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뮌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뮌덴은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풀다강과 베라강이 합류하여 베저강을 이루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802년 문서에 'Gimundi'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1247년 시장 개설권을 획득하며 상업 도시로 발전했다. 프랑스의 발명가 드니 파팽이 증기 펌프 외륜선을 시연한 곳이며, 프로이센 왕립 임업 아카데미가 위치했던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30년 전쟁과 7년 전쟁,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도시가 파괴되기도 했으며, 19세기에는 철도망이 구축되었다. 현재는 니더작센 경찰 아카데미 분교와 다양한 산업 시설이 위치해 있으며, 역사적인 구시가지와 베저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 그리고 세 강이 만나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바탕으로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쉬렌느, 홀론, 헤움노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더작센주의 도시 - 슈타우펜베르크 (니더작센주)
슈타우펜베르크는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하며, 10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고, 지히얼른슈타인 성, 성 페트루스 교회, 히유넨펠트 등의 유적과 아우토반 A7호선, 할레-카셀 철도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헝가리의 푸스타사볼치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니더작센주의 도시 - 고슬라어
독일 니더작센주 하르츠 산맥 북쪽 기슭에 위치한 고슬라는 람멜스베르크 광산 개발로 중세 시대부터 번성하여 신성 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로 기능했으며, 역사적인 구시가지와 광산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현재는 관광 및 컨퍼런스 중심지로 발전했다.
한뮌덴 | |
---|---|
기본 정보 | |
![]() | |
![]() | |
위치 | 51° 25′ N 09° 39′ E |
![]() | |
위치 | 독일 니더작센주 |
면적 | 121.12 km² |
우편 번호 | 34346 |
지역 번호 | 05541 |
차량 번호판 | GÖ, DUD, HMÜ |
지방 자치체 코드 | 03159017 |
웹사이트 | www.hann.muenden.de |
행정 | |
시장 | 토비아스 다넨베르크 |
임기 | 2021–2026 |
소속 정당 | CDU |
하위 행정 구역 | 11개 구역 |
지리 | |
해발 고도 | 123 m |
2. 역사
이 지역은 802년 풀다 수도원에 기증된 문서에 'Gimundi'로 처음 언급되었다.[2] 도시의 이름은 고대 독일어로 "합류"를 의미한다. 19세기에 도시를 비슷한 이름을 가진 프로이센 이웃인 민덴과 구별하기 위해 "하노버"를 뜻하는 접두사 'Hannoversch'가 추가되었다.
12세기 후반에 도시 권한이 부여되었을 수 있다.[2]
1525년 에리히 1세와의 결혼으로 엘리자베트 폰 브란덴부르크는 한뮌덴을 노후 보장분으로 받았다. 그녀는 종교 개혁 이념에 관심을 가졌으며, 안톤 콜비누스를 초청했다. 1540년부터 1545년까지 섭정으로서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화의 이전부터 프로테스탄트 사상을 도입했다.
30년 전쟁 당시 1626년 "피의 성령강림절"에 틸리 백작의 군대에 며칠간 포격 끝에 점령되었고, 주민 대부분이 살해되었다.[18]
7년 전쟁에서는 1757년부터 1762년까지 프랑스군에 점령되었다.[19]
1776년 헤센-카셀 방백프리드리히 2세가 하노버 선제후이자 영국 왕조지 3세에게 빌려준 약 2만 명의 병사가 뮌덴에서 배를 탔다.[20] 이들은 미국 독립 전쟁에서 미국군과 싸웠다.
프랑스 발명가 드니 파팽은 증기 펌프 동력의 외륜선을 건조했는데, 1707년에는 이를 시연하기 위해 카셀에서 뮌덴까지 풀다강을 따라 항해했다.[3]
1856년 5월 8일, 한뮌덴은 하노버 남부 철도를 통해 처음으로 철도망과 연결되었다.[8]
1868년 빌헬름 1세는 프로이센 왕립 뮌덴 임업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1870년에는 수목원이 개원했다. 이 아카데미는 1922년 임업 단과대학으로 개명되었고, 1939년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대학교 괴팅겐에 임학부로 편입되었다가 1970년/1971년에 괴팅겐으로 이전했다.[4]
1933년 3월 30일, 아돌프 히틀러는 이 도시에 명예 시민권을 수여받았으나, 2008년 3월 27일 시의회는 만장일치로 이 명예 시민권을 박탈했다.[21]
1938년 수정의 밤 사건으로 한뮌덴의 유대교 회당이 심각하게 훼손되었고, 1942년에는 남아 있던 유대인 주민들이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어 126명이 살해되었다.[22]
제2차 세계 대전 중, 한뮌덴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직접적인 전쟁 피해나 전투를 겪지 않았다. 1945년 4월 6일과 7일, 두 차례의 폭격을 받았다. 얄타 회담에 따라 이 도시는 영국의 점령 지역에 속하게 되었고, 1945년 5월 20일 영국군이 입성했다.
1946년 6월 11일, 한뮌덴의 경찰 학교에서 첫 번째 과정이 시작되었다. 1947년 1월 1일부터 니더작센 주 경찰 학교, 이후 니더작센 주 경찰학교로 개명되었다.
