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프스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프스 왕조는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북아프리카의 이프리키야 지역을 통치한 왕조이다. 모로코 출신 베르베르인 마스무다 부족에서 기원했으며, 알모하드 왕조의 이프리키야 총독이었던 아부 자카리야 야흐야가 1229년 독립을 선언하며 시작되었다. 튀니스를 중심으로 번영을 누렸으며, 지중해 무역과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을 통해 경제적 부를 쌓았다. 문화적으로는 마드라사를 도입하여 교육을 장려하고 건축 활동을 펼쳤다. 14세기에는 마린 왕조의 침략과 역병으로 쇠퇴를 겪었지만, 15세기에 다시 번영을 누렸다. 16세기에는 스페인과 오스만 제국의 경쟁에 휘말려 튀니스를 오스만 제국에 빼앗기면서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4년 폐지 - 몬페라토 변경백국
몬페라토 변경백국은 950년경 서 리구리아 변경백국에서 시작되어 알레라미치 가문, 팔레올로고스 가문, 곤차가 가문에 의해 통치받다가 1574년 공국으로 승격되었으나 1708년 사보이아 공국에 병합되었다.
하프스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하프스 왕국 (), 하프스 국가 (), 하프스 술탄국 (), 튀니스 술탄국 () |
일반 명칭 | 하프스 왕조 |
존속 기간 | 1229년 – 1574년 |
수도 | 튀니스 |
공용어 | 아랍어, 베르베르어 |
종교 | 이슬람 (수니파, 이바드파), 기독교 (로마 가톨릭), 유대교 |
통화 | (정보 없음)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통치자 칭호 | 술탄 |
초대 통치자 | 아부 자카리야 |
초대 통치자 재임 기간 | 1229년–1249년 |
마지막 통치자 | 무함마드 6세 |
마지막 통치자 재임 기간 | 1574년 |
역사 | |
주요 사건 1 | 튀니스 정복 (1535년) |
주요 사건 2 | 멸망 (1574년) |
이전 국가 | 무와히드 칼리파국 |
후계 국가 | 오스만 튀니지 |
후계 국가 2 | 알제리 섭정 |
후계 국가 3 | 스페인령 트리폴리타니아 |
후계 국가 4 | 쿠쿠 왕국 |
후계 국가 5 | 오스만령 트리폴리타니아 |
현재 국가 | |
현재 국가 | 튀니지 알제리 리비아 |
2. 역사
하프스 왕조는 모로코 출신의 베르베르인인 마스무다 부족의 무함마드 빈 아부 하프스에게서 시작되었다. 그는 알모하드 왕조의 칼리프 무함마드 알 나시르로부터 튀니지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하프스 가문은 알모라비드 왕조의 후손이었던 바누 가니야의 지속적인 위협을 받았다.
1229년 아부 자카리야는 알모아드 교리를 부인한 것을 명분으로 독립을 선언했다. 그는 튀니스를 중심으로 행정 체계를 정비하고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레콩키스타로 인해 이베리아반도에서 쫓겨난 많은 안달루시아 무슬림들이 하프스 왕조로 이주해왔다. 아부 자카리야는 이들을 주요 직책에 임명하고 군대에 편입시켜, 기존 알모하드 왕조 세력의 영향력을 견제했다.
1230년 콘스탄틴과 베자이아를 합병했고, 1234년에는 야흐야 이븐 가니야를 쫓아내 위협을 종식시켰다. 1235년에는 알제를 점령하고 서쪽으로 셸리프 강까지 영향력을 확대했다. 1242년 틀렘센을 점령하고 자얀 왕조를 속국으로 삼았으며, 같은 해 시질마사와 세우타도 복속시켰다.
무함마드 1세 알-무스탄시르(재위 1249–1277)는 유럽과 수단 지역과의 무역을 확대하여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1253년 아미르 알 무미닌(칼리프) 칭호를 스스로 칭했고, 1259년 마카(메카)의 샤리프에게 칼리프 지위를 승인받았다.
1270년 프랑스 왕 루이 9세가 이끄는 제8차 십자군이 튀니스를 침공했을 때, 알 무스탄시르는 이를 격퇴했다. 알 무스탄시르가 1277년에 사망한 후, 아라곤 왕국의 간섭 등으로 인해 왕조는 내분에 휩싸였다.
