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학술정보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대한민국 교육 및 학술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설립 근거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이며, 교육 및 학술 연구 정보 제작, 교육 정보 시스템 구축, e-러닝 지원,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운영,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운영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1996년 한국교육개발원 부설 멀티미디어교육연구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1999년 현재의 한국교육학술정보원으로 출범했다. 주요 성과로는 교육 메타데이터 한국 표준 획득, ISO 9001 인증 획득, 국제 e-러닝 컨설팅 ISO 9001 인증 획득 등이 있으며, 전 세계 교육 기관과 협력하여 교육 분야의 ICT 구현을 촉진하고 있다.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교육부 소관)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 제중원으로 시작하여 대한의원, 조선총독부의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 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본원 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을 운영하며 국내외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병원이다. - 공공기관 (교육부 소관) - 한국장학재단
한국장학재단은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고등교육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학자금 대출, 국가장학금, 국가 교육근로장학금, 국가우수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한다. - 대구 동구 소재의 관공서 - 한국장학재단
한국장학재단은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고등교육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학자금 대출, 국가장학금, 국가 교육근로장학금, 국가우수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한다. - 대구 동구 소재의 관공서 - 경북지방우정청
경북지방우정청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관할하며 우편, 예금, 보험 등의 우정사업을 수행하는 우정사업본부 소속 지방우정청으로, 1970년 대구지방체신청으로 설치되어 경북지방체신청을 거쳐 2011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편되었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와 국민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2000년 설립된 준정부기관으로, 요양급여 비용 심사, 적정성 평가, 의약품 유통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COVID-19 대응에도 기여한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기관 명칭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영문 명칭 | 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
약칭 | KERIS (케리스) |
설립일 | 1999년 4월 22일 |
전신 | 한국멀티미디어교육센터(KMEC) 한국연구정보센터(KRIC) |
본부 | 대구광역시 |
직원 수 | 303명 (2017년 3월 기준) |
기관장 | 박혜자 (사장) |
웹사이트 | keris.or.kr |
2. 설립 근거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9]
3. 사업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이러닝을 통해 인적 자원을 개발하고, 교육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며, 지식 및 정보 기반 사회의 토대를 마련하고, 학문의 디지털화를 통해 국가 교육 및 연구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사교육 비용 절감 및 기존 교육 시스템 강화 노력을 위해 e-러닝의 여러 측면에 관여하고 있다. 연구, 계획 및 정책 제안 배포, e-러닝 자료 보급 및 채택 지원, 효과 평가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웹을 통해 다양한 e-러닝 서비스를 관리한다.
4. 연혁
연도 | 주요 내용 |
---|---|
1996년 6월 | 한국교육개발원 부설 멀티미디어교육연구센터 설립[3] |
1996년 9월 | 국내 최초 인터넷 교육정보종합서비스 에듀넷 개통[3] |
1996년 12월 | 한국학술진흥재단 부설 첨단학술정보센터(KRIC) 설립[3] |
1997년 3월 | 한국교육방송원 부설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KMEC) 설립[3] |
1998년 5월 | 국가 연구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술정보서비스(RISS) 개통[3] |
1999년 4월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설립(KMEC과 KRIC 통합), 초대 원장 서삼영 박사 취임[3] |
