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산업은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산업은행은 1954년 설립된 대한민국 산업 자본 공급 및 관리를 통해 국가 경제 발전을 지원하는 국책 은행이다. 주요 사업으로 기업 금융, 투자 금융, 국제 금융, 컨설팅 등을 제공하며, 자회사로 KDB캐피탈, KDB인프라, KDB투자를 두고 있다. 국내외 지점 및 금융 제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역대 산업은행장 및 재무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DB산업은행 - KDB금융그룹
    KDB금융그룹은 KDB산업은행 등을 자회사로 두고 그룹 경영 전략 수립 및 대한민국 정책금융 기능 강화에 기여하는 금융 지주 회사이다.
  • KDB산업은행 - 대우건설
    대우건설은 1973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건설 회사로, 해외 건설 시장 진출과 워크아웃, 인수 합병을 거쳐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국책은행 -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은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과 국제 경제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76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특수은행으로, 수출금융, 해외투자 및 자원개발 금융, 공적개발원조, 남북 경제협력 지원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 국책은행 - 일본국제협력은행
    일본국제협력은행(JBIC)은 일본의 대외 경제 및 에너지 안보 정책을 지원하는 정책 금융 기관으로, 일본과 국제 경제 사회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며 전략적 자원 개발, 해외 사업 개발, 국제 금융 질서 안정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공공기관 (금융위원회 소관) - 예금보험공사
    예금보험공사는 대한민국 정부 기관으로, 금융기관의 파산 시 예금 지급을 보장하며 예금자 보호와 금융제도 안정 유지, 기금 관리·운용, 부실 감시·정리, 공적자금 회수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1인당 5천만 원까지 원리금을 보호한다.
  • 공공기관 (금융위원회 소관) -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는 보금자리론, 주택연금, 주택보증, 유동화증권 발행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2004년 3월에 창립되었다.
한국산업은행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한국산업은행
로마자 표기Hanguk Saneop Eunhaeng
영어 이름Korea Development Bank
설립일1954년
유형국영 기업
산업은행업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14 (여의도동)
국내 지점 수69개
해외 지점 수22개
서비스기업 금융
투자 금융
직원 수약 3,200명 (2018년 12월 기준)
소유주대한민국 정부 (100%)
신용 등급Moody's: Aa2 (2018년)
S&P: AA (2018년)
Fitch: AA− (2018년)
공식 웹사이트한국산업은행 공식 웹사이트
재무 정보 (2018년)
수익US$32억
순이익US$6억
총 자산US$2339억
조직 구조
회장강석훈
자회사KDB캐피탈
KDB생명보험
KDB인프라자산운용
KDB인베스트먼트
추가 정보
도쿄 지점 대표이정권
도쿄 지점 위치東京都 千代田区 丸の内1-9-1 グラントウキョウノースタワー 36F
도쿄 지점 우편번호〒100-6736
도쿄 지점 전화번호+81 3 6212 6600
도쿄 지점 SWIFT 코드KODBJPJT
도쿄 지점 법인 번호5700150000402
도쿄 지점 외부 링크KDB Bank Tokyo Branch
기타
한국산업은행 로고

