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운대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삼한시대부터 역사를 시작하여 통일신라 시대에 동래군에 속했다. 1953년 해운대출장소 발족 이후 구로 승격되었으며, 1994년 관광특구로 지정되었다. 해운대구는 해운대해수욕장, 달맞이 고개, 센텀시티 등 관광 명소와 주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동해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4호선 등 대중교통망이 발달했다. 현재 1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해운대구의 행정 구역 - 반송동 (부산)
반송동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속하며, 인구 변동을 겪었고, 반송1동과 반송2동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가수 경리가 주요 인물로 알려져 있고, 운봉산에서 산불이 발생한 지역이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 부산 해운대구 - 우동항
우동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어항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설치되어 도다리, 삼치 등이 잡히며,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 부산 해운대구 - 센텀시티
센텀시티는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한 수영비행장 부지에 조성된 업무, 주거, 상업, 문화 시설을 갖춘 복합단지로, 랜드마크 시설과 기업 유치를 통해 부산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센텀2지구 개발과 편리한 교통망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해운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해운대구 |
한자 표기 | 海雲臺區 |
로마자 표기 | Haeundae-gu |
면적 | 51.5km² |
위치 | 영남 지방, 부산광역시 |
행정 구역 | 18개 행정동 |
시간대 | UTC+9 |
인구 통계 | |
총인구 | 376,621명 (2024년) |
인구 밀도 | 8226명/km² |
남자 인구 | 182,289명 (2023년) |
여자 인구 | 198,159명 (2023년) |
정치와 행정 | |
시장 | 김성수 |
정당 | 국민의힘 |
지역구 국회의원 (갑) | 주진우 (국민의힘) |
지역구 국회의원 (을) | 김미애 (국민의힘) |
하위 행정 구역 | 18개 동 (행정동) |
상징 | |
구목 | 소나무 |
구화 | 동백꽃 |
구조 | 갈매기 |
상징 동물 | Sunny & Funny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해운대구청 |
기타 | |
![]() | |
![]() | |
![]() |
2. 역사
해운대는 삼한시대 거칠산국과 장산국 지역이었다. 통일신라 경덕왕 15년에 동래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고려 현종 9년에 울주에 병합되었다가, 조선 시대를 거쳐 동래군 동면, 구한말에는 동래부 동하면이 되었고, 1942년 부산시 수영출장소에 편입되었다.
해운대라는 이름은 9세기 신라의 학자이자 시인인 최치원 (호는 해운, 海雲)에서 유래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그는 해운대 해변의 경치에 감탄하여 그곳에 정자를 지었다고 한다. 최치원이 해운대의 바위에 새겼던 글씨는 아직까지 남아 있다.[3] 동백섬에는 통일 신라 시대 유학자인 최치원의 동상과 기념비가 있다.
2. 1. 해방 이후
- 1953년 9월 : 부산시 해운대출장소가 발족하였다. (3동: 우동, 중동, 좌동)
- 1957년 1월 1일 : 부산시의 구제 실시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로 개편되었다.
- 1963년 1월 1일 : 부산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동래군 기장면 송정리가 편입되었다.
- 1976년 5월 1일 :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하였다. (6동: 우1·2동, 중1·2동, 좌동, 송정동)
- 1978년 1월 1일 : 동래구에서 반여·반송지역 6개동(반여1·2동, 석대동, 반송1·2동, 재송동)이 편입되었다. (12동)
- 1980년 4월 1일 : 해운대출장소가 해운대구로 승격하였다.[22] (14동: 우1·2동, 중1·2동, 좌동, 송정동, 반여1·2·3동, 석대동, 반송1·2·3동, 재송동)
- 1988년 5월 1일 : 해운대구가 자치구로 승격하였다.
