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은 1993년 결성된 대한민국의 대학생 단체였다.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를 계승하여 출범했으며, 주한 미군 철수, 국가보안법 철폐, 한반도 통일을 주장하며 시위를 주도했다. 1996년 연세대학교 시위 이후 대법원에서 이적단체로 규정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 이후 활동이 위축되어 사실상 활동이 중단되었다. 한총련은 2007년 기준으로 의장, 대의원대회, 중앙위원회, 중앙집행위원회 등의 조직 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북한의 주체사상을 추종한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 김재연 (정치인)
    김재연은 학생운동을 거쳐 진보정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민중당 대표를 역임, 2022년 대통령 선거에 진보당 후보로 출마하는 등 진보정치인으로서 활동했으나, 북한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을 겪기도 했다.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 김조광수
    김조광수는 청년필름 설립 후 다양한 영화를 제작하고 커밍아웃 후 동성애 인권 운동에 참여한 영화 감독이자 제작자, 각본가, LGBT 인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 법령 지정 이적단체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 법령 지정 이적단체 - 조국통일범민족연합
    조국통일범민족연합(범민련)은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목표로 남·북·해외 애국적 인사들이 참여하여 결성된 통일운동 연합체로서, 자주·평화통일·민족대단결의 3대 원칙을 지향하며 활동하고 있다.
  • 민족해방파 - 민족해방 (운동권)
    민족해방파는 1980년대 대한민국 학생 운동의 주요 흐름으로, 반미 자주화를 핵심 기치로 내걸고 제국주의와 민중의 대립 구도를 강조하며 반제반파쇼를 투쟁 목표로 설정, 학생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치며 진보 정당으로 진출했다.
  • 민족해방파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는 6월 항쟁과 이한열 열사 사망을 계기로 1987년 출범하여 반독재, 반미 투쟁, 평화 통일 운동, 학원 민주화 등 사회 변혁을 주도한 대한민국의 대학생 조직으로, 1993년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으로 발전적으로 해소되었다.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개요
명칭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약칭한총련
영문 명칭South Korean Fede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Councils
기본 정보
설립1993년
해산알려진 바 없음
종류학생 운동 단체
국가대한민국
본부 위치대한민국
사용 언어한국어
웹사이트한총련 홈페이지
조직
관련 조직한국대학생진보연합
논란 및 비판
친북 활동과거 친북 활동으로 논란이 있었음.
우파의 시각우파에서는 한총련을 친북 단체로 간주함.

2. 역사

1993년 기존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를 계승하자는 취지로 전북대학교에서 창립대의원대회를 갖고 고려대학교에서 8만여 명이 모인 가운데 출범했다. 그러나 한총련은 1996년 여름, 연세대학교에서의 8.15 통일대축전 및 범민족대회에서 벌어진 대규모 폭력 시위로 인하여, 정부의 대대적 제재 및 폭력 시위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 시각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대법원에 의해 4기 한총련은 '이적단체'로 규정되고, 학생들의 무관심이 증대되면서 한총련의 활동력이 점차 위축되었다. 또한 이후의 5기, 6기 한총련도 대법원에 의하여 이적단체로 규정되었고 10기 한총련(2002년, 서울산업대학교(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전신)에서 출범식 개최) 또한 이적단체로 규정되었다. 이적(利敵)단체란 반국가단체나 그 구성원 또는 그 지령을 받은 자의 활동을 찬양·선전하거나 국가변란을 선전·선동한 단체를 말한다.

2008년 3월 한총련은 신임 의장 선거에서 후보자를 찾지 못해 출범 16년 만에 처음으로 의장 선출에 실패했다.[17] 한총련은 28일 한양대학교 캠퍼스에서 한총련 소속 전국 40여 개 대학교 총학생회장과 각 단과대학 학생회장 등 대의원 60여 명을 비롯해 150여 명의 학생들이 모여 긴급 대의원대회를 개최하여 김현웅 전남대 총학생회장을 '16기 한총련 투쟁본부장'으로 추대했다.

