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남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남대학교는 1956년 미국 남장로교 한국선교회에 의해 대전기독 학관으로 설립되어, 1959년 대전대학교로 승격되었다. 1970년 숭실대학교와 통합하여 숭전대학교로 운영되다가, 1982년 현재의 한남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현재 5개 대학원, 9개 단과대학, 1개 독립학부, 54개 학과를 운영하며, 48개국 270개 대학과 교류하고 있다. 대전·충청 지역을 대표하는 사립대학으로, 캠퍼스혁신파크, 창업중심대학 사업 등에 선정되었으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남대학교 - 윌리엄 린튼
    윌리엄 린튼은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로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교육 및 의료 선교 활동에 헌신하며 군산영명학교, 전주신흥고등학교, 기전여학교 교장을 역임했고 3.1운동의 실상을 알렸으며 신사참배 거부로 추방 후 광복 후 돌아와 대전대학을 설립하고 초대 학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건국훈장을 수여했다.
  • 대전 대덕구의 학교 - 대전신학대학교
    대전신학대학교는 대전광역시 오정동에 위치한 사립 신학대학교로, 1954년 대전야간신학교로 개교하여 장로회신학대학교 부설 신학교로 병합되기도 했으나, 1992년 장로회대전신학교로 개편되었고 2008년 대전신학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신학과 단일 학과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한다.
  • 대전 대덕구의 학교 - 대전원명학교
    1948년 대전원명중학교로 개교한 대전원명학교는 대전원명여자고등학교, 대전원명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원명고등학교를 거쳐 2018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남녀공학으로 대전광역시 대흥동에서 유성구 덕명동으로 이전했다.
  • 대전광역시의 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대전광역시의 대학교 -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는 1952년 대한민국 최초의 도립 종합대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대전 보운캠퍼스에서 시작, 국립대학교로 독립 후 대덕캠퍼스로 이전하며 성장하여 현재 다양한 학문 분야와 국내외 교류를 갖춘 종합대학교이다.
한남대학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대학 이름한남대학교
영어 이름Hannam University
표어진리, 자유, 봉사
설립일1956년 4월 15일
개교일1956년 4월 15일
종류사립, 종합대학
설립자윌리엄 린튼
총장이승철
국가대한민국
위치오정캠퍼스
대전광역시 대덕구 한남로 70
대덕밸리캠퍼스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646
웹사이트한남대학교 홈페이지
소속ACUCA
종교장로교
학교법인대전기독학원
캠퍼스도심 (대전 캠퍼스)
주소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 33 (306-791)
규모
캠퍼스2개 캠퍼스
단과대학9개
대학원5개
학부생10,853명
대학원생1,032명
총 학생수17,963명 (2023년)
전임교원406명 (2023년)
기타교원519명 (2023년)
상징
교목소나무
교화자목련
상징 동물황금독수리
총장 메시지
총장이광섭
메시지총장 메시지

2. 역사

한남대학교 본관. 한남대학교 초대총장인 윌리엄 린턴 기념관이라고 불리며, 학교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윌리엄 올더먼 린턴은 1959년 2월 대전대학 초대 총장으로 취임했다.[2] 대전대학교는 외국어 및 기초과학 교육에 힘썼으며, 외국인 교수를 확보하고 충분한 실험실습 경험을 갖추고 있었다.[3]

1983년 대전캠퍼스가 분리되어 한남대학교가 새롭게 출발했으며, 1985년 11월 종합대학으로 개편되면서 이원술(Lee Won-Sul)이 초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2. 1. 대전대학 (1956 ~ 1970)



1956년 4월, 재단법인 미국 남장로교 한국선교회 유지재단(이사장 인돈)에 의해 4년제 대전기독학관으로 설립되었다. 1959년 4월, 정규 대학으로 승격되어 대전대학 인가를 받고 초대 학장에 인돈 박사가 취임하였다(성문, 영문, 화학, 수물학과 정원 480명).

1959년 2월, 윌리엄 올더먼 린턴이 대전대학교 초대 총장으로 취임했다.[2] 대전대학교는 외국어 및 기초과학 교육에 힘썼으며, 외국인 교수를 확보하고 충분한 실험실습 경험을 갖추고 있었다.[3]

2. 2. 숭전대학교 (1971 ~ 1982)

1970년 9월, 소수 정예의 질적 교육에 치중하던 본교는 설립 목적과 이념이 동일한 서울 소재 숭실대학교와 통합, 교명을 숭전대학교(숭실의 ‘崇’ 자와 대전의 ‘田’ 자를 택함)로 하고 한국 최초의 양 캠퍼스 체제로 운영되었다.

