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안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안국은 전한 시대의 인물로, 《한비자》를 익혀 양효왕을 섬겼으며 오초칠국의 난 때 공을 세웠다. 그는 양나라에서 한나라 황실과의 관계를 조율하고, 흉노와의 화친을 주장하는 등 외교와 군사 분야에서 활동했다. 뇌물을 통해 관직을 얻기도 했지만, 인재를 등용하는 데는 능했다. 한무제 시기에 승상 대행, 어사대부, 위위 등을 역임했으나, 군사적 실패로 인해 실의에 빠져 병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27년 사망 - 군신선우
군신선우는 흉노의 선우로 재위 초기 전한과 화친했으나 마읍 전투 이후 양국 관계가 악화되었고, 사후 동생인 이지사선우가 뒤를 이었다. - 기원전 127년 사망 - 유비 (강도역왕)
유비는 전한 경제의 아들이자 오초칠국의 난을 진압하는 데 기여하여 강도왕에 봉해진 황족으로,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으며 그의 묘에서 금루옥의 조각과 옥관 등이 발굴되었다. - 전한의 재상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 전한의 재상 - 병천
병천은 전한 초 유방을 도와 진나라 평정과 항우 격파에 공을 세워 고원후에 봉해졌고, 중위를 지낸 인물이다. - 중국에 관한 - 신도가
신도가는 전한 시대의 무관 출신으로, 항우와의 싸움과 영포의 난에 참여하고 혜제 때 회양태수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며, 청렴한 성품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던 등통을 처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조조와의 갈등 끝에 죽음을 맞이하여 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중국에 관한 - 카자흐인
카자흐인은 15세기 카자흐 칸국 건국 이후 명칭이 사용된 튀르크계 중앙아시아 북부 유목민족으로, "자유로운 자"를 뜻하는 카자흐라는 명칭은 권위에 저항하는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했으며, 카자흐 초원을 중심으로 실크로드 무역을 통해 번성했고, 유목 생활과 튀르크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현재 여러 국가에 디아스포라가 거주하고 있다.
한안국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안국(韓安國) |
자 | 장유(長孺) |
생몰 기간 | 기원전 2세기 |
출신지 | 기주 안릉(安陵) |
관직 | |
낭중 | 낭중(郎中) |
중대부 | 중대부(中大夫) |
양중대부 | 양중대부(梁中大夫) |
내사 | 내사(內史) |
간대부 | 간대부(諫大夫) |
대농령 | 대농령(大農令) |
호군도위 | 호군도위(護軍都尉) |
중위 | 중위(中尉) |
어사대부 | 어사대부(御史大夫) |
위위 | 위위(衛尉) |
태상 | 태상(太常) |
봉작 | |
극후 | 극후(棘侯) |
가족 | |
아버지 | 한퇴당(韓頹當) |
아들 | 한언(韓偃) 한설(韓說) |
2. 생애
한안국은 시류에 영합하며 재물을 탐하였으나, 항상 자신보다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였다. 무제는 한안국을 재상에 알맞은 인재로 여겼다.[3]
원광 4년(기원전 131년), 전분이 죽자 한안국은 승상을 대행하였다. 그러나 수레에서 떨어져 다리를 절게 되었고, 무제는 한안국 대신 설택을 승상에 임명하고 한안국을 어사대부에서 해임시켰다. 몇 달 후 다리가 나은 한안국은 중위가 되었다.[3]