1993년 5월 29일, 고려대학교에서 한총련이 공식 출범했다. 단체의 초기 슬로건은 "삶, 학문, 투쟁의 공동체"였으며, 1995년에는 "민족의 운명을 개척하는 무적의 애국 전위"로 변경되었다.[5]

이 단체는 주한 미군(USFK)의 지속적인 주둔을 굴욕적인 미국 제국주의의 잔재로 여기며 규탄하고, 한반도 통일을 옹호한다. 한총련은 주로 시위를 통해 대한민국 정부에 도전하는 활동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주요 본부는 고려대학교(서울)와 전남대학교(광주)에 있었다. 이 단체의 이념적 기원은 1980년대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급진적인 학생들과 지식인들은 북한의 ''주체사상''에 대해 점점 더 인지하게 되었고, 일부는 이에 호의적으로 반응하며 북한을 지지하고 전통적인 친미 성향의 대한민국 정부에 반대하는 활동을 시작했다.

2. 1. 창립과 초기 활동 (1993년 ~ 1996년)

1993년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를 계승하여 전북대학교에서 창립대의원대회를 갖고 고려대학교에서 8만여 명이 모인 가운데 출범했다.[5] 초기 슬로건은 "삶, 학문, 투쟁의 공동체"였으며, 1995년에는 "민족의 운명을 개척하는 무적의 애국 전위"로 변경되었다.[5]

한총련은 주한 미군의 지속적인 주둔을 굴욕적인 미국 제국주의의 잔재로 여기며 규탄하고, 한반도 통일을 옹호하며, 주로 시위를 통해 대한민국 정부에 도전하는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본부는 고려대학교전남대학교에 있었다. 이 단체의 이념적 기원은 1980년대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급진적인 학생들과 지식인들은 북한의 주체사상에 대해 점점 더 인지하게 되었고, 일부는 이에 호의적으로 반응하며 북한을 지지하고 전통적인 친미 성향의 대한민국 정부에 반대하는 활동을 시작했다.

1996년 여름, 연세대학교에서의 8.15 통일대축전 및 범민족대회에서 벌어진 대규모 폭력 시위로 인하여, 정부의 대대적 제재 및 폭력 시위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 시각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대법원에 의해 4기 한총련은 '이적단체'로 규정되었고, 학생들의 무관심이 증대되면서 한총련의 활동력이 점차 위축되었다. 이후 5기, 6기, 10기 한총련도 대법원에 의하여 이적단체로 규정되었다. 이적(利敵)단체란 반국가단체나 그 구성원 또는 그 지령을 받은 자의 활동을 찬양·선전하거나 국가변란을 선전·선동한 단체를 말한다.

2. 2. 연세대학교 사태와 이적단체 규정 (1996년 ~ 2000년대 초)

1996년 여름,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8.15 통일대축전 및 범민족대회에서 대규모 폭력 시위가 발생했다.[6] 김영삼 정부는 광주 민주화 운동에 비유될 정도로 강경 진압을 하였고, 이 과정에서 경찰 1명이 사망하고 양측에서 수백 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시위대 3,500명이 연행되었다.[6][7] 이 사건으로 연세대 교내 시설이 크게 파손되었고, 연고전이 취소되었으며, 총학생회장 선거에서 비운동권 후보가 당선되는 계기가 되었다.

1997년 6월 한양대학교에서는 이석 치사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한총련 소속 학생들이 이석을 프락치로 오인하여 발생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관련자들이 구속되었으며, 일부는 1999년 특별사면되었다.

1998년, 대한민국의 대법원은 한총련을 국가보안법 상 '이적단체'로 규정했다.[8] 이는 한총련이 북한의 주장에 동조하며 대한민국의 존립에 위해를 가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후 4기, 5기, 6기, 그리고 2002년 서울산업대학교에서 출범한 10기 한총련까지 모두 이적단체로 규정되었다.[8]

2008년 3월, 한총련은 신임 의장 선거에서 후보자를 찾지 못해 의장 선출에 실패했고, 긴급 대의원대회를 통해 김현웅 전남대 총학생회장을 '16기 한총련 투쟁본부장'으로 추대했다.[17]

2. 3. 쇠퇴와 활동 중단 (2000년대 중반 ~ 현재)