14세기 중반에 시칠리아에서 이프리키야로 유입된 역병은 인구를 크게 감소시켜 하프스 왕조의 세력을 더욱 약화시켰다.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2세(1370년~1394년 재위)가 1370년 튀니스를 정복하면서 하프스 왕조를 재통합하였다. 그는 하프스 왕조의 권위를 강화하고 권력을 중앙 집권화했다.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2세의 통치 기간(1394년~1434년 재위)은 하프스 왕조의 권력과 번영의 절정기로 여겨졌다. 그는 자얀 왕조와 마린 왕조에 대한 영향력을 확장했다. 1429년, 하프스 왕조는 몰타 섬을 공격하여 3,000명의 노예를 붙잡았지만, 섬을 정복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해적 행위는 기독교 세력의 보복을 유발하여, 여러 차례 하프스 왕조의 해안 도시들에 대한 공격과 십자군 원정이 감행되었다.
아부 '암르 '우트만(1435년-1488년 재위)은 트리폴리타니아를 정복했고, 우아르글라에 총독을 임명했다. 그는 틀렘센에 두 차례 원정을 이끌었고, 자얀 왕조를 속국으로 만들었으며, 모로코의 와타시드 왕조 또한 그의 권위를 인정했다.
16세기 하프스 왕조는 오스만 제국과 스페인 사이의 권력 투쟁에 휘말렸다. 오스만 제국은 1534년에 튀니스를 정복하고 1년 동안 점령했다. 오스만 제국의 위협으로 인해 하프스 왕조는 1535년 이후 스페인의 봉신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1569년에 다시 튀니스를 정복하여 4년 동안 점령했다. 오스트리아의 돈 후안은 1573년에 튀니스를 다시 탈환했다. 오스만 제국은 1574년에 튀니스를 재정복했고, 하프스 왕조의 마지막 칼리프인 무하마드 6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끌려가 처형되었다.
2. 1. 알모하드 왕조 시대의 이프리키야
하프스 왕조는 모로코 출신의 베르베르인 부족인 마스무다 부족의 무함마드 빈 아부 하프스(Muhammad bin Abu Hafs)로부터 시작되었다.[1] 그는 알모하드 왕조의 칼리프 무함마드 알 나시르(Muhammad al-nasir)에 의해 튀니지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하프스 가문은 알모라비드 왕조의 후손이었던 바누 가니야(Banu Ghaniya)의 끊임없는 위협을 받았다.[7]하프스 가문의 시조는 아부 하프스 우마르 이븐 야흐야 알-힌타티였다.[3] 그는 힌타타 부족 출신으로, 알모라비드 운동의 창시자인 이븐 투마르트의 가까운 동료이자 10인 의회의 구성원이었다.[3]
아부 하프스의 아들인 아부 무하마드 압드 알-와히드 이븐 아비 하프스는 알모하드 칼리프 무함마드 알-나시르에 의해 이프리키야의 총독으로 임명되어 1207년부터 1221년까지 통치했다.[5] 그는 튀니스에 정착하여[6] 미래 하프스 국가의 토대를 마련했다.[7] 아부 무하마드 압드 알-와히드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아부 자이드 압드 알-라흐만이 총독으로 선출되었으나 칼리프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7] 1228년, 아부 자카리야 야흐야가 이프리키야를 맡게 되었다.[7] 1229년 아부 자카리야는 무와히드 왕조로부터 독립하여 아미르 칭호를 사용했다.[35]
2. 2. 독립과 발전
아부 자카리야는 1229년 알모아드 교리를 부인한 것을 명분으로 독립을 선언했다.[7] 그는 금요 예배 설교인 ''쿠트바''에서 아미르라는 칭호로 자신의 이름을 언급했지만, 1236년 또는 1237년에 칼리파 칭호인 ''아미르 알무미닌''을 채택했다.[7]아부 자카리야는 튀니스를 중심으로 행정 체계를 정비하고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레콩키스타로 인해 이베리아반도에서 쫓겨난 많은 안달루시아 무슬림들이 하프스 왕조로 이주해왔다.[9] 아부 자카리야는 이들을 주요 직책에 임명하고 군대에 편입시켜, 기존 알모하드 왕조 세력의 영향력을 견제했다.[9]
1230년 콘스탄틴과 베자이아를 합병했고,[5] 1234년에는 알모라비드 왕조의 후손인 야흐야 이븐 가니야를 쫓아내 위협을 종식시켰다.[5] 1235년에는 알제를 점령하고 서쪽으로 셸리프 강까지 영향력을 확대했다.[5] 1242년 틀렘센을 점령하고 자얀 왕조를 속국으로 삼았으며,[7] 같은 해 시질마사와 세우타도 복속시켰다.[7]
나스르 왕조의 이븐 알아흐마르는 기독교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잠시 아부 자카리야의 종주권을 인정하기도 했다.[7] 1238년 무슬림 발렌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함대를 보냈지만, 하프스 왕조는 마그레브 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대에 더 집중했다.[7]
무함마드 1세 알-무스탄시르(재위 1249–1277)는 유럽과 수단 지역과의 무역을 확대하여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7] 1258년 마린 왕조가 그의 권위를 인정했고,[7] 같은 해 바그다드 함락 이후 메카의 샤리프 아부 누마이는 1259년에 잠정적으로 그를 칼리프로 인정했다.[7][8]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프랑스의 루이 9세가 이끈 제8차 십자군이 카르타고에 상륙했지만, 루이 9세는 1270년 이질로 사망했다.
