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인은 현생 인류가 신석기 시대부터 거주하며, 삼성 신화에 따라 탐라국이 건국된 제주도 사람들을 지칭한다. 탐라국은 백제, 신라 등과 교역하며 성장하다 고려에 복속되었고, 조선 시대에 지방 자치권을 유지하다 멸망했다. 제주도는 독자적인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제주어는 유네스코에 의해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 제주 4·3 사건은 제주인들에게 큰 상처를 남겼으며, 현재까지도 그 역사의 아픔을 기억하고 있다. 제주 출신의 주요 인물로는 배우, 가수, 정치인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민족 - 러시아계 한국인
    러시아계 한국인은 한국에 거주하거나 귀화한 러시아 혈통의 사람들을 지칭하며, 1884년 한러수호통상조약 이후 거주가 시작되었고 1990년 수교 이후 유입이 증가하였으며, 서울 광희동, 부산 중앙동 등에 주로 거주하고 박노자, 신의손, 데니스 락티오노프 등이 귀화했으며, 소련 붕괴 이후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신자를 위한 예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 동아시아의 원주민 - 구미계 도민
    구미계 도민은 오가사와라 제도에 거주하며 미국인 및 유럽인 이주자를 조상으로 둔 사람들로, 일본의 개척 통고 이후 일본인과 함께 공존하며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한다.
  • 한국 사람 - 한민족
    한민족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거주하며, 남한에서는 '한민족' 또는 '한국인', 북한에서는 '조선민족' 또는 '조선인'으로 불리고, 동북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삼국시대 이후 다양한 민족의 혼합을 거쳐 형성되었으며, 한국어와 유교, 불교, 샤머니즘 등의 문화를 공유하지만 남북 분단 이후 문화적 변화를 겪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약 8천만 명의 인구가 분포하며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해 있다.
  • 한국 사람 - 한국의 유대인
    21세기 대한민국에는 러일 전쟁과 6.25 전쟁 이후 미군을 중심으로 정착한 유대인들이 거주하며, 국제 결혼, 유학, 취업 등으로 공동체가 확대되어 서울을 중심으로 유대교 회당과 문화 시설이 운영되고 있지만, 일부 부정적 인식과 혐오 발언에 대한 사회적 경계와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제주인
제주인
제주 해녀
언어제주어, 한국어 (표준어)
종교한국 샤머니즘, 기독교, 불교
관련 민족한국인
인구600,000명
민족 정보 (다른 정보)
민족 계통동아시아인
기원 발상제주도
근연 민족한반도의 한민족

2. 역사

신석기 초기(약 1만~8천 년 전)부터 제주도에 현생 인류가 살았다. 삼성 신화에 따르면 한라산 북쪽 기슭의 삼성혈에서 세 명의 반신이 나타나 제주인들의 시조가 되어 탐라국을 세웠다고 한다.[23][24]

탐라 건국 이후, 서기 1세기에 탐라인들은 백제, 신라 등 한반도 국가, 중국, 야요이 시대 일본, 동남아시아, 남인도와 활발한 교역을 시작했다. 탐라는 백제와 신라의 조공국이 되었고, 이후 조선에 병합되었다.[7][8]

탐라는 935년 신라 멸망 후 잠시 독립했으나, 938년 고려에 복속되었고 1105년 정식으로 병합되었다. 그러나 1404년 조선 태종이 중앙 통제를 강화하며 탐라국을 멸망시킬 때까지 지방 자치권을 유지했다. 탐라 말기인 1274년 제주도에서 삼별초의 난이 일어났다.[27] 원나라가 삼별초를 진압한 후 탐라총관부를 설치해 탐라인들을 통치하기도 했으나, 목호의 난 진압 후 고려의 영역으로 돌아왔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일본은 제주도를 포함한 대한제국을 병합했고, 이는 섬 주민들에게 고난과 궁핍의 시기를 가져왔다. 많은 제주도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한반도나 일본으로 이주해야 했다. 제주도민들은 일제강점기 동안 한국 독립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0]

광복 이후, 제주도에서는 제주 4·3 사건이 발생하여 많은 제주도민들이 희생되고 일부는 일본으로 피난을 가기도 했다.[29] 2006년, 대한민국 정부는 제주 4·3 사건에 대해 사과하고 배상을 약속했으며,[30] 2019년에는 경찰과 국방부도 처음으로 사과했다.[31]

2. 1. 기원

현생 인류는 이미 신석기 초기(약 1만~8천 년 전)부터 제주도에 살았다. 삼성 신화에 따르면 한라산 북쪽 경사면에 있던 삼성혈에서 세 명의 반신이 출몰하여 제주인들의 시조가 되어 탐라국을 세웠다고 한다.[23][24]

2. 2. 탐라국 시대

탐라의 건국이나 초기 역사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없다.