2000년대 중반 이후 한총련은 구성원 이탈 가속화 및 사회적 지지 약화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1996년 연세대학교 통일대축전 및 범민족대회에서의 대규모 폭력 시위는 정부의 제재와 학생들의 부정적 시각을 초래했다.[17] 대법원은 4기, 5기, 6기, 그리고 10기 한총련을 '이적단체'로 규정하며 활동을 위축시켰다.[17] 소련 붕괴와 북한 기근 발생으로 친북 성향 단체들에 대한 인기가 하락했고, 많은 활동가들이 북한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11]

2008년 3월, 한총련은 신임 의장 선거에서 후보자를 찾지 못해 의장 선출에 실패했다.[17][12] 한양대학교에서 열린 긴급 대의원대회에서 김현웅 전남대 총학생회장을 '16기 한총련 투쟁본부장'으로 추대했지만, 이는 조직 운영과 영향력의 급격한 쇠퇴를 보여주는 사건이었다.[12] 이후 한총련은 사실상 활동이 중단된 상태이다.

3. 조직 구성

2007년 기준으로 한총련의 대표자인 의장과 최고의결기구인 대의원대회, 상임의결기구인 중앙위원회, 상설의결기구인 중앙상임위원회를 두고 있다. 집행기구로는 중앙집행위원회와 그 산하에 중앙집행국, 중앙정책위원회, 중앙조직위원회, 연대사업위원회, 사무처 등으로 구성된다. 특별기구로는 학원자주화추진위원회와 조국통일위원회를 설치하여, 학내문제와 조선 통일 문제를 가장 주된 과제로 밝히고 있다.[15]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북한 주도의 통일 문제를 가장 주요한 목적으로 삼았던 주체사상파가 주도권을 쥐는 조직이었다.[15]

지역별로는, 서울(서총련), 강원(강총련), 경기인천(경인총련), 충청(충청총련), 광주전남(남총련), 전북(전북총련), 대구경북(대경총련), 부산경남(부경총련)으로, 지역별 총학생회 연합이 있으며, 각 지역의 총련별로, 지구를 둔다. 제주(제총협) 지구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지역 총련과 동격의 특별 지구로 했다.

1987년 8월 전남지역 대학생대표자협의회'를 계승해 출범한 남총련은 1993년에 전남.광주지역 22개 대학이 가입했으며 5공화국,6공화국 청산과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의 구속, 5.18 진상규명 및 미군 철수와 함께 북한의 핵사찰반대, 고려연방제 채택 등을 주장했다. 1993년 11월 2일과 3일 광주 미문화원과 안기부 목포출장소 기습시위를 주도하는 등 1993년에 검찰청과 경찰청, 미국 관련시설,정당 당사 등을 100여차례 기습 또는 항의 방문했으며 화염병과 쇠파이프, 돌 등을 동원한 시위로 중상자 36명을 포함한 경찰관 413명이 부상을 입고 경찰차량 10대를 파손시키기도 하여 정부당국으로부터 「과격폭력집단」으로 규정받고 있다. '자주.민주.통일의 실현' '반미 자주화 외세배격' '민중생존권 쟁취'를 3대 투쟁목표로 내걸고 있는 남총련 (의장 오창규)은 2백∼1천명 단위로 연인원 2만6천여명이 54 차례에 걸쳐 가두 시위를 벌인 한국대학 총학생회연합 산하 지역 단체 중에서 가장 격렬한 시위를 벌여 운동권내에서 대정부 투쟁의 선봉대였다. 남총련 소속 학생은 1000여명인데 시위 때마다 쇠파이프 등으로 무장, 진압 경찰관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극렬 선봉대원이 600여명에 이른다고 경찰은 밝혔다.[18]

