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산후조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산후조리는 출산 후 산모의 건강 회복을 돕는 전통적인 문화로, 가족 구성원 또는 산후조리원과 산후도우미 등 전문 기관을 통해 제공된다. 과거에는 친정이나 시댁 식구들이 산모를 돌보며 음식 조리, 신생아 돌보기 등을 지원했고, 현대에는 산후조리원이 등장하여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산후조리 방법으로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영양가 있는 음식을 섭취하며,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미역국과 같은 특정 음식을 섭취하고,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권장된다. 산후조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산후풍과 같은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의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보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보건은 열악한 의료 환경, 식량 부족, 위생 문제, 감염병, HIV/AIDS 등으로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무상 의료를 원칙으로 하지만 경제난으로 의료 서비스 질이 낮고 기대 수명 또한 낮으며, 특히 식량난으로 인한 영양실조, 위생 시설 부족으로 인한 수인성 질병, 높은 결핵 유병률, 낮은 백신 접종률, 전통 한의학에 대한 높은 의존도 등이 주요 특징이다. - 여성 문화 - 라이엇 걸
라이엇 걸은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시작된 펑크 록 기반의 페미니즘 운동으로, 음악, 잡지, 예술 활동을 통해 여성의 목소리를 높이고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으나, 주류 미디어의 왜곡과 기업의 이용에 대한 우려 속에서 쇠퇴기를 맞았지만 페미니즘 운동과 음악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조명되고 있다. - 여성 문화 - 처녀 파티
처녀 파티는 결혼을 앞둔 신부를 축하하기 위해 신부 측 여성들이 모여 식사, 게임, 술, 춤 등을 즐기는 파티이다. - 검역 - 코로나19 봉쇄
코로나19 봉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이동 및 사회적 활동 제한 조치로, 사망률 감소 효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사회적 부작용과 정부 대응의 중요성, 그리고 국가별 상이한 영향에 대한 논쟁과 비판이 존재한다. - 검역 - 사회적 거리두기
사회적 거리두기는 감염병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사람들 간 접촉을 줄이는 방법으로, 물리적 거리 유지, 모임 최소화, 장소 회피 등의 행동 변화를 포함하며, 경제적 비용과 심리적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지만, 역사적으로 감염병 유행 시 시행되었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적용되었다.
한국의 산후조리 | |
---|---|
한국의 산후조리 | |
정의 | 산후조리(産後調理)는 출산 후 여성의 몸이 임신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는 기간 동안의 건강 관리 및 회복을 돕는 한국의 전통적인 관습이다. |
목적 | 산모의 신체적, 정신적 회복을 돕고, 신생아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역사 | |
기원 | 한국의 산후조리 문화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삼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전통적 방식 | 과거에는 주로 집에서 가족, 특히 친정 어머니나 시어머니의 도움을 받아 산후조리를 했다. |
현대적 변화 | 현대에는 산후조리원과 같은 전문 시설이 등장하면서 산후조리의 방식이 다양화되고 있다. |
주요 내용 | |
식단 | 미역국: 미역은 칼슘과 요오드가 풍부하여 산모의 혈액을 맑게 하고 젖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팥: 팥은 부기 제거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호박: 호박 또한 부기 제거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기타: 기름진 음식, 짠 음식, 매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생활 | 안정: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무리한 활동은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온: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여 산후풍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청결: 감염 예방을 위해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금기 사항 | 찬물 사용: 찬물에 손을 담그거나 샤워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무리한 운동: 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성생활: 출산 후 일정 기간 동안은 성생활을 피하는 것이 좋다. |
산후조리원 | |
정의 | 산후조리원은 전문적인 인력과 시설을 갖추고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관리를 돕는 기관이다. |
주요 서비스 | 산모 건강 관리: 산후 마사지, 좌욕, 찜질 등 신생아 관리: 수유, 목욕, 예방 접종 등 식사 제공: 균형 잡힌 영양 식단 제공 교육 프로그램: 육아 교육, 산후 우울증 예방 교육 등 |
비용 | 산후조리원 비용은 시설 및 서비스에 따라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2주 기준 200만원에서 1000만원 이상까지 다양하다. |
논란 및 문제점 | |
과도한 상업화 | 일부 산후조리원은 지나치게 고급화되어 가격이 비싸고, 불필요한 서비스 제공으로 산모에게 부담을 주는 경우가 있다. |
의학적 근거 부족 | 일부 산후조리 방식은 의학적 근거가 부족하거나 오히려 산모의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
정보 부족 | 산후조리 관련 정보가 부족하여 산모들이 올바른 선택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
참고 자료 |
2. 역사
한국의 산후조리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모습이 달라져 왔다. 전통적으로는 가족 공동체 안에서 산모의 회복을 돕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사회 구조의 변화와 함께 전문적인 산후조리원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돌봄 방식이 등장하며 현대에 이르고 있다.[14][3] 구체적인 시대별 모습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2. 1. 과거

조선 시대의 산후조리는 크게 지켜야 할 점과 피해야 할 점을 바탕으로 한 6가지 기본 원리가 있었다.[19]