탐라 건국 이후, 서기 1세기에 탐라인들은 백제, 신라 등 한반도, 중국, 야요이 시대 일본, 동남아시아, 그리고 남인도와 활발한 교역을 시작했다. 이후 탐라는 백제와 신라의 조공국이 되었고, 뒤이어 조선에 병합되었다.[7][8]

2. 3. 고려 시대

탐라는 935년 신라 멸망 후 잠시 독립을 되찾았다. 그러나 938년 고려에 복속되었고, 1105년 정식으로 병합되었다. 그러나 왕국은 1404년 조선 태종이 확고한 중앙 통제하에 들어가 탐라국을 멸망시킬 때까지 지방 자치권을 유지했다. 탐라 말년에 일어난 흥미로운 사건 중 하나는 1274년 제주도에서 발생한 삼별초의 난이다.[27] 원나라가 삼별초를 진압한 이후에는 탐라총관부가 설치되어 탐라인들을 통치하기도 하였으나, 목호의 난 진압 이후 고려의 영역으로 돌아왔다.

2. 4. 일제강점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일본은 제주도를 포함한 대한제국을 병합했고, 이는 섬 주민들에게 고난과 궁핍의 시기를 가져왔다. 많은 제주도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한반도나 일본으로 이주해야 했다. 제주도민들은 일제강점기 동안 한국 독립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0]

2. 5. 광복 이후

광복 이후, 제주도에서는 여러 사건이 발생했다. 특히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제주 4·3 사건은 제주도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쳐, 많은 이들이 희생되고 일부는 일본으로 피난을 가기도 했다.[29]

2006년, 대한민국 정부는 제주 4·3 사건에 대해 사과하고 배상을 약속했으며,[30] 2019년에는 경찰과 국방부도 처음으로 사과했다.[31]

2. 5. 1. 제주 4·3 사건

1948년 4월 3일, 제주도의 공산주의자들은 한국 지배를 위한 이념 투쟁과 지방 당국에 대한 섬 주민들의 다양한 불만을 배경으로 경찰서와 관청을 습격했다. 그에 대한 잔인하고 종종 무차별적인 진압으로 인해 수만 명의 마을 주민과 급진 공산주의자들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더욱이 대한민국 정부의 조치로 인해 최대 4만 명의 제주인들이 일본으로 피난해야 했다.[29]

2006년, 제주 4·3 사건 발생 이후 60년 가까이 대한민국 정부는 살인에 대한 책임을 사과하고 배상을 약속했다.[30] 2019년 대한민국 경찰과 국방부는 학살에 대해 처음으로 사과했다.[31]

3. 문화

제주인들은 한반도의 한민족과는 다른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다. 제주도는 수천 가지의 고유한 지역 전설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아마도 가장 독특한 문화 유물은 섬 전체에 걸쳐 현무암 블록으로 조각된 돌하르방일 것이다.[32]

3. 1. 언어

제주어는 제주인들의 토착어이다. 유네스코는 제주어를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분류했으며,[33] 대부분의 화자는 노인이다. 젊은 세대는 표준 한국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한국 정부의 교육 제도가 제주어 학교를 허용하지 않고, 특히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과 같은 독재 시대에 제주어 사용을 억압해왔기 때문이다.[34]

국립국어원교육부를 포함한 한국 정부는 제주어가 표준 한국어나 다른 어떤 한국어와도 상호 이해가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제주어를 한국어 방언, 특히 "이해할 수 없는 한국어 방언"으로 분류하고 있다.[35][36]

2000년대 이후 한국의 학술지 대부분은 '제주어'라는 용어를 사투리로 받아들이지 않고 '제주어'로 바꿨다. 2019년에 발간된 제주에 관한 유일한 영문 논문에서도 일관되게 제주어를 언어로 언급하고 있다. 원어민들 사이에서는 '제주말'이라는 용어가 가장 일반적이다.[36]

3. 2. 종교

무속신앙은 제주도의 토착 종교이며 그 가르침은 유교불교와 혼합되어 있다. 제주도는 무속신앙이 가장 고스란히 남아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37] 제주도에서 행해지는 다른 종교로는 주류 불교와 기독교가 있다.