원광 6년(기원전 129년), 위위가 되었다. 원삭 2년(기원전 127년), 대장군 위청이 흉노와 싸울 때 한안국은 재관장군(材官將軍)으로서 어양에 주둔하였다. 흉노가 멀리 가버렸다는 포로의 정보를 듣고 주둔을 그만둘 것을 청원하여 허락받았으나, 실제로는 흉노가 가지 않아 도리어 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 한안국의 병사는 거의 전멸할 뻔하였으나, 연나라의 구원병이 도착해 흉노가 물러났다.[3] 무제는 노하여 한안국을 우북평에 주둔시켰다. 잘못을 부끄러워한 한안국은 전장에서 복귀하기를 원하고 있었으나, 실의에 빠져 병사하였다.[3]
2. 1. 초기 생애와 양나라에서의 활동
한비자를 익혀 양효왕을 섬겼고, 오초칠국의 난 때 양나라의 장수가 되어 군공을 세웠다.[2] 이후 양효왕은 자국의 대신을 몸소 임명할 권리를 얻었는데, 궁을 드나들 때의 의례를 황제처럼 하여 형 경제의 노여움을 샀다. 한안국은 양나라의 사자가 되어 대장공주(大長公主)에게 이를 변명하였고, 대장공주는 황태후를 통하여 경제를 말렸다. 이 일로 한안국은 황실에서도 명성을 떨쳤다.이후 한안국은 양나라에서 법을 어겨 옥에 갇혔다. 옥리가 그를 모욕하자 한안국은 "재는 다시 탈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고, 옥리는 "그렇다면 오줌을 뿌려주겠다"고 답했다. 곧 결원이 된 양나라의 내사에 한안국을 임명하라는 한나라 사자가 왔다. 한안국은 "너 따위는 상대도 안 된다"고 말하며, 그 옥리를 후하게 대했다.
한편 양효왕은 이때 자신이 황태제가 되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어, 공손궤·양승 등과 모의하여 원앙 등 한나라 황실의 대신들을 암살하였다. 경제는 이 사실을 알고 공손궤와 양승을 잡아들이려 하였는데, 한안국은 양효왕이 그들을 숨긴 것을 알고는 이를 설득하였다. 양효왕은 공손궤 등으로 하여금 자결하게 하였고, 이로써 양나라는 벌을 면하는 한편 황실에서는 한안국을 중하게 여겼다.
이후 양공왕 밑에서 일하던 한안국은 법에 걸려 파직되었다. 그러나 곧 세도를 부리던 태위 전분에게 뇌물로 500근을 주어 북지도위(北地都尉)가 되었고, 이후 대농령에 이르렀다.
2. 2. 한나라 조정에서의 관직 생활
한비자를 익혀 양효왕을 섬겼고, 오초칠국의 난 때에 양나라의 장수가 되어 군공을 세웠다.[2] 이후 양효왕은 자국의 대신을 직접 임명할 권리를 얻었는데, 궁을 드나들 때의 의례를 황제처럼 하여 형 경제의 노여움을 샀다. 한안국은 양나라의 사자가 되어 대장공주(大長公主)에게 이를 변명하였고, 대장공주는 황태후를 통하여 경제를 설득했다. 이 일로 한안국은 황실에서도 명성을 떨쳤다.한편 양효왕은 이때 자신이 황태제가 되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어, 공손궤·양승 등과 모의하여 원앙 등 한나라 황실의 대신들을 암살하였다. 경제는 이 사실을 알고 공손궤와 양승을 잡아들이려 하였는데, 한안국은 양효왕이 그들을 숨긴 것을 알고는 이를 설득하였다. 양효왕은 공손궤 등으로 하여금 자결하게 하였고, 이로써 양나라는 벌을 면하는 한편 황실에서는 한안국을 중하게 여겼다.
이후 양공왕 밑에서 일하던 한안국은 법에 걸려 파직되었다. 그러나 곧 세도를 부리던 태위 전분에게 뇌물로 500근을 주어 북지도위(北地都尉)가 되었고, 이후 대농령에 이르렀다.
건원 6년(기원전 135년), 민·동월이 난리를 일으켰다. 이때 한안국은 대행 왕회와 함께 진압에 나섰는데, 월에 도착하기 전에 월에서 왕을 죽이고 항복하였다. 이후 전분이 승상이 되었을 때, 한안국은 어사대부가 되었다.