# '''몸을 따뜻하게 하고 찬 것을 피한다''': 따뜻한 음식을 먹고 찬 기운을 피함으로써 산모의 기운 회복을 돕는다.
# '''신체적, 정신적으로 쉰다''': 힘든 일을 피하고 마음을 편안히 하여 몸과 마음의 안정을 찾고 회복에 집중한다.
# '''산모를 위한 특별 음식을 잘 먹는다''': 산모와 아기 모두를 위해 영양가 있는 음식을 종류, 양, 기간 등을 고려하여 섭취한다. 대표적인 음식으로 미역국이 있다.
# '''무리하지 않고 몸을 보호한다''': 단순히 누워만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신체 부위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아 회복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청결을 유지한다''':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하여 산모의 건강한 회복을 돕는다.
# '''정성껏 돌본다''': 가족 등 주변 사람들이 산모를 세심하게 보살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동양 철학의 음양 사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과거 한국 사회에서 산후조리는 주로 친정이나 시댁 식구들이 맡았다. 이들은 산모를 위해 음식을 만들고 아기를 돌보는 등 집안일을 대신하며 산모가 오롯이 회복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왔다.[14] 이 기간 동안 산모는 건강을 되찾고 앞으로 아기를 키우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었다.[14]
한편, 일부 풍습에는 비과학적인 믿음이 반영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산모가 장례식에 가거나 상주와 대화하는 것을 금지했는데, 이는 산모와 아기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이었다.[3]
대가족 중심의 사회 구조가 점차 핵가족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전통적인 가족 돌봄 방식은 점차 줄어들었다. 이러한 사회 변화 속에서 1996년 한국에 처음으로 산후조리원이라는 전문 기관이 등장하여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3]
2. 2. 현대
현대의 산후조리는 과거 방식에 얽매이기보다 개인의 몸 상태에 맞춰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현대 산후조리 시 고려할 점들이다.
- 음식 섭취: 미역국과 같은 보양식이 반드시 빠른 회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과도한 섭취는 오히려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 체온 관리: 몸을 무조건 따뜻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은 탈수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자신의 몸 상태에 맞게 적절한 체온을 유지해야 한다.
- 정신 건강: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찾는 것이 회복에 필수적이다.
- 신체 활동: 가벼운 스트레칭, 체조, 또는 하루 30분 정도의 산책은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골반 관리: 출산 후 벌어진 골반 교정을 위해 슈로스 운동과 같은 골반 교정 운동을 매일 약 30분간 꾸준히 하는 것이 관련 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다.
3. 개념
한국의 산후조리는 산모가 출산 전에 맡았던 집안일이나 가족 돌봄, 육아 등 다양한 역할 수행의 책임을 면제해주고, 산모가 태어난 아이와 자신의 신체적, 심리적 회복에 전념할 수 있도록 가족이 중심이 되어 돌보는 사회적으로 공인된 돌봄의 형태이다. 또한 과거 결혼과 함께 출가외인으로 여겨지던 딸이 사회적 편견 없이 친정에 머물면서 친정어머니나 가족의 돌봄을 받을 수 있는 특별한 기간이기도 했다.[19][20]
일반적으로 서양 여성의 골반은 원형이며 넓은 편이라 출산에 비교적 유리한 구조를 가지며 회음부 절개도 잘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반면 동양 여성의 골반은 타원형의 좁은 구조를 가진 경우가 많아 출산 시 신체 변형으로 인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물론 이는 개인차가 있으며, 서양 여성이라도 출산 후 회복이 어려울 수 있고 동양 여성이라도 빠르게 일상생활이 가능할 수 있다. 영어로는 Sanhujori라고 표기한다. 각 나라의 풍습, 전통, 신체 특징에 따라 다양한 방법과 음식으로 산후조리를 하며, 기간은 보통 1주에서 3~4주 정도이다. 이 회복 기간에는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는 것이 좋다. 하지만 너무 덥게 지내거나 운동이 부족하면 오히려 해로울 수 있으며, 하루 30분 이내의 가벼운 걷기는 방광 및 골반 근육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심한 더위로 땀을 많이 흘리면 체온이 떨어지고 세균 번식이 활발해질 수 있으므로, 실내 온도를 낮추기보다는 땀을 잘 닦아 몸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속옷을 자주 갈아입어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후조리 기간에는 속옷을 하루 5~6회 이상 갈아입는 것이 권장된다.
