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주택금융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주택금융공사는 보금자리론, 적격 대출, 주택보증, 주택연금 공급, 유동화증권 발행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u-보금자리론은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상품이며, 특례보금자리론은 2023년 1월부터 한시적으로 운영되었다.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 주택 소유자가 주택을 담보로 노후 생활 자금을 연금 방식으로 지급받는 국가 보증 금융 상품이며, 만 50세 이상 하우스푸어를 위한 가입 연령 완화 상품도 있다. 또한, 주택저당채권을 기초로 발행하는 MBS(주택저당증권)와 MBB(주택저당채권담보부채권)를 발행한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2004년 3월에 창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금융위원회 소관) - 예금보험공사
    예금보험공사는 대한민국 정부 기관으로, 금융기관의 파산 시 예금 지급을 보장하며 예금자 보호와 금융제도 안정 유지, 기금 관리·운용, 부실 감시·정리, 공적자금 회수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1인당 5천만 원까지 원리금을 보호한다.
  • 공공기관 (금융위원회 소관) - 한국산업은행
    한국산업은행(KDB)은 195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정책금융기관으로, 국가 경제 재건, 중화학공업 육성, 기업 구조조정 등 한국 경제 발전의 주요 국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중소·중견기업 지원과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 부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투자상품 거래 시장으로, 주식, 채권, ETF, 파생상품 등의 매매를 지원하며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을 운영하고 부산광역시에 본사를 둔다.
  • 부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 대한민국의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 예금보험공사
    예금보험공사는 대한민국 정부 기관으로, 금융기관의 파산 시 예금 지급을 보장하며 예금자 보호와 금융제도 안정 유지, 기금 관리·운용, 부실 감시·정리, 공적자금 회수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1인당 5천만 원까지 원리금을 보호한다.
  • 대한민국의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은 1987년 국민연금법에 의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국민의 노후, 사망, 장애에 대비한 연금 지급과 복지 사업을 통해 국민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며, 세계 3대 연기금으로 성장하여 기금 운용, 노후 설계 서비스 제공, 장애 심사 등을 수행한다.
한국주택금융공사
기본 정보
한국주택금융공사 로고
한국주택금융공사 로고
정식 명칭한국주택금융공사
영문 명칭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한자 명칭韓國住宅金融公社
설립일2004년 3월 1일
전신주택저당채권유동화회사, 주택신용보증기금
국가대한민국
본사 소재지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 (문현동)
대표자최준우
주무 기관금융위원회
기업 분류기타공공기관
상장 여부비상장
직원 수748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웹사이트한국주택금융공사
연혁
2003년주택금융공사법 제정
2004년한국주택금융공사 창립
2005년주택저당증권(MBS) 발행 개시, 주택보증업무 개시
2006년정책모기지(보금자리론) 출시
2007년서민형 주택담보대출 금리우대 상품 출시
2009년주택연금 출시
2014년장기 고정금리·분할상환 주택담보대출(정책모기지) 출시
2015년안심전환대출 출시
2017년One-Stop 주택보증 서비스 시행
주택금융 통합플랫폼 오픈
2018년신혼부부 주택자금 지원을 위한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고령자 주택연금 가입 확대
2019년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출시
주택금융 이용자 보호 강화
2020년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한 금융 지원 확대
2021년ESG 경영 도입
2022년정책 모기지 금리 인상 및 지원 대상 축소
주택연금 가입 연령 완화 (만 55세)
주요 사업
주택보증주택 구입, 전세 자금 등 주택 관련 대출 보증
주택저당증권(MBS) 발행금융기관의 주택담보대출채권을 기초로 발행하는 증권
주택연금고령층의 안정적인 노후 생활 지원을 위한 연금 상품
정책모기지서민의 주택 구입 지원을 위한 장기·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등)
금리 인상 시기에는 한시적으로 금리를 낮춘 특례론 출시
채무보증주택 사업 관련 채무 보증
논란
정책 모기지 금리 인상 논란금리 인상 시기에 정책 모기지 금리 인상으로 서민 부담 가중
지원 대상 축소 논란부동산 가격 상승 및 가계 부채 증가로 인해 정책 모기지 지원 대상 축소
소득 기준, 주택 가격 기준 등 강화

2. 주요 사업

한국주택금융공사는 보금자리론과 적격대출 공급, 주택보증 공급, 주택연금 공급, 유동화증권(MBS, MBB) 발행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2. 1. 보금자리론

보금자리론은 장기간 고정 금리가 적용되는 주택담보대출 상품으로, 무주택 서민의 내 집 마련을 지원한다. u-보금자리론은 인터넷으로 신청이 가능하며, 대출 실행일부터 만기일까지 고정금리가 적용된다.