흉노가 화친을 청하였을 때, 무제는 대신들에게 자문을 구하였다. 왕회는 흉노를 칠 것을 주장하였으나, 한안국은 화친을 주장하였고, 대신들 또한 한안국을 지지하는 자가 많았기 때문에 무제는 한안국의 말대로 하였다.
이듬해, 마읍(馬邑) 사람 섭일이 왕회를 통하여 흉노를 칠 계책을 바쳤다. 한안국은 이를 반대하였으나 무제는 왕회의 편을 들었고, 한안국은 이광·공손하·왕회 등과 함께 정벌에 나섰다. 그러나 흉노에서 계략을 알아차려 결국 실패하였고, 왕회는 책임을 물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안국은 시류에 영합하며 재물을 탐하였으나, 항상 인재를 천거할 때는 자신보다 뛰어난 자로 하였다. 무제는 한안국을 재상에 알맞은 인재로 여겼다.
원광 4년(기원전 131년), 전분이 죽고 한안국이 뒤를 이어 승상을 대행하였다. 어느 날 한안국은 수레에서 떨어져 다리를 절게 되었다. 무제는 한안국을 승상에 임명하려 하였는데, 그가 다리를 저는 것을 보고 설택으로 바꾸고는 한안국을 어사대부에서 해임시켰다. 몇 달 후 다리가 나은 한안국은 중위가 되었다.
원광 6년(기원전 129년), 위위가 되었다. 이때 대장군 위청이 흉노와 싸우고 있었는데, 한안국은 원삭 2년(기원전 127년) 재관장군(材官將軍)으로서 어양에 주둔하였다가 포로로부터 흉노가 멀리 가버렸다는 정보를 들었다. 곧 주둔을 그만둘 것을 청원하여 받아들여졌으나, 실제로 흉노는 가지 않았었고 도리어 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한안국의 병사는 거의 전멸할 뻔하였다가, 연나라의 구원병이 도착해 흉노가 물러났다.[3] 무제는 노하였고, 한안국을 우북평에 주둔시켰다. 잘못을 부끄러워한 한안국은 전장에서 복귀하기를 원하고 있었으나, 실의에 빠져 병사하였다.
2. 3. 흉노와의 관계
무제는 흉노가 화친을 청하자 대신들에게 자문을 구하였다. 왕회는 흉노를 칠 것을 주장하였으나, 한안국은 화친을 주장하였고, 대신들 또한 한안국을 지지하는 자가 많았기 때문에 무제는 한안국의 말대로 하였다.[3]이듬해, 마읍(馬邑) 사람 섭일이 왕회를 통하여 흉노를 칠 계책을 바쳤다. 한안국은 이를 반대하였으나 무제는 왕회의 편을 들었고, 한안국은 이광, 공손하, 왕회 등과 함께 정벌에 나섰다. 그러나 흉노가 계략을 알아차려 결국 실패하였고, 왕회는 책임을 물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3]
원광 6년(기원전 129년), 위위가 되었다. 이때 대장군 위청이 흉노와 싸우고 있었는데, 한안국은 원삭 2년(기원전 127년) 재관장군(材官將軍)으로서 어양에 주둔하였다가 포로로부터 흉노가 멀리 가버렸다는 정보를 들었다. 곧 주둔을 그만둘 것을 청원하여 받아들여졌으나, 실제로 흉노는 가지 않았었고 도리어 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한안국의 병사는 거의 전멸할 뻔하였다가, 연나라의 구원병이 도착해 흉노가 물러났다.[3] 무제는 노하였고, 한안국을 우북평에 주둔시켰다.
2. 4. 말년
韓安國중국어은 《한비자》를 익혀 양효왕을 섬겼고, 오초칠국의 난 때에 양나라의 장수가 되어 군공을 세웠다.[2] 양효왕 사후 양공왕 밑에서 일하던 한안국은 법에 걸려 파직되었다. 그러나 곧 세도를 부리던 태위 전분에게 뇌물로 500근을 주어 북지도위(北地都尉)가 되었고, 이후 대농령에 이르렀다.건원 6년(기원전 135년), 민·동월이 난리를 일으켰다. 이때 한안국은 대행 왕회와 함께 진압에 나섰는데, 월에 도착하기 전에 월에서 왕을 죽이고 항복하였다. 이후 전분이 승상이 되었을 때, 한안국은 어사대부가 되었다.