2. 1. 초기 정착과 도시 형성 (800년 ~ 1200년)
이 지역은 802년 풀다 수도원에 기증된 문서에 'Gimundi'로 처음 언급되었다.[2] 'Gimundi'는 고대 독일어로 '합류'를 의미한다. 1183년의 사료에 남겨진 최초의 문헌상 기록은 이 도시가 그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이 선구적인 정착지 Gimundi는 현재 알트뮌덴의 위치에 있었다. 이 마을은 802년경 풀다 수도원과 코르바이 수도원의 제국 수도원에 기증되었다. 1049년에는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3세가 이곳에 머물렀다.[14] 알트뮌덴(Altmünden) 지구에는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존속했던 성 라우렌티우스 교회의 유적이 남아있으며, 이 교회는 30년 전쟁으로 파괴되었다.2. 2. 시장 개최권과 종교 개혁 (1200년 ~ 1600년)
1247년, 한뮌덴은 시장 개설권을 받았다. 이는 이 도시에 큰 발전을 가져왔다[15]。16세기에 한뮌덴은 베저 강을 통한 수운 무역의 중심지로, 특히 튀링겐의 상품을 브레멘까지 운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거래된 상품으로는 당시 중요한 푸른 염료였던 워드, 유리, 섬유 제품, 튀링겐에서 온 목재로 만든 뗏목, 곡물 등이 있었다. 북해에서는 청어와 기타 생선이 베저 강을 거슬러 올라와 운반되었다.1525년 칼렌베르크=괴팅겐 후작 에리히 1세와의 결혼으로 엘리자베트 폰 브란덴부르크는 한뮌덴을 노후 보장분으로 받았다. 엘리자베트는 일찍부터 종교 개혁 이념에 관심을 가졌으며, 종교 개혁가 안톤 콜비누스를 한뮌덴으로 초청했다. 1540년부터 1545년까지 그녀는 에리히 1세의 미망인이자 미성년 아들 에리히 2세의 섭정으로서,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화의 이전부터 프로테스탄트 사상을 도입했다.
2. 3. 30년 전쟁과 절대 왕정 (1600년 ~ 1800년)
30년 전쟁 당시 틸리 백작의 군대에 1626년 6월 9일(그레고리력) "피의 성령강림절"에 며칠간의 포격 끝에 점령되었고, 주민 대부분이 살해되었다.[18]7년 전쟁에서는 1757년부터 1762년까지 프랑스군에 점령되었다.[19]
1776년 헤센-카셀 방백프리드리히 2세가 하노버 선제후이자 영국 왕조지 3세에게 빌려준 약 2만 명의 병사가 뮌덴에서 배를 탔다.[20] 이들은 미국 독립 전쟁에서 미국군과 싸웠다. 1783년 11월, 이 병사들은 뮌덴을 경유하여 귀환했지만, 겨우 절반 정도만이 살아 돌아왔다.
2. 4. 회사 설립 붐과 산업화 (1800년 ~ 1914년)
19세기에는 이 도시에 중요한 여러 회사들이 설립되었다. 1856년에 이미 이 도시는 철도망으로 연결되었다.[2]1868년 프로이센 왕국의 빌헬름 1세는 프로이센 왕립 뮌덴 임업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이 학교는 전통적인 임업 대학으로 발전하여 한뮌덴을 독일 전역 및 국제적으로 알렸다. 1870년에는 수목원이 개원했다. 이 아카데미는 1922년 임업 단과대학(Forstliche Hochschule)으로 개명되었고, 1939년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대학교 괴팅겐에 임학부로 편입되었다. 이 학부는 1970년/1971년에 괴팅겐으로 이전했다.[4]
1855년부터 1972년까지 뮌덴은 당시 뮌덴 군의 군청 소재지였다. 뮌덴 군은 1973년 1월 1일에 괴팅겐 군에 편입되었다.
1909년 2월 초, 1909년 베라 강 홍수가 구시가지의 상당 부분을 물에 잠기게 했다.
1911년 6월 16일, 파르제발 비행선 PL5가 한뮌덴에서 가스를 빼는 작업 중에 화재로 파괴되었다.
2. 5. 국가 사회주의 시대 (1933년 ~ 1945년)
1933년 3월 30일, 아돌프 히틀러는 이 도시에 명예 시민권을 수여받았다. 75년 후인 2008년 3월 27일, 시의회는 만장일치로 이 명예 시민권을 박탈했다.[21]1933년 5월 10일, "반독일 정신에 대한 행동"의 일환으로 임학부의 몇몇 국가 사회주의 학생들은 마르크트 광장에서 분서를 연출했다. 이는 독일의 다른 도시에서도 행해졌다.
1934년 10월 1일, 한뮌덴은 다시 군사 도시가 되었다. 1935년에 건설된 제국 아우토반 (현재의 A7호선)의 베라탈교는 그 후 수년간 유럽 최대의 다리였다.
1938년 수정의 밤 사건은 한뮌덴에도 깊은 상처를 남겼다. 1938년 11월 9일, 한뮌덴의 유대교 회당이 심각하게 훼손되었고, 토라, 시두르, 탈리트가 공개적으로 탄츠베르더에서 소각되었다.[21] 1942년, 도시에 남아 있던 유대인 주민들은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었으며, 이들 중 126명이 강제 수용소에서 살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22]
제2차 세계 대전 중, 한뮌덴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직접적인 전쟁 피해나 전투를 겪지 않았다. 1943년 5월 17일, 채스타이즈 작전으로 에더 강 댐이 폭파되면서 발생한 해일이 도시를 덮쳤다. 이로 인해 도시에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했지만, 다른 도시들과 달리 사망자는 없었다.[23]
1945년 4월 6일과 7일, 한뮌덴은 두 차례의 폭격을 받았다. 이 폭격으로 32명이 사망하고 50명이 중상을 입었다.[24] 앵글로 아메리카 폭격 부대의 공습 목표는 김테 근교의 그나이제나우 병영이었다. 1935년에 완성된 공병 병영에는 전쟁 말기 육군 총사령부의 일부가 주둔하고 있었다. 드란스펠더 램프선의 열차도 폴크마르스호이저 터널 부근에서 폭격을 받았다.[25]

1945년 4월 5일과 6일, 독일 공병대는 침공해 오는 미군이 오래된 베라 강 다리에 도착하기 직전에, 제국 아우토반의 베라탈교를 비롯한 시내의 모든 다리를 폭파했다.[26]
1945년 4월 6일부터 7일에 걸쳐, 미군 제69 보병 사단과 제273 보병 연대가 제777US 전차 대대와 제661US 전차·저격 대대의 전투 지원을 받아 도시를 점령했다. 한뮌덴 근교 전투에서 94명의 독일군, 국민돌격대 대원, 국가노동봉사대 대원, 일반 시민이 사망했으나, 미군의 손실은 없었다.[27] 얄타 회담에 따라 이 도시는 영국의 점령 지역에 속하게 되었고, 1945년 5월 20일 영국군이 입성했다.