알 무스탄시르가 1277년에 사망한 후, 아라곤 왕국의 간섭 등으로 인해 왕조는 내분에 휩싸였다.[7] 이로 인해 왕조는 튀니스 중심의 동쪽 지파와 베자이아와 콘스탄틴 중심의 서쪽 지파로 분열되었다.[9] 이러한 분열은 하프스 왕조 역사의 상당 부분을 특징지었다.[9] 초기 분열 이후, 첫 번째 성공적인 재통일은 아부 야히야 아부 바크르 2세 때 일어났다.[9]
하프스 왕조 치하에서 말리크 학파의 이슬람 법학과 성자 숭배가 발전했으며, 수도 튀니스는 북아프리카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로 번성했다.[35] 이슬람 세계의 대역사가 이븐 할둔은 하프스 왕조에서 태어나 자랐다.
프로방스, 카탈루냐,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공화국에서 온 외국 상인들이 튀니스를 방문하여 지중해 무역이 번성했다.[35] 1239년 하프스 왕조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게 조공을 바치기 시작했다.[35]
아부 압둘라 무하마드 알 무스탄시르는 1253년 아미르 알 무미닌(칼리프) 칭호를 스스로 칭했고, 1259년 마카(메카)의 샤리프에게 칼리프 지위를 승인받았다.[35]
2. 3. 칼리프 칭호 사용과 국제 관계
무함마드 1세 알 무스탄시르는 칼리프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1253년의 일이었다. 1258년 몽골 제국이 아바스 왕조를 멸망시킨 이듬해인 1259년에는 이슬람교 성지 메카를 지배하는 샤리프에게 칼리프 지위를 승인받았고, 그 다음 해에는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에게도 인정받았다.[35] 1261년 맘루크 왕조 술탄 바이바르스가 아바스 왕조 일족을 이집트에 칼리프로 옹립하면서 하프스 왕조 군주를 칼리프로 인정하지 않아, 두 왕조는 일시적으로 반목했다.하프스 왕조는 주변 이슬람 국가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었다. 자얀 왕조 건국자 야굼라산 이븐 자이안은 하프스 왕조 지배하에 있었고, 모로코 마린 왕조와 그라나다 나스르 왕조도 하프스 왕조 종주권을 인정했다.[35] 그러나 14세기 마린 왕조가 알제리를 두 차례 점령하면서 갈등을 겪기도 했다.[7]
1270년 프랑스 왕 루이 9세가 이끄는 제8차 십자군이 튀니스를 침공했을 때, 알 무스탄시르는 이를 격퇴하며 십자군과의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
2. 4. 14세기의 위기와 재통합
아부 야흐야 아부 바크르의 통치는 불안정했고, 그는 서쪽의 자이안 왕조와 마린 왕조와의 동맹에 의존했다.[9] 그가 마린 왕조의 통치자 아부 알-하산(1331년~1348년 재위)과 맺은 합의에는 그의 누이와의 결혼이 포함되었는데, 그녀는 나중에 스페인에서 실패한 마린 왕조 원정 중 사망했으며, 그 후 그의 딸과 다시 결혼했다.[7] 1346년 아부 야흐야 아부 바크르가 사망했을 때, 그의 후계자로 지명된 아불 아바스는 튀니스에서 그의 형제 우마르에게 살해당했고, 우마르는 권력을 장악했다. 아불 아바스의 시종 아부 무함마드 압달라 이븐 타프라진은 아부 알-하산에게 개입하여 이프리키야를 침공하도록 촉구하는 편지를 보냈다. 1337년에 틀렘센을 정복한 아부 알-하산은 더 확장할 기회를 잡았다. 그는 1347년에 튀니스를 정복했고, 이 지역의 하프스 총독들은 그의 권위를 인정했다.[7]그러나 이 침공은 마린 왕조가 설득할 수 없었던 베두인 아랍 부족에게 유리하게 권력 균형을 깨뜨렸다.[7] 마린 왕조에 의해 권력을 잡기를 희망했던 이븐 타프라진은 이집트로 도망쳤다. 이프리키야의 상황은 더욱 혼란과 내부 경쟁으로 악화되었고, 아부 알-하산은 1349년에 아들 아부 이난의 ''쿠데타''에 대처하기 위해 서쪽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븐 타프라진은 이프리키야로 돌아와 베두인의 지원을 받아 아부 야흐야 아부 바크르의 또 다른 어린 아들 아부 이스하크를 통치자로 세웠다.[7] 아부 이난은 아버지로부터 왕위를 성공적으로 빼앗은 후 다시 이프리키야를 침공하여 1357년 8월에 튀니스를 점령했지만, 곧 자신의 군대에 의해 이 지역을 포기해야 했다. 그는 서쪽으로 돌아갔고, 한동안 콘스탄틴과 중앙 마그레브의 도시들만을 통제했다.[7]
14세기 중반에 시칠리아에서 이프리키야로 유입된 역병은 인구를 크게 감소시켜 하프스 왕조의 세력을 더욱 약화시켰다. 역병 유행 기간 동안 남부 부족의 습격을 막기 위해 하프스 왕조는 농촌 인구를 보호하기 위해 바누 힐랄에게 의지했다.[10]
