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후우울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2주에서 1년 사이에 나타나는 우울 증상으로, 슬픔, 불안, 피로, 수면 및 식사 패턴 변화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자해 또는 자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호르몬 변화, 개인적 및 가족력, 육아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산후우울감, 산후 정신병과 구분된다. 진단은 DSM-5 기준에 따르며, 심리 치료, 약물 치료, 생활 습관 개선 등을 통해 치료한다. 사회적 낙인과 문화적 신념, 미디어의 영향 등 사회문화적 측면과 남성에게 나타나는 부성 산후우울증도 존재하며, 한국 사회에서는 저출산 문제와 함께 산모의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울증 - 가면 우울증
    가면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 대신 신체적인 증상으로 발현되는 우울증의 한 형태로, 강박 행동이나 중독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뇌내 신경전달물질 감소나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정식 질병으로 등재되지는 않았고, 항우울제 등으로 우울증과 동일하게 치료하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우울증 - 인지적 왜곡
    인지적 왜곡은 사고의 오류로, 흑백논리, 과잉 일반화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인지 행동 치료에서 왜곡된 사고를 수정하여 심리적 문제를 개선하는 데 활용된다.
  • 어머니 - 시부모
    시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를 칭하는 의친의 일종으로, 민법상 친족이자 인척에 해당하며, 전통적인 고부 갈등은 현대 사회에서도 결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 어머니 - 산후조리
    산후조리는 출산 후 산모의 건강 회복을 돕는 문화적 관행으로, 따뜻한 환경, 영양 섭취, 휴식을 통해 이루어지며 산후도우미, 산후조리원 등 다양한 상업적 서비스가 제공된다.
  • 산부인과 병리학 - 산욕열
    산욕열은 출산 후 여성 생식 기관에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열, 오한, 복통, 악취 나는 분비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장기간 분만이나 제왕절개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며, 항생제 치료가 중요하고, 과거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나 현재는 감소 추세이나 저소득 국가에서는 여전히 모성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 산부인과 병리학 - 사산
    사산은 임신 20주 또는 WHO 기준 28주 이후에 태아가 사망하여 출생하는 것으로, 탯줄 관련 사고, 감염, 선천성 기형, 모체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유산과는 구별되고 부모에게 심리적 고통을 줄 수 있다.
산후우울증
일반 정보
출산 후 우울증 비너스, 출산 후 느껴지는 상실감과 공허함의 표현
출산 후 우울증 비너스, 출산 후 느껴지는 상실감과 공허함의 표현
동의어산욕기 우울증
진료 분야정신 의학
증상극심한 슬픔
낮은 에너지
불안
수면 또는 식습관 변화
울음
과민성
발병 시기출산 후 1주일에서 1개월 사이
원인불명확함
위험 요인이전의 산후 우울증
양극성 장애
우울증 가족력
정신적 스트레스
출산 합병증
지원 부족
약물 사용 장애
진단증상에 기반
감별 진단마터니티 블루
치료상담
약물
빈도출산의 약 15%
관련 질병
관련 질병산전 우울증
출산의 정신 질환
출산 관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산후 우울감
산후 정신병
성별 실망
수유와 정신 건강
유산과 정신 장애
임신 선택 상담
낙태와 정신 건강
유아 정신 건강
아버지의 우울증

2. 정의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4주에서 1년 사이에 나타나는 우울 증상으로, 징후와 증상이 최소 2주 이상 지속될 때 진단한다.[229][12][13] 유산을 겪은 여성에게서도 나타난다.[232]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에서는 산후우울증을 별개의 질환이 아닌 주요 우울 에피소드의 특정 유형으로 분류하며, 발병 시기가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4주 이내인 경우 "주산기 발병" 지정자를 적용한다.[21]

산후우울증은 몇 달 또는 1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23] 한 연구에 따르면 중동 여성의 경우 출산 후 처음 3개월 동안의 산후우울증 유병률은 31%, 4개월에서 12개월 동안은 19%였다.[22]

"산후"는 출산 후 2~3개월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 이 시기에 발병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고 가사나 육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산후우울증으로 진단한다. 산후 호르몬 불균형뿐만 아니라, 수유, 기저귀 갈기, 재우기 등 익숙하지 않은 육아 스트레스 같은 외부적인 요인도 산후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199][204][205][203][218]

2. 1. 산후우울감과의 비교

산후우울감(Baby blues)은 산후우울증보다 미약한 우울 증세가 나타나는 과도기적인 우울 증세를 가리킨다. 해당 증세는 분만 이후 산모의 80%에게서 나타날 수 있을 정도로 널리 관찰된다.[263] 보통 2주 안에 해소되지만, 우울 증세가 2주 이상 지속되면 더 심각한 우울 증세 발병을 의심해야 한다.[264] "베이비 블루스"를 경험한 여성은 나중에 더 심각한 우울증을 겪을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78]

2. 2. 산후 정신병과의 비교

산후 정신병은 산후우울증보다 덜 흔하게 발생하지만, 환각, 망상 등 심각한 증상을 동반하는 별개의 정신 질환이다. 행동이나 언어 표현이 불일치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산후 정신병은 산모 1,000명 중 1~2명 꼴로 발생하는데, 양극성 장애가 있거나 이전에 산후 정신병을 앓았던 경우 발병 확률이 100배 높아진다. 정신분열증도 산후 정신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이다.[265]

54,000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12년간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정신 질환으로 인한 입원은 임신 전보다 출산 직후 30일 이내에 30배 이상 더 자주 발생했다. 산후 정신병을 앓은 산모 중 72~80%는 양극성 장애나 분열성 장애 병력이 있었고, 12%는 정신 질환 전력이 있었다. 양극성 질환의 진단 지표로는 기분 장애 증상의 오진 또는 누락, 조병이나 중증 수준의 조병, 산후 정신병 또는 양극성 장애 가족력 등이 있다.[265]

산후 정신병은 약물 치료 없이는 호전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226] 산후 정신병은 영아 살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미국에서는 출생 10만 명당 약 8명에게서 발생한다.[213]

3. 원인

산후우울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 변화, 유전적 요인, 출산 및 육아로 인한 생활의 큰 변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238] 특히 출산 후 겪는 신체적, 정신적 변화와 스트레스가 산후우울증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35][36]

아버지 역시 산후우울증을 겪을 수 있는데,[239] 이는 남성의 경우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생활 방식의 큰 변화, 특히 유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산후우울증의 원인으로 제기되기도 하지만, 확실한 증거는 부족하다.[43] 이전 출산 경험이 있는 산모도 최근 출산 후 산후우울증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240]

3. 1. 호르몬 변화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갑상샘 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코르티솔 등 출산 후 여성 호르몬 수치의 급격한 감소는 산후우울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8] 이러한 호르몬 수치는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임신 전 수준으로 감소하며, 이 급격한 변화가 산후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39]

특히, 자궁을 두껍게 하고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에스트라디올세로토닌과의 관계 때문에 산후우울증 발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37] 에스트라디올 수치는 임신 중에는 증가했다가 출산 후 급격히 감소하는데, 이때 세로토닌 수치도 함께 감소한다. 세로토닌은 기분을 조절하는 신경 전달 물질이므로, 세로토닌 수치가 낮아지면 우울감과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다.[42]

분만을 유도하는 약물인 합성 옥시토신의 사용 또한 산후 우울증과 불안의 증가된 발생률과 관련이 있다.[41]

한편, 심오한 호르몬 변화를 겪지 않는 아버지들도 산후우울증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239]

3. 2. 생물학적 요인

산후우울증의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뇌 기능 변화, 신경전달물질 불균형, 유전적 요인, 염증성 질환, 장내 미생물군 변화 등이 거론된다.

fMRI 연구에 따르면 산후 우울증을 겪는 산모는 건강한 산모에 비해 좌측 전두엽 활동이 감소하고 우측 전두엽 활동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전대상 피질, 배외측 전전두피질, 편도체, 해마 등 주요 뇌 구조 사이의 연결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17] 특히, 영아와 관련 없는 정서적 단서에 의해 자극받을 때 우측 편도체에서 더 큰 신경 활동을 보이며, 편도체와 우측 뇌섬엽 피질 사이의 연결성이 감소한다.[17] 또한, 자신의 영아 이미지를 볼 때 전대상 피질, 선조체, 안와전두피질, 뇌섬엽의 활동이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갑상샘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엔도르핀 및 코르티솔을 포함한 호르몬 변화 역시 산후우울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 특히,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임신 전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하는데, 이러한 갑작스러운 변화가 산후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39] 에스트라디올 수치 감소는 세로토닌 수치 감소로 이어져 우울감과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다.[42]

분만을 유도하는 약물인 합성 옥시토신의 사용은 산후 우울증과 불안의 증가된 발생률과 관련이 있다.[41]

이외에도 신경내분비 불규칙성으로 인한 만성 질환,[47] 산후 우울증의 유전적 병력,[48] 염증성 질환(과민성 대장 증후군, 섬유근육통 등),[47] 장내 미생물군[49] 등이 산후우울증의 생물학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3. 3. 심리사회적 요인

육아 스트레스, 수면 부족, 사회적 지지 부족, 배우자와의 관계 문제, 경제적 어려움, 과거 우울증 병력, 원치 않은 임신, 가정 폭력,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 등은 모두 산후우울증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들이다.[47][73][199][207] 대부분의 여성들은 출산 후 짧은 기간 동안 걱정이나 불행감을 경험하지만, 이러한 기분 변화가 심하고 2주 이상 지속되면 산후우울증을 의심해야 한다.[199]

유아를 돌보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활 방식의 심오한 변화는 산후우울증의 원인으로 자주 거론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거의 없다. 이전에 여러 자녀를 낳았지만 산후우울증을 경험하지 않은 산모라도 막내 아이를 낳고 산후우울증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43] 많은 산모들이 출산 후 완전히 회복하는 데 필요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데, 수면 부족은 신체적 불편함과 피로로 이어져 산후 우울증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46]

여성에 대한 폭력은 산후 우울증 발병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73] 중동의 연구에 따르면, 가정 폭력을 경험한 사람은 산후 우울증(PPD)이 발병할 가능성이 2.5배 더 높다.[72] 여성에 대한 폭력은 만성적인 스트레스 요인이므로, 더 이상 폭력에 대처할 수 없을 때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다.[73]

3. 4. 진화심리학적 관점

어머니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나 여력이 제한되었을 때, 산후우울 증상을 통해 자손 번식에 대한 관심이나 투자를 줄이게 된다는 관념을 지지하는 연구 결과가 있다.[252]

어린 아기들은 많은 관심과 보육을 필요로 한다. 아버지나 가족 구성원들의 지원 부족은 어머니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아기가 얻을 수 있는 유전적, 건강상의 이점은 줄어들게 된다.[252] 가족 구성원 및 아버지로부터 충분한 도움을 받지 못했던 어머니는 갓 태어난 아기를 돌보기 어려웠을 수 있으며, 이는 후손과 어머니 자신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모유 수유를 포함한 양육은 어머니의 영양분을 소진시키므로,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한 여성의 건강은 위험해진다.