2000년 8월 |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지침』개발[1] |
2001년 3월 | 정보통신부 지정 교육학술분야 종합정보센터[1] |
2002년 4월 | 에듀넷 가입자 500만명 돌파, 『전국단위 NEIS』 중앙총괄센터 지정[1] |
2002년 5월 | 『전국교육정보공유체제』 개통[1] |
2002년 11월 | 『전국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개통[1] |
2003년 11월 | 전국 대학 학술정보공동활용체제 100% 가입 선포[1] |
2004년 4월 | EBS 수능 인터넷 서비스 『EDUNETi』개통,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신청사 입주[1] |
2004년 7월 | 제3대 원장 황대준 박사 취임[1] |
2004년 9월 | 『중앙교수학습지원센터·에듀넷』 통합 서비스 개통[1] |
2004년 11월 | 『대입전형자료 온라인 제공시스템』 개통[1] |
2004년 12월 | 일본국립정보학연구소(NII)와 학술정보 공동활용 체제 구축 및 서비스 실시, 『초중등교육정보메타데이터』국가표준 규격(KS X 7001) 획득[1] |
2005년 | 국가지식정보센터 설치, 정부산하기관 경영평가 우수기관 선정, ISO9001 인증 획득[1] |
2006년 | 『홈에듀(Home-Edu)민원서비스)』개통, NEIS 교육업무시스템 개통, ISO/IEC 20000, ISO 9001:2000 인증 획득[1] |
2007년 | 유네스코-바레인 국왕 교육정보화상, IMS Learning Impact 대상(Platinum) 수상[1] |
2008년 | 에듀파인(지방교육 행재정 통합시스템) 개통, ECSC(Education Cyber Security Center) 개소, 준정부기관 경영평가 우수기관 선정, 제5대 원장 곽덕훈 박사 취임[1] |
2009년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개정 및 시행, 한국수출입은행,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과 업무 협정 체결, 제6대 원장 천세영 박사 취임[1] |
2010년 |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 전국서비스 개통, 교육학술정보 모바일 서비스 개통(사이버가정학습, 우수수업동영상, KOCW)[1] |
2011년 | 차세대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NEIS) 개통, 대한민국 청소년방송단 창립, 제7대 원장 김철균 박사 취임[1] |
2012년 | 사이버대학 종합정보 시스템(CUinfo) 서비스 개시, 대구 신청사 착공, 제8대 원장 임승빈 박사 취임[1] |
2013년 | 대구 신청사 개청,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우수기관 선정[1] |
2014년 |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지정, 대구광역시교육청과 교육정보화 선도 관련 업무협약 체결[1] |
2015년 | 국립대구과학관과 업무 협약 체결, 학술정보 이용통계 빅데이터 기반 분석 서비스(RISS Analytics) 실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획득[1] |
2016년 | 제9대 한석수 원장 취임, 교육행정전자서명 인증서비스 국제인증 획득, 유치원 입학관리시스템 처음학교로 서비스 개통[1] |
2017년 | 에듀넷·티-클리어(T-CLEAR) 공식 오픈, 종합교육연수원 인가, 교육저작권지원센터 지정[1] |
2018년 | 나이스(NEIS), 행정안전부 주관 2018 국가대표 브랜드 대상 수상[1] |
2019년 | 제10대 박혜자 원장 취임, RISS, 대한민국 고객만족 브랜드 대상 수상[1] |
2020년 2월 | 교육정보시스템 통합 재해복구센터 준공[1] |
2024년 5월 | 제11대 정제영 원장 취임[1] |
4. 1. 설립 초기 (1990년대)
1996년 6월 21일, 한국교육개발원 부설 멀티미디어교육연구센터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국내 최초의 인터넷 교육 정보 종합 서비스인 에듀넷이 개통되었다.[3] 1996년 12월 26일에는 한국학술진흥재단 부설 첨단학술정보센터(KRIC)가 설립되었다.[3] 1997년 3월 21일, 한국교육방송원 부설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KMEC)가 설립되었다.[3]1998년 5월 1일, 국가 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술 정보 서비스(RISS)가 개통되었다.[3] 1999년 4월 22일, KMEC와 KRIC가 통합되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설립되었고, 초대 원장으로 서삼영 박사가 취임하였다.[3]
4. 2. 발전 및 확장 (2000년대)
2000년 8월 1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초·중등학교에서 ICT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 지침을 개발했다.[1] 2001년 3월 23일에는 정보통신부로부터 교육 및 학술 분야의 종합 정보 센터로 지정받았다.[1]2002년 4월 6일, 에듀넷의 가입자 수가 500만 명을 돌파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1] 같은 해 4월 18일, 교육인적자원부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전국 단위 NEIS의 중앙 총괄 센터로 지정하였다.[1] 5월 22일에는 전국 교육 정보 공유 체제가 개통되었고,[1] 11월 15일에는 전국 디지털 자료실 지원 센터가 문을 열었다.[1]