2. 연혁


  • 1954년 4월 1일 - 한국산업은행법에 의해 설립.[3]
  • 1950년대 -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산업 시설 복구를 지원. 전력, 석탄, 시멘트 등 기간산업 지원. 1955년 말 기준, 한국 전체 은행 대출의 40% 이상 차지.[3]
  • 1960년대 - 경제 개발 계획 지원 및 증권 인수, 기업 채권 보증 등 금융 사업 다각화.
  • 1967년 - 외환은행 업무 개시.[6]
  • 1970년대 - 에너지, 화학 및 수출 지향 산업 등 중화학공업 자금 지원. 1979년 국내 전체 설비 투자 대출의 49.6% 차지.
  • 1980년대 - 자동차 및 전자 산업 집중 지원, 해외 산업금융채권(IFB) 발행을 통한 장기 설비 금융 제공.
  • 1989년 - 신탁업무 개시.[6]
  • 1990년대 - 반도체 등 기술 집약 산업 지원,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 2001년 - 본점을 영등포구 여의도동으로 이전.[6]
  • 2003년 - 방카슈랑스 업무 개시.[6]
  • 2000년대 - 기업 금융, 투자 금융, 국제 금융, 기업 구조조정/컨설팅 등 4대 핵심 사업을 갖춘 유니버설 뱅킹 서비스 완성, 전국적인 인프라 프로젝트 지원 및 기업 구조조정 주도.
  • 2009년 - 이명박 정부의 민영화 계획 추진에 따라 산은금융지주와 한국정책금융공사로 분리.[6]
  • 2010년대 - 대기업 지원에서 중소기업 지원으로 초점 전환, 투자 펀드 확대를 통한 4차 산업혁명 발전 지원, 정부 지원을 통한 대기업 구조조정 참여.
  • 2010년 12월 - 대우건설 인수.[6]
  • 2012년 1월 31일 - 기획재정부 장관이 기타 공공기관 지정 해제.[6]
  • 2015년 - 박근혜 정부의 민영화 계획 철회에 따라 산은금융지주와 한국정책금융공사를 흡수합병.[6]
  • 2016년 - KDB대우증권(현 미래에셋증권)과 KDB자산운용(현 멀티에셋자산운용)을 미래에셋금융그룹에 매각.[6]
  • 2019년 - KDB인베스트먼트 설립.[6]

3. 주요 사업

KDB은 기업금융, 투자금융, 국제금융, 간접금융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1]

3. 1. 기업금융

KDB는 한국의 기업 및 은행에 기업금융, 투자금융, 국제금융, 간접금융과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3. 2. 투자금융

한국산업은행은 기업금융, 투자금융, 국제금융, 간접금융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1]

3. 3. 국제금융

KDB는 한국의 기업 및 은행에 국제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1]

4. 자회사


  • KDB캐피탈 - 리스 회사로 설립되어 기업 금융 및 벤처캐피털/사모펀드 투자로 사업을 다각화했다.
  • KDB 인프라 - 한국의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투자자다.
  • KDB투자 - KDB 은행의 자산을 위한 기업 구조조정 사모펀드다.

5. 영업점

1954년 자본금 4천만 원으로 설립되었다. 2008년 현재 국내 지점 40개, 해외 지점 7개, 해외 자회사 5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직원 약 2100명을 고용하고 있다.

5. 1. 국내 지점 (2023년 12월 말 기준)

구분개점
지점 및 출장소60개

[1]

5. 2. 국외 지점 (2017년 6월 말 기준)

구분국가소재지
지점미국뉴욕
지점영국런던
지점싱가포르싱가포르
지점일본도쿄
지점중국광저우, 베이징, 상하이, 선양, 칭다오
현지법인브라질상파울루
현지법인아일랜드더블린
현지법인우즈베키스탄타슈켄트
현지법인헝가리부다페스트
현지법인중국홍콩
사무소필리핀마닐라
사무소러시아모스크바
사무소태국방콕
사무소호주시드니
사무소아랍에미리트아부다비
사무소미얀마양곤
사무소독일프랑크푸르트
사무소베트남호치민


6. 금융 제휴

현재 하나은행우체국[7] ATM에서 수수료가 면제된다. 2001년부터 2021년까지는 우리은행(한빛은행 포함)과 제휴했으며, 2021년을 마지막으로 우리은행과의 제휴가 만료된 후에는 2022년 3월 29일부터 하나은행과 제휴하고 있다.

현대카드(체크 연회비 2000KRW 부과), 삼성카드(신용 연회비 5000KRW 부과)와 연결할 수 있으며, 비씨카드 전산 기반의 자체 국내전용 체크카드도 발행하고 있다. 롯데카드 제휴 체크카드도 있었으나 단종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Bic code를 가진 금융기관 중 공상은행과 함께 해외결제가 불가능하다.