2. 3. 한남대학교 (1982 ~ 현재)

1982년 12월, 지역사회와 구성원들의 요구에 의해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을 설립하고 교명을 한남대학으로 개칭하였다. 1983년부터 대전캠퍼스가 분리되어 한남대학교가 새롭게 출발했으며, 1985년 11월 종합대학으로 개편되면서 이원술(Lee Won-Sul)이 초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한남대학교는 5개 대학원, 9개 단과대학, 1개 독립학부, 54개 학과(전공)를 갖추고 있으며, 부속기관 5개, 부설연구원 2개, 정책연구소 11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세계 48개국에 270개 자매 대학과 교류하고 있다. 교지는 총 130000m2이며, 교사는 총 38000m2이다. 부대시설로는 1,600명을 수용하는 성지관(대강당)과 첨단강의동을 갖춘 56주년기념관, 전국 대학 최초 FIFA 2스타 공인 잔디구장인 종합운동장 등이 있다. 2005년에는 대덕연구단지의 중심에 28000m2 규모의 대덕밸리 캠퍼스를 조성하였다. 2024년까지 캠퍼스 내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해 정보통신, 문화 콘텐츠, 바이오 기술 등을 중심으로 250개 기업을 입주시키고 1500개 일자리를 창출하여 산학연 협력 거점 대학의 기능을 수행할 계획이다.

3. 교육

한남대학교는 9개 단과대학, 1개 독립학부, 54개 학과(전공)로 구성되어 있다.[6]


  • 인문대학(College of Liberal Arts)
  • 사범대학(College of Education)
  • 자연과학대학(College of Natural Sciences)
  • 공과대학(College of Engineering)
  • 경상대학(College of Economics & Business Administration)
  • 법과대학(College of Law)
  • 사회과학대학(College of Social Sciences)
  • 예술대학(College of Art & Design)
  • 생명나노과학대학(College of Life Science & Nanotechnology)
  • 린튼 글로벌 칼리지(Linton Global College)
  • 야간대학(Night College)

3. 1. 학부























한남대학교는 9개 단과대학, 1개 독립학부, 54개 학과(전공)로 구성되어 있다.[6] 각 단과대학별 학과는 다음과 같다.

단과대학학과
문과대학국어국문·창작학과, 영어영문학과, 응용영어콘텐츠학과, 외국어문학부(일어일문학전공, 프랑스어문학전공), 문헌정보학과, 사학과, 기독교학과
사범대학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교육학과, 역사교육과, 미술교육과, 수학교육과
공과대학정보통신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멀티미디어공학과, 건축학과(5년제), 토목·건축공학부(건축공학전공, 토목환경공학전공),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과
경상대학경영학과, 회계학과, 무역물류학과, 경제학과, 중국경제통상학과, 호텔항공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사회과학대학법학부(법학전공, 법무법학전공), 행정학과, 경찰학과, 정치·언론학과, 사회복지학과, 아동복지학과, 상담심리학과, 사회적경제기업학과
생명·나노과학대학생명시스템과학과, 식품영양학과, 간호학과, 스포츠과학과, 화학과, 바이오제약공학과
스마트융합대학컴퓨터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AI융합학과, 수학과, 빅데이터응용학과
아트&디자인 테크놀로지 대학융합디자인학과, 회화과, 패션디자인학과, 미디어영상학과
탈메이지 교양·융합대학교양학부, 창의융합학부, 자유전공학부, 한남디자인팩토리
린튼글로벌스쿨글로벌비즈니스전공, 글로벌미디어·컬처전공


3. 2. 대학원



한남대학교 대학원은 일반대학원과 4개의 특수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대학원은 석사학위 44과정, 박사학위 42과정을 제공한다.[7] 특수대학원으로는 교육대학원, 미래인재대학원, 문화예술대학원, 학제신학대학원, 국방전략대학원이 있다.

4. 국제 교류


4. 1. 글로벌 네트워크

한남대학교는 1978년 10월 일본 시코쿠가쿠인 대학을 시작으로 현재 세계 48개국 270개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학술 정보 및 자료를 교환하며 활발한 국제 교류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매년 300여 명의 교류 학생을 선발하여 자매 대학에 연수를 보내고, 교직원 해외 연수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한남대학교는 미국장로교대학연맹(APCU) 정회원(66개교)이며, 아시아기독교대학협회(ACUCA) 협력대학(63개교)이다.

