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벨백상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벨백상아리는 800만 년 전에서 500만 년 전 사이인 마이오세와 플리오세에 살았던 백상아리의 한 종류이다. 현생 백상아리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지만, 이빨의 톱니가 거칠고 앞쪽 이빨 설측에 V자 모양의 띠가 있는 차이점을 보인다. 페루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당시 남미 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며 고래, 해양 포유류, 어류, 갑각류, 두족류 등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넓쩍이빨백상아리와 함께 현생 백상아리와 넓적이빨청상아리의 중간 단계로 여겨지며, 멸종된 백상아리인 C. hastalis와 현존하는 백상아리인 C. carcharias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이오세의 어류 - 넓은이빨청상아리
넓은이빨청상아리는 마이오세에서 플라이오세 시기에 전 세계 바다에 서식했던 멸종된 악상어목 상어로, 현생 청상아리와 유사하나 톱니가 있는 이빨을 가졌으며 고래, 해양 포유류 등을 먹이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되고 넓은이빨 형태는 백상아리의 조상으로 여겨지지만 속의 분류는 불확실하다. - 플라이오세의 어류 - 파로토두스 베네데니
파로토두스 베네데니는 신생대 에오세에서 플리오세에 걸쳐 생존했던 멸종된 상어 종으로, 거대한 몸집과 푸른색 외형, 안쪽으로 굽은 이빨을 가졌으며, 메갈로돈과 함께 최상위 포식자로서 해양 포유류 등을 먹이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마이오세의 어류 - 날치과
날치과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물 밖으로 튀어 올라 활공하는 특징을 가진 물고기 분류군으로, 식용 어업 대상종이자 바베이도스의 국가 상징으로서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마이오세의 어류 - 넓은이빨청상아리
넓은이빨청상아리는 마이오세에서 플라이오세 시기에 전 세계 바다에 서식했던 멸종된 악상어목 상어로, 현생 청상아리와 유사하나 톱니가 있는 이빨을 가졌으며 고래, 해양 포유류 등을 먹이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되고 넓은이빨 형태는 백상아리의 조상으로 여겨지지만 속의 분류는 불확실하다. - 페루의 화석 - 메가테리움
메가테리움은 최대 6m에 달하는 멸종된 거대한 지상 나무늘보로, 1,200만 년 전 파타고니아에서 처음 나타나 초식 생활을 했으며 플라이스토세 말에 멸종되었다. - 페루의 화석 - 글립토돈
남아메리카에 서식했던 글립토돈은 갑옷 같은 등갑과 꼬리 갑옷을 가진 거대한 멸종 포유류로, 리처드 오웬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기후 변화와 인간의 영향으로 멸종했을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허벨백상아리 | |
---|---|
종 정보 | |
![]() | |
속 | 카르카로돈 |
종 | 후벨리 |
명명자 | 에렛 외, 2012 |
멸종 여부 | 예 |
화석 범위 | |
시기 | 후기 마이오세-초기 플리오세 (우아케리아절-몬테헤르모사절) |
기간 | ~800만 년 전 - 500만 년 전 |
2. 특징
허벨백상아리는 약 800만 년 전부터 500만 년 전, 즉 마이오세 후기부터 플리오세 초기에 걸쳐 생존했던 상어의 한 종류로, 현생 백상아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반적인 모습은 현생 백상아리와 유사하지만, 이빨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허벨백상아리의 이빨 톱니는 현생 백상아리보다 더 거칠어 메갈로돈과 비슷한 특징을 보이며, 앞쪽 이빨의 혀 쪽 면(설측)에는 V자 모양의 띠가 나타난다.[7] 이러한 특징 때문에 넓쩍이빨백상아리와 함께 고대 바다에 서식했던 백상아리로서, 넓쩍이빨백상아리에서 현생 백상아리로 진화하는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종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허벨백상아리의 화석은 주로 페루 남부의 피스코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7], 생존 당시에는 남아메리카의 태평양 연안에 주로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먹이로는 당시에 함께 살았던 고래나 다른 해양 포유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어류, 갑각류, 두족류 등을 잡아먹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1. 이빨
허벨백상아리의 이빨은 현생 백상아리와 대체로 비슷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이빨 가장자리의 톱니가 현생 백상아리보다 거칠어 메갈로돈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며, 앞쪽 이빨의 설측(혀 쪽)에는 V자 모양의 띠가 존재한다는 점이 다르다.[7] 이는 넓쩍이빨백상아리와 함께 고대 바다에 서식했던 백상아리로서, 현생 백상아리와 넓적이빨청상아리의 중간 단계로 보는 견해도 있다.''C. hubbelli''의 관련 치열은 현재까지 단 하나(UF 226255)만 알려져 있으며, 총 222개의 이빨과 45개의 척추 중심뼈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화석은 페루 남부의 피스코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이빨의 형태는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진 삼각형 모양의 첨두(뾰족한 끝부분)가 혀 쪽(설측)으로 납작한 형태를 띠고 있어, 현존하는 백상아리와 가장 유사하다. 하지만 현존하는 백상아리와는 다른 점도 있는데, 위턱 중간 이빨이 몸의 중심에서 먼 쪽(원위)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것이다(현생 백상아리는 몸의 중심 쪽(근위)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이빨의 톱니도 질적으로 차이가 있어 더 미세하며, 이빨 끝부분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7]