- 1991년 9월 25일 : 재송동을 재송1·2동으로 분동하였다. (15동)
- 1994년 8월 31일 : 관광특구로 지정되었다.[21]
- 1995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개칭되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가 되었다.[23]
- 1998년 10월 1일 : 석대동을 반송1동에 편입하였다. (14동)
- 2003년 12월 31일 : 좌동을 좌1·2·3·4동으로 분동하였다.[24] (17동)
- 2005년 9월 5일 : 반여1동을 반여1동, 반여4동으로 분동하였다.[25] (18동)
- 2015년 10월 1일 : 반송1동, 반송3동을 반송1동으로 합동하였다. (17동)
- 2016년 1월 1일 : 우1동을 우1동, 우3동으로 분동하고, 우3동에 우2동의 일부를 편입하였다.[26] (18동)
- 2017년 2월 1일 : 재송1동에 반여1동의 일부(0.12km2)를 편입하였다.[27]
- 2020년 6월 12일: 금정구 금사동 중 대우금사아파트 지역을 반여4동에 편입하였다.[28]

해운대는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까지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소수의 고급 호텔이 건설되었으며,[4] 1990년대 중반부터 해변가 지역에 더 많은 호텔과 관광 시설이 건설되었다. 해운대역과 해변 사이 지역인 해운대 중심부에는 쇼핑몰과 영화관 복합시설이 들어섰다.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를 제외하고는 이 지역은 계속해서 성장해왔다.
해운대는 매년 열리는 부산국제영화제(BIFF)의 정기 개최지이며, 동백섬은 2005년 APEC 정상회의가 열린 곳이었다.
1990년에 시작된 대규모 상업 및 주거 재개발 프로젝트인 해운대 신시가지는 좌동 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북쪽으로 장산의 남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한국철도공사 달맞이 고개 노선의 해운대역과 경계를 이룬다. 또 다른 개발 프로젝트인 센텀시티는 2000년대 초부터 진행되어 현재 부산의 주요 특징이 되었다. 인근에 위치한 마린시티는 바다를 매립하여 조성되었으며, 여러 개의 초고층 아파트 단지가 있다.
3. 지리
해운대구는 수영만 동쪽 연안에서 후방의 산지에 걸쳐 넓게 펼쳐져 있다. 서쪽으로는 수영강을 경계로 수영구, 동래구와 접하고, 북서쪽으로는 금정구, 동쪽으로는 기장군과 접한다. 해운대해수욕장 뒤편에 있는 장산(634m)이 최고봉이며, 1978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구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었다. 해운대해수욕장 동쪽에 있는 송정해수욕장도 해운대구에 속한다. 센텀시티, 해운대 마린시티, 해운대 신시가지 등 주거지를 중심으로 해운대 해수욕장, 달맞이 고개, 동백섬 등 각종 편의시설과 랜드마크가 위치해 있다.
4. 행정 구역
해운대구는 7개의 법정동, 1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청은 중1동에 있다.
; 경찰
; 소방
- 해운대소방서
- 기장소방서
- 금정소방서


4. 1. 행정동 및 법정동
2017년 12월 31일 기준 해운대구의 인구와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행정동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우1동 | 佑1洞 | 6.96km2 | 21,747 | 9,810 |
우2동 | 佑2洞 | 3.21km2 | 29,511 | 10,801 |
우3동 | 佑3洞 | 0.83km2 | 28,629 | 10,382 |
중1동 | 中1洞 | 1.06km2 | 22,840 | 9,703 |
중2동 | 中2洞 | 1.84km2 | 16,356 | 7,168 |
좌1동 | 佐1洞 | 0.73km2 | 19,077 | 7,502 |
좌2동 | 佐2洞 | 1.44km2 | 33,644 | 13,415 |
좌3동 | 佐3洞 | 0.79km2 | 17,576 | 6,342 |
좌4동 | 佐4洞 | 6.35km2 | 24,827 | 8,522 |
송정동 | 松亭洞 | 4.16km2 | 10,284 | 4,702 |
반여1동 | 盤如1洞 | 5.18km2 | 37,869 | 13,391 |
반여2동 | 盤如2洞 | 1.03km2 | 13,983 | 6,817 |
반여3동 | 盤如3洞 | 1.01km2 | 10,352 | 4,877 |
반여4동 | 盤如4洞 | 1.24km2 | 16,174 | 5,568 |
반송1동 | 盤松1洞 | 6.76km2 | 16,499 | 8,406 |
반송2동 | 盤松2洞 | 4.59km2 | 26,726 | 12,459 |
재송1동 | 栽松1洞 | 2.49km2 | 37,259 | 13,272 |
재송2동 | 栽松2洞 | 1.79km2 | 28,686 | 11,865 |
해운대구 | 海雲臺區 | 51.46km2 | 412,039 | 165,002 |
해운대구는 7개의 법정동과 1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5. 인구
1980년 이후 해운대구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 40만 명을 넘어섰으나, 이후 소폭 감소하는 추세이다.
