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네랄리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네랄리페는 스페인 그라나다에 있는 궁전으로, "건축가의 정원"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에 나스르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다. 알람브라 궁전 북쪽에 위치하며, 아세키아 안뜰과 술타나 안뜰, 물 계단, 정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콩키스타 이후 다양한 변화를 겪었으며, 1984년 알람브라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09년 완공된 건축물 - 아비뇽 교황궁
    아비뇽 교황궁은 아비뇽 유수 시기 교황의 거처로 사용된 유럽 최대 고딕 양식 궁전으로, 현재는 프랑스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문화 및 경제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알람브라 -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프란시스코 타레가가 작곡한 기타 독주곡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은 트레몰로 주법과 아르페지오 반주로 멜로디와 화음을 동시에 표현하며 A섹션과 B섹션으로 구성되어 대중문화 매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알람브라 - 알람브라 칙령
    알람브라 칙령은 1492년 스페인 군주가 유대인에게 기독교 개종 또는 국외 추방을 명령한 것으로, 수만 명의 유대인이 추방되어 여러 지역으로 흩어졌으나, 이후 스페인 정부는 화해 정책으로 세파라드 유대인에게 국적 취득을 허용하고 있다.
  • 야외 박물관 - 카잔 크렘린
    카잔 크렘린은 볼가 불가르 시대 요새에서 시작해 카잔 칸국 궁정을 거쳐 러시아 제국 행정 중심지, 소련 시대 용도 변경을 겪었지만 복원 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다양한 건축물이 조화를 이루는 역사적인 요새 건축물이다.
  • 야외 박물관 - 멤피스 (이집트)
    멤피스는 나일강 서안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부터 고왕국 시대까지 수도였으며 프타 신 숭배의 중심지였고, 197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헤네랄리페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아세키아 정원
아세키아 정원
공식 명칭헤네랄리페
원어 명칭جَنَّة الْعَرِيف (Jannat al-‘Arīf)
위치그라나다, 안달루시아, 스페인
해발고도알 수 없음
건축 시기14세기
건축가알 수 없음
건축 양식알 수 없음
관리 주체스페인 문화부
등재 정보
지정 유형세계문화유산
공식 명칭알람브라, 헤네랄리페, 알바이신 지구, 그라나다
등재 연도1984년 (8차 회의)
1994년 (18차 회의 – 확장)
등재 번호314
등재 기준i, iii, iv
지역유럽

2. 어원

"헤네랄리페"라는 이름의 가장 흔한 어원은 جَنَّة الْعَرِيف|잔나트 알-아리프ar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건축가의 정원",[1][2][3] "예술가의 정원",[4] "영지주의자의 정원",[3] 또는 "피리 부는 사람의 정원"을 의미할 수 있다.[5] 그러나 로버트 어윈은 이 전통적인 어원이 실제로는 가능성이 낮으며, 이름의 진정한 기원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고 지적한다.[3] 마르몰이 16세기에 기록한 초기 이름 형태는 ''Ginalarife''였는데, J.D. 레이텀은 이것이 첫 단어가 원래 ''jannat''가 아닌, 같은 어근에서 파생된 복수형인 جِنَاْن|지난ar이었다는 증거라고 주장한다.[5]

헤네랄리페의 원래 이름은 단순히 "주요 과수원"을 의미했을 수도 있다.[3] 궁전 내부의 이븐 알-야야브가 남긴 장식 비문에는 이곳이 ''Dar al-Mamlakat as-Sa'ida''("행복한 왕국의 집")라고 명명되어 있다.[6][7]

3. 역사

헤네랄리페는 알함브라 궁전 북쪽, 치노스 언덕 건너편 태양의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별장 내 'Patio de la Acequia|파티오 데 라 아세키아es'(아세키아의 안뜰)는 길쭉한 연못을 중심으로 화단, 분수, 주랑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안달루시아 지방의 이슬람 건축 정원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좋은 곳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과거에는 헤네랄리페와 알함브라 궁전 사이에 협곡을 잇는 통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우리가 보는 헤네랄리페의 모습은 1931년부터 1951년까지 진행된 복원 및 보수 작업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 시기에 조성된 보도는 전통적인 그라나다 양식의 자갈 모자이크로 장식되었는데, 흰색 자갈은 다로강에서, 검은색 자갈은 헤닐강에서 가져온 것이다.