3. 1. 중앙 조직

2007년 기준으로 한총련의 대표자인 의장과 최고의결기구인 대의원대회, 상임의결기구인 중앙위원회, 상설의결기구인 중앙상임위원회를 두고 있다. 집행기구로는 중앙집행위원회와 그 산하에 중앙집행국, 중앙정책위원회, 중앙조직위원회, 연대사업위원회, 사무처 등으로 구성된다. 특별기구로는 학원자주화추진위원회와 조국통일위원회를 설치하여, 학내문제와 조선 통일 문제를 가장 주된 과제로 밝히고 있다.[15]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북한 주도의 통일 문제를 가장 주요한 목적으로 삼았던 주체사상파가 주도권을 쥐는 조직이었다.[15]

1987년 8월 '전남지역 대학생대표자협의회'를 계승해 출범한 지역별 총학생회 연합에는 서울(서총련), 강원(강총련), 경기인천(경인총련), 충청(충청총련), 광주전남(남총련), 전북(전북총련), 대구경북(대경총련), 부산경남(부경총련)이 있으며 각 지역총련별로 지구를 둔다. 제주(제총협)지구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지역총련과 동격인 특별지구로 한다.

1993년에 전남.광주지역 22개 대학이 가입했으며 5공화국,6공화국 청산과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의 구속, 5.18 진상규명 및 미군 철수와 함께 북한의 핵사찰반대, 고려연방제 채택 등을 주장하는 남총련은 1993년 11월 2일과 3일 광주 미문화원과 안기부 목포출장소 기습시위를 주도하는 등 1993년에 검찰청과 경찰청, 미국 관련시설,정당 당사 등을 100여차례 기습 또는 항의 방문했으며 화염병과 쇠파이프, 돌 등을 동원한 시위로 중상자 36명을 포함한 경찰관 413명이 부상을 입고 경찰차량 10대를 파손시키기도 하여 정부당국으로부터 「과격폭력집단」으로 규정받고 있다. '자주.민주.통일의 실현' '반미 자주화 외세배격' '민중생존권 쟁취'를 3대 투쟁목표로 내걸고 있는 남총련 (의장 오창규)은 2백∼1천명 단위로 연인원 2만6천여명이 54 차례에 걸쳐 가두 시위를 벌인 한국대학 총학생회연합 산하 지역 단체 중에서 가장 격렬한 시위를 벌여 운동권내에서 대정부 투쟁의 선봉대였다. 남총련 소속 학생은 1000여명인데 시위 때마다 쇠파이프 등으로 무장, 진압 경찰관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극렬 선봉대원이 600여명에 이른다고 경찰은 밝혔다.[18]

3. 2. 지역 조직

2007년 기준으로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은 지역별 총학생회 연합을 두고 있었다. 서울(서총련), 강원(강총련), 경기인천(경인총련), 충청(충청총련), 광주전남(남총련), 전북(전북총련), 대구경북(대경총련), 부산경남(부경총련)이 있으며 각 지역총련별로 지구를 두었다.[18] 제주(제총협)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지역총련과 동격인 특별지구로 지정되었다.[18]

1993년 11월 남총련은 광주 미문화원과 안기부 목포출장소 기습시위를 주도하였고, 검찰청, 경찰청, 미국 관련시설, 정당 당사 등을 100여 차례 기습 또는 항의 방문했다.[18] 이들은 화염병, 쇠파이프, 돌 등을 동원한 시위를 벌여 경찰관 413명이 부상을 입고 경찰차량 10대가 파손되기도 하여 정부 당국으로부터 '과격폭력집단'으로 규정받았다.[18] 남총련은 '자주, 민주, 통일의 실현', '반미 자주화 외세배격', '민중생존권 쟁취'를 3대 투쟁목표로 내걸고, 운동권 내에서 대정부 투쟁의 선봉대 역할을 했다.[18]

4. 주요 활동

주한미군철수, 국가보안법철폐, 북미평화협정체결, 6·15 남북 공동선언 이행, 학원자주화 등을 주요 활동목표로 하였다.[13] 민주노동당, 민주노총, 전국농민회총연맹 등과 연대하고 있으며, 조국통일범민족청년학생연합(범청학련), 조국통일범민족연합 가맹단체이다.[13] 과거에는 범청학련 남측본부 의장을 한총련 의장이 겸임하기도 했다.[13]

