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연수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금융연수원은 금융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금융 전문 교육 과정 운영, 도서 출판 및 보급, 자격 제도 운영 등을 주요 사업으로 수행한다. 1976년 설립되어 전국은행연합회 부설기관으로 개편되었으며, 금융인을 최고로, 금융회사를 일류로, 금융을 미래로 연결하는 것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주요 사원기관으로는 시중은행, 특수은행, 지방은행, 인터넷은행 등이 있으며, 전국은행연합회 등 유관기관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은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감독 기구이며, 금융 시장 안정과 금융 소비자 보호를 목표로 은행감독원 등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장으로, 주식, 채권, ETF, 파생상품 등의 매매를 지원하며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을 운영하고 부산광역시에 본사를 둔다. - 대한민국의 위원회에 관한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은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감독 기구이며, 금융 시장 안정과 금융 소비자 보호를 목표로 은행감독원 등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 대한민국의 위원회에 관한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 금융기관 감독, 자본시장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담당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회를 통해 금융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금융정보분석원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단체 -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수도법과 하수도법에 따라 설립되어 수도사업자와 공공하수도관리청 간 협력을 통해 수도사업 발전을 도모하며, 해외 전시 참관단 운영, 국제 교류, 단체 표준 인증 사업, 법정 의무 교육, 수돗물 홍보 협의회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협회장 중심의 단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단체 - 헌법재판연구원
헌법재판연구원은 헌법재판소가 헌법재판 관련 연구 및 교육을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헌법 및 헌법재판 제도 연구, 국내외 이론 및 판례 연구, 헌법 교육 등을 수행하며 연구교수부와 기획행정과로 구성된다.
한국금융연수원 | |
---|---|
기본 정보 | |
결성 | 1976년 6월 5일 |
목적 | 금융인력을 양성하여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 |
본부 | 대한민국 |
수장 명칭 | 원장 |
약칭 | KBI |
언어 | 한국어 |
웹사이트 | 한국금융연수원 웹사이트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118 |
이름 | 한국금융연수원 |
영문 명칭 | Korea Banking Institute |
현재 수장 | 이준수 |
2. 주요 사업
한국금융연수원은 금융 분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 영역으로는 금융 실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과정 운영, 금융 지식 보급을 위한 전문 도서 출판, 그리고 특정 금융 분야의 전문성을 인증하는 자격 제도 운영 등이 포함된다.
2. 1. 금융 전문 교육 과정 운영
10개 금융 직무 분야에 걸쳐 집합 연수, 통신 연수, 사이버 연수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각 기관의 특성에 맞춰 교과 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는 주문형 맞춤 연수도 실시한다.2. 2. 금융 전문 도서 출판 및 보급
금융 이론과 실무 지식의 보급을 위하여 연수 교재는 물론 다양한 금융 전문 도서를 출판·보급하고 있다.2. 3. 금융 전문 자격 제도 운영
금융 업무 중 특히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대해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직무 지식과 능력을 평가하여 자격을 부여하는 자격 인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금융 전문가들의 직무 능력 향상을 지원한다.3. 비전/핵심 가치
한국금융연수원은 "금융인을 최고로, 금융회사를 일류로, 금융을 미래로 연결"하는 비전을 추구한다.
3. 1. 핵심 가치
- 역량강화 (Empowerment): 최적의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최고의 금융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미션으로 삼는다.
- 고객성장 (Growth): 금융회사의 HRD 파트너로서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혁신지향 (Innovation): 새로운 변화와 도전을 통해 금융을 미래로 연결하는 정신을 지향한다.
4. 연혁
한국금융연수원은 1976년 6월 5일 금융업무 연수와 금융인 새마을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4년 전국은행연합회 부설기관으로 개편되었으며, 이후 금융 환경 변화에 발맞춰 연수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전문성을 강화해왔다. 2000년대 들어 신용분석사, 자산관리사(FP), 신용위험분석사(CRA) 등 다양한 금융 관련 자격 제도를 도입하고 국가공인을 취득하며 자격검정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했다. 또한, 국내외 금융기관 및 연수기관과의 교류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핀테크 및 디지털 전환과 같은 최신 금융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등 지속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자세한 연혁은 아래와 같다.