한남대학교 해외 자매대학 및 기관 현황


대륙국가대학 수
아시아중국 60개, 필리핀 36개, 일본 18개, 몽골 6개, 대만 7개, 인도 9개, 베트남 19개, 인도네시아 7개, 태국 3개, 싱가포르 1개, 방글라데시 1개, 캄보디아 1개, 키르기스스탄 4개, 우즈베키스탄 1개, 말레이시아 2개, 미얀마 2개, 카자흐스탄 1개, 파키스탄 1개178개
아프리카우간다 1개, 모로코 1개, 에티오피아 1개, 말라위 1개, 케냐 1개5개
유럽영국 4개, 프랑스 2개, 독일 3개, 네덜란드 1개, 러시아 2개, 루마니아 1개, 리투아니아 1개, 몰도바 1개, 스웨덴 1개, 체코 1개, 포르투갈 1개, 우크라이나 1개20개
남아메리카에콰도르 1개, 칠레 1개, 콜롬비아 3개, 브라질 1개, 코스타리카 1개, 푸에르토리코 1개, 페루 1개9개
북아메리카미국 45개, 캐나다 5개50개
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 4개, 뉴질랜드 1개5개
중동튀르키예 2개, 이란 1개3개
총계48개국270개


4. 2. 국제 교류 프로그램

한남대학교는 1978년 10월 일본 시코쿠가쿠인 대학을 시작으로 현재 세계 48개국 270개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학술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며, 활발한 국제 교류를 추진하고 있다.[1] 특히, 해마다 300여 명씩 교류학생을 선발하여 자매 대학에 연수를 보내고 있으며, 교직원 해외 연수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1]

외국인 학생 대상 프로그램으로는 한국어교육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어 연수 과정과 여름 방학 중 외국어로 진행하는 한국 문화 연수 프로그램(KSSP), 국제학생 도우미 제도 등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와 생활 지원 등 각종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1]

국제화 시대에 필수적인 어학 능력과 폭넓은 안목을 지닌 인재 양성을 위해 여름 및 겨울 방학 기간 중 해외 단기 어학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해외 단기 어학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재학생들에게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해외에서 3~8주 간 외국어를 학습하고 문화를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1]

'복수학위'는 본교와 캐나다 Providence 대학에서 각각 학사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이다. 국내와 세계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본교에서 3년, Providence 대학에서 1년을 이수한 학생은 한남대학교에서는 전공 과목의 학위를, Providence 대학에서는 Bachelor of Arts in General Studies 학위를 받게 된다.[1]

한남대학교는 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세계 48개국 270개 대학과의 자매결연을 통해 국제 전문가를 양성하는 다양한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한남대학교는 미국, 호주, 캐나다, 필리핀, 일본, 중국 등 해외 자매 대학에 연간 300여 명의 교류학생을 파견하여 학생들의 외국어 능력 및 국제화 감각 배양에 힘쓰고 있다. 교류학생 제도는 본교 등록금만 납부하고 해외 자매 대학에서 6개월에서 1년간 수학하여 학점을 인정받는 프로그램이며, 휴학으로 인한 학기 손실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유학이 가능한 제도이다.[1]

5. 성과 및 특성화

한남대학교는 여러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특히 창업 및 취업 지원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 대학 평가 및 인증: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대학평가원의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모든 조건을 충족하여 인증을 받았다.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의 2021년 제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는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어 3년간 약 1500억을 지원받는다.
  • 주요 사업 선정: 교육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공동 주관 캠퍼스혁신파크 선도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대덕연구개발특구 등과 연계해 지역 산업 구조 첨단화를 이끌 계획이다.[1] 2023년에는 대전에서 유일하게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창업중심대학 사업에 선정되어 지역 창업 활성화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1]
  • 특성화 프로그램: Providence영어 대학과의 복수학위 제도를 운영하여, 양 대학에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캠퍼스혁신파크 선도사업을 통해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2019년에는 국내 대학 최초로 Design Thinking영어 기반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5. 1. 대학 평가 및 인증

오른쪽


한남대학교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대학평가원이 주관하는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 본평가 및 모니터링 평가에서 30개 준거를 모두 충족하여 인증을 획득하였다. 대학기관평가인증제는 대학이 교육기관으로서 기본요건을 충족하고 있는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공표함으로써 사회적 신뢰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오른쪽


한남대학교는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에서 주관하는 2021년 제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대학의 공공성과 자율성을 확대하고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여 대학의 발전을 지원하도록 하는 대학혁신지원사업과 연계되며, 3년간 약 1500억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5. 2. 주요 사업 선정