마린 왕조의 위협이 끝난 후, 하프스 왕조의 재통합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지만,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 2세(1370년~1394년 재위)가 1370년 튀니스를 정복하면서 성공했다.[9] 유능한 통치자이자 군사 지도자였던 그는 하프스 왕조의 권위를 더욱 강화하여 이전보다 더 강력하게 권력을 중앙 집권화했다. 그동안 자야니드 왕조와 마린 왕조는 내부 문제로 분열되어 있었다.[9]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2세의 통치 기간(1394년~1434년 재위)은 당시 작가들에 의해 하프스 왕조의 권력과 번영의 절정으로 여겨졌다. 그는 이프리키야에서 자신의 왕조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했으며, 자야니드 왕조와 마린 왕조(그리고 후자를 계승한 와타시드 왕조)에 대한 영향력을 확장했다.[9]
그의 통치 초기는 쉽지 않았는데, 남부 도시들이 그에게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새로운 술탄은 재빨리 통제력을 회복했다. 그는 토즈르 (1404년), 가프사 (1401년), 비스크라 (1402년)를 재점령했고, 콘스탄틴과 베자이아 지역의 부족 권력을 진압했으며 (1397–1402), 이러한 지역의 총독을 선출직으로 임명했다. 그는 또한 서부와 동부 이웃 국가들에 대항하여 개입했다. 그는 트리폴리 (1401년)와 알제 (1410년–1411년)를 병합했다.[12] 1424년, 그는 자야니드 술탄 아부 말리크 압드 알-와히드를 격파하고, 또 다른 자야니드 왕조의 통치자 아부 압달라 무하마드 4세를 자신의 봉신으로 텔렘센의 왕좌에 앉혔다.[13][14] 1428년, 후자는 하프스 왕조의 지원을 얻은 아부 말리크 압드 알-와히드와의 또 다른 전쟁에 휘말리게 되었고, 결국 1431년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의 도움으로 또 다른 자야니드 친척으로 교체되었다.[14] 같은 시기 (아마도 1426년),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는 또한 압드 알-하크 2세를 페즈의 마리니드 왕좌에 앉히는 데 도움을 주었고, 아부 자카리야 야야 알-와타시의 섭정을 받아 하프스 왕조의 종주권을 인정받았다.[15]
1429년, 하프스 왕조는 몰타 섬을 공격하여 3,000명의 노예를 붙잡았지만, 섬을 정복하지는 못했다.[16] 카이드 리다반은 이 공격 당시 군사 지도자였다.[17] 이 수익금은 대규모 건설 프로그램과 예술 및 문화를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해적 행위는 기독교 세력의 보복을 유발하여, 여러 차례 하프스 왕조의 해안 도시들에 대한 공격과 십자군 원정이 감행되었다. 예를 들어 바르바리 십자군 (1390년), 보나 십자군 (1399년) 그리고 제르바의 점령 (1423년) 등이 있었다.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2세는 1434년 텔렘센에 대한 또 다른 원정 중에 사망했다.[9] 그의 후계자 아부 '암르 '우트만은 하프스 왕조 통치자 중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그는 대체로 선임자들의 강력한 통치를 이어갔지만, 내부 정치, 남부의 불안정한 베두인 부족, 서부의 와타시드 왕조 등 더 큰 도전에 직면해야 했다.[9]
우트만은 1458년 트리폴리타니아를 정복했고, 1463년 우아르글라에 총독을 임명했다.[18] 그는 1462년과 1466년에 텔렘센에 두 차례 원정을 이끌었고, 자야니드 왕조를 자신의 봉신으로 만들었으며, 모로코의 와타시드 왕조 또한 공식적으로 그의 권위를 인정했다. 따라서 마그레브 전역이 잠시 하프스 왕조의 종주권 아래 놓였다.[19][7]
2. 5. 전성기와 쇠퇴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2세의 통치 기간(1394년-1434년)은 당시 작가들에 의해 하프스 왕조의 권력과 번영의 절정으로 여겨졌다. 그는 이프리키야에서 자신의 왕조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했으며, 자얀 왕조와 마린 왕조(그리고 후자를 계승한 와타시드 왕조)에 대한 영향력을 확장했다.[9]그의 통치 초기는 쉽지 않았는데, 남부 도시들이 그에게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새로운 술탄은 재빨리 통제력을 회복했다. 그는 토즈르 (1404년), 가프사 (1401년), 비스크라 (1402년)를 재점령했고, 콘스탄틴과 베자이아 지역의 부족 권력을 진압했으며 (1397년–1402년), 이러한 지역의 총독을 선출직으로 임명했다. 