2. 6. 철도 건설
1856년 5월 8일, 한뮌덴은 하노버 남부 철도를 통해 처음으로 철도망과 연결되었다. 이 노선은 하노버, 괴팅겐, 드란스펠트를 거쳐 한뮌덴까지 이어졌으며, 같은 해 9월 23일 카셀까지 연장되었다.[8] 아이헨베르크를 경유하는 현재의 노선은 20년 후인 1876년에 개통되었다.[8]괴팅겐에서 출발하여 드란스펠트를 경유하는 노선은 헤센 선제후 영토를 경유하는 직선 노선을 피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이 때문에 18 퍼밀에 달하는 오르막 경사를 감수해야 했다.[8] 이 구간은 1980년에 폐지되어 1995년까지 화물 노선으로 이용되었으며, "드란스펠더 램프"라는 별칭으로 불렸다.[8]
한뮌덴 근처 폴크마르스하우젠 근교에는 터널이 있었는데, 이는 한뮌덴까지 노선을 건설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반이었다. 폴크마르스호이저 터널 건설 동기는 비용을 절감하고 카셀까지 같은 고도로 연결하기 위함이었다.[8]
1876년에는 할레 - 카셀 철도가 영업을 시작하여, 환승역 아이헨베르크를 경유하여 괴팅겐으로 가는 두 번째 연결 노선이 마련되었다.[8]
2. 7. 군사 도시
뮌덴은 군사 도시로서 18세기 초반부터 공병 주둔지로서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1901년 이후 한뮌덴에는 여러 차례 중단을 거치면서 공병 주둔지가 설치되었다. 1934년부터 1945년까지 쿠어헤센 병영에는 제9 공병 대대, 제29 공병 대대, 제49 공병 대대가 주둔했다. 이 부대는 김테 근교의 김터 펠트에 있는 그나이제나우 병영도 이용했다.[4]
독일 연방군 창설 후,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제2 공병 대대(PiBtl 2)가 쿠어헤센 병영에 주둔하였다. 1993년 3월 31일, 제2 공병 대대가 해산되면서 병영 부지는 풀다브뤼크 주택·산업 용지로 이용되고 있다.
2. 8. 경찰 학교/경찰 아카데미
1921년부터 1934년까지 한뮌덴은 프로이센-헤센-나사우 주의 경찰 학교 본부 소재지였다. 이 경찰관 양성 기관은 옛 노이뮌덴의 공병 병영(후의 쿠어헤센 병영)에서 운영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군정의 지시에 따라 하노버 지방 경찰 학교는 현재의 김테 지구 근교에 있는 김터 펠트의 그나이제나우 병영으로 이전되었다.[29] 이 병영에 주둔하고 있던 영국군 대대는 장소를 양보하고 고슬라로 이전했다.[30] 1945년 5월 28일에 경찰 학교의 학생과 시설이 한뮌덴에 도착했다. 1946년 6월 11일에 한뮌덴의 경찰 학교에서 첫 번째 과정이 시작되었다. 이 학교는 1947년 1월 1일부터 니더작센 주 경찰 학교(Polizeischule des Landes Niedersachsen)[29], 그 후 니더작센 주 경찰학교(Landespolizeischule Niedersachsen, LPSN)로 개명되었다.
영국의 관리·감독 하에 이 학교는 니더작센 주 경찰의 현대적인 교육 훈련 기관으로 발전해 갔다. 이 주 경찰 학교는 1970년대에 경찰관 양성 및 계속 교육에 관해 능력 한계까지 기능했다. 하루에 1,200명에서 1,400명이 훈련하는 것도 드문 일이 아니었다.[29]
차세대 경찰관의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LPSN은 1997년 4월 30일에 폐지되었고, 같은 해 5월 1일에 한뮌덴에 본부를 둔 니더작센 경찰 교육 훈련소(BIP NI)가 설립되었다. BIP NI는 니더작센 경찰의 모든 계속 교육을 계획, 조정, 실시했다. 양성 훈련은 행정과 사법에 관한 니더작센 전문대학의 강의 형태로 자체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대학은 힐데스하임에 있으며, 한뮌덴과 올덴부르크에 분교가 있었다.[29]
2007년 10월 1일, 경찰 양성 및 계속 교육 개혁에 따라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행정과 사법을 위한 전문대학의 "경찰 학부"와 경찰 교육 훈련소는 니엔부르크/베저에 본부를 둔 니더작센 경찰 아카데미로 통합되었다.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던 한뮌덴의 학교는 아카데미의 두 분교 중 하나가 되었다.
3. 지리
한뮌덴은 라인하르트의 숲, 브람발트, 카우풍겐의 숲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베저베르크란트와 오스트헤시셰스 베르크란트 북부 지역에 해당한다. 특히 브람발트와 카우풍겐의 숲은 뮌덴 자연 공원에 속한다.
3. 1. 위치
한뮌덴은 니더작센 주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도시이며, 풀다 강과 베라 강이 합류하여 베저 강이 되는 지점에 있다. 합류 지점인 "탄츠베르더"의 베저슈타인이 이를 기록하고 있다.[9] 서쪽과 동쪽 시 경계는 모두 헤센 주와의 경계이다. 행정상의 자치체는 핵심 시가지와 합병된 지구로 구성된다. 각 지구는 3개의 강이 형성하는 계곡의 바닥이나 경사면에 있다. 유일한 예외는 가장 북쪽에 있는 밀렌하우젠 지구이다. 역사적인 구시가지로 구성된 시 중심부는, 군청 소재지인 괴팅겐 남서쪽 23km, 헤센 주의 카셀 북동쪽 17km 지점에 있다. 지역 개발 계획 정책상, 이 도시는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괴팅겐-볼프스부르크 대도시권에 속한다.이 도시는 지리적으로 라인하르트의 숲, 브람발트, 카우풍겐의 숲 접점에 있다. 이 중 처음 두 곳은 베저베르크란트, 마지막 한 곳은 오스트헤시셰스 베르크란트의 북부에 해당한다. 브람발트와 카우풍겐의 숲은 뮌덴 자연 공원의 일부이다.
카우풍겐의 숲에서 흘러나오는 에젤바흐 강이 플로스플라츠 부근에서 풀다 강에, 일크스바흐 강이 레츠텐 헬러 부근에서 베라 강에 합류한다. 브람발트에서 흘러나오는 셰데 강이 힐발츠하우젠 맞은편에서, 니메 강이 부르스펠데 부근에서 베라 강에 합류한다.