3. 1. 나스르 왕조 시대

19세기, 현대식 분수가 설치되기 전의 ''''


나스르 시대의 헤네랄리페는 아랍어로 '농장'을 의미하는 ''al-munya''에서 유래한 ''알무니아''(almunia)로 불렸는데, 이는 엘리트들의 개인적인 휴식처이자 농업 기능을 수행하는 농장이었다.[7][9] 알안달루스에서 통치자와 귀족들이 이러한 시골 영지와 정원을 만든 역사는 우마이야 왕조 시대(8~1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14] 이러한 영지는 오늘날 모로코 마라케시의 아그달 정원처럼 북아프리카의 역사적인 도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0] 그라나다에서는 지리드 왕조 시대(11세기) 초기부터 이러한 영지가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1] 나스르 시대의 다른 알무니아 예시로는 인근 산기슭의 ''알리하레스'' 궁전과 ''다르 알-아루사''(둘 다 14세기 추정),[16][23][9] 그라나다 다른 지역의 알카사르 헤닐과 ''산토 도밍고 왕궁''(둘 다 13세기 건설, 알카사르 헤닐은 원래 알모하드 건축물) 등이 있다.[11][9]

궁전의 가장 오래된 장식 연구 결과에 따르면, 헤네랄리페는 13세기 말 무함마드 2세(재위 1273–1302) 또는 14세기 초 무함마드 3세(재위 1302–1309)가 건설했을 가능성이 높다.[7][2][12] 무함마드 3세는 직접 건설하지 않았더라도 초기 장식 작업에 참여했으며, 궁전 북쪽 파빌리온에 mirador|미라도르es(전망대) 방을 추가했다.[13][14] 이후 다른 나스르 군주들도 계속해서 헤네랄리페를 개조하고 장식했다. 비문에 따르면 1319년 이스마일 1세(재위 1314-1325)가 이곳을 개조하고 다시 장식했다.[12][4] Salón Regio|살론 레히오es(왕의 방) 입구 주변의 여러 비문은 이스마일 1세의 재상이자 궁정 시인이었던 이븐 알자이야브(Ibn al-Jayyab)가 작성했다.[14] 알함브라 궁전 내부를 대대적으로 건축했던 무함마드 5세(재위 1354–1359, 1362–1391) 역시 헤네랄리페에서도 작업을 진행했다는 증거가 있다.[7] 마지막으로 15세기에는 유수프 3세(재위 1408–1417)가 궁전 남쪽 부분을 개조했다.[7]

헤네랄리페는 알함브라 궁전 북동쪽, '태양의 언덕'(Cerro del Sol|세로 델 솔es)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알함브라와는 Barranco de los Chinos|바랑코 데 로스 치노스es 계곡을 사이에 두고 있다. 헤네랄리페의 중심인 Patio de la Acequia|파티오 데 라 아세키아es는 중앙의 길쭉한 연못을 따라 화단, 분수, 주랑(콜로네이드)이 배치된 구조이다. 이 안뜰은 안달루시아 정원 양식의 가장 뛰어난 예시 중 하나로 꼽힌다.

과거에는 헤네랄리페와 알함브라 궁전 사이에 두 건물을 잇는 통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볼 수 있는 헤네랄리페의 모습은 1931년부터 1951년까지 진행된 복원 및 보수 작업의 결과이다. 정원의 바닥 포장은 전통적인 그라나다 양식의 자갈 모자이크로 장식되었는데, 사용된 흰색 자갈은 다로 강(Darro River)에서, 검은색 자갈은 헤닐 강(Genil River)에서 가져온 것이다.