4. 1. 1970년대
1976년 6월 5일 한국금융연수원이 처음 설립되었다. 당시 조직은 교수부, 새마을교육단, 총무과로 구성된 1부 1단 1과 체제였으며, 금융 업무 연수와 금융인을 대상으로 한 새마을 교육을 주요 업무로 삼았다. 초대 원장은 서정국이었다.1977년 8월 5일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에 새로운 원사 건물을 짓기 시작했으며, 1979년 3월 12일에 완공하여 이전하였다.
4. 2. 1980년대 ~ 1990년대
- 1982년 6월 1일: 제2대 장규진 원장이 취임하였다.
- 1983년 1월 27일: 주임교수제를 도입하였다.
- 1984년 5월 9일: 전국은행연합회 부설기관으로 개편되었다.
- 1985년 9월 18일: 제3대 하국환 원장이 취임하였다.
- 1988년 6월 17일: 감사실을 설치하였다.
- 1988년 9월 17일: 제4대 김성환 원장이 취임하였다.
- 1991년 1월 1일: 연수운영부에 연수부문별 담당제를 도입하였다.
- 1993년 1월 1일: 기존 새마을 교육부를 특수연수부로 변경하고, 교재출판부 통신교육실을 확대 개편하여 통신연수부를 신설하였다.
- 1993년 8월 30일: 부산연수소를 개설하였다.
- 1994년 1월 4일: 부산연수소를 부산지원으로 승격시켰다.
- 1994년 9월 17일: 제5대 김시담 원장이 취임하였다.
- 1998년 4월 11일: 제6대 김원태 원장이 취임하였다.
- 1998년 12월 31일: 부산지원을 폐쇄하였다.
4. 3. 2000년대
- 2000년 4월 26일: 제7대 이강남 원장 취임
- 2000년 12월 13일: 자격검정사업부 설치
- 2001년 1월 20일: 신용분석사, 대출심사역, 국제금융역 자격 국가공인 취득
- 2001년 12월 27일: CRA(신용위험분석사) 자격제도 도입 시행
- 2003년 4월 26일: 제8대 강형문 원장 취임
- 2003년 11월 18일: 미국 TGIF와 업무제휴 협약 체결
- 2004년 1월 15일: 일본 은행연수사와 업무제휴 협약 체결
- 2004년 5월 5일: 남대문 분원 개설 (2006년 4월 30일 폐쇄)
- 2004년 10월 1일: 금융교육연구회 발족
- 2004년 12월 19일: KBI인증 은행텔러 자격 도입
- 2005년 1월 5일: 자산관리사(FP) 자격 국가공인 취득
- 2005년 2월 17일: 금융전문가협의회 발족
- 2005년 9월 22일: 영국 ICMA 센터와 업무제휴 협약 체결
- 2005년 9월 28일: 도서출판부 신설 (종합기획부 도서출판실을 확대 개편)
- 2005년 11월 28일: 대만금융연수원과 업무제휴 체결
- 2006년 1월 17일: 스위스 금융 연구소(Swiss Finance Institute)와 업무협정 체결
- 2006년 2월 15일: CRA 자격 국가공인 취득
- 2006년 3월 2일: 영국 레딩 대학교(University of Reading)의 ICMA 센터와 GPMP(Global Portfolio Manager Program) 과정 공동 개설
- 2006년 3월 31일: 금융대사전 편찬
- 2006년 4월 2일: KBI인증 외환전문역 자격 도입
- 2006년 4월 26일: 제9대 정방우 원장 취임
- 2006년 6월 18일: 기획재정부와 공동으로 ASEAN 중견공무원 초청연수 실시
- 2006년 10월 22일: 제11회 아시아 태평양지역 금융연수기관 회의(APABI) 개최
- 2007년 11월 11일: 기획재정부와 공동으로 ASEAN 고급공무원 초청 세미나 실시
- 2008년 8월 27일: 톰슨 로이터(Thomson Reuters)와 MOU 체결 - 톰슨 로이터 트레이딩 실습센터 구축, 실습 프로그램 도입 및 설치
- 2009년 3월 29일: 아시아 17개국 재경부, 중앙은행 및 한국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중견공무원 대상 IMF 연수프로그램 실시
- 2009년 4월 26일: 제10대 김윤환 원장 취임
- 2009년 6월 28일: 기획재정부와 공동으로 아세안 등 중견공무원 초청연수 실시
- 2009년 7월 11일: KBI인증 영업점 컴플라이언스 오피서 자격 도입
4. 4. 2010년대
- 2010년
- * 1월 18일: 녹색성장위원회 주관 녹색교육기관으로 지정되었다.
