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랑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파랑길은 부산 오륙도해맞이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이어지는 총 50개 구간, 동해안 해안길을 따라 조성된 도보 여행길이다. 각 코스는 지역의 특색있는 풍경을 보여주며, 부산, 울산, 경주, 포항, 영덕, 울진, 삼척, 동해, 강릉, 양양, 속초, 고성 등 동해안 주요 도시를 경유한다. MBC 스페셜에서 '해파랑길 워킹맨'이라는 TV 프로그램으로 소개되었으며, 관련 도서로 《동해안 해파랑길》이 출간되었다.
해파랑길은 부산광역시 오륙도해맞이공원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 통일전망대에 이르는 동해안의 해안길을 따라 총 50개 구간으로 조성되어 있다. 각 코스는 지역의 특색있는 풍경을 보여준다. 주요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
MBC 《MBC 스페셜》에서 '해파랑길 워킹맨'을 2부작으로 방송하였다. 이규한, 김지훈, 서지석이 출연하였다.
2014년 《동해안 해파랑길》이 출간되었다.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 코스
번호 구간 경로 소재지 총거리(km) 1 오륙도해맞이공원 ↔ 미포 오륙도, 광안대교, 해운대해수욕장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17.7 2 미포 ↔ 대변항 달맞이공원, 송정해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기장군) 13.7 3 대변항 ↔ 임랑해변 죽성리왜성, 일광해변 부산광역시 기장군 20.2 4 임랑해변 ↔ 진하해변 간절곶 부산광역시 기장군, 울산광역시 울주군 19.7 5 진하해변 ↔ 덕하역 옹기문화관 울산광역시 (울주군, 남구) 18.0 6 덕하역 ↔ 태화강전망대 선암호수공원, 울산대공원 울산광역시 (남구, 중구) 15.7 7 태화강전망대 ↔ 염포삼거리 십리대숲 울산광역시 (중구, 동구) 18.1 8 염포삼거리 ↔ 일산해변 대왕암공원 울산광역시 동구 11.7 9 일산해변 ↔ 정자항 주전봉수대 울산광역시 (동구, 북구) 19.1 10 정자항 ↔ 나아해변 강동화암주상절리, 읍천항 경상북도 경주시 13.9 11 나아해변 ↔ 감포항 봉길해변(문무대왕릉), 감은사지 경상북도 경주시 18.9 12 감포항 ↔ 양포항 오류해변 경상북도 경주시 13.0 13 양포항 ↔ 구룡포항 금곡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18.3 14 구룡포항 ↔ 호미곶 구룡포해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15.3 15 호미곶 ↔ 흥환보건지소 대보저수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14.4 16 흥환보건지소 ↔ 송도해변 도구해변, 포스코역사박물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3.3 17 송도해변 ↔ 칠포해변 포항여객선터미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북구) 17.1 18 칠포해변 ↔ 화진해변 월포해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19.4 19 화진해변 ↔ 강구항 장사해변, 삼사해상공원 경상북도 영덕군 15.7 20 강구항 ↔ 영덕해맞이공원 고불봉, 영덕풍력발전단지 경상북도 영덕군 18.8 21 영덕해맞이공원 ↔ 축산항 오보해변 경상북도 영덕군 12.2 22 축산항 ↔ 고래볼해변 괴시리전통마을, 대진항 경상북도 영덕군 16.1 23 고래볼해변 ↔ 후포항 백석해변 경상북도 울진군 10.1 24 후포항 ↔ 기성버스터미널 월송정, 구산항 경상북도 울진군 19.8 25 기성버스터미널 ↔ 수산교 덕신해변 경상북도 울진군 23.0 26 수산교 ↔ 죽변항 울진엑스포공원, 봉평해변 경상북도 울진군 16.2 27 죽변항 ↔ 부구삼거리 옥계서원유허비각 경상북도 울진군 9.2 28 부구삼거리 ↔ 원덕버스정류장 고포항, 호산해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12.4 29 원덕버스정류장 ↔ 절터골 옥원소공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22.0 30 용화레일바이크역 ↔ 궁촌레일바이크역 황영조기념공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7.2 31 공양왕릉입구 ↔ 맹방공원 재동소공원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8.8 32 맹방공원 ↔ 추암해변 삼척역, 새천년해안유원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22.6 33 추암해변 ↔ 묵호역 동해역, 한섬해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동해시) 13.3 34 묵호역 ↔ 옥계시장 대진항, 망상해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18.9 35 옥계시장 ↔ 정동진역 금진항, 심곡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13.4 36 정동진역 ↔ 안인해변 당집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9.5 37 안인해변 ↔ 오독떼기전수관 수변공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17.6 38 오독떼기전수관 ↔ 솔바람다리 모산봉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18.5 39 솔바람다리 ↔ 사천진리해변 허균허난설헌기념관, 경포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16.1 40 사천진리해변 ↔ 주문진해변 연곡해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12.4 41 주문진해변 ↔ 죽도정입구 지경해변, 남애항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12.2 42 죽도정입구 ↔ 하조대해변 기사문항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9.6 43 하조대해변 ↔ 수산항 여운포교, 동호해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9.4 44 수산항 ↔ 속초해맞이공원 낙산해변, 낙산사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속초시) 12.5 45 속초해맞이공원 ↔ 장사항 대포항, 속초항, 속초등대전망대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16.9 46 장사항 ↔ 삼포해변 청간정, 천학정, 능파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15.0 47 삼포해변 ↔ 가진항 철새관망타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9.7 48 가진항 ↔ 거진항 연어맞이광장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16.4 49 거진항 ↔ 통일안보공원 역사안보전시관, 대진등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11.8 50 통일안보공원 ↔ 통일전망대 명파초등학교, 제진검문소, DMZ박물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11.7
2. 1. 부산 구간 (1~4 코스)
2. 1. 1. 1코스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미포까지의 17.7km 구간으로, 오륙도, 동백공원, 광안대교, 해운대해수욕장 등을 지난다.
2. 1. 2. 2코스
해당 구간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다.
2. 1. 3. 3코스
3코스는 대변항에서 시작하여 임랑해변까지 이어지는 20.2km의 구간이다. 이 코스에서는 죽성리왜성과 일광해변 등을 지난다.
2. 1. 4. 4코스
4코스는 임랑해변에서 시작하여 진하해변에서 끝나는 19.7km의 구간이다. 주요 경유지로는 간절곶 등이 있다.
2. 2. 울산 구간 (5~9 코스)
2. 3. 경주 구간 (10~12 코스)
2. 4. 포항 구간 (13~18 코스)
2. 5. 영덕 구간 (19~22 코스)
2. 6. 울진 구간 (23~27 코스)
2. 7. 삼척·동해 구간 (28~34 코스)
2. 8. 강릉 구간 (35~40 코스)
2. 9. 양양·속초 구간 (41~45 코스)
2. 10. 고성 구간 (46~50 코스)
3. 관련 TV 프로그램
4. 관련 정보
관련 사건 타임라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