2003년 11월 18일, 전국의 모든 대학이 학술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체제에 100% 가입을 완료했다고 선포했다.[1] 2004년 4월 1일에는 EBS 수능 인터넷 서비스인 'EDUNETi'가 개통되었고,[1] 7월 16일에는 황대준 박사가 제3대 원장으로 취임하였다.[1] 9월 15일에는 중앙교수학습지원센터와 에듀넷의 통합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1] 11월 29일에는 대입 전형 자료 온라인 제공 시스템이 개통되었다.[1] 12월 1일에는 일본 국립정보학연구소(NII)와 학술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체제를 구축하고 서비스를 시작했다.[1]
2005년에는 국가지식정보센터를 설치하고, 정부 산하 기관 경영 평가에서 우수 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ISO9001 인증을 획득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이루었다.[1] 2006년에는 홈에듀(Home-Edu) 민원 서비스와 NEIS 교육 업무 시스템을 개통하고, ISO/IEC 20000 및 ISO 9001:2000 인증을 획득했다.[1]
2007년에는 유네스코-바레인 국왕 교육정보화상을 수상하고, IMS Learning Impact 대상(Platinum)을 받는 등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았다.[1] 2008년에는 에듀파인(지방교육 행재정 통합시스템)을 개통하고, ECSC(Education Cyber Security Center)를 개소했으며, 준정부기관 경영 평가에서 '우수 기관'으로 선정되었다.[1] 또한, 곽덕훈 박사가 제5대 원장으로 취임하였다.[1]
2009년에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이 개정 및 시행되었고, 한국수출입은행,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과 업무 협정을 체결했다.[1] 그리고 천세영 박사가 제6대 원장으로 취임하였다.[1]
4. 3. 혁신과 성장 (2010년대)
2010년 3월 31일, 창의적 체험활동을 지원하는 종합지원시스템의 전국 서비스가 개통되었고, 8월 1일에는 교육학술정보 모바일 서비스(사이버가정학습, 우수수업동영상, KOCW)가 개통되었다.[1] 2011년 3월 1일에는 차세대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NEIS)이 개통되었고,[1] 4월 7일에는 대한민국 청소년방송단이 창립되었다. 같은 해 10월 11일, 제7대 김철균 원장이 취임하였다.[1]2012년 3월 2일, 사이버대학 종합정보 시스템(CUinfo) 서비스가 개시되었고, 4월 30일에는 대구 신청사 착공식이 있었다.[1] 11월 29일에는 제8대 임승빈 원장이 취임하였다.[1] 2013년 11월 15일, 대구 신청사가 개청하였고, 12월 19일에는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1]
2014년 2월 7일,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은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되었고, 4월 24일에는 대구광역시교육청과 교육정보화 선도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1] 2015년 4월 14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국립대구과학관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고, 12월 21일에는 학술정보 이용통계 빅데이터 기반 분석 서비스(RISS Analytics)를 실시하였다.[1] 또한, 12월 24일에는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을 획득하였다.[1]
2016년 1월 27일, 제9대 한석수 원장이 취임하였고, 5월 10일에는 교육행정전자서명 인증서비스 국제인증을 획득하였다.[1] 11월 1일에는 유치원 입학관리시스템 '처음학교로' 서비스가 개통되었다.[1] 2017년 4월 14일, 에듀넷·티-클리어(T-CLEAR)가 공식 오픈되었고, 7월 21일에는 종합교육연수원이 인가되었으며, 9월 21일에는 교육저작권지원센터로 지정되었다.[1]
2018년 7월 12일, 나이스(NEIS)는 행정안전부 주관 2018 국가대표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였다.[1] 2019년 4월 15일, 제10대 박혜자 원장이 취임하였고,[1] 7월 18일에는 RISS가 대한민국 고객만족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였다.[1]
4. 4. 현재 (2020년대 ~ )
5. 조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는 이사회가 없으며, 감사실은 청렴감사실로 구성되어 있다. 원장 산하에는 종합교육연수원, 대외홍보실, 경영전략본부, 디지털교육정책본부, 교육서비스본부, 대학학술본부, 교육행정본부, 교육재정본부, 정보보호본부가 있다.
5. 1. 이사회
한국교육학술정보원한국어에는 이사회가 존재하지 않는다.5. 1. 1. 감사
감사실은 청렴감사실로 구성되어 있다.5. 1.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은 산하에 종합교육연수원, 대외홍보실, 경영전략본부, 디지털교육정책본부, 교육서비스본부, 대학학술본부, 교육행정본부, 교육재정본부, 정보보호본부를 두고 있다.6. 역대 원장
대 | 임기 | 이름 | 경력 |
---|---|---|---|
1 | 1999 ~ 2000 | 서삼영 | 행정학 박사 |
2 | 2000 ~ 2004 | 김영찬 | 컴퓨터공학 박사 |
3, 4 | 2004 ~ 2008 | 황대준 | 컴퓨터공학 박사[11] |
5 | 2008 ~ 2009 | 곽덕훈 | 컴퓨터공학 박사 |
6 | 2009. 12 ~ 2011. 8 | 천세영 | 교육학 박사 |
7 | 2011. 10 ~ 2012. 9 | 김철균 | 전 청와대 국민소통 비서관[12] |