3. 2. 레콩키스타 이후

레콩키스타 이후 그라나다가 기독교 세력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헤네랄리페는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여러 차례 변화와 증축을 거쳤다.[15][3] 1494년에는 스페인 가톨릭 군주가 '아세키아 안뜰'(물길 안뜰) 북쪽 파빌리온에 2층을 추가했으며, 인접한 '술타나 안뜰'(술탄의 안뜰)은 16세기에 완전히 새롭게 설계되었다.[7][12] 1524년부터 1526년까지 헤네랄리페를 방문했던 베네치아 여행가 안드레아 나바게로는 이후 대대적인 스페인식 개조가 이루어지기 전의 모습을 기록으로 남겼는데, 이는 현대 학자들이 궁전과 정원의 원래 모습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16]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변형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세기 중반 방문객인 테오필 고티에는 당시 헤네랄리페의 상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아쉬움을 표현했다.

현재 헤네랄리페에는 아치와 아라베스크의 커다란 패널 몇 개만이 남아 있는데, 불행히도 이것들은 실망스러운 청결함으로 수없이 덧칠된 석회칠 층으로 덮여 있습니다. 조금씩 섬세한 조각과 요정 같은 건축물의 놀라운 기요세(guilloches, 덩굴무늬 장식)가 지워지고, 메워지고, 삼켜졌습니다. 현재 희미하게 벌레 먹은 벽에 불과한 것은, 옛날에는 중국인이 부채에 새기는 섬세한 상아 잎처럼 섬세한 레이스 세공으로 열려 있었습니다.[17]


현재 정원의 모습, 특히 '자르디네스 누에보스'(새 정원)는 1931년부터 1951년 사이에 레오폴도 토레스 발바스와 프란시스코 프리토 모레노에 의해 상당 부분 재배치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이탈리아 정원의 영향이 반영되었다.[15][7] 1958년에는 큰 화재가 발생하여 헤네랄리페 북쪽 구역 대부분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다. 이 화재는 안타까운 일이었지만, 복구 과정에서 중요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아세키아 안뜰'에서는 나스르 시대의 원래 포장 도로와 무어식 정원의 원래 토양층(약 70cm 두께의 새 흙 아래 묻혀 있었음), 그리고 정원에 물을 공급했던 중앙 수로 측면의 배출구 등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발굴 이후, 이 원래의 길과 정원 층은 다시 50cm 두께의 새로운 흙으로 덮였고, 배출구는 막혔으며, 정원에는 원래의 무어식 정원과는 식물학적으로 관련이 적은 현대 식물들이 심어졌다.[18][16][3]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전체적인 배치와 구획은 여전히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18] 최근의 정원 복원 작업은 원래 식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좀 더 원형에 가깝게 이루어지고 있다.[7]

1984년, 헤네랄리페는 알함브라 궁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19]

4. 구조

헤네랄리페(아래)와 사비카 언덕 위의 ''Silla del Moro''(위)


헤네랄리페는 알함브라 궁전 북쪽, 치노스 언덕 너머 태양의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별장 내 아세키아의 안뜰(''Patio de la Acequia'')은 길쭉한 연못을 중심으로 화단, 분수, 주랑 등이 배치된 구조로, 안달루시아 지방의 이슬람 건축 중 가장 잘 보존된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4. 1. 현재의 모습

헤네랄리페는 오늘날 나스르 시대의 원래 요소와 광범위한 현대적 요소, 특히 정원의 모습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이곳은 알함브라 궁전 북쪽, 치노스 언덕 너머 태양의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별장 내 아세키아 안뜰(''Patio de la Acequia'')은 길쭉한 연못을 중심으로 화단, 분수, 주랑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안달루시아 지방의 이슬람 건축 중 가장 잘 보존된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헤네랄리페와 알함브라 궁전은 과거에는 현재 두 곳 사이의 협곡을 가로지르는 통로로 연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볼 수 있는 헤네랄리페의 모습은 1931년부터 1951년까지 진행된 대대적인 보수 작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단지 내 산책로는 전통적인 그라나다 양식의 모자이크로 포장되어 있는데, 다로 강에서 가져온 흰색 조약돌과 헤닐 강에서 가져온 검은색 조약돌을 사용하였다.[15]