7. 역대 산업은행장

역대 산업은행장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구용서1954년 ~ 1958년
김영찬1958년 ~ 1960년
김영휘1960년, 1968년 ~ 1971년
서병수1960년 ~ 1961년
이필석1961년
나익진1961년 ~ 1962년
김세련1962년
서진수1962년 ~ 1963년
박동규1963년
홍승희1963년 ~ 1964년
이정환1964년 ~ 1968년
김민호1971년 ~ 1972년
김원기1972년 ~ 1978년
김준성1978년 ~ 1980년
하영기1980년 ~ 1982년
최창락1982년 ~ 1983년
정춘택1983년 ~ 1985년
김흥기1985년 ~ 1988년
정영의1988년 ~ 1990년
이동호1990년
이형구1990년 ~ 1994년
김시형1994년 ~ 1997년
김영태1997년 ~ 1998년
이근영1998년 ~ 2000년
엄낙용2000년 ~ 2001년
정건용2001년 ~ 2003년
유지창2003년 ~ 2005년
김창록2005년 ~ 2008년
민유성2008년 ~ 2011년
강만수2011년 ~ 2013년
홍기택2013년 ~ 2016년
이동걸2017년 ~ 2022년
강석훈2022년 ~ 현재


7. 1. 한국산업은행 총재

이름재임 기간
구용서1954년 ~ 1958년
김영찬1958년 ~ 1960년
김영휘1960년, 1968년 ~ 1971년
서병수1960년 ~ 1961년
이필석1961년
나익진1961년 ~ 1962년
김세련1962년
서진수1962년 ~ 1963년
박동규1963년
홍승희1963년 ~ 1964년
이정환1964년 ~ 1968년
김민호1971년 ~ 1972년
김원기1972년 ~ 1978년
김준성1978년 ~ 1980년
하영기1980년 ~ 1982년
최창락1982년 ~ 1983년
정춘택1983년 ~ 1985년
김흥기1985년 ~ 1988년
정영의1988년 ~ 1990년
이동호1990년
이형구1990년 ~ 1994년
김시형1994년 ~ 1997년
김영태1997년 ~ 1998년
이근영1998년 ~ 2000년
엄낙용2000년 ~ 2001년
정건용2001년 ~ 2003년
유지창2003년 ~ 2005년
김창록2005년 ~ 2008년


7. 2. KDB금융그룹 회장 겸 KDB산업은행장


  • 민유성 (2008 ~ 2011)
  • 강만수 (2011 ~ 2013)
  • 홍기택 (2013 ~ 2016)

7. 3. KDB산업은행 회장

이름재임 기간
이동걸2017년 ~ 2022년
강석훈2022년 ~ 현재


8. 재무 데이터

'''재무 데이터 (단위: 백만 US$)'''
연도20232024
총자산2339.4억달러2475.62억달러
총 부채2031.29억달러2160.59억달러
주주지분308.11억달러315.03억달러
영업수익32.41억달러36.87억달러
순이자이익18.72억달러21.15억달러
비이자이익13.69억달러15.72억달러
대손충당금-33500만달러12.87억달러
영업이익20.38억달러7.2억달러
영업외이익-97800만달러7.3억달러
순이익6.35억달러5.29억달러


참조

[1] 논문 The Role of Development Banks in the Economic Development Policy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ideas.repec.[...] 2019
[2] 뉴스 Gov't mulls a capital increase of over $1BN for KDB https://pulsenews.co[...] Pulse News 2024-05-02
[3] 논문 The Politics of Financial Control and Reform in Korea https://jps.scholast[...] 1991
[4] 웹사이트 Location - KDB Bank Tokyo Branch https://www.kdb.co.k[...]
[5] 웹사이트 CEO Message - KDB Bank Tokyo Branch https://www.kdb.co.k[...]
[6] 웹사이트 2012년도 공공기관 지정 http://www.mosf.go.k[...] 2012-01-31
[7] 문서 모바일 현금카드는 NFC가 내장된 안드로이드 기기만 가능하며 편의점 CD기는 불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