1993년 5월 29일, 한총련은 제1기 출범식 행사의 일환으로 북한 및 해외 학생대표들과 국제전화를 통해 조국통일 범민족청년학생연합 결성 관련 회의를 개최했다.[19] 서울에서 한총련 의장 등 남측본부 의장단, 중국 북경에서 허창조 조선학생위원장 등 북측 본부 의장단, 일본 동경에서 김창오 재일한국청년동맹위원장 등 해외본부 의장단이 참여했다.[19] 이들은 국제전화를 통해 통일방안과 제3차 청년학생통일축전 등에 대해 논의하고, 한반도 평화정착, 8.15 범민족회담 성사, 6.12 남북청년학생 자매결연 예비회담 개최, 범청학련 연대강화를 위한 공동 결의문을 채택했다.[19]

1993년 6월, 대검 공안부는 한총련이 주도한 대규모 옥외집회에서 불법 폭력시위가 발생했다는 이유로, 앞으로 한총련 주관 옥외집회를 일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20]

2019년 7월, 한국대학생진보연합 서울 운영위원장은 우파 단체의 백색 테러를 조작하여 한국 우파에 대한 비판 여론을 선동하기 위해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에게 협박 편지와 물품을 보낸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한국대학생진보연합이 반일 운동에 적극적이라고 선언하며, 후지 TV 한국 지사 사무실 기습 불법 시위 등을 벌인 직후 발생했다.[13][14]

4. 1. 주요 목표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은 주한미군철수, 국가보안법철폐, 북미평화협정체결, 6·15 남북 공동선언 이행, 학원자주화 등을 주요 활동목표로 하고 있다.[19][13] 민주노동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농민회총연맹 등과 연대하고 있으며, 조국통일범민족청년학생연합(범청학련), 조국통일범민족연합 가맹단체이다.[13][19] 과거에는 범청학련 남측본부 의장을 한총련 의장이 겸임하기도 했다.[19][13]

4. 2. 활동 사례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은 주한미군철수, 국가보안법철폐, 북미평화협정체결, 6·15 남북 공동선언 이행, 학원자주화 등을 주요 활동목표로 하였다.[13] 민주노동당, 민주노총, 전국농민회총연맹 등과 연대하고 있으며, 조국통일범민족청년학생연합(범청학련), 조국통일범민족연합 가맹단체이다.[13] 과거에는 범청학련 남측본부 의장을 한총련 의장이 겸임하기도 했다.[13]

1993년 5월 29일, 한총련은 제1기 출범식 행사의 일환으로 북한 및 해외 학생대표들과 국제전화를 통해 조국통일 범민족청년학생연합 결성 관련 회의를 개최했다.[19] 서울에서 한총련 의장 등 남측본부 의장단, 중국 북경에서 허창조 조선학생위원장 등 북측 본부 의장단, 일본 동경에서 김창오 재일한국청년동맹위원장 등 해외본부 의장단이 참여했다.[19] 이들은 국제전화를 통해 통일방안과 제3차 청년학생통일축전 등에 대해 논의하고, 한반도 평화정착, 8.15 범민족회담 성사, 6.12 남북청년학생 자매결연 예비회담 개최, 범청학련 연대강화를 위한 공동 결의문을 채택했다.[19]

1993년 6월, 대검 공안부는 한총련이 주도한 대규모 옥외집회에서 불법 폭력시위가 발생했다는 이유로, 앞으로 한총련 주관 옥외집회를 일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20]

2019년 7월, 한국대학생진보연합 서울 운영위원장은 우파 단체의 백색 테러를 조작하여 한국 우파에 대한 비판 여론을 선동하기 위해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에게 협박 편지와 물품을 보낸 혐의로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한국대학생진보연합이 반일 운동에 적극적이라고 선언하며, 후지 TV 한국 지사 사무실 기습 불법 시위 등을 벌인 직후 발생했다.[13][14]

5. 논란 및 사건사고

1999년, 한총련은 친북 활동 혐의로 인해 국가보안법에 따라 범죄 단체로 규정되었다. 북한에 본부를 둔 범청학련은 한총련을 남측 본부로 간주한다.