한뮌덴의 지리적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9][10]
항목 | 내용 |
---|---|
최저 지점 | 부르스펠데의 베저 강 정박지 부근: 해발 110m |
최고 지점 | 클라이너 슈타인베르크(카우풍겐의 숲): 해발 542m |
시 중심부 고도 | 성 브라지우스 교회 부근: 해발 123m |
민가 최고 지점 | 셰퍼호프: 해발 275m |
3. 2. 구성
구역 종류 | 구역 이름 |
---|---|
핵심 구역 | 알트뮌덴, 블루메, 헤르만스하겐, 인넨슈타트, 노이뮌덴, 위버 데어 반 (갈겐베르크, 포겔장, 카텐뷔르) |
기타 지구 | 보나포르트, 김테 (힐바르츠하우젠 포함), 헤데뮌덴, 헤메른 (브루스펠데 및 글라스휘테 포함), 라우바흐, 리포르츠하우젠, 미렌하우젠, 오베로데, 볼크마르스하우젠, 빌스하우젠 |
3. 3. 인접 시정촌
인접한 시정촌은 풀다탈, 라인하르츠하겐, 셰덴, 슈타우펜베르크, 비첸하우젠이다. 비교적 가까운 큰 도시로는 드란스펠트, 두더슈타트가 있으며, 남서쪽에 위치한 대도시 카셀이 있다.3. 4. 기후
한뮌덴은 연평균 기온과 강수량이 온대 기후의 평균적인 지역에 속한다. 봄, 가을, 겨울에는 중심 시가지의 계곡에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은 -1°C에서 2°C이다. 가장 따뜻한 달은 7월과 8월로, 13°C에서 23°C이다.[11]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2°C | 4°C | 9°C | 13°C | 18°C | 20°C | 23°C | 23°C | 18°C | 13°C | 7°C | 3°C | 12.8°C |
평균 최저 기온 (℃) | -1°C | -1°C | 2°C | 4°C | 8°C | 11°C | 13°C | 13°C | 10°C | 6°C | 2°C | 0°C | 5.6°C |
평균 강수량 (mm) | 52.1mm | 44.1mm | 53.1mm | 54.4mm | 62.9mm | 83.9mm | 68.8mm | 63.6mm | 52.9mm | 48.2mm | 62.2mm | 70.9mm | 717.1mm |
평균 일조 시간 | 28.6 | 62.1 | 95.0 | 132.8 | 189.2 | 175.5 | 186.7 | 184.5 | 128.8 | 103.6 | 36.0 | 22.2 | 1345.0 |
3. 5. 지리적 환경
한뮌덴은 지리적으로 니더작센-베르클란트에 속한다. 풀다 강과 베라 강의 합류점을 포함한 구시가지는 베저 강이 라버넨코프(라인하르트의 숲)와 퀘스텐베르크(뮌덴 시의 숲) 사이를 돌파하기 전의 분지에 위치해 있으며, 그 계곡의 폭은 약 400m이다. 니더작센-베르클란트의 정상과 사면은 트라이아스기에 형성되었다. 많은 지역에서 화산성 현무암이 보이며, 일정한 지역에서는 규암이 확인된다. 중생대에 형성된 뮌덴의 사암 지역에서는 베라 강과 풀다 강의 합류점에서 에더 강이나 풀다 강을 경유하여 운반된 고생대 물질이 퇴적되었다.[13]4. 행정
기본 조례에 따르면, 이 도시의 이름은 "Hann. Münden"이다. 이는 2006년에 최종적으로 승인되었으며[7], 연방 통계청에서도 이 도시를 그 이름으로 기록하고 있다.
원래 이름 "Münden"은 베저 강을 따라 위치해 있어, 수운 무역의 중계지로서 비슷한 발음을 가진 민덴과 오랫동안 혼동되었다. 민덴을 "Preußisch Minden" 등으로 표기한 반면, 한뮌덴은 "Hannoversch Münden" 또는 "Hannöverisch Münden" (모두 하노버의 뮌덴)으로 표기되었다. "하노버의"라는 수식어는 하노버 도시가 아닌, 하노버 선제후령, 이후 하노버 왕국에 속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1866년 프로이센 병합(하노버 주) 이후에도 이 지명은 유지되었다. 괴테나 그림 형제는 주로 "Minden"으로 표기하고, 가끔 "Hannöverisch"를 덧붙였다. "Münden"으로 주소가 적힌 우편물은 대개 민덴이나 뮌헨으로 배달되기도 했다.
"Hannoversch Münden"은 너무 길어 철도 시간표 등에 표기하기 불편했고, 받아 적을 때 "Hannover-Schmünden" 등으로 잘못 표기되어 하노버 시의 구역으로 오해받기도 했다. "Hannover bei Münden" 같은 표기도 있었다. 약칭 "Hann. Münden"은 지역 사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이해하기 쉬웠다. 1991년, 시의회 결정에 따라 공식 표기를 "Hann. Münden"으로 변경했다[8]。 1991년 이후 주민들은 "Hann. Mündener"라고 불려야 하지만, 스스로는 "Mündener"라고 칭한다.
시 문장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 오토의 특권 수여(1247년)에서 유래되었다. 붉은 바탕에 은색 성이 있고, 푸른 첨탑 지붕의 측탑 사이에 넓은 푸른 지붕과 금색 왕관을 쓴 중앙 탑이 있다. 문 아치 안에는 붉은 작은 방패에 푸른 발톱과 혀를 가진 금색 사자(벨프 가문의 사자)가 있다. 중앙 탑 문 위에는 고딕 양식의 검은색 글자 M이 쓰여 있다.
시의 색상은 노란색과 빨간색이다.
시의회와 시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시의회
한뮌덴 시의회는 32석으로 구성된다.[31]4. 2. 시장
기민당(CDU) 소속 토비아스 다넨베르크가 한뮌덴의 시장이다. 다넨베르크는 2021년 9월 26일 시장 선거 결선 투표에서 50.86%의 득표율로 사민당(SPD) 소속 카린 베버-크라트를 근소한 차이로 이겼다.[32]5. 문화와 관광
한뮌덴은 다양한 문화 및 관광 명소를 제공한다.