3. 1. 산후조리원
산후조리원은 산후 기간 동안 산모와 아기 모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 센터이다.[4][21] 1998년 말까지 산후조리원의 수요는 공급을 초과하여, 단순히 개설하는 것만으로도 성공을 보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2000년 이전에는 질이 낮고 자격이 미비한 센터들이 생겨나기도 했다.[4][21] 이후 부실한 관리나 화재 사건 등으로 인해 자격 미달 센터들이 상당수 문을 닫았지만, 최근 산후조리원의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3][21]전국적인 조사에 따르면, 2012년 한국 전체 여성 인구의 약 50%가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5][21] 산후조리원에서는 피부 관리, 신체 마사지, 신생아 24시간 돌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5][21] 일부 센터에서는 산후우울증 예방을 위해 꽃꽂이 교육이나 웃음 치료 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3][22]
3. 2. 산후도우미 (산후조리사)
산후조리사는 산모의 집을 방문하여 산후조리를 위한 방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돌봄 노동자의 한 유형이다. 산후조리사는 크게 시간제 근로자와 동거형 근로자로 분류된다. 중개 기관과 산모의 요구에 따라 산후조리 서비스 자체와 함께 세탁, 방 청소, 다른 가족 구성원 돌보기 등 다양한 집안일을 수행하기도 한다.[6]최근 세계화와 이주노동자의 대규모 유입으로 인해 조선족 이주민들이 산후조리사 고용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7]
산후조리사 양성은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에서 이루어진다. 공공 부문에서는 YMCA, 지방자치단체, 보건소 등이 전문 산후조리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액의 수수료를 받거나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KQDC) 등이 교육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수하고 해당 자격 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에게 자격증을 수여하고 있다.[6]
과거에는 이 직업이 영어로 월간 간호사(monthly nurse)로 알려졌지만, 현재는 "산후 두울라(doula)", "산모 간호사" 또는 "신생아 케어 전문가" 등으로 불리며, 이들은 모두 전문 유모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3. 3. 남편의 산후조리
출산 후 초기 단계에서 남편은 산모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산모가 산후조리를 시작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은 남편의 따뜻한 관심과 배려이다.[24] 남편의 정서적 지원은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산후 여성의 신체적, 정신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산후우울증을 낮추며, 가족 관계를 돈독하게 하고, 산모가 어머니 역할로 전환하는 것을 돕는다.[24][8]산후조리는 긴 과정이 될 수 있으며, 남편이 이에 참여하고자 할 때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기도 한다. 연구에 따르면 많은 남편(아버지)들이 산후 관리 및 관련 지식이 부족하여 처음부터 산후조리 참여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24][8] 또한, 전통적인 산후조리 방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남편과 상반되거나, 가족 내에서 역할 관련 경쟁 관계가 형성될 수도 있다.[8]
4. 산후조리 방법
한국에서 산후조리는 출산 후 산모가 집안일, 육아 등의 책임에서 벗어나 아이와 자신의 신체적, 심리적 회복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가족 중심으로 돌보는 사회적 돌봄 형태이다. 특히 결혼 후 친정에 머물며 어머니나 가족의 돌봄을 받는 특별한 기간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9][20]
동양 여성은 서양 여성에 비해 골반 구조상 출산 시 신체적 부담이 더 클 수 있다는 견해가 있으며, 이는 산후조리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요소 중 하나로 언급되기도 한다. 물론 이는 일반적인 경향일 뿐 개인차는 크다.
