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복려는 한국 궁중음식 연구 및 대중화에 기여한 인물이다. 연구 및 교육 활동을 통해 궁중 음식의 보존과 계승에 힘썼으며, 다양한 대중 매체 활동을 통해 궁중 음식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다수의 저서를 통해 한국 음식 문화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김소희 (국악인)
김소희는 심청가를 통해 판소리에 입문하여 송만갑에게 사사하고 남원 천향제에서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은 후 이화정선과 함께 활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후 국악원을 설립하고 대학에서 한국음악 강사로 활동하며 국악 전파 및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명창이다.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장주원
장주원은 대한민국의 옥공예 장인으로, 전통 기법을 계승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한국 옥공예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한국 요리 연구가 - 이정섭
이정섭은 양정고와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요리 연구가로, 영화, 드라마, 뮤지컬, 마당놀이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특히 드라마에서의 인상적인 역할과 요리 책 출간을 통해 대중에게 친숙한 인물이다. - 한국 요리 연구가 - 백종원
백종원은 더본코리아 대표이사로 다수의 외식 프랜차이즈를 성공시킨 외식 사업가이자, '백설명'이라는 별명으로 요리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며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한 방송인이다. - 조선의 문화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 조선의 문화 - 보부상
보부상은 삼국시대부터 존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시대의 상인 집단으로, 부상과 보상으로 나뉘어 전국적인 조직 체계를 갖추고 국가적인 역할도 수행했으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평가가 엇갈리며 관련 문화재가 남아있다.
한복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복려 |
원어명 | 韓福麗 |
로마자 표기 | Han Bok-ryeo |
출생일 | 1947년 5월 13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조선왕조 궁중음식 연구가 |
학력 | |
학력 | 서울시립대학교 원예과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석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박사 |
경력 | |
경력 | 궁중음식연구원 원장 한식당 ‘지화자’ 운영 한식당 ‘궁연’ 운영 드라마 대장금 요리자문 |
수상 | 문화부장관 표창, 국가무형문화재 제38호 조선왕조 궁중 음식 기능보유자 |
가족 | |
배우자 | 비공개 |
2. 주요 활동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한복려는 조선왕조 궁중음식 기능보유자인 황혜성의 장녀로, 어머니의 뒤를 이어 궁중음식 연구 및 보급에 힘쓰고 있다. 다양한 저서를 통해 궁중음식뿐만 아니라 한국 전통 음식 전반에 대한 지식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
3. 저서
3. 1. 단독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85 | 궁중음식과 서울음식 | 대원사 | 빛깔있는 책 시리즈 |
1989 | 떡과 과자 | 대원사 | 빛깔있는 책 시리즈 |
1989 | 수험생, 어린이, 직장인을 위한 영양만점 도시락, 간식 | 계몽사 | |
1991 | 한국의 전통음식 | 교문사 | |
1991 | 한복려의 밥 | 뿌리깊은 나무 | |
1995 | 서울음식과 궁중음식 | 대원사 | 빛깔있는 책 시리즈 |
1995 | 종가집 시어머니 장 담그는 법 | 둥지 | |
1997 | 궁중의 식생활 | 한국문화재재단 | 한국음식대관 제6관 |
1998 | 한복려를 따라하면 요리가 즐겁다 | 중앙M&B | |
1998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 현암사 | |
1999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김치 백가지 | 현암사 | |
1999 |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떡 | 궁중음식연구원 | |
1999 | 다시 보고 배우는 옛음식 음식디미방 | 궁중음식연구원 | |
1999 | 한복려의 밑반찬 이야기 | 중앙M&B | |
2000 |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한과 | 궁중음식연구원 | |
2000 | 한복려, 최난화의 한식코스요리 | 중앙M&B | |
2000 | 한복려의 국, 찌개, 전골 | 중앙M&B | |
2001 | 한복려의 우리음식 287가지 | 중앙M&B | |
2001 |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 궁중음식연구원 | |
2003 | 황혜성, 한복려, 정길자의 대를 이은 조선왕조 궁중음식 | 궁중음식연구원 | |
2004 | 집에서 만드는 궁중음식 | 청림출판 | |
2005 | 반찬걱정 없애주는 요리책 | 중앙M&B | |
2007 | 다시 보고 배우는 산가요록 | 궁중음식연구원 | |
2008 | 엄마가 딸에게 주는 요리책 | 주부생활 |
3. 2. 공저
출판 연도 | 도서명 | 출판사 |
---|---|---|
1985 | 궁중음식과 서울음식 (빛깔있는 책 시리즈) | 대원사 |
1989 | 떡과 과자 (빛깔있는 책 시리즈) | 대원사 |
1989 | 수험생, 어린이, 직장인을 위한 영양만점 도시락, 간식 | 계몽사 |
1991 | 한국의 전통음식 | 교문사 |
1991 | 한복려의 밥 | 뿌리깊은 나무 |
1995 | 서울음식과 궁중음식 (빛깔있는 책 시리즈) | 대원사 |
1995 | 종가집 시어머니 장 담그는 법 | 둥지 |
1997 | 궁중의 식생활 (한국음식대관 제6관) | 한국문화보호재단 |
1998 | 한복려를 따라하면 요리가 즐겁다 | 중앙M&B |
1998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 현암사 |
1999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김치 백가지 | 현암사 |
1999 |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떡 | 궁중음식연구원 |
1999 | 다시 보고 배우는 옛음식 음식디미방 | 궁중음식연구원 |
1999 | 한복려의 밑반찬 이야기 | 중앙M&B |
2000 |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한과 | 궁중음식연구원 |
2000 | 한복려, 최난화의 한식코스요리 | 중앙M&B |
2000 | 한복려의 국, 찌개, 전골 | 중앙M&B |
2001 | 한복려의 우리음식 287가지 | 중앙M&B |
2001 |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 궁중음식연구원 |
2003 | 황혜성, 한복려, 정길자의 대를 이은 조선왕조 궁중음식 | 궁중음식연구원 |
2004 | 집에서 만드는 궁중음식 | 청림출판 |
2005 | 반찬걱정 없애주는 요리책 | 중앙M&B |
2007 | 다시 보고 배우는 산가요록 | 궁중음식연구원 |
2008 | 엄마가 딸에게 주는 요리책 | 주부생활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