주요 명소:
- 역사적인 구시가지: 700년 이상 된 목조 건축물과 성 블라시우스 교회, 성 에기디엔 교회 등 중세 시대 교회, 베저 르네상스 양식 건물(벨프 가문의 성관, 역사적인 시청사)이 있다.[2]
- 성 블라시우스 교회: 구시가지 중심에 있는 고딕 양식의 교회이다. 13세기 말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기초 벽을 이용하여 건설되었으며, 1584년에 완공되었다.[2]
- 구 세관 창고: 베저 강, 베라 강, 풀다 강의 수운 화물 이적 항구에 있던 세관 창고이다. 현재는 전시 공간(반프리트 항구)과 호텔(브레머 항구)로 사용되고 있다.
- 시벽: 중세 시대 도시 방어 시설로, 12세기에 만들어져 15세기에 근대화되었다. 19세기에 대부분 철거되었으나 일부가 남아있다.[2]
- 구 베라 다리: 베라 강에 놓인 석교로, 니더작센 주에서 가장 오래된 석교 중 하나이다(1329년 이전 건설).
- 시청사: 14세기에 건립된 고딕 양식 건물로, 1603년부터 1618년까지 개축되었다. 자동 시계가 설치되어 있으며, 매일 12:00, 15:00, 17:00경에 닥터 아이젠발트 생애 장면을 인형이 연기한다.
- 벨프 가문의 성관: 1501년 고딕 양식으로 완성되었으나, 화재 이후 에리히 2세에 의해 초기 베저 르네상스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현재 시립 문서 보관소, 시립 도서관, 한뮌덴 지방 법원, 시립 박물관이 있다.
- 베저슈타인: 베라 강과 풀다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시가 새겨진 돌이다.
- 틸리 요새: 1626년 틸리 백작의 뮌덴 공성전을 기념하여 1881년부터 1885년에 건설된 전망탑이다.[2]
- 베저리트 비: 베저 강 시작 지점 오른편에 있으며, 베저리트(베저의 노래) 작사자와 작곡가를 기념한다.
- 성 라우렌티우스 교회 유적: 11세기부터 13세기 성 라우렌티우스 교회 유적이다. 30년 전쟁으로 파괴되었고, 1996년에 유적이 발굴되었다.
- 야외 뷰네: 약 800명 수용 가능한 야외 극장으로, 1933년에 완성되었다.
- 수목원: 700종 이상 목본이 있는 식물원으로, 1870년 프로이센 왕립 임업 아카데미의 일부로 설치되었다.[4]
- 로툰데: 1502년 에리히 1세가 건조를 시작하여 1579년에 완성된 역사적인 도시 방위 시설 문이다.
- 바서슈푸렌: 2000년 하노버 엑스포 일환으로 설치된 예술 프로젝트이다.
관광 정보:한뮌덴 시청 내 관광 안내소에서 관광 정보를 얻을 수 있다.[34] 시내 관광 보트, 시내 순환 관광, 카누, 자전거, 하이킹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 12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투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많은 상점은 일요일 14시부터 17시까지 문을 연다.
주요 행사:
- 닥터 아이젠발트 극 (여름)
- 베저 마라톤 (매년 5월 첫 번째 일요일): 한뮌덴에서 하멜른까지 135km 이상 코스에서 진행되는 레가타.
- 장미 축제 (6월 중순)
- 가을 농민 시장 (9월 마지막 일요일)
- 동화풍의 크리스마스 여행 (12월)
관광 루트:
교통 수단 | 루트 |
---|---|
자동차 | 독일 동화 가도, 독일 목조 가옥 가도, 베저 르네상스 가도, 독일 관광 가도 알프스-발트해 루트 |
자전거 | 풀다 자전거 도로, 베라탈 자전거 도로, 베저 자전거 도로, 베저-하르츠-하이데 자전거 도로 |
보행자 도로 | 유럽 광역 보행자 도로 E6, 학생의 길, 홀레 부인의 길 |
5. 1. 종교
인구 비율로 가장 큰 교회는 개신교 루터교의 뮌덴 교회 클라이스로, 1542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조직이며 힐데스하임-게팅겐 교구에 속한다.[33] 1708년부터 EDK 내 개신교 개혁교회도 중요한 소교회 조직을 유지하고 있다.[33] 1889년 조직된 가톨릭 성 엘리자베트 교구는 힐데스하임 주교구의 소수 조직이다.[33] 이 외에도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신사도 교회, 침례교, 여호와의 증인 등 작지만 활동적인 교회 조직이 있다.[33]
무슬림 조직은 2008년경 활동하지 않던 감리교 교회당을 모스크로 개조했다.[33]
1834년 뮌덴의 유대교 조직은 회당을 성별했으며, 1843년부터 시민권을 얻었다.[33] 국가 사회주의 시대에 유대교 조직 구성원들은 추방, 박해, 살해당했다. 이후 활동하는 유대교 조직은 없지만, 시내에는 신·구 유대인 묘지가 남아 있다. 현재 역사적인 시청 앞 기념비가 과거 유대교 조직을 이야기하고 있다.[33]
5. 2. 주요 명소
'''역사적인 구시가지''': 구시가지는 복원된 목조 건축물(구조적인 핵심 부분은 700년 이상 전의 것도 있다)과 성 블라시우스 교회, 성 에기디엔 교회와 같은 중세 시대 교회들로 이루어져 있다. 베저 르네상스 양식 건물은 도시 경관을 풍요롭게 만들고 있으며, 이 양식의 주요 건물에는 벨프 가문의 성관과 역사적인 시청사가 있다.[2]'''성 블라시우스 교회''': 구시가지 중심에 위치한 삼랑식 고딕 건축 양식의 홀 교회이다. 13세기 말 로마네스크 건축의 바실리카 기초 벽을 이용하여 건설이 시작되었다. 1584년 벨 모양의 보닛 지붕을 얹은 탑이 완성되며 공사가 완료되었다. 1999년 발굴 조사에서 교회는 2,500 m2 넓이의 묘지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이 묘지는 최대 1.4 m 두께의 견고한 벽(1200년경 축조, 1780년경 철거)으로 둘러싸여 있었음이 밝혀졌다.[2]
'''구 세관 창고''': 베저강, 베라강, 풀다강의 수운 화물 이적 항구 선단에 두 동의 세관 창고가 있었다. 반프리트 항구의 세관 창고는 고전주의 건축 양식 건물로 1839년부터 1840년에 걸쳐 지어졌으며, 크기와 비교적 간소한 파사드가 특징이다. 현재는 전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브레머 항구의 세관 창고는 호텔로 사용되고 있다.