흉노가 화친을 청하였을 때, 무제는 대신들에게 자문을 구하였다. 왕회는 흉노를 칠 것을 주장하였으나, 한안국은 화친을 주장하였고, 대신들 또한 한안국을 지지하는 자가 많았기 때문에 무제는 한안국의 말대로 하였다.
이듬해, 마읍(馬邑) 사람 섭옹일(聶翁壹)이 왕회를 통하여 흉노를 칠 계책을 바쳤다. 한안국은 이를 반대하였으나 무제는 왕회의 편을 들었고, 한안국은 이광, 공손하, 왕회 등과 함께 정벌에 나섰다. 그러나 흉노에서 계략을 알아차려 결국 실패하였고, 왕회는 책임을 물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안국은 시류에 영합하며 재물을 탐하였으나, 항상 인재를 천거할 때는 자신보다 뛰어난 자로 하였다. 무제는 한안국을 재상에 알맞은 인재로 여겼다.
원광 4년(기원전 131년), 전분이 죽고 한안국이 뒤를 이어 승상을 대행하였다. 어느 날 한안국은 수레에서 떨어져 다리를 절게 되었다. 무제는 한안국을 승상에 임명하려 하였는데, 그가 다리를 저는 것을 보고 설택으로 바꾸고는 한안국을 어사대부에서 해임시켰다. 몇 달 후 다리가 나은 한안국은 중위가 되었다.
원광 6년(기원전 129년), 위위가 되었다. 이때 대장군 위청이 흉노와 싸우고 있었는데, 한안국은 원삭 2년(기원전 127년) 재관장군(材官將軍)으로서 어양에 주둔하였다가 포로로부터 흉노가 멀리 가버렸다는 정보를 들었다. 곧 주둔을 그만둘 것을 청원하여 받아들여졌으나, 실제로 흉노는 가지 않았었고 도리어 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한안국의 병사는 거의 전멸할 뻔하였다가, 연나라의 구원병이 도착해 흉노가 물러났다.[3] 무제는 노하였고, 한안국을 우북평에 주둔시켰다. 잘못을 부끄러워한 한안국은 전장에서 복귀하기를 원하고 있었으나, 실의에 빠져 병사하였다.
2. 5. 가족 관계
누이동생 한태화(韓太華)는 이사장군(貳師將軍) 이광리와 혼인하였다.[4]3. 평가
한안국은 시의에 적절하고 충실했으며, 재물을 좋아했지만 천거하는 인물은 모두 자신보다 현명한 인물이었다. 무제는 한안국을 재상의 그릇이라고 평가했다.[1] 그러나 원광 4년(기원전 131년), 승상 전분이 사망하고 한안국이 승상을 대행했을 때 수레에서 떨어져 발을 심하게 다쳤다. 무제는 한안국을 승상으로 생각했지만 증세가 심했으므로 평극후 설택을 승상으로 삼고, 한안국은 어사대부에서 해임되었다.[1]
흉노가 화친을 요청했을 때, 무제는 대신들에게 그 문제를 논의하게 했다. 한안국은 화친을 주장했고, 대신들 또한 한안국을 지지하는 자가 많았다.[1] 그러나 흉노 정벌에 실패하고, 흉노의 침입으로 큰 피해를 입자 한안국은 전장에서 돌아가기를 원했지만, 격전지에 파견된 것으로 실의에 빠져 병사했다.[1]
4. 출전
참조
[1]
문서
한서 지리지에서는 [[진류군]]의 속현으로 나오는데, 진류군은 한안국이 태어난 이후에 양나라에서 분할되어 설치됐기 때문이다.
[2]
문서
경제의 누이.
[3]
서적
사기 흉노열전제50
[4]
서적
진고 권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