허벨백상아리는 과도기적 종으로서, 멸종한 백상아리인 ''C. hastalis''와 현존하는 백상아리인 ''C. carcharias''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중간 이빨이 원위쪽으로 기울어진 것은 ''C. hastalis''의 특징이며, 톱니가 존재하고(비록 완전히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아래턱 두 번째 앞니보다 위턱 두 번째 앞니가 더 큰 것은 ''C. carcharias''의 특징이다.[7]
2. 2. 톱니 발달
허벨백상아리의 이빨은 현생 백상아리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면서도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가장 큰 특징은 이빨 톱니의 발달 과정에 있다. 현생 백상아리에 비해 허벨백상아리의 이빨 톱니는 더 거칠며, 이는 메갈로돈의 톱니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또한, 앞쪽 이빨의 설측(혀 쪽)에는 V자 모양의 띠가 존재한다는 점도 구별되는 특징이다.현재까지 알려진 허벨백상아리의 관련 치열 화석은 단 하나(UF 226255)뿐이며, 이는 페루 남부의 피스코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이 화석은 총 222개의 이빨과 45개의 척추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빨의 형태는 전반적으로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진 납작한 삼각형의 첨두(뾰족한 끝부분)를 가지고 있어 현존하는 백상아리와 가장 유사하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차이가 존재한다. 현존하는 백상아리는 상악 중간 이빨이 몸의 중심에 가까운 쪽(근위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반면, 허벨백상아리의 상악 중간 이빨은 몸의 중심에서 먼 쪽(원위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톱니의 질감 역시 차이를 보이는데, 허벨백상아리의 톱니는 현생 백상아리보다 더 미세하며, 이빨 끝부분으로 갈수록 톱니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인다.[7]
이러한 특징들은 허벨백상아리가 과도기적 종임을 시사한다. 즉, 멸종된 넓쩍이빨백상아리( ''C. hastalis'' )와 현존하는 백상아리( ''C. carcharias'' )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악 중간 이빨의 원위 기울기는 ''C. hastalis''의 특징이며, 톱니의 존재(비록 완전히 발달하지는 않았지만)와 하악 두 번째 앞니보다 큰 두 번째 상악 앞니는 현생 백상아리인 ''C. carcharias''의 특징이다.[7] 이는 허벨백상아리가 넓쩍이빨백상아리에서 현생 백상아리로 진화하는 중간 단계에 해당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생태
허벨백상아리는 약 800만 년 전부터 500만 년 전 사이인 마이오세 후기와 플리오세 초기에 살았던 상어이다.[8] 화석이 페루에서 발견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생존 당시에는 주로 남아메리카의 태평양 연안에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8]
당시 바다에 함께 살았던 고래나 다른 해양 포유류, 어류, 갑각류, 두족류 등을 먹이로 삼았을 것으로 보인다.[8] 특히, 허벨백상아리의 이빨은 현생 백상아리보다 메갈로돈과 유사하게 거친 톱니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식단이 점차 해양 포유류에 더 의존하도록 변화했음을 시사한다.[8] 실제로 허벨백상아리의 이빨이 박힌 수염고래 뼈 화석이 발견되어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한다.[8]
참조
[1]
논문
The Early Pliocene extinction of the mega-toothed shark ''Otodus megalodon'': a view from the eastern North Pacific
[2]
논문
Exceptional preservation of the white shark Carcharodon (Lamniformes, Lamnidae) from the early Pliocene of Peru
https://www.tandfonl[...]
2020-12-01
[3]
문서
First record of the megatoothed shark Carcharocles megalodon from the Mio-Pliocene Purisima Forma-tion of Northern California
[4]
웹사이트
New ancient shark species gives insight into origin of great white
https://www.floridam[...]
University of Florida
2012-11-04
[5]
웹사이트
Study: White Shark May Have Evolved from Mako Shark
http://www.sci-news.[...]
2012-11-15
[6]
논문
Body length estimation of Neogene macrophagous lamniform sharks (Carcharodon and Otodus) derived from associated fossil dentitions
https://palaeo-elect[...]
2021
[7]
문서
Origin of the white shark ''Carcharodon'' (Lamniformes: Lamnidae) based on recalibration of the Upper Neogene Pisco Formation of Peru
[8]
문서
"Caught in the act: Trophic interactions between a 4-million-year-old white shark (''Carcharodon'') and mysticete whale from Peru,"
[9]
뉴스
Great whites not evolved from megashark'
https://www.bbc.co.u[...]
BBC
2012-11-14
[10]
논문
Origin of the white shark ''Carcharodon'' (Lamniformes: Lamnidae) based on recalibration of the Upper Neogene Pisco Formation of Peru
[11]
웹사이트
New ancient shark species gives insight into origin of great white
http://news.ufl.edu/[...]
University of Florida News
2013-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