1998년, 대한민국 대법원은 한총련을 국가보안법에 따라 공식적으로 "반국가단체"로 지정했다. 이러한 지정은 2004년 10기 한총련에 대해서도 재확인되었으며, 법원은 정관 및 규정의 일부 변경에도 불구하고, 이념과 목표에 근본적인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8]

한총련의 범죄화는 국가보안법 위반 사례의 급증을 초래했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 594명이 구금되었고, 560명이 조직 관련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었다.[9]

2005년, 유엔 인권위원회는 단순히 한총련 회원이라는 이유로 대표들을 처벌하는 것은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특히 결사의 자유에 관한 제22조와 사상 및 양심의 자유에 관한 제18조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판결했다.[10]

2000년, 대법원은 6기 한총련이 적화통일 노선에 따른 폭력 혁명 노선을 채택했다며, 그 활동을 칭찬·고무·선전·동조하는 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를 국가보안법 제7조가 규정하는 이적 단체로 규정했다. 이후 2004년 대법원은 10기 한총련이 강령 및 규약을 개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상과 투쟁성에 있어 그 전신인 전대협과 근본적인 변화가 있다고 볼 수 없으며, 그 지향하는 노선이 반국가단체인 북한과 궤를 같이하며, 북한의 활동을 칭찬·고무·선전하거나, 적어도 이에 동조하는 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이적 단체라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 앞서 언급된 조작 테러를 일으킨 남성은 흡수 소멸된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의 마지막 의장이었으며, 2007년 한총련 의장 취임 직전에 "북한의 핵은 우리 민족에게 전쟁의 억제력이 되고, 이 전쟁 억제력으로 한반도의 평화가 지속되어, 우리는 걱정 없이 생활할 수 있다", "(북한의 인권 문제는) 북한에 사는 사람들이 느껴야 (문제)가 되는 것이며, 밖에서 말해야 할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북한의 핵과 세계 최악의 인권 침해 국가를 옹호했다. 대진연으로서, 2018년 11월 김정은의 서울 방문 환영 행사를 주도하며, 한국인에게 받아들여지기 쉬운 반일 언행을 하면서 북한 옹호·한국 우파 비판 여론 선동 환기를 위한 활동을 하는 친북 단체라고 지적받고 있다.

5. 1. 이적성 논란

1998년 대법원은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이하 한총련) 5기 의장 강위원에 대한 상고심을 기각함으로써 한총련을 이적단체로 확정하였다.[23] 2000년 대법원은 6기 한총련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남적화통일노선에 부합하는 폭력혁명노선을 채택하여 국가보안법 제7조가 정하는 대한민국의 이적 단체로 규정하였다.[24] 2004년 대법원은 10기 한총련 또한 강령 및 규약의 일부 변경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한총련과 근본적인 변화가 없다고 보아, 그 지향하는 노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일노선과 궤를 같이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활동을 찬양·고무·선전하거나 적어도 이에 동조하는 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이적단체라고 재차 판결하였다.[25]

1998년 대법원의 이적단체 규정 이후, 한총련 소속 대학 학생대표들은 선출되는 순간 수배자가 되어 길게는 7년까지 수배생활을 하기도 했다.[26] 1997년부터 2001년까지 594명이 구금되었고, 560명이 조직 관련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었다.[9] 1997년 제5기 한총련 관련 사법처리 대상자 388명 중 206명이 구속되었고, 1998년 제6기에는 301명 중 145명, 1999년 1월부터 8월까지 제7기에는 291명 중 97명이 구속되었다.[29] 그러나 한총련 대의원 구속자 중 실형선고를 받은 이는 2000년 1명, 2001년 3명에 불과했다.[26]

유엔 인권이사회는 2005년 7월 제84차 위원회에서 "한총련에 가입했다는 이유만으로 한총련 대의원을 처벌하는 것은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2조가 정한 '결사의 자유권' 침해에 해당한다"고 결정했다.[28][10] 이는 규약 제18조의 '사상과 양심의 자유에 관한 권리'에도 위배된다고 보았다. 인권이사회는 대한민국 정부에 국가보안법 제7조(찬양·고무) 개정, 피해자 보상, 재발 방지 노력 등을 권고했다.[28]

노무현 정부 출범을 전후하여 한총련 합법화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은 대의원 등에 대한 사면, 복권 논의가 이루어졌다.