4. 주요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육지에 살아도 마음은 강정에...'강정사랑 제주사름' 출범 https://www.jejusori[...] 2024-03-23
[2] 웹사이트 Jeju Special Autonomous Province http://english.jeju.[...] 2012-05-16
[3] 웹사이트 Beyond tangerines and beaches: Jeju's unique culture https://www.koreaher[...] 2011-11-13
[4]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Ethnic and National Groups around the World Greenwood Press 2002
[5] 웹사이트 Jeju (Cheju) Island Travel Information: Samseonghyeol http://www.lifeinkor[...] 2014-07-30
[6] 문서 Sources of Korean Tradition, Volume I: From Early Times Through the Sixteenth Century Columbia University Press
[7] 서적 朝鮮の領土:【分析・資料・文献】 三和書籍
[8] 서적 韓国人に不都合な半島の歴史 PHP研究所
[9] 웹사이트 Tamna timeline http://www.jejugo.co[...] Jeju-gossi 2011-02-23
[10] 문서 Jeju Island: Reaching to the Core of Beauty The Korea Foundation
[11] 문서 The 1948 Cheju-do Civil War http://www.kimsoft.c[...] 2014-04-21
[12] 간행물 Korean Politics: The Quest for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Cornell University Press
[13] 뉴스 South Korean police apologize and army expresses regret for 1948 Jeju massacres https://www.japantim[...] 2019-05-20
[14] 웹사이트 What Are Jeju Island's Dol Hareubang? https://theculturetr[...] 2018-07-23
[15]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9-12-07
[16] 서적 Heritage Language Policies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9
[17] 웹사이트 Studying Jeju Island's endangered language https://www.koreatim[...] 2019-12-31
[18] 웹사이트 Korea's other language — Jejueo / Jejumal (제주어 / 제주말) https://thelanguagec[...] 2020-05-12
[19] 문서 Folk-Religion: The Customs in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 웹인용 Jeju Special Autonomous Province http://english.jeju.[...] 2012-05-16
[21] 웹인용 Beyond tangerines and beaches: Jeju's unique culture https://www.koreaher[...] 2022-04-10
[22]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Ethnic and National Groups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2002
[23] 웹인용 Jeju (Cheju) Island Travel Information: Samseonghyeol http://www.lifeinkor[...] 2014-07-30
[24] 문서 Sources of Korean Tradition, Volume I: From Early Times Through the Sixteenth Centu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5] 서적 朝鮮の領土:【分析・資料・文献】 三和書籍
[26] 서적 韓国人に不都合な半島の歴史 PHP研究所
[27] 웹사이트 Tamna timeline http://www.jejugo.co[...] Jeju-gossi 2011-02-23
[28] 문서 Jeju Island: Reaching to the Core of Beauty The Korea Foundation
[29] 웹인용 Ghosts Of Cheju http://www.newsweek.[...] newsweek 2009-03-30
[30] 저널 Korean Politics: The Quest for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31] 뉴스 South Korean police apologize and army expresses regret for 1948 Jeju massacres https://www.japantim[...] 2019-05-20
[32] 웹인용 What Are Jeju Island's Dol Hareubang? https://theculturetr[...] 2022-04-10
[33] 웹인용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9-12-07
[34] 서적 Heritage Language Policies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9
[35] 웹인용 Studying Jeju Island's endangered language https://www.koreatim[...] 2022-04-10
[36] 웹인용 "Korea's other language — Jejueo / Jejumal (제주어 / 제주말)" https://thelanguagec[...] 2020-05-12
[37] 서적 Folk-Religion: The Customs in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