연도 | 총인구 |
---|---|
1980년 | 196,653명 |
1985년 | 224,316명 |
1990년 | 250,304명 |
1995년 | 301,139명 |
2000년 | 374,476명 |
2005년 | 392,594명 |
2010년 | 407,851명 |
2015년 | 409,037명 |
6. 산업
해운대구는 관광 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해운대 해수욕장, 센텀시티, 마린시티 등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명소이다.
6. 1. 수산업
해운대구의 지방어항으로는 우동항과 청사포항이 있다. 과거 동백섬 APEC 건물 앞 바닷가에는 해녀 탈의실이 있었다.7. 문화 및 관광
통일 신라의 시인 최치원은 가야산으로 가던 도중 동백섬에 들러 경치에 반해 자신의 호인 '해운(海雲)'을 동백섬 절벽에 붙였다. 이후 '해운대'는 해운대 해수욕장, 해운대구 등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동백섬에는 최치원의 동상과 시비가 있다. 최치원은 양저우 시 유양구와 해운대구가 2006년 ~ 2007년 자매결연을 맺는 데 공통 인물로 매개가 되었다.
조선통신사 정사였던 윤순지는 일본에서 돌아오는 길에 해운대를 찾아 <내산만점(萊山謾占)>이라는 시를 남겼다. 시에서 그는 최치원을 최유선이라 칭하며, 해운대를 인간 세상의 가장 기이한 곳이라 노래했다.
조선 시대 문인 이안눌은 해운대에 올라 생각과 감정을 담은 등해운대(登海雲臺)를 지었다. 시비는 글로리 콘도 앞 해수욕장 길가에 있다. 권반(1419년 ~ 1472년)은 해운대의 일몰을 소재로 시를 남겼다.
손인호, 조용필 등이 부른 해운대 엘레지는 해운대를 주제로 한 노래이다.
해운대는 한국 매체에서 배경이나 촬영지로 인기가 많다. 2009년 영화 해운대의 배경이 되었고,[13] 스타의 연인, 해운대 연인들 등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되었다.
해운대에는 부산국제영화제가 열리는 영화의 전당이 있다.[15]
7. 1. 주요 시설
- 벡스코
- KNN 부산경남방송 (구 PSB 부산방송) (SBS의 부산경남 네트워크 민영방송사)
- 영화진흥위원회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영상물등급위원회
- 해운대 엘시티 더샵
- 해운대609
7. 2. 관광 명소
해운대 해수욕장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해수욕장 중 하나이다.[12] 광안대교와 함께 부산의 가장 상징적인 랜드마크 중 하나이며, 특히 부산 외 지역 방문객들에게 유명하다. 규모와 면적 면에서 한국에서 가장 큰 해수욕장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도심과 부유층 주거 지역의 스카이라인과 가까운 독특한 위치 덕분에 가장 살기 좋은 곳 중 하나로 여겨진다. 영화 해운대의 주요 배경으로, 쓰나미에 처음으로 직격탄을 맞는 장소로 등장한다.