그는 또한 서부와 동부 이웃 국가들에 대항하여 개입했다. 그는 트리폴리 (1401년)와 알제 (1410년–1411년)를 병합했다.[12] 1424년, 그는 자야니드 술탄 아부 말리크 압드 알-와히드를 격파하고, 또 다른 자야니드 왕조의 통치자 아부 압달라 무하마드 4세를 자신의 봉신으로 틀렘센의 왕좌에 앉혔다.[13][14] 1428년, 후자는 하프스 왕조의 지원을 얻은 아부 말리크 압드 알-와히드와의 또 다른 전쟁에 휘말리게 되었고, 결국 1431년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의 도움으로 또 다른 자야니드 친척으로 교체되었다.[14] 같은 시기 (아마도 1426년),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는 또한 압드 알-하크 2세를 페스의 마리니드 왕좌에 앉히는 데 도움을 주었고, 아부 자카리야 야야 알-와타시의 섭정을 받아 하프스 왕조의 종주권을 인정받았다.[15]
1429년, 하프스 왕조는 몰타 섬을 공격하여 3,000명의 노예를 붙잡았지만, 섬을 정복하지는 못했다.[16] 카이드 리다반은 이 공격 당시 군사 지도자였다.[17] 이 수익금은 대규모 건설 프로그램과 예술 및 문화를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해적 행위는 기독교 세력의 보복을 유발하여, 여러 차례 하프스 왕조의 해안 도시들에 대한 공격과 십자군 원정이 감행되었다.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2세는 1434년 틀렘센에 대한 또 다른 원정 중에 사망했다.[9] 그의 후계자 아부 '암르 '우트만은 하프스 왕조 통치자 중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1435년-1488년). 그는 대체로 선임자들의 강력한 통치를 이어갔지만, 내부 정치, 남부의 불안정한 베두인 부족, 서부의 와타시드 왕조 등 더 큰 도전에 직면해야 했다.[9]
우트만은 1458년 트리폴리타니아를 정복했고, 1463년 우아르글라에 총독을 임명했다.[18] 그는 1462년과 1466년에 틀렘센에 두 차례 원정을 이끌었고, 자얀 왕조를 자신의 봉신으로 만들었으며, 모로코의 와타시드 왕조 또한 공식적으로 그의 권위를 인정했다.
16세기 하프스 왕조는 오스만 제국이 지원하는 바르바리 해적과 스페인 사이의 권력 투쟁에 점점 더 휘말렸다. 오스만 제국은 1534년에 튀니스를 정복하고 1년 동안 점령했으며, 하프스 왕조의 통치자 물레이 하산을 몰아냈다. 1년 후, 스페인 국왕이자 신성 로마 황제인 카를 5세는 튀니스를 점령하여 오스만 제국을 몰아내고 합스부르크 왕가의 속국으로 물레이 하산을 복위시켰다.[20] 오스만 제국의 위협으로 인해 하프스 왕조는 1535년 이후 스페인의 봉신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1569년에 다시 튀니스를 정복하여 4년 동안 점령했다. 오스트리아의 돈 후안은 1573년에 튀니스를 다시 탈환했다. 오스만 제국은 1574년에 튀니스를 재정복했고, 하프스 왕조의 마지막 칼리프인 무하마드 6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끌려가 스페인과의 협력과 오스만 술탄이 메카와 메디나를 통치함에 따라 칼리프 칭호를 얻고자 하는 욕망으로 인해 처형되었다.
2. 6. 오스만 제국과의 갈등과 멸망
16세기 하프스 왕조는 스페인과 오스만 제국 사이의 경쟁에 휘말렸다. 오스만 제국은 1534년 튀니스를 정복하고 1년간 점령했다. 이로 인해 하프스 왕조는 1535년 이후 스페인의 속국이 되었다.[20] 오스만 제국은 1569년 다시 튀니스를 점령하고 4년간 지배했다.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의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가 1573년 튀니스를 탈환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1574년 튀니스를 재정복했다.1574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튀니스가 함락되면서 하프스 왕조는 멸망했다. 하프스 왕조의 마지막 칼리프 무함마드 6세는 이스탄불로 압송되어 스페인에 협력한 죄목으로 처형되었다. 여기에는 이슬람의 성지 메카와 메디나를 손에 넣은 오스만 술탄이 칼리프 지위를 차지하려는 이유도 있었다. 하프스 가문의 일부는 오스만의 학살을 피해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의 테네리페 섬으로 피신하여 살아남았다.