4. 1. 1. 외부 정원

헤네랄리페 정원은 언덕의 세 개의 넓은 테라스를 차지하고 있으며, 각 테라스는 폭 35m에 길이 250m이다.[14] 남서쪽의 두 개의 낮은 테라스는 채소밭과 과수원으로 사용된다. 오늘날 '라스 우에르타스'(Las Huertases)로 알려진 이 정원은 14세기부터 이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7]

가장 높은 테라스에는 '하르디네스 누에보스'(Jardines Nuevoses, "새로운 정원")가 있는데, 이곳은 20세기 정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늘날 역사적인 궁전으로 접근하는 주요 경로를 형성한다. 이 정원 지역의 남쪽 부분은 프란시스코 프리토 모레노(Francisco Prieto Moreno)가 설계하여 1951년에 완성되었다. 여기에는 잘 다듬어진 측백나무로 이루어진 벽과 이슬람/무어식 정원에서 영감을 받은 큰 십자형 수영장, 그리고 다른 장식용 식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1952년에는 야외 극장도 이곳에 추가되었다. 장미 덩굴 미로가 있는 정원의 북쪽 부분은 1931년 레오폴도 토레스 발바스(Leopoldo Torres Balbás)가 설계했다.[7]

4. 1. 2. 주 궁전

헤네랄리페 궁전 자체는 바깥 정원 위, 북쪽에 있는 네 번째 테라스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위로 언덕을 따라 여러 개의 작은 정원 테라스가 있으며, 몇몇 보조 건물들이 위치해 있다.[14] 궁전 단지의 핵심은 가장 큰 구조물인 '''아세키아 안뜰'''(''Patio de la Acequia'', "물의 수로 안뜰")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 안뜰은 너비보다 길이가 약 4배 정도 길며, 크기는 12.8m x 48.7m이다.[14] 안뜰로 들어가려면 남쪽에 있는 작은 안뜰인 ''폴로 안뜰''(''Patio de Polo'')을 거쳐야 하며, 이 안뜰은 다시 하차 안뜰로 알려진 또 다른 작은 안뜰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아세키아'라는 단어는 아랍어 단어 ''알-사키야''(''al-saqiya'')에서 유래했으며, 물 수로나 물 공급을 의미한다.[2]

아세키아 안뜰의 건물은 길고 내부 안뜰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뜰에는 네 개의 동일한 길이의 화단으로 나뉜 정원이 있다. 네 부분으로 나뉜 이러한 유형의 정원은 페르시아의 차르바그(''Chahar Bagh'') 유형 정원에서 역사적 기원을 두고 있으며,[18] 이 모델은 이슬람 세계 전역으로 서쪽으로 퍼져나가 알안달루스마그레브의 다양한 리야드 정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20][21] 안뜰의 긴 축을 따라 화단 사이에는 물줄기나 연못이 흐르고 있으며, 양쪽에는 물을 뿜어내는 물줄기가 설치되어 있다. 안뜰의 짧은 축에는 포장된 길이 있다. 이 길의 중간, 안뜰의 축 중심에는 포장된 플랫폼이 있으며, 원래는 중앙 분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8][16] 오늘날에는 중앙의 물줄기가 있는 낮은 원형 물통으로 구성된 두 개의 분수가 물줄기의 북쪽과 남쪽 끝에 위치해 있다.[7] 안뜰의 중앙과 일치하게 정원의 서쪽 벽에서 튀어나온 작은 벨베데레 또는 미라도르(전망대) 실이 있다. 이 사각형 실은 한 변이 3.98m이며 내부에는 이슬람식 조각된 석고로 장식되어 있다. 이것은 아마도 나스르 건축에서 가장 초기에 알려진 ''미라도르''일 것이며, 이후 많은 궁전에 나타나는 특징을 확립했다.[14]