해운대 달맞이 고개는 부산 팔경 중 하나로 꼽히며, 달맞이 풍경으로 유명하다.[10] 통일신라 말기의 관리이자 시인인 최치원은 그 아름다움에 감탄하여 머무르는 기간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어떤 이들은 달맞이 고개가 부산판 몽마르트라고 말하기도 한다.[11]
청사포 다릿돌 전망대는 바다 위에 조성된 높은 산책로로, 사람들이 암초를 내려다보고 해안을 바라보며 바다 위로 지는 해를 감상할 수 있다.[6][7]
해운대구에는 1910년에 설립된 큰 시장인 해운대전통시장이 있다.[5] 해운대구에서 가장 오래된 영업 중인 음식점은 중식당 신흥관이다.[8][9]
7. 3. 해운대와 문학
통일 신라의 시인 최치원은 가야산으로 가던 도중 동백섬에 들러 일대의 경치에 반하여 자신의 호인 '해운(海雲)'을 붙여 동백섬의 한 절벽을 해운대라고 이름 붙였다. 이후 의미가 확장돼 현재 협의로는 '해운대 해수욕장', 광의로는 '해운대구'의 뜻으로 쓰인다. 동백섬 언덕 마루에는 최치원의 동상과 그의 시비가 있다. 최치원은 후대에 해운대를 찾은 문인들의 작품에서 방랑객, 신선의 모습으로 자주 등장하게 된다.[3]조선통신사 정사 윤순지(1591년 ~ 1666년)는 일본에서 돌아오는 길에 해운대를 찾아 <내산만점(萊山謾占)>이라는 시를 남겼다. 이 시에서 시인은 최치원을 유학자 신선이라는 뜻으로 최유선이라고 하였고, 해운대를 인간 세상의 가장 기이한 곳이라고 노래하였다.
조선 시대 문인 이안눌은 등해운대(登海雲臺, 해운대에 올라)를 지어 해운대에서의 생각, 감정을 시로 썼다. 등해운대 시비는 글로리 콘도 앞 해수욕장쪽 길가에 있다.
조선 시대 문인 권반(1419년 ~ 1472년)은 해운대의 일몰을 소재로 시를 남겼다.
'''해운대 엘레지'''는 손인호, 조용필 등이 부른 해운대를 주제로 한 노래이다.
중동 달맞이 언덕에는 소설 <여명의 눈동자>로 유명한 소설가 김성종이 창립, 운영 중인 추리문학관이 있다. 유명 문인이 강사로 참여하는 달맞이 언덕 철학 축제가 추리문학관에서 여름에 열리며, 이외에도 유명 인사의 강연, 토론회가 열린다.
8. 교육
해운대구에는 다양한 교육 기관이 위치하고 있다. 부산광역시해운대교육지원청에서 관할하는 학교들이 많이 있다.
'''초등학교'''로는 반석초등학교, 반안초등학교, 반여초등학교, 부흥초등학교, 삼어초등학교, 상당초등학교, 센텀초등학교, 송수초등학교, 송운초등학교, 송정초등학교, 신봉초등학교, 운봉초등학교, 인지초등학교, 장산초등학교, 재송초등학교, 좌동초등학교, 좌산초등학교, 해강초등학교, 해림초등학교, 해송초등학교, 해운대초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는 반송여자중학교, 인지중학교, 장산중학교, 센텀중학교, 해강중학교, 해운대중학교, 해운대여자중학교, 양운중학교가 있다.
대학교, 고등학교, 기타(외국인 학교)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8. 1. 대학교
영산대학교와 동서대학교 센텀캠퍼스가 있다.8. 2. 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16]
-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 해운대공업고등학교
- 성심정보고등학교
'''외국어고등학교'''
- 부산국제외국어고등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평생교육'''
8. 3. 기타
부산외국인학교, 부산국제학교 등 외국인 학교가 해운대구에 위치하고 있다.9. 교통
해운대구에는 한국철도공사 동해선과 부산교통공사의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지나간다. 동해선은 재송역, 센텀역, 벡스코역, 신해운대역, 송정역을 지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장산역, 중동역, 해운대역, 동백역, 벡스코역, 센텀시티역을 지난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반여농산물시장역, 석대역, 영산대역, 상반송역을 지난다. 그 외, 부산진역이 동래구와의 경계에 있다.[1]
9. 1. 철도
한국철도공사(KORAIL) 동해선: 재송역 - 센텀역 - 벡스코역 - 신해운대역 - 송정역부산교통공사(Humetro) 2호선: 장산역 - 중동역 - 해운대역 - 동백역 - 벡스코역 - 센텀시티역
4호선: 반여농산물시장역 - 석대역 - 영산대역 - 상반송역
10. 자매 도시
해운대구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0. 1. 국내
10. 2. 국외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아카이브
매력있는 세계일류도시 "해운대"로 오세요!
http://www.haeundae.[...]