전통적으로 조선시대에는 산후조리의 6가지 기본 원리가 있었으며,[19] 현대 산후조리의 주요 내용 역시 신체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영양가 있는 음식을 섭취하며, 충분한 휴식과 안정을 취하고 청결을 유지하며 심신의 평안을 도모하는 것이다.[9]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른다.
- 휴식과 안정: 출산 후에는 신체적, 정신적 휴식이 매우 중요하며, 집안일 등 신체 활동을 최소화하고 걱정, 불안 없이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19]
- 몸 보호: 회복 과정에서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특히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몸의 특정 부위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19]
- 청결 유지: 감염 예방과 회복을 위해 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오로 배출 등으로 인해 속옷을 하루 5~6회 이상 자주 갈아입어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권장된다.
- 정성껏 돌보기: 산모 주변의 가족과 사회 구성원들의 정성스러운 돌봄과 지지가 중요하다. 이는 산모의 심리적 안정과 회복에 큰 도움이 된다.[19]
- 기타 방법: 이 외에도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미역국 등 산후 회복에 좋은 음식을 섭취하며,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걷기 등 적절한 신체 활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산후조리 방법이다.[11][16][17]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산후 관리는 특히 첫 3주가 중요하며, 이후 3개월, 6개월에 걸쳐 점진적으로 회복이 이루어진다. 첫 3주 동안은 모든 면에서 각별히 주의하며 임신 전 상태로 몸이 돌아갈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10]
4. 1. 몸을 따뜻하게 하기
조선시대 산후조리의 기본 원칙 중 하나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찬 것을 피하는 것이었다.[19] 이는 산모가 기운을 내도록 돕는 방법으로 여겨졌다.[19] 현대에도 산모들은 체온 유지를 위해 아이스크림이나 찬물과 같은 차가운 음식을 피하고, 찬 온도에 노출되지 않으려 한다.[14] 실내에 머물고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체온 유지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여겨지며,[15] 심지어 문을 닫을 때 생기는 찬 바람에 노출되는 것조차 산후조리 기간에는 금기시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산모가 체온을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면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산후병에 걸리기 쉽다고 믿어왔다.[15]하지만 한기가 들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무조건 몸을 따뜻하게만 하는 산후조리는 자칫 탈수증을 불러올 수 있으므로, 자신의 몸 상태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19]
몸을 따뜻하게 하는 방법의 하나로 따뜻한 좌욕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약 40°C 정도의 따뜻한 물에 회음부를 포함한 골반 전체를 담그는 좌욕은 통증을 줄이고, 출산 후 치질 완화, 감염 예방, 혈액 순환 촉진을 통해 상처의 빠른 치유를 돕는다.[10]
4. 2. 이로운 음식 섭취
출산 후 회복을 돕기 위해, 많은 한국 산모들은 "''산후조리'' 음식"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종류의 한국 전통 음식을 섭취한다.[11] 조선시대 산후조리 원칙에서도 산모를 위해 특별히 준비된 음식을 잘 먹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19] 이러한 음식은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따뜻하며, 상쾌한 특징을 가진다. 매운 맛을 가진 음식은 산후 기간에 좋지 않다고 여겨진다.[15]다양한 ''산후조리'' 음식 중 미역국은 한국 산모들이 가장 널리 섭취하는 음식이다.[11] 미역에는 오메가-3 지방산과 같은 고도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며,[12] 미역국은 산모의 회복 시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3]
미역국 외에도 돼지 뼈 감자탕, 홍어탕, 그리고 말린 명태 국 (북어국|북어국한국어)과 같은 다양한 전통 음식을 먹는다.[11] 그 외에 섭취하는 음식과 효능은 다음과 같다.