사회적 지원이 부족하거나 신체적으로 힘든 상황에 처한 어머니들은 부정적인 감정이 아기에게 향하게 되어, 더 많은 에너지를 쓸 수 없으므로 스스로의 희생을 줄이기 위해 아이를 돌보는 데 신경을 덜 쓰게 된다. 여러 연구 결과가 산후우울증과 사회적 지원 부족 또는 다른 양육 관련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243][252]

산후우울증을 겪는 어머니는 긍정적인 감정보다 부정적인 감정을 아이에게 투사하고, 아이들의 울음소리에 둔감하며 반응이 느리다. 어머니 역할 성취도 어려워 아이들과의 유대 및 애착 관계가 약할 수 있다. 심하면 아이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해를 입힐 수 있다.[243][253][254][255][256][257][258][259][260][261] 즉, 산후우울증이 있는 여성들은 사회적 지원 부족과 같은 어려움을 겪으며, 어머니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산후우울 증세를 보이는 어머니들은 정신 질환보다는 우울 장애를 겪는 것이며, 더 많은 사회적 자원 및 지원 없이는 새 아이를 잘 돌보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치료법은 어머니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얻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252] 또는, 새로운 아기를 양육하기 어려운 어머니들은 가족계획 및 출산 계획을 더 효율적으로 세워 산후우울증을 완화해야 한다.

4. 증상

산후우울증의 증상은 출산 후 1년 이내에 언제든 나타날 수 있으며,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난다.[226] 주요 증상으로는 슬픔, 절망감, 자아존중감 저하, 죄책감, 압도되는 듯한 기분, 수면 및 섭식 장애, 쾌감 상실, 사회적 소외감, 무기력증, 쉽게 좌절하는 경향, 아이 돌보기에 대한 부적절감, 성욕 감퇴[227], 간헐적 혹은 빈번한 불안감[228] 등이 있다.

DSM-5에서는 산후우울 증세를 “출산 전후기에 나타나는 우울장애”로 규정하며, 임신 중이나 분만 전후 4주 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명시한다.[262]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분만 후 1년 이내에 나타나는 우울 증세를 산후우울증으로 진단한다.[241]

산후우울증 진단 기준은 주요 우울장애 진단 기준과 동일하며, 다음 9가지 징후 중 최소 5개가 2주 이내에 나타나야 한다.[262]

징후
거의 매일 우울한 기분
다양한 활동에 대한 흥미나 기쁨 상실
체중 변화 또는 식욕 변화
수면 습관 변화
불안감
기력 쇠퇴
무가치함 또는 죄의식
집중력 부족 또는 결정 곤란
죽음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



일반적으로 산후우울증은 징후와 증상이 최소 2주 이상 지속될 때 진단이 고려된다.[13]

4. 1. 정서적 증상

산후우울 증세는 출산 이후 1년 내 언제라도 나타날 수 있다.[226] 증상은 다음과 같지만, 아래 명시된 증상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 거의 매일, 하루 종일 슬픔, 공허함, 절망감을 느끼고,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도 우울해 보인다.[262]
  • 지속적인 슬픔, 불안감, 또는 "공허한" 기분을 느낀다.[12]
  • 절망감 또는 무력감을 느낀다.[12]
  • 심한 감정 기복이 나타난다.[13]
  • 좌절감, 과민성, 안절부절못함, 분노를 느낀다.[12][14]
  • 죄책감, 수치심, 무가치함을 느낀다.[12][14]
  • 낮은 자존감을 보인다.[12], [226]
  • 무감각, 공허함을 느낀다.[12]
  • 압도되는 듯한 기분이 든다.
  • 편히 쉴 수 없다.[226]
  •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한다.[262]
  • 다양한 활동에 대한 기쁨이나 흥미를 잃는다.[262]
  • 사회적으로 고립감을 느낀다.[226]
  • 기운이 없거나 무기력하다.[226]
  • 쉽게 좌절한다.[226]

4. 2. 행동적 증상

식욕 변화, 수면 장애 (불면증 또는 과다 수면), 피로감, 활동량 감소, 사회적 고립, 성욕 감퇴[227], 자기 관리 소홀, 자해 또는 자살 시도 등이 나타날 수 있다.[12][14][13] 편히 쉴 수 없거나, 기력이 소진되거나, 쉽게 좌절하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226]

4. 3. 부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영향

산후우울 증세는 정상적인 모자 간 유대감 형성을 방해하며 유아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233] 산후우울증을 겪는 어머니는 보육 방식의 모순을 보이는데[233], 무의식적으로 긍정적인 감정보다 부정적인 감정을 아이에게 투사하고 아이들의 울음소리에 둔감하며 반응 또한 더디다. 어머니로서의 역할 성취 또한 보통의 어머니보다 더 어려워하며, 아이와의 유대 및 애착관계가 상당히 미약할 수 있다. [243][253][254][255][256][257][258][259][260][261]

산후우울증을 겪은 아동들은 정서 및 행동 발달 장애를 보일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정신건강상 반항성장애, 행동장애, 과잉행동을 보일 확률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34][235] 산후 우울증을 겪는 어머니의 영아는 과도한 울음, 기질 문제 및 수면 곤란의 발생률이 더 높으며, 영아의 수면 문제는 어머니의 산후 우울증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산후 우울증에 영향을 받은 어머니의 아동과 영아는 인지 기능, 억제 제어 및 정서 조절에 부정적인 장기적 영향을 경험하며, 치료받지 않은 산후 우울증의 경우 청소년기의 폭력적인 행동과 정신과적 및 의학적 상태가 관찰되었다.

드문 경우이지만, 1,000건 당 1-2건은 산후우울증이 양극성 정신질환으로 나타나 영아의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236] 해당 경우 혹은 어머니가 정신병동 입원 경력이 있는 경우에[237] 영아 살인이 발생하기도 한다.

5. 위험 요인

산후우울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호르몬 및 신체 변화, 개인 및 가족의 우울증 병력, 신생아를 돌보는 스트레스 등이 포함된다.[35][36]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2주에서 1달 사이에 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229] 반드시 산후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많은 경우 출산 이전부터 우울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0]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2013년 개정판(DSM-5)에서는 산후우울증을 출산 전후 기간에 발병하는 우울 장애로 진단하며, 분만 전후 4주를 출산기 발병("peripartum onset")으로 정의한다. 산후우울증은 유산을 경험한 여성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232]

이 외에도 산전 우울증 및 불안감,[243] 산후 정신불안증,[243] 보육 스트레스,[243] 영아 산통(영아 울음),[243] 프로락틴 수치 상승, 옥시토신 고갈 등이 위험 요인으로 거론된다.

위에 명시된 요인들이 산후우울증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반드시 증상을 동반하는 것은 아니며, 제3의 요인이 발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사회적 지원 부족과 같은 요소가 산후 우울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45]

5. 1. 개인적 요인

산후우울증의 개인적 요인으로는 우울증, 양극성 장애, 불안 장애 등의 정신 질환 병력이나 산후우울증 가족력, 월경 전 불쾌 장애, 낮은 자존감 등이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된다.[243][242][241] 모유 수유 미실시, 우울증 경력, 흡연은 추가적인 증상 유발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42]

5. 2. 임신 및 출산 관련 요인

임신 중 우울증이나 불안,[243] 산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83] 분만 외상,[241] 유산 또는 사산 경험,[232] 원치 않은 임신,[243] 분만 유도 약물(옥시토신) 사용,[41] 모유 수유 어려움[62] 등이 산후 우울증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5. 3. 사회경제적 요인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243][244], 사회적 지지 부족[243], 배우자와의 관계 문제, 미혼모[243], 가정 폭력[249], 성적 학대, 아동기 외상, 이민, 실업 등이 산후우울증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경제적 자원이 부족한 여성들은 부유한 여성들에 비해 산후우울증이나 스트레스 지수가 더 높게 나타난다.[246] 저소득 미혼모의 경우 양육에 대한 지원이 미약할 수 있다.