'''시벽''': 방어탑을 포함하여 중세 시대 시벽 조각이 몇 개 남아 있다. 이 벽은 도시 창설 당시인 12세기에도 이미 만들어져 있었으며, 15세기에 대포 방어를 위해 근대화되었다. 19세기에 대부분 철거되었으며, 1997년 발굴 조사에서 벽 두께 1.8 m, 높이 6 m 정도였음이 밝혀졌다.[2]
'''구 베라 다리''': 베라강에 놓인 이 석교는 시내 중핵부와 포어슈타트(중핵 지구 주변 위성 도시) 블루메를 연결한다. 1329년 이전에 건설된 니더작센 주에서 가장 오래된 석교 중 하나이다.
'''시청사''': 중핵 지구 중심에 위치하며, 중심인 고딕 양식 홀 건축은 14세기에 건립되었다. 1603년부터 1618년까지 렘고 건축가 게오르크 크로스만에 의해 개축되어 현재의 장식적인 파사드가 설치되었다. 중세부터 현재까지 시의회와 시 행정(일부) 소재지이다. 시청사 홀 하층(Koph-Hus)은 시 역사를 주제로 한 벽화로 장식되어 있고, 상층(Hochtiedshusaquo = 최성기의 집)은 현재 전시회장으로 이용된다. 북쪽 파사드에는 자동 시계가 있으며, 매일 12:00, 15:00, 17:00경에 방랑 의사 닥터 아이젠발트 생애 장면을 인형이 연기한다.
'''벨프 가문의 성관''': 브라운슈바이크-칼렌베르크-괴팅겐 공작 에리히 1세에 의해 1501년 고딕 건축 양식으로 완성된 행정 기능 공간을 갖춘 거관이었다. 1560년 화재로 거의 소실된 후 에리히 2세에 의해 초기 베저 르네상스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이후 중요성을 잃고 영주가 간혹 체류하는 곳으로 이용되었다. 1849년 화재로 남쪽 동이 소실되었지만 재건되지 않았다. 현재 성관 중 벽 전체에 벽화가 그려진 두 개의 르네상스 양식 방은 벨프 가문 시대부터 보존되어 있다. 현재 시립 문서 보관소, 시립 도서관, 한뮌덴 지방 법원, 시립 박물관이 들어서 있다.
'''베저슈타인''': 베라강과 풀다강이 합류하는 탄츠베르더 선단에 위치한, 시가 새겨진 미아석이다.
'''틸리 요새''': 1626년 틸리 백작의 뮌덴 공성전을 기념하여 1881년부터 1885년에 건설된 라인하르트 숲의 전망탑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틸리 백작은 대포를 이곳이 아닌 풀다강 강변에 배치했지만, 구시가지 조망을 위해 방문할 가치가 있다.[2]
'''베저리트 비''': 베저강 시작 지점 오른편, 한뮌덴 고지대 경사면에 위치하며, 베저리트(베저의 노래) 작사자(프란츠 폰 딩겔슈테트)와 작곡가(구스타프 프레셀)를 기념한다. 틸리 요새와는 다른 구시가지 경치를 즐길 수 있다.
'''성 라우렌티우스 교회 유적''': 11세기부터 13세기 성 라우렌티우스 교회 유적은 알트뮌덴 지구에 있다. 뮌덴 전신이 된 집락 Gimundi의 교회였으며, 튼튼한 벽으로 보아 창설기에는 방어 교회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30년 전쟁으로 파괴되었고, 1996년에 유적이 발굴되었다.
'''야외 뷰네''': 숲속, 탄넨캄프 카텐뷔르에 있으며 약 800명 관객을 수용 가능하다. 국가 노동 봉사대에 의해 건설되어 1933년 성령 강림절에 완성되었다. 지역 사르크슈필뷰네가 가끔 사용하다 2005년 개수되어 여름 연극 공연을 할 계획이다.
'''수목원''': 작지만 종류가 풍부한 수목원에는 700종 이상 목본이 있으며, 매일 개원한다. 1870년 프로이센 왕립 임업 아카데미 하노버쉬 뮌덴 일부로 설치되었다.[4]
'''로툰데''': 역사적인 도시 방위 시설 문이다. 1502년 에리히 1세가 건조를 시작하여 에리히 2세 시대인 1579년에 완성되었다. 현재 건물 안에는 양 세계 대전 전몰자 기념비, 남쪽에는 나치 지배하 희생자 기념비가 있다.
'''바서슈푸렌''': 예술 프로젝트 "Wasserspuren - Wasser sichtbar machen"(물의 궤적 ― 물을 가시화하다)은 2000년 하노버 엑스포 일환으로 설치되었다. 지겔 거리 개울, 분수, 친수 광장 등에 표현이 나타나며, 베라강 작은 강중도인 닥터벨데 EXPO 테마 소로에 의해 완성된다. 인넨슈타트(도심) 정비와 관련하여 1999년 고고학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도시 홍수와 가뭄 조정을 하던 급배수 수로가 발굴되었다.

5. 3. 관광 정보
한뮌덴의 관광 정보는 시청 내 관광 안내소에서 얻을 수 있다.[34] 시내 관광 보트, 시내 순환 관광, 카누, 자전거, 하이킹 등 다양한 활동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한뮌덴은 하이킹과 휴양지로 유명하며, 구시가지 여행객은 일요일에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투어는 12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이용 가능하다. 많은 상점은 일요일에 14시부터 17시까지 문을 연다.주요 행사
- 닥터 아이젠발트 극: 여름, 시청 앞 야외 무대에서 열린다.