3. 통치자
الحفصيون|al-Ḥafṣiyūnar의 통치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통치 순서 |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재위 기간 | 비고 |
---|---|---|---|---|---|
- | 압드 알 왈리드 | 알 수 없음 | 1222년 | 1207년~1216년 | 술탄이 아닌 지역 지도자 |
- | 아부 무함마드 압드 알라 | 알 수 없음 | 1229년 | 1224년~1229년 | 술탄이 아닌 지역 지도자 |
1대 | 아부 자카리야 | 1203년 | 1249년 10월 5일 | 1229년~1249년 | |
2대 | 무함마드 1세 알 무스탄시르 | 1228년 | 1277년 | 1249년~1277년 | 제8차 십자군 격퇴 |
3대 | 야야 2세 알 와티크 | 알 수 없음 | 1279년 | 1277년~1279년 | |
4대 | 이브라힘 1세 | 알 수 없음 | 1283년 | 1279년~1283년 | |
5대 | 압드 알 아지즈 1세 | 알 수 없음 | 1283년 | 1283년 | |
6대 | 이븐 아비 우마라 | 알 수 없음 | 1284년 | 1283년~1284년 | |
7대 | 아부 하프스 우마르 1세 | 알 수 없음 | 1295년 | 1284년~1295년 | |
8대 | 무함마드 1세 | 1279년 | 1309년 9월 | 1295년~1309년 | |
9대 | 아부 바크르 1세 | 알 수 없음 | 1309년 9월 | 1309년 | |
10대 | 아바 알 바카 칼리드 안 나시르 | 알 수 없음 | 1311년 | 1309년~1311년 | |
11대 | 아바 야야 자카리야 알 리야니 | 1253년 | 1326년 | 1311년~1317년 | |
12대 | 무함마드 2세 | 알 수 없음 | 1323년 | 1317년~1318년 | |
13대 | 아부 바크르 2세 | 알 수 없음 | 1346년 10월 19일 | 1318년~1346년 | |
14대 | 아흐마드 1세 | 알 수 없음 | 1346년 | 1346년 | |
15대 | 아부 하프스 우마르 2세 | 알 수 없음 | 1347년 | 1346년~1347년 | |
16대 | 아흐마드 1세 | 알 수 없음 | 1350년 | 1347년~1350년 | |
17대 | 이브라힘 2세 | 1336년 10월 또는 11월 | 1369년 2월 19일 | 1350년~1369년 | |
18대 | 아부 알 바카 칼리드 | 알 수 없음 | 1370년 11월 | 1369년~1370년 | |
19대 | 아흐마드 2세 | 1329년 | 1394년 6월 3일 | 1370년~1394년 | |
20대 | 압드 알 아지즈 2세 | 1361년 | 1434년 7월 | 1394년~1434년 | |
21대 | 무함마드 3세 | 알 수 없음 | 1435년 9월 16일 | 1434년~1435년 | |
22대 | 우스만 | 1419년 2월 | 1488년 9월 | 1435년~1488년 | |
23대 | 아부 자카리야 야야 | 알 수 없음 | 1489년 | 1488년~1489년 | |
24대 | 압드 알 무으민 | 알 수 없음 | 1490년 | 1489년~1490년 | |
25대 | 아부 야야 자카리야 | 알 수 없음 | 1494년 | 1490년~1494년 | |
26대 | 무함마드 4세 | 알 수 없음 | 1526년 | 1494년~1526년 | |
27대 | 무함마드 5세 | 알 수 없음 | 1543년 | 1526년~1543년 | |
28대 | 아흐마드 3세 | 1500년경 | 1575년 8월 | 1543년~1569년 | |
오스만 제국 정복 (1569년~1573년) | |||||
29대 | 무함마드 6세 | 알 수 없음 | 1594년 | 1573년~1574년 |
하프스 왕조는 베르베르인의 후손이었지만,[1] 통치의 정당성을 높이기 위해 제2대 정통 칼리파 우마르로부터 이어지는 아랍인 혈통을 주장했다.[2]
4. 경제
하프스 왕조는 이프리키야 지역에 위치하여 농업과 무역이 발달했다. 특히 수도를 튀니스로 정하면서 지중해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프로방스, 카탈루냐,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공화국 등에서 온 외국 상인들이 자주 튀니스를 방문했으며, 유럽의 기독교 상인들은 튀니스 등 해안 도시에 자신들의 거주 구역을 가지고 활발하게 무역에 참여했다.[21] 1239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게 조공을 바치고 시칠리아 밀 수입 자유권을 얻기도 했다.[35]
하프스 왕조는 유럽과의 상업 및 외교 관계를 발전시켰지만,[21] 아부 파리스 압드 알-아지즈 2세 (1394–1434) 통치 시기에는 기독교 선박에 대한 해적 활동이 증가하기도 했다. 14세기 중반 튀니스의 인구는 10만 명에 달했다.