한남대학교는 교육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진행한 캠퍼스혁신파크 선도사업 공모에 선정되었다. 2024년까지 캠퍼스 내 부지에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여, 대덕연구개발특구 등과 연계해 지역산업구조 첨단화를 이끌 계획이다.[1]



2023년에는 대전에서 유일하게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창업중심대학 사업에 선정되어, 지역 창업 활성화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창업 7년 이내 기업에게 사업화 자금 및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2022 창업교육 우수대학' 및 '2022 벤처창업진흥 유공포상'에서 교육부장관 및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1]



2021년 대학창업지수 창업지원 및 창업인프라 부문 전국 2위를 달성했으며, 교내에는 학생들이 창업을 경험할 수 있는 '한남 창업클러스터'가 마련되어 있고, 다양한 창업 장학금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1]

2022년에는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거점형) 사업에 선정되어 최대 5년간 총 37.5억을 지원받아 청년 취업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6년부터 2023년까지 8년 연속 사업 평가 '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재학생, 졸업생(졸업 후 2년 이내) 및 지역 청년에게 취업 지원 서비스와 전문 상담을 제공한다.[1]

5. 3. 특성화 프로그램

Providence영어 대학과의 복수학위 제도는 한남대학교와 Providence영어 대학에서 각각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한남대학교에서 3년, Providence영어 대학에서 1년을 이수하여 한남대학교에서는 전공 학위를, Providence영어 대학에서는 Bachelor of Arts in General Studies영어 학위를 받는다.

한남대학교는 교육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동으로 추진한 캠퍼스혁신파크 선도사업 공모에 선정되었다. 2024년까지 캠퍼스 내 부지(20123.6m2)에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여 기업 250개, 일자리 1,500명을 유치하고, 혁신형 기업 45%, 수출기업(1억원 이상) 1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덕연구개발특구, 대전산업단지, 도심융합특구(대전역세권지구, 선화지구), 혁신도시(대전역세권지구, 연축지구)와 연계하여 지역산업구조의 첨단화를 이끌고, ICBT 기반의 창업 및 혁신·성장 산업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700px


한남대학교는 2023년 대전에서 유일하게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창업중심대학 사업에 선정되어 대학발 창업 활성화 및 지역 (예비)창업자 발굴·육성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창업중심대학은 지역 내 유망 창업 아이템을 가진 창업 7년 이내 기업에게 사업화 자금 및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창업기업의 안정화와 성장을 지원한다. 또한, 한남대학교는 4년제 대학으로는 유일하게 ‘2022 창업교육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어 교육부장관 표창과 ‘2022 벤처창업진흥 유공포상’으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는 ‘2021 대학창업지수’ 창업지원 및 창업인프라 부문에서 전국 2위를 달성한 데 이은 성과이다. 한남대학교는 교내에 학생들이 창업을 실제 경험하고 실현해 볼 수 있는 공간인 ‘한남 창업클러스터(창업캠프, 창업마켓)’를 마련하여 창업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다양한 창업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여 창업 활동을 장려하고 있다.

한남 커리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통합적인 학생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해 학년별 맞춤형 진로 지도, 진로·취업 교과목 및 프로그램 지원 체계로 구축되어 있다. 1학년은 진로 탐색, 2학년은 진로 설계, 3학년은 직무 역량 강화, 4/5학년은 구직 기술 함양 등을 지원한다. 또한, 학생경력마일리지시스템을 통해 입학부터 졸업까지 자신의 경력을 스스로 관리하고 계발하여 성공적인 취업을 주도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왼쪽


한남대학교는 2019년 국내 대학 최초로 창의 수업(Design Thinking영어) 기반의 마이크로디그리(Micro Degree)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마이크로디그리는 최소 학점 단위 학위제로, 특정 분야 실무 능력을 창의적으로 키우도록 개설된 교육 과정을 단기간에 집중 이수하면 학사 학위와 별개로 개인 역량을 인증해주는 학위(이수증서)를 발급하는 제도이다.