- 베저 마라톤: 매년 5월 첫 번째 일요일에 열린다. 패들 보트와 래더 보트를 위한 레가타로, 한뮌덴에서 하멜른까지 총 135km 이상의 코스에서 진행된다.
- 장미 축제: 6월 중순에 열리며, '장미 요정' 콘테스트도 개최된다.
- 가을 농민 시장: 9월 마지막 일요일에 열린다.
- 동화풍의 크리스마스 여행: 한뮌덴, 슈타우펜베르크, 드란스펠트, 라인하르츠하겐에서 12월에 약 100개의 행사가 개최된다.
숙박 시설한뮌덴에는 20개의 호텔과 펜션이 있으며, 이 중에는 2개의 4성급 호텔, 3개의 3성급 호텔도 있다. 또한 수많은 코티지와 민박도 있다. 숙소의 대부분은 잘 정비된 강변 계곡을 따라 달리는 자전거 도로를 이용한 사이클링 여행에 적합하다. 이 외에도 유스호스텔, 자연의 집, 캠프장, 캠핑카 주차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박물관 및 미술관시사 벽화가 있는 시청 홀 외에, 웰프 가문의 성관 내 시립 박물관과 하겐 탑에 있는 노동사 협회의 노동 박물관이 개관되어 있다.
관광 루트한뮌덴은 수많은 공식 관광 루트에 접해 있다.
종류 | 루트 |
---|---|
자동차 | 독일 동화 가도, 독일 목조 가옥 가도, 베저 르네상스 가도, 독일 관광 가도 알프스 - 발트해 루트 |
자전거 | 풀다 자전거 도로, 베라탈 자전거 도로, 베저 자전거 도로, 베저-하르츠-하이데 자전거 도로 |
보행자 도로 | 유럽 광역 보행자 도로 E6, 학생의 길, 홀레 부인의 길 |
5. 4. 숙소
한뮌덴에는 호텔과 펜션이 20개 있으며, 이 중에는 4성급 호텔 2개, 3성급 호텔 3개도 있다.[34] 그 외에도 수많은 코티지와 민박이 있다. 숙소 대부분은 잘 정비된 강변 계곡을 따라 달리는 자전거 도로를 이용한 사이클링 여행에 적합하다. 이 외에도 유스호스텔, 자연의 집, 캠프장, 캠핑카 주차장 등을 이용할 수 있다.5. 5. 박물관/미술관
벨프 가문의 성관 내 시립 박물관과 하겐 탑에 있는 노동사 협회의 노동 박물관이 개관되어 있다.[34]5. 6. 관광 루트
한뮌덴은 다음과 같은 여러 공식 관광 루트와 연결되어 있다.[34]교통 수단 | 루트 |
---|---|
자동차 | 독일 동화 가도, 독일 목조 가옥 가도, 베저 르네상스 가도, 독일 관광 가도 알프스-발트해 루트 |
자전거 | 풀다 자전거 도로, 베라탈 자전거 도로, 베저 자전거 도로, 베저-하르츠-하이데 자전거 도로 |
보행자 도로 | 유럽 광역 보행자 도로 E6, 학생의 길, 홀레 부인의 길 |
6. 경제와 사회 기반 시설
카셀과 괴팅겐을 잇는 연방 아우토반 A7호선에 직접 면해 있으며, A38호선, A44호선, A49호선과도 가까워 교통이 편리하다. 이러한 이점으로 인해 최근 산업 용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대규모 부지를 필요로 하는 기업, 공장, 유통 거점은 다음 3개의 산업 지역에 주로 위치해 있다.
산업 지역명 | 총 면적 | 이용 가능 면적 |
---|---|---|
틸레바흐 남 | 28.62ha | 6.78ha |
안 데어 반 | 20.84ha | 8.56ha |
헤데뮌덴2 | 16.9ha | 13ha |
특히, 아우토반 A7호선에 바로 연결되는 헤데뮌덴2는 EU 중심에 위치하여 이용 촉진이 기대된다. 제2기 건설 구역을 통해 이 산업 지역은 총 27ha로 확장될 예정이다.
6. 1. 교통
이 도시는 아우토반 A7번 고속도로의 한뮌덴-루터베르크와 한뮌덴-헤데뮌덴 인터체인지 2곳에 연결되어 있어 상위 교통망으로의 접근성이 좋다. 라우바흐 지구 인근의 베라탈교는 시역 내에 있다. 이 외에 한뮌덴은 연방 도로 B3번과 B80번의 교차점에 해당한다. 연방 도로 B496번은 한뮌덴에서 A7번 고속도로 인터체인지로 이어진다.[9]할레 - 카셀 철도의 한뮌덴역에서는 괴팅겐, 카셀, 할레, 에르푸르트행 지역 열차가 운행된다. 이들 각 역에서 도이치반에 연결된다.[9]

고속철도 노선 하노버 - 뷔르츠부르크선은 시역 내 지하를 통과한다. 뮌데너 터널과 라우에베르크 터널은 이 지역에서 가장 긴 두 개의 터널이다.[9]
이 도시와 주변 지역에는 많은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운영은 브라운슈바이크 지방 버스, 쿠어헤센 지방 교통이며, 그 외 일부 다른 회사도 있다.[9]
한뮌덴에서 약 20km 떨어진 칼덴에는 카셀-칼덴 지역 공항이 있다.[9]
하절기(5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에는 매일 카셀-알트마르크트 간을 왕복하는 풀다강의 선편이 있다.[9]
한뮌덴은 1906년부터 1978년까지 베저 환적 항구가 내륙 선박 수송의 환적소로 기능했다. 이 때문에 괴팅겐 - 한뮌덴선(드란스펠더 램프)에서 길이 1.5km의 지선이 이 항구까지 뻗어 있었다. 화물이 끊어진 지 30년 후인 2008년 6월에 베저 환적 항구가 재개되었다. 이 이후 주로 중장비 부품을 중심으로 트럭에서 내륙 선박으로, 또는 그 반대로 적재가 이루어지고 있다.[9]
6. 2. 산업 지역
- 니더작센주 물류 센터[41]
6. 3. 주요 기업
- Aldi-Nordde (알디-노르트): 식료품 할인 판매업체인 알디-노르트는 헤데뮌덴 지역에 지방 지점과 대규모 중앙 창고를 보유하고 있다.