인종 간 비교 연구에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산모의 산후우울증 발병률이 25%로 가장 높았고, 아시아계 산모는 11.5%로 가장 낮았다.[246]

성적 지향[247] 또한 산후우울증의 위험 요인으로, 레즈비언 및 양성애자 여성들은 이성애자 여성에 비해 산후우울증 척도가 높게 나타났다.[247] 이는 사회적 지원 부족과 차별적 분위기가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으로 보인다.[248]

여성에 대한 폭력은 산후우울증 발생을 증가시킨다.[249] 전 세계 여성의 3분의 1 정도가 생애 어느 시기에 육체적, 성적 폭력을 겪는다.[250]

5. 4. 문화적 요인

문화적 요인은 산후우울증과 연관되어 있는데, 특히 남아 선호 사상, 시어머니와의 갈등, 산후조리 문화 부재 등은 특정 문화권에서 산후우울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249][251]

6. 진단

산후우울증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진단된다. 산후우울증 진단 기준은 주요 우울장애 또는 기타 우울 장애 진단 기준과 동일하며, 2주 이내에 다음 9가지 징후 중 최소 5개를 포함해야 한다.[262]


  • 슬픔, 공허감, 절망감 (다른 사람이 보기에도 우울해 보임)
  • 다양한 활동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 상실
  • 체중 감소 또는 식욕 감퇴
  • 수면 습관 변화
  • 불안감
  • 기력 쇠퇴
  • 무가치함 또는 죄의식
  • 집중력 부족 또는 결정을 내리기 어려움
  • 죽음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 (자살 계획 여부와 관계없음)


산후 우울증 연구는 주로 자기 보고 스크리닝을 사용하는데, 이는 증상을 과소 보고할 수 있다.[178][164] 아랍 국가에서는 다양한 평가 방법으로 인해 산후 우울증 유병률에 상당한 변동성이 나타난다.[72]

"산후"는 출산 후 2~3개월까지의 시기를 의미하며, 이 시기에 발병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고 가사나 육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산후우울증으로 진단된다.[199] 산후 우울증은 출산 후 1~2주에서 수개월 이내에 발병하며, 10~20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204][218] 육아 노이로제(육아 우울증)와 혼동될 수 있지만, 육아 노이로제는 산후 시기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남녀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205][203]

산후 우울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신체적, 정서적, 유전적, 사회적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추정된다.[199][206] 특히 주변의 지지 부족, 우울증 병력, 양극성 장애, 정신적 스트레스, 출산 합병증, 약물 사용 장애 등은 산후 우울증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99]

6. 1. DSM-5 진단 기준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에서는 산후우울증을 "주요 우울 장애, 출산 전후기 발병"으로 분류한다. 이는 임신 중 또는 출산 후 4주 이내에 발병하는 우울 증상을 포함한다.[262] 이전 DSM 버전과 달리 DSM-5는 임신 중과 분만 후 발생하는 증상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는다.[262] 그러나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여전히 분만 후 1년 이내에 나타나는 우울 증세를 산후 우울증으로 진단한다.[241]

산후우울증 진단 기준은 아동 또는 분만과 관계없는 주요 우울장애나 기타 우울 장애 진단 기준과 동일하다. 다음은 DSM-5에 따른 주요 우울 증상이다.[262]

DSM-5 주요 우울 증상 (2주 이상, 9개 중 5개 이상 해당)



한 도심 정신 건강 클리닉 연구에 따르면 산후 우울증 에피소드의 50%는 출산 전에 시작되었다.[20] DSM-5에서는 산후 우울증을 별개의 질환이 아닌 주요 우울 에피소드의 특정 유형으로 분류하며, 발병 시기가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4주 이내인 경우 "주산기 발병" 지정자를 적용할 수 있다.[21]

6. 2. 선별 검사

에든버러 산후 우울증 척도(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는 산후 우울증이 있는 여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자가 보고 설문지이다.[96] 13점 이상을 받으면 산후우울증(PPD)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96]

의료 제공자는 선별검사 중에 다른 질환이 우울증에 기여하는지 테스트하기 위해 혈액 샘플을 채취할 수 있다.[97]

에든버러 산후 우울증 척도는 신생아가 입원한 첫 주 이내에 사용된다. 12점 미만을 받으면 우울증 검사 프로토콜 때문에 재평가하도록 안내받는다. 신생아 집중 치료실(NICU)에 있는 산모는 신생아가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있는 동안 4~6주마다 선별검사를 받도록 권장된다.[98] 12점에서 19점 사이의 점수를 받은 산모에게는 두 가지 유형의 지원이 제공된다. 산모는 NICU의 간호사가 제공하는 치료를 받게 되며 정신 건강 전문 서비스로 의뢰될 수 있다. EPDS의 10번 항목에서 3점을 받으면 자살할 수 있으므로 즉시 사회복지팀에 의뢰된다.[98]

산후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집단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이것이 사용되는 선별검사 도구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91] 산후 우울증 증상을 표현하는 방식에는 문화적 차이가 있다. 비서구 국가의 환자는 더 많은 신체적 증상을 보이고, 서구 국가의 환자는 더 많은 슬픔을 느낀다. 문화적 배경에 따라 산후 우울증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서구 국가에서 선별검사를 받는 비서구인들은 선별검사 도구가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잘못 진단될 수 있다.[91]

7. 예방

산후 우울증은 출산 후 여성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심리 사회적 지원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208] 여기에는 식사, 가사, 산모 돌봄, 친목 활동 등 지역 사회 지원이 포함된다.[209] 이러한 지원은 산후 우울증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산후 우울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신체적, 정서적, 유전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9][206] 특히 출산 후 호르몬 변화나 수면 부족 등이 산후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199][207]

산후 우울증의 위험 요인으로는 주변의 지지 부족, 과거 산후 우울증 병력, 우울증 가족력, 양극성 장애, 정신적 스트레스, 출산 합병증, 약물 의존증 등이 있다.[199]

7. 1. 심리사회적 지원

사회적 지원 부족은 산후 우울증에 대한 도움을 구하는 데 있어 장벽으로 작용한다.[148] 동료 지원 프로그램은 산후 우울증 증상을 겪는 여성에게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149] 미국 전역에서는 여성과 남성 모두를 위해 대면, 온라인, 전화 지원 그룹을 이용할 수 있다. 동료 지원 모델은 정신 건강 환경이 아닌 그룹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많은 여성들에게 매력적이다.[149]

산후 경과(Postpartum Progress) 웹사이트는 주별로 구분된 지원 그룹 목록과 각 그룹의 연락처 정보를 제공한다.[150] 미국 정신 질환 연합(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NAMI)은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제출하면 모든 여성이 이용할 수 있는 "The Shades of Blue Project"라는 가상 지원 그룹을 제공한다.[151] NAMI는 수유 지원이 필요한 산모를 위해 "색깔 있는 전문가 및 동료 수유 지원 전국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Professional and Peer Lactation Supports of Color)" 웹사이트도 추천한다.[152] 인근에 지원이 있으면 온라인이나 대면으로 수유 지원을 받을 수 있다.[152]

[https://postpartumprogress.com/ Postpartum Progress]는 산후 우울증 및 관련 정신 건강 상태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엄마들의 커뮤니티에 초점을 맞춘 블로그이다.[153] 이들의 이야기와 온라인 커뮤니티는 산후 우울증에 대한 낙인을 줄이고 동료 기반 관리를 촉진한다. Postpartum Progress는 문화적 역량을 강조하기 때문에 특히 유색 인종과 성 소수자에게 관련성이 높다.[154]

산후 우울증 위험이 있는 사람에 대한 심리 사회적 지원은 산후 우울증을 예방하는 보호적 예방법이다.[208] 심리 사회적 지원에는 식사, 가사, 산모 돌봄, 친목 활동 등 지역 사회 지원이 포함된다.[209]

7. 2. 상담 및 교육

산후 우울증(PPD)으로 어려움을 겪는 여성에게 교육적 중재는 대처 전략을 키우고 회복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40] ''Ms''.와 같은 간행물을 통해 여성의 주산기 관리 교육이 시작되었고, 이는 여성이 경험하는 증상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이 된 PPD에 관한 최초의 언론 기사를 배포했다.[140]

교육용 비디오는 특히 비디오가 상호 작용하고 환자를 치료 계획에 참여시킬 때 PPD 치료를 위해 인터넷을 찾는 여성들에게 인기가 있었다.[141] 2000년대 초반부터 PPD에 대한 비디오 튜토리얼은 PPD가 있는 개인을 위한 많은 웹 기반 훈련 프로그램에 통합되었으며, 종종 개인을 위한 증거 기반 관리 전략의 한 유형으로 간주된다.[142] 이는 목표 기반 학습, 사례 연구의 상세한 탐구, 추가 지원 및 정보를 위한 리소스 가이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141]

국립 아동 및 모성 건강 교육 프로그램은 국립 아동 건강 및 인간 발달 연구소(NICHD)와 국립 보건원(NIH)의 지원을 받는 대규모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NICHD는 세계 보건 기구와 같은 기관과 협력하여 아동의 심리 사회적 발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그 노력의 일부는 산모의 건강과 안전을 지원하는 데 집중되었다.[143] NICHD를 통해 여성과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게 산후 우울증에 대한 증거 기반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 및 훈련 서비스가 제공된다.[144]

약물 남용 및 정신 건강 서비스 관리국(SAMHSA)은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재난 구호 프로그램을 운영한다.[145] 재난 구호 기금은 의료 전문가가 산후 우울증을 선별하는 것의 이점을 알리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아동 전문가(가정 방문자 및 초기 치료 제공자)가 산후 우울증을 진단하고 예방하는 기술을 개발하도록 돕는다.[145] 영아 및 초기 아동 정신 건강 상담(IECMH) 센터는 산후 우울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거 기반 치료 서비스를 활용하는 관련 기술 지원 프로그램이다. IECMH는 부모 교육 및 가정 방문 프로그램, 부모와 자녀를 위한 초기 치료 현장 개입, 기타 다양한 상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146] IECMH의 이니셔티브는 가정 방문자에게 산후 우울증 선별 프로토콜과 우울증을 겪는 산모를 전문적인 도움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신 중 또는 출산 후 상담, 인지 행동 치료, 대인 관계 치료 등은 산후우울증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7. 3. 생활 습관 개선