2. 1. 1. 일반 보금자리론

u-보금자리론은 창구 방문 없이 언제 어디서나(ubiquitous) 인터넷으로 신청할 수 있는 한국 유일의 주택담보대출이며, 대출 실행일부터 만기일까지 고정금리가 적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2. 1. 2. 특례보금자리론

특례보금자리론은 기존의 보금자리론에 일반형 안심전환대출, 적격대출을 통합한 상품으로, 2023년 1월 30일부터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될 예정이었다. 신청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나 스마트주택 금융앱을 통해 할 수 있다.

2. 2. 주택연금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의 주택 소유자나 배우자가 소유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평생 또는 일정 기간 동안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자금을 지급받는 국가 보증 금융 상품이다. 이를 위해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연금 가입자를 위해 은행에 보증서를 발급하고, 은행은 이 보증서에 따라 가입자에게 주택연금을 지급한다.

2. 2. 1. 일반 주택연금

만 55세 이상의 주택소유자 또는 배우자가 소유 주택(가입 시점 시가 900만 이하)을 담보로 맡기고 평생 혹은 일정한 기간 동안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자금을 지급받는 국가 보증의 금융 상품(역모기지론)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연금 가입자를 위해 은행에 보증서를 발급하고 은행은 공사의 보증서에 의해 가입자에게 주택 연금을 지급한다.

2. 2. 2. 사전가입 주택연금

2013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었던 상품으로, 만 50세 이상의 은퇴자와 하우스푸어의 부채 상환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주택연금 가입 연령을 낮추고 인출 한도를 확대하여 국가가 보증하는 역모기지 상품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2. 3. 유동화증권 발행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주택저당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주택저당증권(MBS)과 커버드본드(MBB)를 발행하여 장기 주택 자금 조달 시장을 활성화한다.

2. 3. 1. MBS (Mortgage-Backed Securities, 주택저당증권)

금융회사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주택에 대한 근저당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금융회사가 그 주택을 담보로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는 권리인 주택저당채권을 보유하게 되는데, 이 주택저당채권을 기초로 하여 발행하는 증권을 MBS(Mortgage-Backed Securities, 주택저당증권)라고 한다.

2. 3. 2. MBB (Mortgage-Backed Bond, 주택저당채권담보부채권)

MBB는 유럽에서 많이 발행되고 있는 커버드본드(Covered Bond)와 유사하다. MBS는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자기신탁을 설정하여 발행하는 수익증권인 반면, MBB는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신탁설정 없이 직접 발행하는 채권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 연혁


  • 2004년 3월: 한국주택금융공사 창립

4. 조직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감사와 사장 아래 여러 부서와 본부로 구성된다. 감사는 감사실을, 사장은 인사부, 리스크관리부, 주택금융연구원, HF미래인재원, 홍보실을 담당한다. 부사장 아래 경영기획본부, 유동화사업본부, 기금사업본부, 사업인프라본부가 있다.

4. 1. 감사

감사실

4. 2. 한국주택금융공사장

한국주택금융공사에는 부사장 직책이 있으며, 그 아래에 인사부, 리스크관리부, 주택금융연구원, HF미래인재원, 홍보실이 있다.

4. 2. 1. 경영기획본부

부서명
기획조정실
재무회계부
경영혁신부
준법경영부
정보보호부


4. 2. 2. 유동화사업본부

부서명
정책모기지부
유동화증권부
국제금융부
유동화자산부
신탁자산부


4. 2. 3. 기금사업본부

부서명
주택보증부
기업보증부
주택연금부
채권관리부


4. 2. 4. 사업인프라본부

부서명
디지털전략부
ICT운영부
ICT인프라부
경영지원부
고객만족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