아세키아 안뜰은 북쪽과 남쪽 끝에 파빌리온과 같은 구조물로 둘러싸여 있다. 남쪽에는 ''파벨론 수르''(''Pabellón Sur'', "남쪽 파빌리온")가 있으며, 안뜰 쪽으로 포르티코가 있는 2층 구조이다. 이 파빌리온은 북쪽 파빌리온보다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7] 북쪽 파빌리온은 원래 아랍어로 ''마즐리스 알-아크바리''(''Majlis al-Akbari'', 대략 "본당") 또는 ''마즐리스 알-'아사디''(''Majlis al-'Asadi'', "행운의 홀")라고 불렸다.[14] 이 건물 앞에는 중앙 아치가 더 큰 5개의 아치로 된 포르티코가 있다. 아치는 풍부하게 조각된 석고 장식과 세브카 모티프 및 필기체 아랍어 비문 띠가 특징이다. 아치 뒤에는 팔각형 코퍼로 덮인 나무 천장이 있는 지붕이 있는 갤러리 공간이 있다. 이 갤러리는 석고로 장식된 세 개의 아치 입구를 통해 ''살론 레히오''(''Salón Regio'', 왕실)로 이어진다. 이 방은 다른 나무 천장으로 덮여 있다. 방의 아치와 상단 벽은 더 많은 석고 장식으로 덮여 있으며, 상단에는 무카르나스(또는 ''모카라베스'') 조각이 새겨진 프리즈가 있다. 방의 북쪽 면 중앙에는 더 복잡한 석고 장식의 ''미라도르'' 실을 통합한 탑이 있다. 이 ''미라도르''는 세 면의 창문에서 알바이신의 전망을 제공한다.[7]

아세키아 안뜰 바로 위, 북동쪽에는 ''술타나 안뜰''(''Patio de la Sultana'') 또는 ''술타나 사이프러스 안뜰''(''Patio de los Cipreses de la Sultana'', "술타나의 사이프러스 안뜰")이 있다. 이 안뜰은 연못, 정원, 포장된 길로 채워져 있으며, 현재의 디자인과 건설은 나스르 시대 이후의 것이다.[16] 북쪽에 있는 아치형 구조는 1584년에서 1586년 사이에 지어졌다.[7][22]

4. 1. 3. 물 계단과 상부 정원

술타나의 안뜰 위에는 4개 층으로 이루어진 계단인 유명한 물의 계단 또는 ''Escalera del Agua''|에스칼레라 델 아구아es가 있다. 이 계단은 양쪽 난간 상단과 계단 전체 길이를 따라 물길이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16][7] 계단 층 사이에는 중앙에 분수가 있는 작은 원형 테라스 또는 착륙 지점이 있다. 계단 꼭대기에는 ''Pabellón Romántico''|파벨론 로만티코es로 알려진 작은 19세기 정자가 자리 잡고 있다.

계단 옆과 술타나의 안뜰 옆에는 언덕을 따라 여러 개의 테라스에 걸쳐 조성된 높은 정원 또는 ''Jardines Altos''|하르디네스 알토스es가 있다. 정원과 주요 궁전 구조의 남동쪽 끝에는 현재 방문객이 헤네랄리페를 나가는 데 사용하는 길인 ''Paseo de las Adelfas''|파세오 데 라스 아델파스es("협죽도의 길")가 있다.[7]

물의 계단 난간 상단에 흐르는 물길

4. 2. 나스르 시대의 원형

헤네랄리페는 알함브라 궁전 북쪽, 치노스 언덕 건너편 태양의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별장 내부의 '아세키아의 안뜰'(Patio de la Acequiaes)은 길쭉한 연못을 중심으로 화단, 분수, 주랑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안달루시아 지방에 남아있는 이슬람 건축 요소 중 가장 보존 상태가 좋은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과거에는 헤네랄리페와 알함브라 궁전 사이에 두 건물을 직접 연결하는 통로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헤네랄리페의 모습은 1931년부터 1951년까지 진행된 보수 작업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 과정에서 조성된 보도는 전통적인 그라나다 양식의 모자이크로 장식되었는데, 사용된 흰색 돌은 그라나다의 다르로 강에서, 검은색 돌은 헤닐 강에서 가져온 것이다.