규칙적인 수면, 균형 잡힌 식단, 적절한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은 산후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여성들은 온라인 산후 우울증 예방 프로그램에서 자기 관리와 웰빙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특히 음악 치료와 같은 자기 관리 활동은 대부분의 지역 사회에서 접근 가능하며, 여성들이 자녀와 유대감을 형성하고 우울증 증상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가치 있게 여겨졌다.[161] 걷기, 달리기 등 야외 활동과 관련된 웰빙 활동은 여성들 사이에서 기분 관리에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언급되었다.[161]

심리 사회적 지원에는 식사, 가사, 산모 돌봄, 친목 활동 등 지역 사회 지원이 포함되며, 산후 우울증의 위험이 있는 사람에 대한 심리 사회적 지원은 산후 우울증에 대한 보호적 예방법이다.[208][209]

8. 치료

개인적인 사회적 및 심리적 중재 모두 산후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115][116] 사회적 중재에는 개별 상담 및 동료 지원이 포함되며, 심리적 중재에는 인지 행동 치료(CBT)와 대인 관계 치료(IPT)가 포함된다.[117][118] 산후 우울증에 대한 정신 교육에 초점을 맞춘 지원 그룹 및 집단 치료는 산후 증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추가적인 치료 옵션을 찾는 데 도움을 준다.[119]

최근 연구에 따르면, 상담 중재에 훈련된 전문가 외에도 일반 상담사, 간호사, 조산사 및 교사를 포함한 비전문가도 주산기 우울증 및 불안과 관련된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121]

교육적 중재는 대처 전략을 키우고 회복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Ms.''와 같은 간행물을 통해 여성의 주산기 관리 교육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여성이 경험하는 증상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이 된 산후 우울증에 관한 최초의 언론 기사를 배포했다.[140] 특히 상호 작용적이고 환자를 치료 계획에 참여시키는 교육용 비디오는 산후 우울증 치료를 위해 인터넷을 찾는 여성들에게 인기가 있었다.[141] 2000년대 초반부터 산후 우울증에 대한 비디오 튜토리얼은 웹 기반 훈련 프로그램에 통합되어 증거 기반 관리 전략의 한 유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142]

산후 우울증 치료에는 상담이나 투약이 포함될 수 있다.[200]

8. 1. 심리 치료

심리 치료는 행동 변화를 돕고, 행복을 증진하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심리학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정기적인 개인적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심리 치료는 산후 우울증(PPD)을 겪는 산모나 아빠에게 매우 유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은 누군가와, 어쩌면 산후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을 전문적으로 돕는 사람과 대화를 나누고, 감정과 느낌을 공유하여 정서적으로 더 안정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심리 치료는 가정과 임상 환경 모두에서, 그리고 집단 및 개인 형식 모두에서 정신 역동적 심리 치료를 포함한 산후 우울증에 대한 효과를 입증한다.

인터넷 기반 인지 행동 치료(CBT)는 부정적인 양육 행동 점수 감소, 불안, 스트레스, 우울증 감소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CBT는 대면 CBT 접근에 제한이 있는 산모에게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이점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인지 행동 치료의 시행은 산후 우울증과 관련하여 가장 성공적이고 잘 알려진 형태의 치료법 중 하나이다. 간단히 말해, 인지 행동 치료는 주로 우울증 및 불안 장애와 같은 다양한 정신 건강 상태의 증상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신 사회적 개입이다. 광범위한 치료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PPD의 근본 원인인 특정 정서적 고통을 해결하는 데 매우 유익하다. 따라서 CBT는 산모 또는 아빠의 정서적 발현의 빈도와 강도를 더욱 줄이거나 제한하는 데 기여한다.

대인관계 치료(IPT)는 산모와 영아의 유대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22] 정신사회적 중재는 산후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이다. IPT라고도 알려진 대인관계 치료는 일반적으로 우울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생물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요인, 특히 여러 개의 파괴된 대인 관계를 경험하는 많은 산후 우울증(PPD) 여성에게 훌륭하게 직관적인 치료법이다.

효과적인 상담 종류로는 대인 관계 치료(IPT), 인지 행동 치료(CBT), 정신 역동적 심리 치료 등이 있다.[200]

8. 2. 약물 치료

2010년의 한 연구에서는 산후 우울증 치료를 위한 약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표본 크기가 작고 전반적으로 증거가 미약하다고 지적했다.[117] 일부 증거에 따르면 산후 우울증을 겪는 산모는 주요 우울 장애 환자와 유사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117]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가 산후 우울증의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낮은 수준의 증거가 존재한다.[123] 1차 항우울제는 SSRI인 설트랄린이며, 모유로 거의 전달되지 않아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이 적다.[4]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설트랄린을 정신 요법에 추가해도 추가적인 이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24] 따라서 어떤 항우울제가 산후 우울증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지, 그리고 누구에게 항우울제가 비약물 치료보다 더 나은 선택인지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123]

일부 연구에 따르면 호르몬 요법이 산후 우울증 여성에게 효과적일 수 있으며, 출산 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치의 감소가 우울 증상에 기여한다는 아이디어가 이를 뒷받침한다.[117] 그러나 이 치료법은 출산 후 최대 12주까지 여성을 포함하여 정맥 혈전증 위험이 높은 사람에게 에스트로겐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는 논란이 있다.[125]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수유 중인 여성을 포함하지 않았다.[117] 그러나 에스트라디올 패치 사용이 산후 우울증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일부 증거가 있다.[126]

옥시토신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효과적인 불안 완화제이자 일부 경우 항우울제 치료법이다. 외인성 옥시토신은 설치류를 대상으로 산후 우울증 치료법으로만 연구되었지만, 사람에게 적용할 가능성에 대한 결과는 고무적이다.[38]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신경 스테로이드 알로프레그나놀론의 합성 유사체인 브렉사놀론을 산후 우울증 치료를 위해 정맥내 투여하는 것을 승인했다. 알로프레그나놀론 수치는 출산 후 감소하며, 이는 여성의 우울증과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127] 일부 임상 시험에서는 주입 시작 후 48시간 이내에 산후 우울증에 대한 효과를 입증했다.[128] 산후 우울증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평가 중인 다른 새로운 알로프레그나놀론 유사체에는 주라놀론과 가낙솔론이 있다.[126]

브렉사놀론은 투여 중 과도한 진정 및 갑작스러운 의식 상실을 포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위험 평가 및 완화 전략(REMS) 프로그램에 따라 승인되었다.[129] 약물을 투여받기 전에 산모는 등록되어야 한다. 지속적으로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의료 제공자가 있는 인증된 의료 시설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주입 자체는 60시간 또는 2.5일 과정이다. 환자의 산소 수치는 맥박 산소 측정기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약물의 부작용으로는 구강 건조, 졸음, 기면, 홍조 및 의식 상실 등이 있다. 자살 생각이나 행동의 초기 징후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중요하다.[129]

2023년, FDA는 산후 우울증 치료를 위해 브랜드 이름 Zurzuvae로 판매되는 주라놀론을 승인했다. 주라놀론은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되는 브렉사놀론보다 더 편리한 알약 형태로 투여된다.[130]

산후 우울증 치료를 위해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사용하는 것은 모유 수유의 금기 사항이 아니다. 항우울제가 모유로 배출되기는 하지만, 모유에서 기록되는 농도는 매우 낮다.[131][132]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수유 중인 여성이 SSRI를 사용하는 것이 모유 수유하는 영아/아동에게 안전하다는 것이 밝혀졌다.[131][132][133] 알로프레그난올론과 관련하여, 매우 제한적인 데이터는 영아에게 위험을 나타내지 않았다.[134]

8. 3. 기타 치료

전기 충격 요법(ECT)은 여러 차례 약물 치료에 실패했거나 사용 가능한 항우울제를 견딜 수 없는 심각한 산후우울증을 겪는 여성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2] 예비적인 증거는 반복적 경두개 자기 자극(rTMS)의 사용을 뒷받침한다.[135]

침술, 마사지, 밝은 조명 또는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유용한지 여부는 2013년 기준으로 불분명하다.[136]

9. 남성의 산후우울증

남성도 출산 후 우울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를 부성 산후우울증(Paternal Postnatal Depression, PPND)이라고 한다. 남성의 산후우울증은 여성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문제이며,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부성 산후 우울증은 아버지의 8~10%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부성 상호 작용 감소는 자녀의 인지 및 행동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29] 만 3.5세 유아는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에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이는 부성 산후 우울증의 장기적인 영향[2][30]을 보여준다. 2세 유아에게 책을 자주 읽어주지 않으면 표현 어휘력이 저하될 수 있다.[30] 저소득층 아버지의 경우, 자녀의 첫 해에 육아 참여가 증가할수록 산후 우울증 발생률이 낮아진다.[31]

9. 1. 원인 및 증상

산후우울증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호르몬 변화, 유전, 그리고 인생의 중요한 사건 등이 잠재적 요인으로 여겨진다.[238]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갑상샘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등 호르몬 변화가 산후우울증과 관련 있다는 증거가 존재한다.[238]

하지만, 큰 호르몬 변화를 겪지 않는 아버지들도 산후우울증을 겪을 수 있다.[239] 남성의 경우, 육아 스트레스, 배우자와의 관계 변화, 경제적 부담 등 심리사회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이를 기르는 생활 양식의 큰 변화가 산후우울증의 원인으로 제시되기도 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거의 없다. 이전에 산후우울 증세가 없었던 산모들도 최근 출산 후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240]

부성 산후 우울증은 아버지의 8~10%에게 영향을 미친다.[25] 남성의 산후 우울증 원인으로는 임신 중 호르몬 변화가 있으며, 이는 부자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25] 예를 들어, 남성의 낮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우울 증상과 관련이 있다.[25] 낮은 프로락틴, 에스트로겐, 바소프레신 수치는 아버지와 유아의 애착 형성에 어려움을 겪게 하고, 이는 초보 아버지를 우울증으로 이끌 수 있다.[25]