2005-02-10
[3]
웹사이트
Haeundae District Office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Famous Haeundae Beach of Busan
https://www.koreattr[...]
2019-10-11
[5]
웹사이트
해운대 시장
https://busan.grandc[...]
2024-08-09
[6]
웹사이트
부산 해운대구, 해월전망대·청사포 다릿돌전망대 준공
https://biz.heraldco[...]
2024-08-09
[7]
웹사이트
Cheongsapo Daritdol Observatory (청사포 다릿돌전망대)
https://english.visi[...]
2024-08-09
[8]
뉴스
[부산의 老鋪] ③ 신흥관
https://www.busan.co[...]
2011-03-24
[9]
웹사이트
부산역사문화대전
https://busan.grandc[...]
2024-08-17
[10]
웹사이트
Dalmaji-gil Road (해운대 달맞이길)
http://english.visit[...]
2019-10-11
[11]
웹사이트
Dalmaji-gil Road (해운대 달맞이길)
https://www.kpopmap.[...]
2019-10-11
[12]
웹사이트
Haeundae Beach (해운대해수욕장)
http://english.visit[...]
2019-10-11
[13]
웹사이트
Tsunamis in South Korea
https://www.worlddat[...]
[14]
웹사이트
A Star's Lover
https://web.archiv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2-05-30
[15]
웹사이트
BUSAN CINEMA CENTER
http://www.dureraum.[...]
2018-03-16
[16]
웹사이트
School Subject
https://web.archive.[...]
2018-03-29
[17]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2018-03-29
[1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9]
웹인용
2024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0]
웹인용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1]
서적
2012년 통계연보
[22]
법률
대통령령 제9630호
[23]
법률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12-22
[24]
법률
해운대구 조례 제673호
2003-06-20
[25]
법률
해운대구 조례 제726호
2005-07-01
[26]
뉴스
해운대구 마린시티, 내년 1월 1일 '우3동'으로 분동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5-11-19
[27]
뉴스
반여1동 경계 지역, 재송1동으로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7-01-13
[28]
법률
대통령령 제30671호
2020-05-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부코페', 팬스타라인닷컴과 업무협약 체결…파급효과 기대
'변압기 고장' 부산 청사포 일대 상가 건물 4시간 정전
유진투자증권, 경남지역 거점 자산관리 특화점포 ‘부산WM센터’ 출범
해운대에 부산 첫 롯데 하이엔드 브랜드 ‘르엘’
[포토뉴스]‘롯데 자이언츠’의 고장에서…신세계 ‘야구공 빵’ 선보여
“왜 사냐더니, 분위기 확 달라졌다”…‘미분양 무덤’ 오명 씻고 신고가 찍었다
혁신 선도기업 잇따라 부산으로…성우하이텍·토스씨엑스 투자양해각서 체결
제2의 서울 ‘부산’…하반기 1만가구 분양 뜬다
민주노총 부산본부, 센텀시티 일반산단에 ‘이동상담소&노동자쉼터’ 개소
부산 최초 ‘르엘’ 프리미엄, ‘르엘 리버파크 센텀’ 청약 흥행
“청담에선 맛집 고민할 필요없네”…미슐랭 식당만 30곳 몰려
"그 예쁘던 해변을 다 망쳤다"…'흉물' 된 해운대 축제 공간
악성 미분양 급증한 부산…초고가 분양은 청약 열기
한쪽은 14년 만 미분양 최고, 다른 쪽은 경쟁률 116대 1…부산 분양시장 양극화
우회전하나 싶더니 그대로 돌진…"사람 줄줄이" 날벼락
부산인터시티 영화제, 29~31일 영화의전당·무사이극장서 열려
결국 15명 쏘임 사고···해운대 해수욕장 개장 한 달 만에 해파리 차단망 설치
“양양·워홀 다녀온 여자 만나지 말라” 망언 해운대구청장 사과
'펑' 호텔서 부탄가스 폭발해 '활활'…수십 명 긴급 대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