4. 2. 1. 전체 배치

알함브라 궁전과 헤네랄리페 사이의 개인 중세 통로


헤네랄리페 궁전과 정원은 원래 나스르 왕조 통치자와 그 가족들이 알함브라 궁전의 공식 업무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휴식을 취하거나 여름 별궁으로 사용하던 곳이다.[16][12] 부지는 원래 긴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나, 현재 이 벽은 남아있지 않다.[15] 이런 점에서 헤네랄리페는 초기 우마이야 왕조(8~10세기) 시대 코르도바에 있던 왕족의 시골 저택과 기능적으로 유사했다.[2] 다른 정원 딸린 저택들처럼 헤네랄리페 부지의 상당 부분은 과수원, 말 방목지, 식재료를 얻기 위한 주방 정원 등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 실제로 헤네랄리페 정원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농업 생산이었다.[7] 나스르 왕조 시대에는 근처 같은 언덕에 '알리하레스' 궁전과 다르 알-'아루사라는 두 개의 다른 궁전이 더 지어졌지만, 이 궁전들은 더 동쪽에 위치했으며 현재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16] 오늘날 헤네랄리페를 내려다보는 언덕 꼭대기에 있는 폐허가 된 구조물인 'Silla del Moro'(무어인의 자리)는 한때 이 지역의 물 공급 시설을 보호하는 요새이자 감시 초소 역할을 했다.[23]

방문객을 위한 주요 입구는 부지의 남쪽 끝에 있었지만, 나스르 왕조 통치자들은 알함브라 궁전에서 헤네랄리페 궁전까지 두 궁전 사이의 협곡을 가로지르는 지붕 덮인 개인 통로를 통해 직접 이동할 수 있었다. 이 통로는 부분적으로 땅 아래를 지나며 벽으로 가려져 있었다. 이 통로는 오늘날에도 대부분 남아 있으며, 알함브라 궁전 쪽의 '토레 데 로스 피코스'에서 시작하여 과수원과 채소밭을 지나 궁전 남서쪽 끝에 있는 요새화된 탑 그룹을 통해 헤네랄리페 궁전의 현재 '파티오 데 폴로'로 직접 이어졌다. 이 통로 중간 지점에는 동물을 위한 물통이 있는 작고 불규칙한 형태의 안뜰이 있었고, 같은 통로를 따라 더 낮은 곳에 있는 문으로는 채소밭으로 직접 나갈 수도 있었다.[16][7]

4. 2. 2. 궁전 단지

나스르 시대의 서쪽 벽 잔해(''Patio de la Acequia'')의 작은 부분; 벽의 대부분은 오늘날 낮은 개방형 갤러리로 대체되었다.


''아세키아 안뜰''(Patio de la Acequiaes), ''술타나 안뜰''(Patio de la Sultanaes), 물 계단(Escalera del Aguaes)은 모두 16세기 이전 나스르 시대에 존재했던 요소들이지만, 이후 ''술타나 안뜰''은 완전히 재건되었다. ''아세키아 안뜰''은 후대에 수정되기는 했으나 상당 부분 원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의 정원은 현대에 조성된 것이지만, 중앙 수로가 긴 축을 따라 흐르는 4분할 구조라는 원래의 배치를 따르고 있다. 안뜰 남쪽 끝의 파빌리온 구조물인 ''파베욘 수르''(Pabellón Sures, 남쪽 파빌리온)는 가장 많이 변경된 부분이지만, 원래는 통치자와 그의 가족을 위한 주요 거주 공간의 일부였다. 오늘날 정원의 남서쪽 벽은 알함브라를 내려다보는 창문이 늘어선 개방형 갤러리 통로로 이루어져 있지만, 원래는 창문이 없는 훨씬 높은 벽이어서 정원을 더욱 사적인 공간으로 만들었다. 장식으로 덮인 원래 벽의 짧은 부분은 여전히 북쪽 끝에 남아있다. 그러나 벽 중간에 위치하며 외부를 조망할 수 있었던 ''미라도르''(miradores, 전망대)는 원래 벽에도 존재했으며, 낮은 창문과 내부 석고 장식을 갖추고 있었다. ''살론 레지오''(Salón Regioes)를 포함하는 안뜰의 북쪽 파빌리온은 원래 요소를 더 많이 보존하고 있다. 1319년 이스마일 1세가 추가한 북쪽 측면의 돌출된 탑에는 원래 석고 장식이 있는 또 다른 ''미라도르'' 방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개방형 갤러리로 구성된 파빌리온의 현재 상층부는 1494년 가톨릭 군주에 의해 추가된 것이다.[7][16]