또한, 하프스 왕조는 튀니스에서 팀북투와 트리폴리를 잇는 대상 무역로를 통해 사하라 횡단 무역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0]
5. 문화
하프스 왕조는 문화와 교육을 적극적으로 후원하였다.[9] 마드라사를 마그레브에 처음 도입하여,[23][9] 아랍어 문해력과 종교 교육을 증진시켰다. 카이루안, 튀니스, 비자야는 유명한 대학 모스크를 보유하게 되었다. 카이루안은 말리키 종교 교리의 중심지 역할을 계속했다.[10] 국가의 정치 중심지가 튀니스로 이동함에 따라, 도시의 주요 모스크인 자이투나 대모스크가 주요 교육 중심지가 되었다.[22] 13세기에는 아부 자카리야가 알안달루스 출신 이민자들을 장려하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튀니스 출신이자 안달루스계 역사학자 겸 지식인 이븐 할둔이 대표적인 인물이다.[9]
하프스 왕조 시기 건축은 아부 자카리야(재위 1229–1249)와 아부 파리스 (재위 1394–1434) 통치 시기에 발전했지만, 현재까지 온전하게 남아있는 기념물은 많지 않다.[23] 카이루안은 중요한 종교 중심지로 남아 있었지만, 튀니스가 수도이자 주요 도시, 건축 후원의 중심지로 이를 대체했다. 서쪽의 건축물과 달리 하프스 건축은 주로 (벽돌이나 흙벽돌이 아닌) 석재로 지어졌으며 장식이 훨씬 적었다.[23]
5. 1. 학문과 교육
하프스 왕조는 문화와 교육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9] 이들은 마드라사를 마그레브 지역에 처음으로 도입하여,[23] [9] 아랍어 문해력과 종교 교육을 증진시켰다. 카이루안, 튀니스, 비자야에는 유명한 대학-모스크가 설립되었다. 카이루안은 말리키파 종교 교리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며,[10] 국가의 정치 중심지가 튀니스로 이동하면서 자이투나 대모스크가 주요 교육 중심지가 되었다.[22]13세기에는 아부 자카리야가 알안달루스 출신 이민자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9] 이들 중 가장 중요한 인물은 튀니스 출신이자 안달루스계 역사학자 겸 지식인 이븐 할둔이었다.[9]
5. 2. 건축
하프스 왕조는 아부 자카리야(재위 1229–1249)와 아부 파리스(재위 1394–1434)와 같은 왕들의 통치 아래 중요한 건축 활동을 펼쳤지만, 오늘날까지 온전히 남아있는 건축물은 많지 않다.[23] 튀니스는 수도로서 이 지역의 주요 도시이자 건축 후원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하프스 건축은 주로 석재로 지어졌으며 장식이 적었다는 특징이 있다.[23]
튀니스 카스바 모스크는 아부 자카리야가 통치를 시작할 때 지은 초기 건축물 중 하나이다. 1233년에 완성된 첨탑은 마라케시 카스바 모스크의 첨탑과 매우 유사하다.[23] 튀니스에 있는 하프스 시대의 다른 건축물로는 할리크 모스크(13세기)와 알 하와 모스크(1375)가 있다. 바르도 궁전(현재 국립 박물관)도 15세기에 하프스 왕조에 의해 시작되었으며,[24] 아부 파리스의 통치 기간 동안 처음으로 역사 기록에 나타났다.[23]
하프스 왕조는 1238년[25][23](일부 자료에 따르면 1249년[26][27]) 튀니스에 마드라사 알-샤마이야를 시작으로 이 지역에 최초의 마드라사를 도입했다. 이후 마드라사 알-운키야(1341) 등 여러 마드라사가 튀니스에 세워졌다.[23] 1437년에 완공된 마드라사 알-문타시리야는 하프스 시대의 가장 잘 보존된 마드라사 중 하나이다.[23]
6. 깃발
로베르 브룬슈비그에 따르면, 하프스 왕조와 그 창시 부족인 힌타타는 흰색 깃발로 대표되었다.[29] 그는 "행진에 사용된 하프스 왕조의 깃발 중에는 술탄에 더 가깝고 말을 탄 사람이 들고 있는 흰색 깃발, 즉 '승리의 깃발'(알-알람 알-만수르)이 눈에 띄었다. 일부 사람들이 이 흰색 깃발에서 알모하드의 깃발을 찾으려 한 것은 당연하다. 알모하드의 깃발은 같은 색이었으며, 이는 파티마 왕조가 채택한 것을 다시 복제한 것이다."라고 말한다.[29] 알-칼카산디 (1418년 사망)는 튀니지에서 알모하드 깃발에 대해 언급하면서 흰색 깃발을 언급했다. 그는 "그것은 승리의 깃발이라고 불리는 흰색 깃발이었으며, 이드 기도를 드리거나 마크젠 노예(이는 그 나라의 일반 백성과 시장 사람들을 의미함)의 이동을 위해 말을 탈 때 그들의 술탄 앞에서 게양되었다."라고 설명했다.[30] 샤를-앙드레 쥘리앙 또한 하프스 왕조의 군주들이 자수된 비단으로 된 다색 깃발을 압도하며 자신들의 흰색 깃발을 게양하며 궁정과 함께 행진하는 모습을 이야기한다.
