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휴는 육경에 통달하고 학문에 정통했던 인물이다. 낭중을 거쳐 북신성 현령을 지냈으며, 참정사로 임명되었으나 당고의 금으로 사직했다. 이후 17년간 『춘추공양해고』를 저술하고, 석방 후 의랑과 간의대부를 역임했다. 춘추 연구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며 공양전을 옹호했고, 역산에도 능했다. 춘추를 역사의 법칙이 담긴 경전으로 보고 공양전 연구를 경학으로 확립했으며, 청나라 시대 공양학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하휴
기본 정보
하휴의 초상
하휴의 초상
인물 정보
이름하휴
로마자 표기He Xiu
Shao Gong
생년129년
몰년182년
출생지노나라
시대후한
분야경학자
주요 업적공양전 주석
스승
스승빈맹

2. 약력

수수하고 말수가 적은 성품이었으나, 육경(六經)에 통달하여 당대에 견줄 자가 없을 정도였다. 낭중을 제수받았으나, 섬기지 않았다. 북신성 현령에 임명되어 강사(絳紗)를 짓고, 100여 명의 학생들에게 학문을 가르쳤다. 진번의 천거로 참정사가 되었으나, 당고의 금으로 진번이 처벌받자 연좌되어 사직하고 근신하게 되었다. 관직에 나가지 않고 자택에 연금된 채 17년을 보내며 『'''춘추공양해고'''』를 저술하고, 『효경』과 『논어』의 주석과 훈계를 따랐다. 당고의 금이 풀려 석방된 후, 의랑(議郎)을 제수받고 간의대부가 되었다.

3. 학문

하휴는 기존의 춘추 연구에 대해 600여 조에 달하는 반론을 제시하며, 춘추공양전이야말로 춘추에 대한 유일한 해설서라고 주장했다. 그는 역산(曆算)에 뛰어나, 그의 스승인 양필과 이육의 설에 따라 춘추좌전과 춘추곡량전을 비판하며, 『공양묵수(公羊墨守)』, 『좌씨고황(左氏膏肓)』, 『곡량폐질(穀梁廢疾)』을 저술했다.

하휴는 춘추를 단순한 연대기가 아닌, 역사의 법칙이 포함된 경전으로 취급하고, 춘추의 해석인 춘추공양전 연구를 경학의 일부로 확립했다. 여기에는 동중서에게서 일부 보이는 "공양전이 한대에 제작되었다"는 설과, 문화가 "난세·외평·태평"이라는 세 단계로 발전한다는 설을 강조했다. 나라 시대에 성행한 공양학에서 근거로 삼은 것은, 하휴가 주석을 단 춘추공양전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