남성의 산후우울증 증상은 극심한 슬픔, 피로, 불안, 과민성, 자살 충동 등이다. 여성의 산후우울증과 유사하지만, 과민성, 분노, 충동성, 폭력성 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남성의 산후 우울증은 출산 후 3~6개월 사이에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산모의 산후우울증과 관련이 있다.[27] 즉, 어머니가 산후우울증을 겪고 있다면 아버지 또한 이 질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 남성의 산후 우울증은 자살 위험을 증가시키고, 건강한 유아-아버지 애착을 방해한다. 산후 우울증을 겪는 남성은 좋지 않은 양육 행동을 보이고, 유아와의 상호 작용을 줄일 수 있다.[28] 이러한 부성 상호 작용의 감소는 자녀의 인지 및 행동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29]

"산후"는 출산 후 2~3개월까지의 시기를 가리키며, 이 시기에 발병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고, 가사나 육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산후우울증으로 진단된다. 산후 호르몬 불균형뿐만 아니라, 수유, 기저귀 갈기, 재우기 등 익숙하지 않은 육아의 피로와 육아 스트레스 등 외부적인 요인도 작용한다. 육아 노이로제(육아 우울증)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육아 노이로제는 "산후" 이후에 발병하고 스트레스 등 주로 신체 외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구분하는 견해도 있다.[199][204][205][203][218]

산후 우울증은 10~20명 중 1명의 비율로, 아기를 낳은 후에 여성이 발병하며, 출산 후 1~2주에서 수개월 이내에 발생하고, 길어도 출산 후 1년 이내에는 증상이 가라앉는 경향이 있다.[204][218] 육아 노이로제나 육아 우울증은 남녀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으며,[205][203] 아이가 태어난 지 1년 이상 지나도 개선되지 않거나, '고집 피우는 시기'를 맞이한 2살 정도 아이의 육아에서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산후우울증의 정확한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신체적, 정서적, 유전적, 사회적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분석된다.[199][206] 이러한 원인에는 체내 호르몬 변화나 수면 부족 등의 요인이 포함될 수 있다.[199][207] 산후우울증을 초래하는 위험 인자로는 주변의 지지 부족, 과거 산후우울증 병력 또는 우울증 가족력, 양극성 장애, 정신적 스트레스, 출산 합병증, 약물 사용 장애 등이 있다.[199]

남성은 배우자와 같이 출산 전후로 체내 호르몬 균형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지만, 육아 스트레스 등 외부 요인이 원인이 되어 '육아 노이로제', '육아 우울'이 발생할 수 있다.[203][215][216][205][217] '일과 육아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상상했던 아버지의 모습과 괴리감을 느끼는 경우, '바람직한 아버지상'을 요구받는 것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처음 유아나 어린이를 기르게 된 아버지의 1%에서 26%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205][217] 육아 노이로제가 된 남성은 '아버지가 된 후 자기 시간을 갖지 못하게 되었다'는 점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자녀를 키우는 남성에게 '육아로 어떤 점이 고민인가'라고 질문한 결과, 37.6%가 '교육비', 36%가 '칭찬하는 법 · 혼내는 법', 20.4%가 '아이와의 소통'에 대한 고민을 꼽았다.[216]

9. 2. 치료

남성의 산후우울증 치료는 여성과 마찬가지로 상담이나 투약이 포함될 수 있다.[200] 효과적인 상담 종류로는 대인 관계 치료(IPT), 인지 행동 치료(CBT), Psychodynamic psychotherapy|역학적 정신 치료영어 등이 있다.[200]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잠정적인 증거에 의해 사용이 지지된다.[200] 남녀 모두 육아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가정 내 육아 휴직'이 권장된다.[203]

10. 사회문화적 측면

산후우울증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산후우울증에 대한 인식, 신념, 대처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말레이 문화에서는 산후 우울증을 일으키는 정령인 한투 메로얀(Hantu Meroyan|한투 메로얀ms)을 믿는다. 이 정령이 분노하면 산모가 "사키트 메로얀"(Sakit Meroyan|사키트 메로얀ms)이라는 증상을 겪는다고 믿으며, 이때 산모는 무당의 도움을 받아 강신술로 영혼을 쫓아내는 치료를 받기도 한다.[193][194]

일부 중국 여성들은 출산 후 30일 동안 침대에서 휴식을 취하고, 친정 어머니나 시어머니가 가사와 육아를 돕는 "달 보내기"(쭤위에쯔, 坐月子중국어, 한국 한자음: 좌월자)라고 불리는 의식을 따르기도 한다.[195]

시어머니와의 관계는 많은 아랍 지역에서 산후 우울증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174] 중동의 특정 문화권에서는 아들보다 딸을 선호하지 않아 딸을 낳은 산모가 아들을 낳은 산모보다 산후 우울증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2]

중동 여성의 산후 우울증 검사에는 문화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에든버러 산후 우울증 척도는 무슬림 문화와 맞지 않는 우울증 증상을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는데, 이슬람교에서는 자해를 엄격히 금지하지만, 에든버러 산후 우울증 척도에서는 자해가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일부 아랍 문화에서는 "우울증 검사"나 "정신 건강"과 같은 단어가 모욕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74]

10. 1. 낙인과 편견

산후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은 지식 부족, 증상에 대한 사회적 낙인, 의료 서비스 접근의 어려움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도움을 받기 어렵다.[155] 치료를 받는 데에는 낙인과 같은 태도 문제가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149] 친구나 가족과의 관계, 제도적, 재정적 어려움도 도움을 받는 것을 방해한다. 미국의 의료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나 부정적인 경험은 산후 우울증 치료를 받으려는 의지와 치료 준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162]

산후 우울증에 대한 의료 서비스와 지원은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148] 서로 다른 인종 집단은 의료 제공자가 자신의 문화나 종교를 존중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을 수 있으며, 이는 정신 건강 서비스 이용이나 항우울제 처방에 영향을 미친다.[162]

산후 우울증과 관련하여, 여성들은 도움을 요청하는 것에 대해 수치심을 느끼고, 우울증을 인정하면 "나쁜 엄마"로 낙인 찍힐 것을 우려하여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192] 산후 우울증에 대한 낙인은 여전히 심각하며, 이는 산후 우울증의 실제 발병률을 파악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정신 건강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여성들이 산후 우울증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170]

몇몇 문화권에서는 산후 우울증과 유사한 증상을 출산 후 보호 의식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의식에는 체계적인 지원, 위생 관리, 식단 조절, 휴식, 육아 및 모유 수유 지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7] 이러한 의식은 산모가 지원을 환영할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103]

말레이 문화에서는 태반과 양수에 깃드는 정령인 한투 메로얀(Hantu Meroyan|한투 메로얀ms)을 믿는다.[193] 이 정령이 분노하면 산모는 잦은 울음, 식욕 부진, 수면 장애 등을 겪는데, 이를 "사키트 메로얀"(Sakit Meroyan|사키트 메로얀ms)이라고 한다. 산모는 무당의 도움을 받아 강신술을 통해 영혼을 쫓아내는 치료를 받기도 한다.[194]

일부 중국 여성들은 출산 후 30일 동안 침대에서 휴식을 취하고, 친정 어머니나 시어머니가 가사와 육아를 돕는 "달 보내기"(좌산)라고 불리는 의식을 따른다.[195]

시어머니와의 관계는 많은 아랍 지역에서 산후 우울증의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74]

중동 여성의 산후 우울증 검사에는 문화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에든버러 산후 우울증 척도는 무슬림의 문화와 맞지 않는 우울증 증상을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슬람교에서는 자해를 엄격히 금지하지만, 에든버러 산후 우울증 척도에서는 자해가 주요 증상으로 나타난다. 일부 아랍 문화에서는 "우울증 검사"나 "정신 건강"과 같은 단어가 모욕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또한, 집단주의 문화의 특성상 여성들은 자신의 필요보다 가족의 필요를 우선시하여 증상을 축소 보고할 수 있다.[174]

연구에 따르면, 중동의 특정 문화권에서는 아들보다 딸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딸을 낳은 산모가 아들을 낳은 산모보다 산후 우울증 위험이 2~4배 더 높다.[72]

10. 2. 문화적 신념

말레이 문화에서는 산후우울증을 한투 메로얀(Hantu Meroyanms)이라는 정령과 연관 짓는 믿음이 있다. 이 정령은 태반과 양수에 깃들어 있다고 여겨지며, 불만을 품고 분노를 터뜨리면 산모가 잦은 울음, 식욕 부진, 수면 장애 등의 증상을 겪게 된다고 한다.[193] 이를 "사키트 메로얀"(sakit meroyanms)이라고 부르며, 산모는 무당이 강신술을 통해 영혼을 쫓아내는 치료를 받기도 한다.[194]

일부 문화권에서는 출산 후 산모의 회복을 돕는 의식을 통해 산후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의식에는 조직적인 지원, 위생 관리, 식단 조절, 휴식, 유아 관리 및 모유 수유 지침 등이 포함된다.[7] 이러한 의식은 산모가 지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때 효과가 더 크다.[103]

중국에서는 "쭤위에쯔"(坐月子중국어, 한국 한자음: 좌월자)라는 의식이 행해진다.[195] 산모는 출산 후 30일 동안 침대에서 휴식을 취하고, 친정 어머니나 시어머니가 가사 및 육아를 돕는다. 또한, 산모는 목욕, 샤워, 머리 감기, 양치질, 외출, 바람 쐬기 등이 금지된다.[195]

시어머니와의 관계는 많은 아랍 지역에서 산후우울증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174] 어머니 중심의 문화적 믿음 때문에 시어머니는 며느리와 손주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며, 남편은 자신의 가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174]

중동에서는 남아 선호 사상으로 인해 여아를 출산한 산모가 남아를 출산한 산모보다 산후우울증 위험이 2~4배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2]