- 아우구스트 오퍼만 자갈 채굴·판매 회사 GmbH(AO): 1860년 5월 10일 아우구스트 오퍼만 1세에 의해 현재의 헤데뮌덴 지역에 자갈·모래 채굴업체로 창설되었으며, 이후 이 곳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이 회사는 천연석 산업의 가족 경영 기업으로 5대째 이어져 오고 있으며, 약 30종의 모래, 자갈, 석회암, 경사암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약 12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 AWUKO: 연마재를 제조하는 중규모 기업이다.[36] 1906년에 창업하여 2006년 현재 약 14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 이튼 유체 동력(Eaton Fluid Power): 이튼 코퍼레이션 산하 기업으로, 한뮌덴 공장은 수리학 튜브와 그 시스템에 특화되어 있다. 1959년에 독일과 미국의 합작 사업으로 설립된 Mündener Gummiwarenfabrik GmbH를 계승한 Aeroquip GmbH를 전신으로 한다.
- Ernst Benary Samenzuchtde (에른스트 베나리 종자 육종): 1843년 에른스트 베나리에 의해 에르푸르트에서 설립되어 1946년에 한뮌덴으로 이전해 왔다. 관상용 식물의 재배와 종묘 전문 업체이다.[37] 100개국 이상과 국제적인 거래를 하고 있으며, 2006년 현재 약 270명이 일하고 있다.
- Haendler & Natermannde (헨들러 & 나터만): 1825년에 설립된 포장 업체이지만, Haendler & Natermann Sport로서 스포츠 사격용 총탄의 제조도 하고 있다.
- Knüppel Verpackungde (크뉘펠 포장): 공업용 포장의 생산 및 서비스를 하고 있는 중규모 회사이다. 1919년에 설립되어 2007년에 한뮌덴에 본사를 두고 5개의 지점을 갖고 있으며 약 15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 Metallumform GmbHde (메탈룸포름 GmbH): 1971년에 한뮌덴에서 설립된 자동차 하청 회사이다. 현재 이 금속 성형 그룹은 다양한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정밀한 성형 부분의 조립, 마무리를 하고 있다.
- 뮌덴 고무 공장(Mündener Gummiwerk): 2007년 이후, ContiTech의 Fluid Technology 산하에 있으며, 차량 산업의 케이블 개발·제조를 하고 있다. 2005년 현재 950명의 직원을 보유한 한뮌덴 시 최대의 고용주이다.[38]
- PUFAS: 도료 재료와 리폼용 자재를 제조하는 중규모 회사이다.[39] 1928년에 설립되었으며, 2006년 현재 한뮌덴에서 약 130명을 고용하고 있고, 2005년 매출은 5300만유로였다.
- Weser-Metall-Umformtechnik (WMU)de (베저-메탈-움포름기술): 자동차 및 소비재 산업의 압축, 인장, 천공, 용접 가공을 하고 있다.[40] 2006년 현재 2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약 4800만유로의 매출이 있다.
6. 4. 전국적인 기관
7.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Stichwahlen zu Direktwahlen in Niedersachsen vom 26. September 2021
https://wahlen.stati[...]
Landesamt für Statistik Niedersachsen
2021-10-13
[2]
서적
Münden
[3]
문서
Steamboat
2013-05-27
[4]
웹사이트
Faculty of Forest Sciences and Forest Ecology, "Introduction"
http://www.uni-goett[...]
2016-03-04
[5]
서적
Grotefend, Georg Friedrich
[6]
웹사이트
Städtepartner- & Städtefreundschaften
https://www.hann.mue[...]
Hann. Münden
2021-12-09
[7]
문서
2006年11月9日に施行されたこの街の基本条例 § 1, Absatz 1: 「この街は „Hann. Münden“ の名前を称する。」
[8]
웹사이트
ハン・ミュンデン市のインターネットサイト
http://www.hann.muen[...]
2011-06-12
[9]
간행물
[10]
간행물
[11]
웹사이트
MSN Local Edition Weather: Münden, DEU
http://weather.msn.c[...]
[12]
웹사이트
ドイツ気象庁
http://www.dwd.de
[13]
서적
Münden und Umgebung
[14]
서적
Münden - Gesammelte Aufsätze
[15]
서적
Münden und Umgebung
[16]
서적
Naturkundliche Chronik Nordwestdeutschlands
http://www.huegellan[...]
Landbuch-Verlag, Hannover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간행물
[21]
간행물
[22]
간행물
Judenverfolgung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문서
40 Jahre Landespolizeischule Niedersachsen 1946-1986
Landespolizeischule Niedersachsen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웹사이트
ミュンデンの工兵の歴史に関するウェブサイト
http://www.muendener[...]
[29]
문서
s. Presseerklärung des BIP NI vom 26. Mai 2006
[30]
문서
40 Jahre Landespolizeischule Niedersachsen 1946-1986
Landespolizeischule Niedersachsen
[31]
웹사이트
Stadtratswahl Stadt Hann. Münden 12.09.2021
https://wahlen.hann.[...]
2022-07-28
[32]
웹사이트
Stichwahl des/der Bürgermeisters/in Stadt Hann. Münden 26.09.2021
https://wahlen.hann.[...]
2022-07-28
[33]
간행물
[34]
웹사이트
ツーリストインフォメーション・ハン・ミュンデン
http://www.hann.muen[...]
[35]
웹사이트
ハン・ミュンデン市ヘーデミュンデン2に関する情報
http://www.hedemuend[...]
[36]
웹사이트
AWUKO社の企業サイト
http://www.awuco.de/
[37]
웹사이트
Benaryの企業サイト
http://www.benary.de[...]
[38]
Citation
[39]
웹사이트
PUFASの企業サイト
http://www.pufas.de/
[40]
웹사이트
WMUの企業サイト
http://webwmu.edag.d[...]
[41]
웹사이트
ニーダーザクセン流通センター
http://www.lzn.niede[...]
[42]
웹사이트
北西ドイツ林業試験場
http://www.nw-fva.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