5. 2. 1996년 연세대학교 사태

1996년,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이하 한총련)은 광복절을 기념하여 북한에서 열린 민족통일대축전에 2명의 학생을 남측 대표로 참가시켰다. 한총련 지도부는 두 학생이 판문점을 통해 돌아오는 시점에 맞춰 판문점으로 행진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집회를 열기로 기획하였다. 전국 각지의 한총련 소속 학생들이 서울로 모였으나, 김영삼 정부는 공권력을 동원해서라도 집회를 원천 봉쇄하려 하였다.[21]

당시 연세대에는 2만 명 정도의 학생이 모였고, 정부는 서울·경기 지역의 전경을 동원해 연세대를 포위했다. 이때 연세대에 진입하지 못한 학생들은 한양대학교, 홍익대학교, 동국대학교 등을 거점으로 삼아, 연세대에 포위된 학생들을 구출하기 위해 사수대를 만들어 신촌 등 연세대 주변지역에서 전경과 산발적인 싸움을 벌였다.[21]

이후 경찰은 백골단을 투입해 연세대 인근에서 산발적으로 돌격하던 사수대를 제압해 학생들을 연행했다. 이어 전기, 수도, 식량 등을 차단했다. 연세대에 갇힌 2만 여명의 학생은 5일 동안 농성을 하며 버텼다. 학생들은 이과대학 입구와 생활관 각 층마다 책상으로 바리케이드를 쌓고 농성을 했지만, 정부는 헬리콥터를 동원해 학생들이 머문 층의 창문으로 최루탄을 살포해 제압했다.[22]

집회와 농성을 벌이던 학생들은 연행됐고, 연세대 교내 시설은 크게 파손됐다. 이 같은 학교 분위기로 인해 연세대와 고려대학교가 해마다 치루던 정기전은 연세대가 고려대에 양해를 구해 열리지 않았다. 연세대학교 사태는 그해 열린 총학생회장 선거에서 비운동권 후보가 당선되고 사람사랑 학생회가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6년 8월, 연세대에서 열린 한총련 시위에서 학생들은 통일 및 남북 관계에 대한 북한의 정책을 지지했다. 북한이 이 시위를 자국 선전의 일부로 활용하기 시작하자, 김영삼 정부는 시위를 강제 해산했다.[6] 그 결과, 경찰 1명이 사망하고 양측에서 수백 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경찰은 마침내 대학 건물에 진입하여 시위대 3,500명을 연행했다. 대부분은 다음 날 경찰서에서 풀려났지만, 280명은 국가보안법 및 기타 법률 위반 혐의로 정식 체포 및 기소되었다.[6] 김영삼 대통령은 대학에서 친북 급진 세력을 뿌리 뽑겠다고 다짐하고, 이를 위한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300명의 대학 행정가들과 회의를 열었다.[6] 이 조치는 논란을 낳았으며, 일부에서는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에 비유하기도 했다.[7]

5. 3. 한양대학교 프락치 오인 치사 사건

1997년 6월 한양대학교에서 발생한 이석 치사 사건은 선반기능공 이석이 동료 학생 길소연, 권순욱, 이호준, 정용욱 등에 의해 구타당한 사건이다.[30] 폭행치사 혐의로 길소연, 권순욱, 이호준, 정용욱 등이 구속되었다. 길소연과 권순욱은 각각 징역 7년, 이호준은 5년, 정용욱은 3년을 선고받았다.[30] 이 중 길소연과 이호준은 1999년 2월 특별사면되어 가석방되었다.[31]

5. 4. 기타 사건사고

6. 평가

6. 1. 긍정적 평가

6. 2. 부정적 평가

2000년 대법원은 6기 한총련이 적화통일 노선에 따른 폭력 혁명 노선을 채택했다며, 그 활동을 칭찬·고무·선전·동조하는 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를 국가보안법 제7조가 규정하는 이적 단체로 규정했다. 2004년 대법원은 10기 한총련이 강령 및 규약을 개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상과 투쟁성에 있어 그 전신인 전대협과 근본적인 변화가 있다고 볼 수 없으며, 그 지향하는 노선이 반국가단체인 북한과 궤를 같이하며, 북한의 활동을 칭찬·고무·선전하거나, 적어도 이에 동조하는 행위를 목적으로 하는 이적 단체라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