- * 2월 8일: 연구개발팀, 글로벌금융팀 신설 및 e-러닝부 확대 개편 등 조직을 개편했다.
- * 3월 29일: 기획재정부와 공동으로 IMF 연수를 실시했다.
- * 5월 17일: ADB Regional Economic & Financial Monitoring(REFM) 연수를 실시했다.
- * 6월 27일: 기획재정부와 공동으로 아세안 등 중견공무원 초청연수를 실시했다.
- * 8월 3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연수 서비스인 컨버전스 학습체계 'u-Class'를 시범 운영했다.
- * 8월 6일: 종합기획부 소속이던 전산정보실을 독립 부서로 개편했다.
- * 8월 13일: e-러닝부 명칭을 u-러닝부로 변경했다.
- 2011년
- * 2월 1일: 금융마이스터(Finance Meister) 제도를 도입했다.
- * 5월 17일: 국민은행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7월 11일: 한국산업인력공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7월 18일: 영국의 7 City Learning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8월 4일: 매일경제신문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8월 22일: 본관 리모델링 공사를 완료했다.
- * 9월 20일: 영국의 Cass Business School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11월 1일: 실무전문교수 제도를 도입했다.
- * 11월 30일: 홍콩의 The Hong Kong Institute of Bankers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12월 12일: 베트남 중앙은행 직원을 대상으로 연수를 실시했다.
- 2012년
- * 3월 20일: 말레이시아금융연수원(Institute Bank-Bank Malaysia)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3월 26일: CSI Global Education Inc.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4월 26일: 제11대 이장영 원장이 취임했다.
- * 10월 19일: 금융최고경영자과정을 개설했다.
- * 11월 6일: 우즈베키스탄 은행원을 대상으로 연수를 실시했다.
- * 11월 28일: 외환 및 국제금융 부문에서 최초로 금융 마이스터(Meister)를 배출했다.
- * 12월 3일: 고용노동부 주관 기관평가에서 집합, 통신, 사이버 전 부문 A등급을 획득했다.
- 2013년
- * 8월 24일: 중소기업금융상담사(SME-FA) 자격시험 제도를 도입했다.
- * 10월 4일: 미션선언식을 개최했다.
- * 10월 9일: 뉴욕금융연수원(New York Institute of Finance)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10월 28일: 뒷동산(수연재) 조경공사를 완료했다.
- 2014년
- * 2월 14일: 베트남금융연수원(BTCI)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4월 8일: 미래경영위원회(주니어보드)를 출범시켰다.
- * 9월 26일: 부산국제금융연수원을 개원했다.
- 2015년
- * 4월 5일: 제21차 세계금융연수기관총회(WCBI: World Conference of Banking Institutes)를 개최했다.
- * 10월 6일: 제12대 조영제 원장이 취임했다.