음식 | 효능 |
---|---|
잉어 및 기타 생선 | 단백질 함량이 높고 소화 용이, 산후 빈혈 예방, 모유 분비 촉진[10] |
호박 | 체내 불필요한 수분 배출, 염증 완화[10] |
옥수수 수염차 | 신장 부담 완화[10] |
홍합 | 산후 혈액 정체로 인한 복통 완화[10] |
다만, 보양식을 지나치게 섭취할 경우 비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9]
4. 3. 적절한 신체 운동
출산 후 산모는 통증과 부기를 겪게 되는데, 이를 완화하고 몸의 회복을 돕기 위해 적절한 신체 활동이 필요하다. 산후 기간 동안 한국의 산모들은 몸을 이완시키고 강화하기 위해 가벼운 스트레칭과 근육 자가 마사지를 한다.[16] 운동 부족은 회복에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으므로, 하루 30분 이내의 가벼운 걷기나 체조는 방광 및 골반 근육의 빠른 회복에 도움을 준다.[17] 특히 슈로스 운동과 같이 산후 골반 벌어짐을 교정할 수 있는 골반 교정 운동을 매일 30분 내외로 꾸준히 하면 산후 골반 질환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5. 산후병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산후조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전혀 하지 않으면, 산후병(sanhubyeong한국어) 또는 산후풍(sanhupung한국어)이라 불리는 출산 후유증을 겪게 된다고 믿어왔다. 이러한 후유증은 산모의 평생 동안 지속될 수 있다고 여겨졌다. 연구에 따르면 산후조리를 제대로 따르지 않은 여성은 다양한 질병을 경험할 위험이 높다. 산모는 평생 관절염, 신경통, 산후 뇌졸중 및 다른 질환으로 고통받을 수 있다. 산후 뇌졸중은 산후 증상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증상으로는 어지럼증, 두통, 허리, 무릎, 발목 또는 손목의 무감각, 식은땀 등이 있다. 이러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산모와 신생아는 평생 건강을 위해 최소 3주에서 100일 동안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여겨진다.
참조
[1]
논문
Survey on the programs of Sanhujori centers in Korea as the traditional postpartum care facilities
2003
[2]
논문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Postpartum Care for the Lower Income Women and an Investigation for the Support Plan
2002
[3]
논문
A Study on the Continuance and Variation of Korean Traditional Postnatal Care in a Modern Postpartum Care Center
http://www.dbpia.co.[...]
2016
[4]
논문
A study on the realities and improvements of postpartum care centers in Korea
http://www.riss.kr/s[...]
2000
[5]
웹사이트
Casebook of Cost Estimates for 2012 Amendment of Corporate Income Tax Law
http://www.nabo.go.k[...]
[6]
논문
A Study of Satisfaction Degree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s of 'Postpartum Caretaker'
http://www.dbpia.co.[...]
2011
[7]
뉴스
"중국동포 육아도우미, 제도화 뒷받침 돼야"
http://www.babytimes[...]
2015-09-15
[8]
논문
Husbands' Awareness of Sanhujori, Needs for Education and Family Strength
2015-06-27
[9]
논문
Survey on the Programs of Sanhujori Centers in Korea as the Traditional Postpartum Care Facilities
2003-03
[10]
간행물
Sanhujori: Korea’s Traditional Postnatal Care Culture
2017
[11]
논문
산후음식의 지역적 특징과 그 의미
http://www.dbpia.co.[...]
2009
[12]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Omega Fatty Acids
http://www.webmd.com[...]
[13]
뉴스
When Seaweed Soup Heralded Spring
http://english.chosu[...]
2017-04-27
[14]
논문
A Study on the Change of Postpartum Care in Korea
http://www.riss.kr/s[...]
2012
[15]
논문
Reflections on Sanhujori: A Korean Postnatal Care Paradigm for Women's Health
1998
[16]
뉴스
"[뷰티 톡Talk] 윤계선 원장 \"임산부 시기에 따른 세부적인 관리 필요해\""
http://www.newstomat[...]
2017-05-01
[17]
웹사이트
출산 후 산모를 괴롭히는 8대 증상 뿌리뽑기
http://www.smlounge.[...]
2012-07-17
[18]
웹사이트
여성전용마사지 {{!}} 토닥이 {{!}} 대한민국 1등 여성전용마사지
https://www.xn--hz2b[...]
2024-09-16
[19]
저널
[20]
저널
[21]
논문
A study on the realities and improvements of postpartum care centers in Korea
http://www.riss.kr/s[...]
2000
[22]
웹인용
Casebook of Cost Estimates for 2012 Amendment of Corporate Income Tax Law
http://www.nabo.go.k[...]
[23]
논문
A Study of Satisfaction Degree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s of 'Postpartum Caretaker'
http://www.dbpia.co.[...]
2011
[24]
간행물
Husbands’ Awareness of Sanhujori, Needs for Education and Family Strength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