8 | 2012. 1 ~ 2015. 11 | 임승빈 | 교육행정 박사, 전 교원소청심사위원장 |
9 | 2016. 1 ~ 2019. 4 | 한석수 | 교육학 박사, 교육부 대학정책실장[13] |
10 | 2019. 4 ~ 2021. 11 | 박혜자 | 행정학 박사, 전 민주당 국회의원 |
11 | 2022. 3 ~ 2024. 5 | 서유미 | 교육학 박사, 전 교원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 |
12 | 2024. 5 ~ | 정제영 | 교육학 박사 |
7. 주요 성과
연도 | 주요 성과 |
---|---|
2004년 | 교육 메타데이터 한국 표준(KS X 7001) 인증 획득 |
2005년 | ISO 9001 인증 획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품질 관리 시스템) |
2006년 | ISO/IEC 20000 인증 획득 (EDUNET 및 RISS 시스템 지원 인프라 관리) |
2006년 | ISO 9001 인증 획득 (국제 e-러닝 컨설팅 품질 관리 시스템) |
2007년 | 제1회 유네스코 교육 ICT 상 수상 |
2007년 | IMS 러닝 임팩트 플래티넘 어워드 수상 |
2008년 | e-러닝 품질 인증 가이드라인 국가표준(KS) 제정 (기술표준원) |
2009년 | 교육 정보 표준 국제 표준(IS) 제정 |
2010년 | 웹 어워드 코리아 대상 (공공 교육 분야) 수상 (한국 공개 강좌(KOCW)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
2011년 | e-러닝 진흥 기관으로 지정 |
2012년 | 기관 운영 우수 공공기관으로 선정 |
2012년 | 고객 서비스 우수 공공기관으로 선정 |
2013년 | IMS 러닝 임팩트 어워드 플래티넘 수상 |
2014년 | 정보보호 유공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수상 |
2015년 | 웹 어워드 코리아 "공공 서비스" 부문 대상 수상 (EDUNET) |
8. 국제 협력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전 세계의 교육 기관 및 전문가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 ICT 구현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협력 세미나, 훈련 프로그램, 공동 연구 프로젝트 및 세미나를 개최한다.[8]
9.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혁신도시)에 있으며, 대구 지하철 1호선 안심역 1번 출구에서 700m가량 떨어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KERIS
http://english.keris[...]
2009-03-23
[2]
웹사이트
KERIS
http://english.keris[...]
2009-03-25
[3]
웹사이트
KERIS
http://english.keris[...]
2009-03-25
[4]
웹사이트
KERIS
http://english.keris[...]
2009-03-25
[5]
웹사이트
KERIS
http://english.keris[...]
2009-03-25
[6]
웹사이트
KERIS
http://english.keris[...]
2009-03-25
[7]
웹사이트
KERIS
http://english.keris[...]
2009-03-25
[8]
웹사이트
http://english.keris[...]
[9]
법률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제1조(목적) 이 법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설립하여 교육 및 학술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작·조사·수집하고 교육정보제공체제를 구축·운영함으로써 교육 및 학술연구의 질적 수준을 높여 국가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10]
법률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제6조.
[11]
뉴스
http://www.etnews.co[...]
[12]
뉴스
http://news.inews24.[...]
[13]
웹사이트
http://www.keris.o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고교 졸업생, 대입 지원용 생활기록부 온라인으로 제출 가능
‘라오스에 관광지리교육’… 원광디지털대, 아세안 사이버대학(ACU) 공동 교육과정 운영 협약 체결
티맥스소프트, 신임 연구본부장에 박기은 전 KB국민은행 부행장 영임 – 바이라인네트워크
AI 기반 교육혁신 선도… 원광디지털대, 교육부 디지털 교육환경 고도화 사업 선정
개인정보위 “AI 교과서, 학생 개인정보 보호 조치 미흡”
개보위 “AI 교과서, 개인정보 보호 미흡” 교육 당국에 시정 권고
연세대, KERIS와 교육·연구 협력 강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4월8일 알림
국내 VM웨어 이탈고객, 이노그리드에 몰린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교과서에 실린 ‘그 책’ 보고 싶다면 ‘독서로’ 찾아가 보세요
쌍용정보통신, 1분기 매출 679억원·영업손실 31억원 – 바이라인네트워크
셀바스AI, 디지털교과서 사업 추진 박차...2025년 현장 도입 – 바이라인네트워크
베스핀글로벌, 코로나19 백신예약시스템 문제 해결사로 참여 – 바이라인네트워크
[심스키의 입장] 백신 예약시스템, 클라우드였다면... – 바이라인네트워크
네이버 클라우드, 공공시장 압도(?) – 바이라인네트워크
공공SW·ICT장비 사업 규모, 연간 5조원대 진입 – 바이라인네트워크
피앤피시큐어-NBP 협력 “DB, 클라우드 통합 정보보안 서비스 제공” – 바이라인네트워크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큐브리드 DB 서비스 개시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