2022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거점형) 사업에 선정되어 매년 7.5억, 최대 5년간 총 37.5억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다양한 청년 취업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남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사업 평가 8년 연속(일자리센터포함) ‘우수(최고등급)’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전국 116개 사업 수행 대학 가운데 8년 연속 ‘우수’에 선정된 대학은 한남대를 포함해 5개 대학(계명대학교, 동신대학교, 동의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이다. 이 사업은 재학생부터 졸업생(졸업 후 2년 이내) 및 지역 청년까지 필수 취업 지원 서비스 대상에 포함하여 일자리 발굴·매칭 등 직접적 취업 지원 서비스 강화 및 심리 등 연계 전문 상담을 통합 지원하는 청년 특화 원스톱 고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대학 및 지역 특성, 채용·산업 변화 트렌드 등을 반영한 ‘거점형 특화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청년 취업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6. 사회 공헌



한남대학교는 설립 초기부터 지역사회의 사랑과 응원을 받으며 성장해왔다. 이에 보답하고자 교내 축제 수익금 전액을 소외계층에 기부하고, 도시경관 개선을 위한 벽화 그리기에 참여하는 등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활동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거점대학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2]

한남대학교는 대전·충청 지역을 대표하는 사립대학으로, 중도일보의 여론조사(2021년)에서 충청권 지역 대학 대표 인식도 3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기업평판연구소의 대학 브랜드 평판 분석(2019년)에서 전국 31위를 기록했으며, 디트뉴스24(2015년)와 대전일보(2010년)의 여론조사에서도 대전·충청 사립대학 중 브랜드 인지도 1위를 차지했다.[3]

6. 1. 지역사회 협력

한남대학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서 전국 처음으로 대학 주도 사업에 선정되었다. ‘북적북적 오정&한남 청춘 스트리트’는 대덕구와 손잡고 캠퍼스 주변 오정동 일대를 대학 타운으로 개발하며 4년간 총 260억이 투자된다.[1]

한남대학교는 설립 초기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지역사회의 변함없는 사랑과 응원이 있었다. 이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교내 축제 수익금 전액을 소외계층에게 기부하거나 도시경관 개선을 위한 벽화 그리기에 참여하는 등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에 앞장서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거점대학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2]

한남대학교는 대전·충청 지역을 대표하는 사립대학이다. 2021년 창간 70주년을 맞은 중도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제이비플러스에 의뢰해 실시한 충청권 지역 대학 대표 인식조사에서 한남대는 30.2%로 가장 높은 답변을 받았다. 또한 2019년 한국기업평판연구소의 대학 브랜드 평판 분석에서 전국 31위에 올랐고, 디트뉴스24(2015년)와 대전일보(2010년)의 여론조사에서도 대전·충청 사립대학 중 브랜드 인지도 1위를 차지한 바 있다.[3]

6. 2. 학생 중심 교육

가운데


한남대학교는 참여형 교육 및 학생과의 소통을 통한 양방향 교육 도입을 통해 자기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론 중심적 수업방식을 문제해결형 수업방식으로 전환해 학생주도형 학습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또한 창의적인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과정을 추가 개발하여 다변화되는 지식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교육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한남대학교는 재학생 및 교직원이 주인인 학교를 만들어 가기 위해 열린 총장실을 운영하고 있다. 열린 총장실은 총장과 구성원 간의 직접적인 의사소통창구로서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는 열린 공간이다.

7. 캠퍼스



오정동 선교사 사택은 캠퍼스 내에서 '린튼 아카데미'로 불리며, 경제대학 뒤편에 있다. 1955년부터 1958년까지 선교사들이 거주했던 곳으로, 대전광역시에서는 1955년에 지어진 세 건물 중 마지막 세 동을 문화재자료 제44호로 지정하였다.[8]

7. 1. 캠퍼스 환경

700px


700px


700px

7. 2. 오정동 선교사촌 (인돈학술원)

'''오정동 선교사촌'''은 교내에서 '''인돈학술원'''(Linton Academy영어)이라 불리는 곳으로, 경상대학 뒤편에 자리잡고 있다.[8] 1955년부터 1958년까지 선교사들이 거주했던 곳으로, 대전광역시에서는 1955년에 지어진 맨 뒤편의 세 채를 문화재자료 제44호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세 채 중 가운데 건물은 인돈학술원으로 실제로 활용하고 있다.

8. 저명한 동문

참조

[1] 웹사이트 Message from the President http://int.hnu.kr/en[...] 2020-03-01
[2] 웹사이트 History http://int.hnu.kr/en[...] 2023-06-28
[3] 웹사이트 Hannam University, encyKorea https://terms.naver.[...]
[4] 웹사이트 HANNAM UNIVERSITY Linton Global College http://globalcollege[...] 2010-03-27
[5] 웹인용 한눈에 보는 한남대학교 http://www.hannam.ac[...] 2021-09-23
[6] 웹인용 대학 http://www.hannam.ac[...] 2022-06-20
[7] 웹인용 대학원 http://www.hannam.ac[...] 2022-05-26
[8] 뉴스 대전 인돈학술원… 동·서양 조화 건축물엔 선교사 애환 서려 http://media.daum.ne[...] 국민일보 2010-03-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