- * 11월 6일: 한국해양대학교와 해양금융전문 석사학위과정 공동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11월 27일: 한국예탁결제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12월 23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2016년
- * 1월 29일: 글로벌금융팀 신설 및 도서출판부를 출판사업부로 명칭 변경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 * 2월 3일: 몽골금융연수원(Banking & Finance Academy in Mongolia)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2월 29일: 글로벌 금융리더 양성 과정(Global Financial Leaders Program)을 개설했다.
- * 4월 21일: KBI금융강좌를 개설했다.
- * 6월 3일: 창립 4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 * 6월 8일: 해외사업 진출 실무 및 현지 지역전문가(베트남) 과정을 개설했다.
- * 9월 30일: 미국 뱅크오브호프(Bank of HOPE)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2017년
- * 4월 6일: 핀테크지원센터와 핀테크 기업 교육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4월 11일: 인도네시아 금융연수원(Lembaga Pengembangan Perbankan Indonesia)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7월 21일: 노사발전재단과 금융인력의 생애설계 및 금융특화 전직지원서비스 참여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9월 14일: 케이뱅크가 정사원으로 가입했다.
- * 9월 27일: 합숙소를 준공했다.
- * 11월 1일: 서울특별시,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보험연수원, 금융투자교육원, 여신금융교육연수원과 함께 서울 핀테크 아카데미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2018년
- * 3월 6일: 인도네시아 은행종사자협회(Indonesia Bankers Institute) 및 금융전문자격인증원(Lembaga Sertifikasi Profesi Perbankan)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4월 11일: 제13대 문재우 원장이 취임했다.
- * 9월 17일: 프라이빗뱅커(CPB: Certified Private Banker) 민간자격 신규등록을 승인받았다.
- * 12월 28일: 디지털전략사업부 신설, 총무부를 경영지원부로, 출판사업부를 출판미디어사업부로 명칭 변경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 2019년
- * 2월 19일: KBI 지식콘텐츠 서비스를 시작했다.
- * 3월 25일: 감사위원회포럼과 감사 및 감사위원회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8월 21일: 한국레드햇과 디지털금융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8월 28일: 한국아이비엠과 디지털금융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9월 30일: 한국오라클과 디지털금융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 12월 30일: 금융 DT Academy를 본부로 승격시켜 7부 2실 체제에서 1본부 8부 2실 체제로 개편했다.
4. 5. 2020년대
2021년 4월 11일 제18대 서태종 원장이 취임했다.2024년 9월 10일 제19대 이준수 원장이 취임했다.
5. 조직
한국금융연수원은 총회와 이사회를 통해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원장, 부원장, 본부장으로 구성된 경영진과 1본부 8부 2실 체제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5. 1. 의사결정기구
한국금융연수원의 주요 의사결정기구는 총회와 이사회이다. 총회는 20개의 사원기관으로 구성되며, 이사회는 시중은행 대표 10명을 포함한 12명의 이사로 이루어져 있다. 연수원의 제반 연수사업은 이들 기구의 결의를 통해 추진된다.5. 2. 경영진
한국금융연수원의 연수 사업은 20개 사원기관으로 구성된 총회와 시중은행 대표 10명 등 12명의 이사로 구성된 이사회의 결의를 통해 추진된다. 경영진은 원장, 부원장, 본부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직은 1본부 8부 2실 체제로 운영된다.5. 3. 부서
한국금융연수원은 1본부 8부 2실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요 부서는 다음과 같다.- 종합기획부
- U-러닝부
- 자격검정사업부
- 연수운영부
- 경영지원부
- 출판미디어사업부
- DT연수부
- 디지털플랫폼사업부
- 교수실
- 감사실
6. 사원기관
한국금융연수원의 사원기관은 시중은행, 특수은행, 지방은행, 인터넷은행 등 다양한 금융기관을 포함한다. 각 분류별 상세 기관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시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한국씨티은행6. 2. 특수은행
6. 3. 지방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6. 4. 인터넷은행
케이뱅크은행, 카카오뱅크7. 유관기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