또한, 문화적 요인은 중동 여성의 산후우울증 선별 검사에도 영향을 미친다. 무슬림 문화권에서는 자해에 대한 생각이 엄격히 금지되지만, 에든버러 산후 우울증 척도(EPDS)에서는 주요 증상으로 다루고 있다. "우울증 검사" 또는 "정신 건강"과 같은 단어는 일부 아랍 문화에서 모욕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집단주의 문화의 특성상 여성들은 자신의 증상을 과소 보고할 가능성도 있다.[174]

10. 3. 미디어의 영향

앤드리아 예이츠 사건과 같이 산후 정신 건강 문제 사례가 언론에 보도되면서, 산후 정신 건강을 해결하고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196] 이 사건은 산후 정신병이 처음으로 공론화된 사례 중 하나로,[196] 출산 후 여성의 정신 건강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예이츠 사건은 부모가 자녀를 살해하는 친족 살해 문제에 대한 언론의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98]

11. 한국 사회와 산후우울증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남아 선호 사상, 가부장적 문화, 높은 교육열, 경쟁 사회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산후우울증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회적 지원 부족은 산후 우울증에 대한 도움을 구하는 데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148]

육아 노이로제(육아 우울증)는 '산후' 이후에 발병하거나 스트레스 등 주로 신체 외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구분하기도 한다.[199][204][205][203][218] 육아 노이로제나 육아 우울증은 남녀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으며,[205][203] 아이가 태어난 지 1년 이상 지나도 전혀 개선되지 않거나, '고집 피우는 시기'를 맞이한 2살 정도 아이의 육아에서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여성의 경우 육아 노이로제는 외부적 요인 외에도 체내에서 생리 전에 일어나는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세로토닌 감소라는 내적 요인도 있다.[199][204][205]

11. 1. 산후조리 문화

한국은 전통적으로 산후조리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산후조리는 산모의 신체적, 정신적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등으로 인해 산후조리 문화가 약화되고 있으며, 이는 산후우울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산후"란 산모가 임신 전 상태로 거의 회복될 때까지, 즉 출산 후 2~3개월까지의 시기를 가리킨다.[199][204][205][203][218] 이 시기에 발병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고, 가사나 육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에 산후우울증으로 진단된다. 산후의 호르몬 불균형뿐만 아니라, 수유, 기저귀 갈기, 재우기 등 익숙하지 않은 육아의 피로와 육아 스트레스 등 외부적인 요인도 산후우울증의 원인이 된다.[199][204][205][203][218]

11. 2. 정책적 지원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저출산 문제 해결과 함께 산모의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산후우울증 예방 및 치료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전화 기반의 동료 지원은 고위험 여성의 산후 우울증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155] 미국의 경우, 다음과 같은 핫라인을 통해 산후 우울증 관련 긴급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미국 정신 질환 연합(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800-950-NAMI (6264)[156]
  • 미국 자살 예방 생명선(National Suicide Prevention Lifeline): 800-273-TALK (8255)[157]
  • 국제 산후 지원(Postpartum Support International): 800-944-4PPD (4773)[158]
  • SAMHSA의 전국 핫라인: 1-800-662-HELP (4357)[159]


샌디에이고에서는 산후 건강 연합(Postpartum Health Alliance)이 24시간 긴급 지원 라인((888) 724–7240)을 운영하여 산후 우울증에서 회복된 어머니와 훈련된 제공자와의 대화를 지원한다.[160]

그러나 이러한 핫라인은 특히 유색 인종에게 필요한 문화적 역량을 갖추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정신 건강 위기 상황에서 경찰이나 911에 전화하는 것이 유색 인종에게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적, 구조적으로 적합한 응급 핫라인이 필요하다.[154]

더불어민주당은 산후조리 지원 확대, 산후우울증 고위험군 선별 검사 의무화,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성 강화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11. 3. 과제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2~3개월까지의 시기에 발병하여 2주 이상 지속되고, 가사나 육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말한다. 산후 호르몬 불균형뿐만 아니라, 익숙하지 않은 육아로 인한 피로와 육아 스트레스 등 외부적인 요인도 작용한다.[199][204][205][203][218] 보통 출산 후 1~2주에서 수개월 이내에 발생하며, 출산 후 1년 이내에 증상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204][218]

육아 노이로제(육아 우울증)는 산후 이후에 발병하거나 스트레스 등 주로 신체 외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구분하기도 한다.[199][204][205][203][218] 육아 노이로제나 육아 우울증은 남녀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으며,[205][203] 아이가 태어난 지 1년 이상 지나도 개선되지 않거나, '고집 피우는 시기'를 맞이한 2살 정도 아이의 육아에서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여성의 경우 육아 노이로제는 외부적 요인 외에도 생리 전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세로토닌 감소와 같은 내적 요인도 작용한다.[199][204][205]

