아 방언으로 '고독'을 뜻한다. 레베카가 도밍게스 판사에게 두 번째 고백을 하고 남편의 관에 흙을 뿌리기 위해 묘지로 향할 때는 길 에반스가 편곡한 마일스 데이비스의 앨범 ''스케치 오브 스페인''에 수록된 두 번째 곡, Saeta|사에타es가 사용되었다.

알모도바르는 또한 조지 펜튼이 영화 ''위험한 관계''(1988)를 위해 작곡한 두 개의 테마 음악도 사용했다. 이 음악들은 레베카가 감옥에서 풀려나 집으로 돌아갈 때와 다시 호송차를 타고 감옥으로 향할 때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4. 2. 제목

원제는 Tacones lejanos|타코네스 레하노스spa로, '멀리 떨어진 구두'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주인공 레베카가 어린 시절, 어머니가 방에 들어왔다가 복도를 걸어 나가는 구두 소리를 들어야만 잠들 수 있었던 기억과 연결된다.

영어 제목인 'High Heels'는 원제의 뉘앙스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영어 제목은 세련된 코미디 영화를 연상시키는 반면, 스페인어 원제는 가족 멜로드라마의 느낌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제목 번역의 차이가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스페인어 원제 'Tacones lejanos'는 라울 월시 감독의 1951년 영화 머나먼 북소리(원제: Distant Drums)를 참고한 것으로 여겨진다.

5. 평가

전반적으로 스페인 평론가들의 반응은 적대적이었다. 안토니오 카스트로는 ''Dirigido Por''에 기고한 글에서 알모도바르가 단순한 서사를 만들려 한 시도가 오히려 활력을 잃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앙헬 페르난데스 산토스는 ''엘 파이스''에서 더글러스 시크의 영화, 특히 그가 에베레스트 산으로 비유한 ''인생 모방''(1959)과 비교하며, ''하이힐''은 단순한 언덕에 불과하다고 결론지었다. Eduardo Torres-Dulce는 ''Expansión''에서 알모도바르의 시대가 끝났다는 강한 의견을 내비쳤다. ''Sight & Sound''의 데이비드 톰슨은 전반적으로 ''하이힐''이 알모도바르의 이전 작품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보았다. 그는 베리만가을 소나타 등 다른 영화에 대한 오마주가 "오히려 ''하이힐''의 부족함을 드러낼 뿐"이라며 역효과를 낳는다고 지적했다.

반면 이탈리아에서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진심 어린 호평이 주를 이루었다. 프랑스에서도 영화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알모도바르의 영화가 비교적 덜 호응을 얻던 독일과 같은 국가에서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알모도바르는 이에 대해 "내 영화는 매우 자유롭게 움직이며, 그것들을 이해하려면 단순히 자신의 직관과 감성에 자유로운 고삐를 주어야 한다... 나는 독일에서만큼 그렇게 많은 비합리적인 질문을 받은 적이 없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알모도바르의 다른 많은 영화들보다 성공적이지 못했다. ''나를 묶어! 나를 풀어줘!''(1989)처럼 ''하이힐'' 역시 일부 여성 단체들로부터 도덕적인 이유로 비판을 받았다. 알모도바르는 미국의 배급사 미라맥스가 영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홍보 방식을 몰랐다고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5개의 평론을 바탕으로 53%의 신선도 지수를 얻었으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5.64점을 기록했다.[12] 메타크리틱에서는 12명의 평론가 점수를 가중 평균하여 100점 만점에 51점을 부여하며 "혼합적이거나 평균적인 평가"를 나타냈다.[13]

''뉴욕 타임스''의 평론가 자넷 매슬린은 "'하이힐'에는 진짜 웃음도 없고 생생함을 유지할 만한 에너지도 충분하지 않다"라고 평가했다.[8] 반면, 로저 이버트는 영화에 별 4개 중 3개를 주며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영화는 습득된 취향이며, '하이힐'을 통해 마침내 그것을 습득하기 시작하고 있다"라고 긍정적으로 언급했다.[9]

5. 1. 수상 내역

''하이힐''은 골든 글로브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으며, 고야상에서는 의상 디자인상, 편집상, 분장 및 헤어스타일상, 음향상, 그리고 여우조연상(크리스티나 마르코스) 후보에 지명되었다.

이 영화가 수상한 상은 다음과 같다.

  • '''세자르상''' (1991년)
  •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산 조르디 상''' (1992년)
  • * 최우수 스페인 여배우상

5. 2. 흥행

알모도바르의 아홉 번째 영화인 ''하이힐''은 엘 데세오와 시비 2000이 공동 제작하여 1991년 10월 19일 스페인에서 개봉했다.[2] 이 영화는 스페인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2] 1991년 말까지 15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했고, 그해 스페인 영화 흥행 1위를 기록했다.[2] 결국, 흥행 수입 면에서는 520만유로를 기록하며, 알모도바르가 그 시점까지 발표한 영화 중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 (1988)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2][3] 프랑스에서는 869.9999999999999만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그해 흥행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4]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17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5]

6.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영화 '하이힐 (1991년 영화)'과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참조

[1] 문서 Margaret Herrick Library,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 서적 Boletín informativo. Datos de 1991 https://www.cultura.[...] ICAA (Spain)
[3] 웹사이트 Tacones Lejanos https://sede.mcu.gob[...] 2024-01-14
[4] 간행물 Statistics 1993-03-26
[5] 문서 "{{safesubst:#invoke:String|replace|{{{1|{{safesubst:PAGENAME}}}}}|%s+%b()$||1|false}} }}"
[6] 웹사이트 High Heels https://www.rottento[...] 2022-09-05
[7] 웹사이트 High Heels Reviews https://www.metacrit[...] 2022-09-05
[8] 웹사이트 Reviews/Film; A Mother, A Daughter And a Murder https://www.nytimes.[...] 2022-09-05
[9] 웹사이트 High Heels https://www.rogerebe[...] 1991-12-20
[10] 웹사이트 High Heels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20-03-19
[11] 웹사이트 하이힐 https://www.wowow.co[...] WOWOW 2020-03-19
[12] 웹사이트 Tacones Lejanos (High Heels) (1991)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0-03-19
[13] 웹사이트 High Heels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0-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