헤네랄리페는 자급자족이 가능한 개인 궁전에 필요한 모든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1958년 화재 이후 발굴된 목욕탕과 기도실이 그 예이다.[4] 목욕탕은 현재의 ''술타나 안뜰'' 근처에 위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곳에서 저온 난방 시스템의 잔해와 대형 수로가 발견되었다.[16][7] 16세기 자료에 언급된 기도실은 물 계단 꼭대기에 위치한 로맨틱 파빌리온(Pabellón Románticoes)으로 알려진 현재의 작은 파빌리온 자리에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1836년에 지어진 현재 구조물 아래에서 오래된 기초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16][7]

궁궐의 원래 정원은 19세기와 20세기 스페인 취향을 반영하는 현재의 정원과는 식물학적으로 거의 관련이 없었다.[3] 16세기 초 나바게로(Navageroes)의 설명과 1958년 발굴 덕분에 정원의 원래 특징 일부가 알려졌다. ''아세키아 안뜰''에서 화단은 주변 산책로보다 낮게 조성되었다. 화단은 그리 깊지 않아 도금양 관목과 같은 비교적 키가 작은 식물 위주로 심어졌지만, 오렌지 나무와 같이 더 큰 식물을 심기 위한 깊은 구덩이도 있었다.[16] 원래 헤네랄리페의 분수 역시 지금과는 달랐다. ''아세키아 안뜰''의 물줄기는 원래 있던 것이 아니라 19세기에 설치된 것이다.[2] 그러나 물줄기를 뿜는 분수는 궁궐의 다른 곳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나바게로는 낮은 안뜰 중 하나(아마도 ''폴로 안뜰''(Patio de Poloes))에 약 9.14m 높이로 물줄기를 뿜어내는 분수가 있었다고 묘사했다. 이는 단순한 관개에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물을 공급했던 것으로 보이는 궁궐의 광범위한 급수 시설 유적을 통해 잠정적으로 확인된다.[16]

4. 3. 물 공급 시스템

헤네랄리페 위의 ''알베르코네스'': 오른쪽에는 옛 나스르 저수지가 보이며, 그 너머에는 주요 우물과 이전 탑 플랫폼이 있다. 왼쪽에는 20세기에 추가된 두 개의 현대식 저수지가 있다.


헤네랄리페에 물을 공급하는 주요 수로는 Acequia Real|아세키아 레알es (왕의 수로)이며, 이는 ''아세키아 델 레이'' 또는 ''아세키아 델 술탄''으로도 불린다. 이 수로는 알함브라에도 물을 공급했으며, 오늘날까지 대부분 그 형태가 남아있다. ''아세키아 레알''은 시에라 네바다 산기슭의 고지대, 알함브라에서 동쪽으로 약 6.1km 떨어진 곳에서 다로 강의 물을 끌어온다.[23]

Acequia del Tercio|아세키아 델 테르시오es로 알려진 더 작은 지류는 주요 수로에서 수 킬로미터 상류에서 갈라져 나와 더 높은 지대를 따라 흐르다가, 현재의 ''파베욘 로만티코'' 근처에서 헤네랄리페에 도달한다. 이 지류는 상부 정원, 물 계단, 그리고 과거에 있었던 목욕탕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반면, 주요 지류인 ''아세키아 레알''은 낮은 지대를 따라 흘러 헤네랄리페 궁전에 도착하여 ''파티오 데 라 아세키아''에 물을 공급한다. 수로는 대부분 지표면을 따라 흐르지만, 일부 구간은 암반을 직접 뚫어 만든 터널을 통과하기도 했다. 이러한 수로들은 복잡한 수조 및 물레방아 시스템과 결합되어 정원 전체에 물을 효과적으로 공급하고 분배했다.[16][7][23]