참조

[1]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Facts https://www.nimh.nih[...] 2017-06-11
[2] 논문 The effect of postpartum depression on child cognitive development and behavior: a review and critical analysis of the literature 2003-11
[3]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2009-04
[4]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Pathophysiology, Treatment, and Emerging Therapeutics 2019-01
[5] 논문 Reproductive hormone sensitivity and risk for depression across the female life cycle: a continuum of vulnerability? 2008-07
[6] 웹사이트 Perinatal Depression: Prevalence, Screening Accuracy, and Screening Outcomes http://archive.ahrq.[...] Agency for Health Care Research and Quality
[7] 논문 Traditional postpartum practices and rituals: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2007-07
[8] 서적 Williams obstetrics McGraw Hill Medical 2022
[9]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3-09-18
[10] 논문 Postpartum mood disorders 2003-08
[11] 논문 Maternal infanticide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prevention and the promise of saved lives 2004-09
[12] 문서 Our Bodies Ourselves Touchstone Book 2005
[13] 웹사이트 The Basics of Postpartum Depression http://www.webmd.com[...] WebMD 2015-04-09
[14] 웹사이트 Depression Among Women {{!}} Depression {{!}} Reproductive Health {{!}} CDC https://www.cdc.gov/[...] 2017-04-15
[15] 논문 Onset timing, thoughts of self-harm, and diagnoses in postpartum women with screen-positive depression findings 2013-05
[16] 논문 Postnatal depression and sexual health after childbirth 2003-12
[17] 논문 The Neurobiology of Postpartum Anxiety and Depression https://hal-univ-ren[...] 2017-02
[18] 논문 Endocrine substrat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s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2012-02
[19]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http://www.umm.edu/p[...] Hospita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8-10-22
[20] 논문 Onset and persist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in an inner-city maternal health clinic system 2001-11
[21] 간행물 Depressive Disorders https://psychiatry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2024-12-02
[22] 논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Middle Ea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8
[23] 웹사이트 Canadian Mental Health Association > Post Partum Depression http://www.cmha.ca/b[...] 2010-06-13
[24]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2009-04
[25]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in Men 2019-05
[26] 논문 P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its relationship to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and implications for family health 2004-01
[27] 논문 Prenatal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fathers and its association with maternal depression: a meta-analysis 2010-05
[28] 논문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in Fathers: A Regional, Longitudinal Study in Japan 2016-08
[29] 논문 NewsCAP: Study finds postpartum depression also affects fathers 2018-11
[30] 논문 Focusing on depression in expectant and new fathers: prenatal and postpartum depression not limited to 2010
[31] 웹사이트 Dads Who Take a More Hands-on Role Their Kid's First Year Have Better Mental Health https://www.sciencea[...] 2024-01-10
[32] 논문 Post-adoption depression: Parental classes of depressive symptoms across time 2016-08
[33] 논문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postpartum and adoptive mothers 2011-08
[34] 논문 LGBTQ2S+ childbearing individuals and perinatal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2022-09
[35]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https://medlineplus.[...] 2020-09-25
[36] 웹사이트 NIMH" Perinatal Depression https://www.nimh.nih[...] 2020-09-25
[37] 논문 The role of reproductive hormones in postpartum depression 2015-02
[38] 논문 Oxytocin and postpartum depression: delivering on what's known and what's not 2014-09
[39]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https://www.womenshe[...] 2018-04-09
[40] 논문 A new molecular risk pathway for postpartum mood disorders: clues from steroid sulfatase-deficient individuals 2021-06
[41] 논문 Association of peripartum synthetic oxytocin administration and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within the first postpartum year 2017-02
[42] 논문 Neuroendocrine Aspects of Pregnancy and Postpartum Depression 2019
[43]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identification of women at risk 2000-10
[44] 논문 Perinatal psychiatric disorders: an overview 2014-06
[45] 논문 Non-psychotic mental disorders in the perinatal period 2014-11
[46]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Facts https://www.nimh.nih[...] 2019-11-20
[47] 논문 The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among women with substance use, an abuse history, or chronic illness: a systematic review 2009-04
[48] 논문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at 4-weeks postnatal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04
[49] 논문 Gut bacteria convert glucocorticoids into progestin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gas 2024-06
[50] 논문 Biological and psychosocial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systematic review and call for integration 2015-03-28
[51] 논문 Seafood consumption, the DHA content of mothers' milk and prevalence rates of postpartum depression: a cross-national, ecological analysis 2002-05
[52] 서적 Williams Obstetrics Study Guide McGraw-Hill Education Medical 2014-10-15
[53]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infant temperament
[54] 논문 Perinatal depression: an update and overview 2014-09
[55] 논문 Stressful Life Event Experiences of Pregnant Women in the United States: A Latent Class Analysis 2017-01
[56] 논문 Antenatal Stressful Life Events and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in the United States: The Role of Women's Socioeconomic Status Indices at the State Level 2017-03
[57] 논문 Antecedent trauma exposure and risk of depression in the perinatal period 2013-10
[58] 논문 The association of childhood sexual abuse with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and selected pregnancy outcomes 1999-07
[59] 논문 Past traumatic events: are they a risk factor for high-risk pregnancy, delivery complications, and postpartum posttraumatic symptoms? 2009-01
[60] 논문 Correlates of early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2006-03
[61]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Facts https://www.nimh.nih[...] 2019-11-20
[62] 논문 Breastfeeding and postpartum depression: state of the art review 2013
[63] 논문 Prevalence of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Health-Seeking Behavior and Out of Pocket Payment for Physical Illness and Cost Coping Mechanism of the Poor Families in Bangladesh: A Rural Community-Based Study 2020-07
[64]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Etiology, treatment and consequences for maternal care 2016-01
[65] 논문 Race/ethnicity and perinatal depressed mood
[66] 논문 The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ree social status indices 2007-04
[67] 논문 Men's Perinatal Mental Health in the Transition to Fatherhood https://epublication[...] 2015
[68] 논문 Perinat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mong lesbian and bisexual women
[69] 논문 The case for investigating postpartum depression in lesbians and bisexual women 2011-05-01
[70] 논문 Perinatal mental health in lesbian mothers: a review of potenti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71]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a longitudinal study in Bethlehem 2016-11
[72]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Arab Reg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2020-07-30
[73] 논문 Violence as a risk factor for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a meta-analysis 2012-04
[74] 서적 Gender-based Violence and Depression in Women Springer New York 2013-01-01
[7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76] 웹사이트 The Basics of Postpartum Depression http://www.webmd.com[...] 2015-04-09
[77] 논문 Clinical practice. Postpartum depression 2002-07
[78] 간행물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79] 논문 Bipolar disorder, affective psychosis, and schizophrenia in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period 2014-11
[80] 웹사이트 Postpartum Psychosis http://www.rcpsych.a[...]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2014
[81] 논문 Risk of Postpartum Relapse in Bipolar Disorder and Postpartum Psych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2
[82] 논문 Suicide during Perinatal Period: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Clinical Correlates 2016-08-12
[83] 논문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regnancy and after bir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eprints.worc[...] 2017-01
[84] 논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birth-related posttraumatic stress among parents: A comparativ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research.vu.[...] 2022-06
[85] 논문 Childbirth Induced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2017
[86] 논문 Development of a Measure of Postpartum PTSD: The City Birth Trauma Scale 2018-09-18
[87] 논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ostpartu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meta-analysis 2014-07
[88] 논문 Childbirth related PTSD and its association with infant outcome: A systematic review 2022-11
[89] 논문 Matern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uring the perinatal period and child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2018-01
[90] 논문 The incid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llowing traumatic childbir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3-07
[91]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Screening Tools: A Review 2018-05-01
[92] 논문 Screening for Depression During and After Pregnancy http://www.acog.org/[...] 2010-02
[93] 논문 Incorporating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perinatal and postpartum depression into pediatric practice 2010-11
[94] 논문 The onset of postpartum depression: Implications for clinical screening in obstetrical and primary care 2005-02
[95] 논문 Who do we miss when screening for postpartum depression? A population-based study in a Swedish region 2021-05
[96] 논문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1987-06
[97]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Screening: MedlinePlus Lab Test Information https://medlineplus.[...] 2019-11-20
[98] 논문 A Nurse-Based Model of Psychosocial Support for Emotionally Distressed Mothers of Infants in the NICU 2018-01
[99]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o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urrent perspectives 2014-11-24
[100] 논문 Psychosoci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postpartum depression 2013-02
[101] 논문 Psychosoci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postpartum depression 2013-02
[102] 논문 Effect of peer support on prevention of postnatal depression among high risk women: multisit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2009-01
[103] 논문 Traditional postpartum practices and rituals: clinical implications 2009-12
[104] 논문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eastern province capital of saudi arabia 2014-04
[105] 논문 Modifiable partner factors associated with peri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6
[106] 논문 Interventions to Prevent Perinatal Depression: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9-02
[107] 논문 Interventions to Prevent Perinatal Depression: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http://jama.jamanetw[...] 2019-02-12
[108] 논문 Therapeutics of postpartum depression 2017-05
[109] 논문 Antidepressants for preventing postnatal depression 2018-04
[110] 논문 Community perinatal mental health teams and associations with perinatal mental health and obstetric and neonatal outcomes in pregnant women with a history of secondary mental health care in England: a national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https://www.thelance[...] 2024-03-01
[111] 뉴스 Community perinatal mental health teams reduced women’s risk of mental illness relapse https://evidence.nih[...] 2024-11-26
[112] 논문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Peripartum Depression http://www.aafp.org/[...] 2016-05
[113] 논문 Effects of Exercise on Mild-to-Moderate Depressive Symptoms in the Postpartum Period: A Meta-analysis 2017-06
[114] 논문 Does aerobic exercise reduce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10
[115] 논문 Psychosoci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treating postpartum depression 2007-10
[116]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2009
[117] 논문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ical and pharmacological options 2010-12
[118]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screening: a review for psychiatrists 2016
[119] 논문 Functions of Support Group Communication for Women with Postpartum Depression: How Support Groups Silence and Encourage Voices of Motherhood https://onlinelibrar[...] 2013
[120] 논문 State of the science on postpartum depression: What nurse researchers have contributed—Part 2 2008
[121] 논문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Nonspecialist-Delivered Interventions for Perinatal Mental Health in High-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5
[122] 논문 Interpersonal psychotherapy for postpartum depression 2012
[123] 논문 Antidepressant treatment for postnatal depression 2021-02
[124] 논문 Depression drug treatment outcomes in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perio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09
[125] 뉴스 Postpartum VTE Risk Highest Soon After Birth https://www.medscape[...] 2017-10-31
[126] 논문 Pharmacotherapy of Postpartum Depression: Current Approaches and Novel Drug Development 2019-03
[127] 웹사이트 Bench-to-bedside: NIMH research leads to brexanolone, first-ever drug specifically for postpartum depression https://www.nih.gov/[...] 2019-08-02
[128] 웹사이트 Press Announcements - FDA approves first treatment for post-partum depression https://www.fda.gov/[...] 2019-03-23
[129] 웹사이트 FDA approves first treatment for post-partum depression https://www.fda.gov/[...] 2019-08-02
[130] 뉴스 First Pill for Postpartum Depression Is Approved by FDA https://www.wsj.com/[...] 2023-11-16
[131] 논문 Antidepressant Use During Breastfeeding https://www.eurekase[...] 2011-02-01
[132] 논문 Risk-benefit balance assessment of SSRI antidepressant use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based on best available evidence http://www.tandfonli[...] 2015-03-04