과거 한총련 의장 취임 직전, "북한의 핵은 우리 민족에게 전쟁의 억제력이 되고, 이 전쟁 억제력으로 한반도의 평화가 지속되어, 우리는 걱정 없이 생활할 수 있다", "(북한의 인권 문제는) 북한에 사는 사람들이 느껴야 (문제)가 되는 것이며, 밖에서 말해야 할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북한의 핵과 세계 최악의 인권 침해 국가를 옹호한 사례가 존재한다.

참조

[1] 논문 PERCEPTIONS OF NORTH KOREA AND POLARIZATION OF ROK SOCIETY https://www.jstor.or[...] 2003
[2] 서적 Summary of World Broadcasts: Asia, Pacific https://books.googl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997
[3] 웹사이트 Hanchongryun leader allowed to visit North http://koreajoongang[...]
[4] 웹사이트 한총련 "북한 환청자대" 국제전화연결 https://news.naver.c[...] 1993-05-29
[5] 웹사이트 한총련 "북한 환청자대" 국제전화연결 https://news.naver.c[...] 1993-05-29
[6] 논문 South Korea in 1996: Internal Strains and External Challenges https://www.jstor.or[...] 1997
[7] 논문 Mixed Signals on Korean Security https://www.jstor.or[...] 1997
[8] 웹사이트 대법원 2004. 8. 30. 선고 2004도3212 판결 http://glaw.scourt.g[...]
[9] 웹사이트 한총련 대의원 구속 5년간 594명, 560명 재판 http://www.hani.co.k[...]
[10] 웹사이트 남총련, 대정부 투쟁 선봉대 https://news.naver.c[...] 1993-11-07
[11] 웹사이트 Moon's chief of staff takes center stage in inter-Korean detente https://www.reuters.[...] 2018-02-15
[12] 웹사이트 한총련 출범 16년 만에 '의장 선거' 첫 무산 https://news.naver.c[...] 2008-03-29
[13] 웹사이트 右派の白色テロ? 捕まえてみると親北朝鮮団体 http://www.chosunonl[...] 2019-07-30
[14] 웹사이트 宅配テロで逮捕されたのに…「反日運動の弾圧」と抗議する韓国大学生進歩連合 http://www.chosunonl[...] 2019-07-31
[15] 웹사이트 【萬物相】「民主」「人権」は韓国の学生運動出身者にとって何番目に大事な価値なのか(朝鮮日報日本語版) https://news.yahoo.c[...] 2020-06-21
[16] 웹사이트 http://www.hani.co.k[...]
[17] 웹사이트 한총련 출범 16년 만에 '의장 선거' 첫 무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3-29
[18]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19]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20]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21] 뉴스 “연세대에 경찰 투입, 강제 해산(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8-14
[22] 뉴스 “시위대 2천5백여명 연행,한총련사태 마무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8-14
[23] 뉴스 국민일보 1997-09-26
[24] 웹사이트 대법원 1999. 12. 28. 선고 99도4027 판결 【국가보안법위반(잠입, 탈출·찬양, 고무등·회합, 통신등)】 http://glaw.scourt.g[...] 1999-12-28
[25] 웹사이트 대법원 2004. 8. 30. 선고 2004도3212 판결 【국가보안법위반(찬양·고무등)·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야간집단·흉기등상해)·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야간·공동주거침입)·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위반·일반교통방해·특수강도·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집단·흉기등주거침입)·병역법위반】 http://glaw.scourt.g[...] 2004-08-30
[26] 뉴스 한겨레신문 2003-03-05
[27] 뉴스 한겨레신문 2003-03-20
[28] 뉴스 한겨레신문 2005-09-03
[2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04-26
[30] 웹사이트 http://dna.naver.com[...]
[31] 웹사이트 http://www.newsch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