이 수압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인 Albercones|알베르코네스es는 약 400m3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중세 시대의 거대한 물탱크로, 높은 곳에 위치한 과수원과 정원에 물을 댈 수 있게 했다. 현재 이 시설은 Jardines Nuevos|자르디네스 누에보스es (새로운 정원) 위의 산비탈에 자리 잡고 있다. 1926년 토레스 발바스가 건설한 저수지와 1930년대 프리토 모레노가 추가한 또 다른 저수지가 오늘날 이곳에 함께 존재한다.[23]

''알베르코네스''는 남서쪽에 위치한 깊이 17.4m의 우물을 통해 물을 공급받았다. 이 우물 위에는 원래 다짐 흙으로 만든 탑이 있었으며, 탑 내부에는 동물의 힘으로 작동하는 물레방아 장치가 있어 우물에서 물을 끌어올렸다. 이 우물은 지하 갤러리 또는 수로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지하 수로는 현재의 ''파세오 데 라스 아델파스'' 근처에 하단 입구가 있다. 지하 갤러리는 더 높은 곳을 흐르는 ''아세키아 델 테르시오''에서 직접 물을 끌어왔으며, 이 수로는 정원을 지나 흐르는 ''아세키아 레알''과 교차한다. 두 수로, 즉 ''아세키아 레알''과 ''아세키아 델 테르시오''는 ''알베르코네스''를 지나 계속 이어지다가 알함브라로 돌아가기 전에 하나로 합쳐진다. 합쳐진 물은 알함브라 동쪽 끝의 ''토레 델 아구아'' 옆에 있는 수도교를 통해 알함브라 내부로 들어간다.[23]

5. 문화적 영향

영국 리즈의 라운드헤이 공원에는 헤네랄리페의 일부를 모방한 건축물이 있다.[24]

참조

[1] 웹사이트 Alhambra {{!}} Palace, Fortress, Facts, Map, & Pictures https://www.britanni[...] 2021-02-15
[2] 서적 Architecture of the Islamic West: North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70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Alhambr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Moorish architecture in Andalusia Taschen
[5] 논문 Reflections on the "Ta' Marbuta" in Spanish Toponyms of Arabic Origin 1967
[6] 서적 Architecture of the Islamic West: North Africa and the Iberian Peninsula, 70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Alhambra and the Generalife: Official Guide TF Editores
[8] 서적 Possessing the Land: Aragon's Expansion into Islam's Ebro Frontier under Alfonso the Battler (1104-1134) https://books.google[...] Brill
[9] 서적 A Companion to Islamic Granada https://books.google[...] Brill
[10] 논문 The Agdal of Marrakesh (Twelfth to Twentieth Centuries): An Agricultural Space for Caliphs and Sultans. Part 1: History 2017
[11] 서적 A Companion to Islamic Granada https://books.google[...] Brill
[12] 서적 Islamic Gardens and Landscap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3] 웹사이트 The court of the main canal https://www.alhambra[...] 2021-02-15
[14] 서적 Islamic Palace Architecture in the Western Mediterranean: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Gardens and Landscapes in Historic Building Conservation John Wiley & Sons
[16] 서적 Gardens, Landscape, and Vision in the Palaces of Islamic Spain https://books.goog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7] 서적 Romantic Castles and Palaces, As Seen and Described by Famous Writers Dodd, Mead & Company
[18] 논문 The Hispano-Arab Garden: Its Philosophy and Function 1968
[19] 웹사이트 Alhambra, Generalife and Albayzín, Granada https://whc.unesco.o[...] 2021-02-15
[20] 서적 La médina de Marrakech: Formation des espaces urbains d'une ancienne capitale du Maroc L'Harmattan
[21]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22] 웹사이트 The soultana's court https://www.alhambra[...] 2021-02-17
[23] 서적 The Alhambra and the Generalife: Official Guide TF Editores
[24] 웹사이트 The Alhambra Garden, fountains http://www.roundhayp[...] 2017-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