[133] 논문 The Use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During Pregnancy and Breast-feeding: A Review and Clinical Aspects https://journals.lww[...] 2005-02
[134] 웹사이트 FDA Prescribing Information for Brexanolone https://www.accessda[...] 2019-03-23
[135]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peripartum depression 2019-08
[136] 논문 Interventions (other than pharmacological, psychosocial or psychological) for treating antenatal depression 2013-07
[137] 웹사이트 Postpartum Support International - PSI https://www.postpart[...] 2022-04-09
[138] 논문 The role of Postpartum Support International in helping perinatal families 2006-09-01
[139] 논문 History and Purpose of Postpartum Support International 2018-01
[140] 논문 Can't a mother sing the blues?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construction of motherhood in late 20th-century America 2012
[141] 논문 Web recruitment and internet use and preferences reported by women with postpartum depression after pregnancy complications 2013
[142] 논문 Web-based training for implementing evidence-based manage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2009
[143] 간행물 WHO/NICHD Planning Meeting on the Use of Longitudinal Data Banks for Research on Child Growth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AMRO, Washington, DC, 1–2 October 1984: report of the meet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5
[144] 웹사이트 Friends of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https://www.apa.org/[...] 2022-04-16
[145] 논문 The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SAMHSA): new directions 2018
[146] 문서 Infant and Early Childhood Mental Health in Home Visiting https://www.nccp.org[...] NCCP; Bank Stree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47]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2002
[148] 논문 Stories of postpartum depression: exploring health constructs and help-seeking in mothers' talk 2014-05-19
[149] 논문 Peer-support intervention for postpartum depression: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program effectiveness 2018-09
[150]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Support Groups in the U.S. & Canada https://postpartumpr[...] 2022-04-09
[151] 웹사이트 HOME https://www.shadesof[...] 2022-04-09
[152] 웹사이트 National Association of Professional and Peer Lactation Supporters of Color - Provider Directory http://napplsc.org/P[...] 2022-04-09
[153] 웹사이트 POSTPARTUM PROGRESS {{!}} postpartum depression and postpartum anxiety help for moms https://postpartumpr[...] 2022-04-09
[154] 간행물 'The Asian American Literary Review. Volume 10, Issue 2, Fall/winter 2019, "Open in Emergency : a Special Issue on Asian American Mental Health." Edited by Mimi Khúc, 2nd edition.' The Asian American Literary Review, Inc. 2019
[155]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help-seeking barriers and maternal treatment preferences: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2006-12
[156] 웹사이트 'NAMI HelpLine {{!}} NAMI: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https://www.nami.org[...] 2022-04-28
[157] 웹사이트 Home https://suicidepreve[...] 2022-04-28
[158] 웹사이트 PSI HelpLine (English & Spanish) https://www.postpart[...] 2022-04-28
[159] 웹사이트 'SAMHSA''s National Helpline {{!}} SAMHSA -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https://www.samhsa.g[...] 2022-04-28
[160] 웹사이트 'Postpartum Health Alliance {{!}} You are not alone' https://postpartumhe[...] 2022-04-28
[161] 논문 Responding to women's needs and preferences in an online program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2019-12
[162] 논문 Barriers to service use for postpartum depression symptoms among low-income ethnic minority mothers in the United States 2009-04
[163] 웹사이트 'Addressing the Increased Risk of Postpartum Depression for Black Women {{!}} NAMI: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https://www.nami.org[...] 2021-07-26
[164] 논문 Trends in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 27 States, 2004, 2008, and 2012 2017-02
[165] 논문 Bringing birth-related paternal depression to the fore 2008-06
[166]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in refugee and asylum-seeking women in Canada: A critical health psychology perspective 2015-05
[167] 논문 Prevalence of antenatal depression in women enrolled in an outreach program in Canada 2006
[168] 논문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postpartum depression symptomatology among Canadian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2011-05
[169]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mong Indigenous, non-Indigenous and immigrant women in Canada 2019-08
[170] 논문 Cross-cultural and social diversity of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2006-04
[171] 논문 Cross-Cultural Approach of Postpartum Depression: Manifestation, Practices Applied, Risk Factor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2016-03
[172] 논문 An Overview of Risk Factors Associ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in Asia 2014-03
[173] 논문 Examining Feasibility, Acceptability, and Preliminary Outcomes of a Culturally Adapted Evidence-Based Postpartum Depression Preventive Intervention for Women in Doha, Qatar: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23-08
[174] 논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in Middle Eastern/Arab Women 2015
[175] 논문 The impact of education, country, race and ethnicity on the self-report of postpartum depression using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2017-04
[176]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a cross-cultural perspective 1999-05-01
[177] 논문 The magnitude of postpartum depression among mothers in Africa: a literature review 2020
[178] 논문 Economic and Health Predictors of National Postpartum Depression Prevalence: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of 291 Studies from 56 Countries 2018
[179] 논문 Women and hysteria in the history of mental health 2012-10-19
[180] 웹사이트 Shedding More Light on Postpartum Depression – PR News https://www.pennmedi[...] 2020-03-25
[181] 서적 The Book of Margery Kemp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82] 논문 Forged by fire: Margery Kempe's account of postnatal psychosis 2014
[183] 논문 Blurring reality with fiction: Exploring the stories of women, madness, and infanticide 2017-02
[184] 서적 Perinatal Stress, Mood and Anxiety Disorders KARGER 2005
[185] 논문 Franz G. Alexander and Sheldon T. Selesnick. The History of Psychiatry: An Evaluation of Psychiatric Thought and Practice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ent, New York: Harper & Row, 1966, p. xvi + 471. $11.95 1967
[186]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The Yellow Wallpaper, by Charlotte Perkins Gilman https://www.gutenber[...] 2020-04-27
[187] 논문 A New Woman's Journey into Insanity: Descent and Return in The Yellow Wallpaper 2006-05
[188] 서적 Rock-a-by baby: Feminism, Self-help, and Postpartum Depression Routledge
[189] 논문 Puerperal insanity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1990-06
[190] 논문 Perinatal depression: a review of US legislation and law 2013-08
[191] 논문 Continuing education module: postpartum maternal health care in the United States: a critical review 2006
[192] 논문 Changes in stigma and help-seeking in relation to postpartum depression: non-clinical parenting intervention sample 2018-11-08
[193] 서적 Wives and midwives: childbirth and nutrition in rural Malay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194] 서적 Medical Anthropology in Ecological Perspective
[195]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in Asian cultures: a literature review 2009-10
[196]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voice from a historian 2002
[197] 논문 To Save Her Children's Souls: Theoretical Perspectives on Andrea Yates and Postpartum-Related Infanticide. 2003
[198] 논문 An overview of filicide 2007-02
[199]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Facts https://www.nimh.nih[...] 2017-06-11
[200]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2009-04
[201] 웹사이트 産褥期うつ病(産後うつ病) https://kokoro.mhlw.[...] 厚生労働省 2024-11-24
[202] 웹사이트 産後うつ病 - 22. 女性の健康上の問題 https://www.msdmanua[...] 2023-03-03
[203] 웹사이트 ほっとくと鬱に!? 育児ストレスを楽にする「家庭内育休」のススメ https://trilltrill.j[...] 2022-04-03
[204] 웹사이트 育児ノイローゼと産後うつの違い https://web.archive.[...] 2022-04-03
[205] 웹사이트 育児ノイローゼ ~産後うつ・育児に悩むお母さん・お父さんの悩み~ » 【公式】東京TMSクリニック:TMS治療専門医療機関 https://tms-clinic.j[...] 2022-04-03
[206] 논문 Postpartum Depression: Pathophysiology, Treatment, and Emerging Therapeutics 2019-01
[207] 논문 Reproductive hormone sensitivity and risk for depression across the female life cycle: a continuum of vulnerability? 2008-07
[208] 웹사이트 Perinatal Depression: Prevalence, Screening Accuracy, and Screening Outcomes http://archive.ahrq.[...] Agency for Health Care Research and Quality 2017-06-11
[209] 논문 Traditional Postpartum Practices and Rituals: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2007-07
[210] 논문 Pharmacotherapy of Postpartum Depression: Current Approaches and Novel Drug Development 2019-03
[211] 논문 Perinatal depression: prevalence, screening accuracy, and screening outcomes 2005-02
[212] 논문 Postpartum mood disorders 2003-08
[213] 논문 Maternal infanticide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prevention and the promise of saved lives https://semanticscho[...] 2004-09
[214] 논문 The effect of postpartum depression on child cognitive development and behavior: a review and critical analysis of the literature 2003-11
[215] 웹사이트 漫画|"父親"になるまでの道「育児ノイローゼの気持ち、ちょっとわかったよ」 https://epark.jp/kos[...] 2021-10-05
[216] 웹사이트 育児ノイローゼを吐露する父親たち「常に孤独だと感じています」 (CHANTO WEB) https://news.line.me[...]
[217] 논문 Focusing on depression in expectant and new fathers: prenatal and postpartum depression not limited to mothers http://www.psychiatr[...]
[218] 웹사이트 マタニティーブルーや産後うつ - 保健福祉部子ども未来推進局子ども子育て支援課 https://www.pref.hok[...]
[219] 웹인용 Diseases and Conditions Postpartum depression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4-11-21
[220] 서적 Seeing in the Dark Baker Publing Group 2006
[221] 웹인용 Perinatal Depression: Prevalence, Screening Accuracy, and Screening Outcomes http://archive.ahrq.[...] Agency for Health Care Research and Quality
[222] 저널 Magnitude and risk factors for postpartum symptoms: a literature review. 2015-04-01
[223] 저널 Focusing on depression in expectant and new fathers: prenatal and postpartum depression not limited to mothers http://www.psychiatr[...]
[224] 저널 Postpartum depression 2009
[225] 저널 Maternal infanticide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prevention and the promise of saved lives. 2004-09
[226] 서적 Our Bodies Ourselves Touchstone Book 2005
[227] 저널 Postnatal depression and sexual health after childbirth 2003-12
[228] 웹사이트 Understanding Post Partum Depression http://www.webmd.com[...] WebMD
[229] 웹사이트 Postpartum Depression http://www.umm.edu/p[...] Pregnancy Guide, by Peter J. Chen, at Hospita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8-10-22
[230] 저널 Onset and persist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in an inner-city maternal health clinic system. 2001-11
[231] 웹사이트 Canadian Mental Health Association > Post Partum Depression http://www.cmha.ca/b[...] Canadian Mental Health Association 2010-06-13
[232] 저널 Postpartum depression 2002-02
[233] 저널 Postpartum depression effects on early interactions, parenting, and safety practices: A review 2010-02
[234] 저널 Paternal depression in the postnatal period and child development: a prospective population study.
[235] 저널 Filicide in offspring of parents with severe psychiatric disorder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child homicide. 2011-05
[236] 저널 Postpartum mood disorders 2003
[237] 저널 Filicide in offspring of parents with severe psychiatric disorders: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child homicide. 2011-05
[238] 저널 Reproductive hormone sensitivity and risk for depression across the female life cycle: a continuum of vulnerability? http://www.cma.ca/mu[...] 2016-03-24
[239] 저널 P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its relationship to maternal postpartum depression, and implications for family health 2004-01
[240] 저널 Postpartum depression: identification of women at risk 2000-10
[241] 저널 Perinatal depression: an update and overview. 2014-09
[242] 저널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at 4-weeks postnatal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6-04
[243] 저널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infant temperament
[244] 저널 Correlates of early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2006-03
[245] 문서 사회적 지원 부족이 산후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 결과에서 피력된 바 있다. 1985년 O'Hara의 연구(Field et al. 1985); 갓립(Gotlib et al. 1991) 등이 대표적이다.
[246] 논문 Race/ethnicity and perinatal depressed mood
[247] 논문 Perinat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mong lesbian and bisexual women
[248] 논문 Perinatal mental health in lesbian mothers: a review of potenti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249] 논문 Violence as a Risk Factor for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A Meta-Analysis 2014-04-01
[250] 서적 A Conceptual and Contextual Background for Gender-Based Violence and Depression in Women Springer New York 2013-01-01
[251] 논문 The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among Women with Substance Use, an Abuse History, or Chronic Illness: A Systematic Review http://ezproxy.cul.c[...] 2009
[252] 논문 The Functions of Postpartum Depression
[253] 문서 Beck 1995
[254] 논문 Face-to-face interactions of postpartum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infant pairs at 2 months
[255] 논문 Infant response in the still-face paradigm at 6 months predicts avoidant and secure attachment at 12 months
[256] 논문 Pregnancy problems, postpartum depression, and early mother€“infant interactions
[257]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ole attainment and postpartum depression http://dx.doi.org/10[...] Taylor and Francis 1998-01-02
[258] 논문 The impact of postpartum depressed mood on mother-infant interaction: Like mother like baby?
[259] 문서 Jennings et al. 1999
[260] 논문 Intersubjectivity, object relations theory, and empirical evidence from mother-infant interactions
[261] 논문 The impact of postpartum depression on child development
[262]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263] 웹사이트 http://www.webmd.com[...]
[264] 논문 Clinical practice. Postpartum depression. 2002-07-18
[265] 논문 Postpartum psychosis: detection of risk and management 20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