14세기에 프란체스코 수도사가 쓴 ''모든 왕국의 지식의 서''에는 튀니스의 깃발이 가운데 검은 달이 있는 흰색이라고 묘사되어 있다. 현대 튀니지와 알제리 동부의 다른 도시들 역시 달이 있는 흰색 깃발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고되었다.[31]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African Civilization: Precolonial Africa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
서적
Near West: Medieval North Africa, Latin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in the Second Axial Ag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3]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4]
백과사전
Hintāta
https://referencewor[...]
E. J. Brill
[5]
백과사전
Ḥafṣids
https://referencewor[...]
E. J. Brill
[6]
서적
Tunisia Since the Arab Conquest: The Saga of a Westernized Muslim State
https://books.google[...]
Apollo Books
2013
[7]
서적
A history of the Maghrib in the Islamic perio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North Africa, Revised Edition: A History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9]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Three
Brill
[10]
서적
Medieval Africa, 1250–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Papier pourpre et encre d'argent
https://essentiels.b[...]
2023-11-27
[12]
학술지
العملة وتأثيراتها السياسية في تاريخ الغرب الإسلامي من مطلع القرن الخامس إلى أواخر القرن السابع الهجري 407 هـ - 674 هـ /1017 - 1275 م
http://dx.doi.org/10[...]
2017-03-00
[13]
학술지
العملة وتأثيراتها السياسية في تاريخ الغرب الإسلامي من مطلع القرن الخامس إلى أواخر القرن السابع الهجري 407 هـ - 674 هـ / 1017 - 1275 م
http://dx.doi.org/10[...]
2017-03-00
[14]
서적
Histoire générale de l'Algérie
https://archive.org/[...]
Alger, Impr. P. Crescenzo
[15]
서적
La dynastie marocaine des Beni Wattas (1420-1554)
https://gallica.bnf.[...]
Imprimerie D. Braham
[16]
서적
The Maltese Cross: A Strategic History of Malt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17]
웹사이트
575th anniversary of the 1429 Siege of Malta
https://timesofmalta[...]
2022-08-04
[18]
서적
[19]
서적
History of North Africa: Tunisia, Algeria, Morocco, from the Arab Conquest to 1830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 Paul
1970
[20]
서적
Empires of the Sea
faber and faber
[21]
웹사이트
Hafsids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2011-03-05
[22]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23]
서적
Architecture of the Islamic West: North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70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Ifriqiya: Thirteen Centuries of Art and Architecture in Tunisia
Museum With No Frontiers, MWNF
[26]
서적
L'architecture musulmane d'Occident
Arts et métiers graphiques
[27]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La Berberie orientale sous les Hafsides des origines à la fin du XVe siècle
https://www.asadlis-[...]
A. Maisonneuve
1982
[30]
서적
رايات الإسلام من اللواء النبوي الأبيض إلى العلم العثماني الأحمر
http://archive.org/d[...]
مكتبة مدبولي
[31]
서적
Book of knowledge of all the kingdoms, lands, and lordships that are in the world, and the arms and devices of each land and lordship, or of the kings and lords who possess them
https://archive.org/[...]
London, The Hakluyt society
1912
[32]
웹사이트
TunisiaArms
http://www.hubert-he[...]
[33]
웹사이트
Hukam.net
http://www.hukam.net[...]
2021-11-04
[34]
웹사이트
TunisiaArms
http://www.hubert-he[...]
2021-11-04
[35]
서적
マグレブにおける政治的統一の崩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