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브론 구시가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브론 구시가지는 그리스 시대 또는 로마 시대에 처음 정착했으며, 맘루크 시대에 도시 구조가 형성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구시가지는 이스라엘 군의 통제를 받는 H2 구역으로 지정되었고, 이스라엘의 안보 조치로 인해 팔레스타인 인구가 감소했다. 2017년 팔레스타인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이스라엘의 분리 정책과 팔레스타인 주민의 저항으로 인해 국제적인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맘루크 술탄국 - 칸유니스
    칸유니스는 가자 지구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대상들의 쉼터에서 시작하여 맘루크 시대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대에는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가 위치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격전지이자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통제 하의 지역 경제 중심지이다.
  • 맘루크 술탄국 - 카이로 성채
    카이로 성채는 1176년부터 1183년 사이에 살라딘이 십자군으로부터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건설한 요새로, 이집트 총독부의 중심지이자 다양한 모스크와 박물관을 갖춘 이집트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 팔레스타인의 세계유산 - 예수 탄생 기념 성당
    예수 탄생 기념 성당은 예수가 태어난 베들레헴에 위치하며, 4세기에 건축되어 565년에 재건되었고, 현재 그리스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가 공동 관리하며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팔레스타인의 세계유산 - 패트리아크 동굴
    패트리아크 동굴은 헤브론에 위치하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족장들의 매장지로 여겨지는 순례지이지만, 종교적, 정치적 변화와 분쟁을 겪으며 현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공동 관할 하에 있다.
헤브론 구시가지
일반 정보
공식 명칭헤브론/알-칼릴 구시가지
영어 명칭Hebron/Al-Khalil Old Town
아랍어 명칭البلدة القديمة الخليل
히브리어 명칭עיר העתיקה של חברון
위치서안 지구, 팔레스타인 헤브론
포함 지역마크펠라 동굴
좌표31°31′31″N 35°06′30″E
등재 정보
ID1565
등재 연도2017년
위기 등재2017년–
등재 기준문화 (ii, iv, vi)
면적20.6 헥타르
완충 구역152.2 헥타르
이미지
헤브론 구시가지
헤브론 구시가지
헤브론/알=할릴 구시가지. 현지 석회암을 사용한 건축군으로 이루어진 시가지와, 그 너머에 보이는 이브라힘 모스크 (미나레트가 있는 부분)/족장들의 무덤.
헤브론/알=할릴 구시가지
추가 정보
유네스코 세계 유산 센터헤브론/알-칼릴 구시가지
참고긴급 등록 추천으로 등록됨. 족장들의 무덤/이브라힘 모스크를 포함.
역사 및 갈등
관련 분쟁헤브론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

2. 역사

1940년대 팔레스타인 지도 조사


구시가지는 그리스 시대나 늦어도 로마 시대에 처음으로 정착이 이루어졌으며, 성경의 헤브론 중심지로 꼽히는 텔 루메이다에서 내리막 계곡에 자리 잡았다. 현재의 도시는 압바스 왕조 시대가 시작된 이후 헤브론의 중심지가 되었고, 족장들의 동굴을 중심으로 건설되었다.

헤브론 구시가의 도시 구조는 맘루크 시대에 형성되어 거의 변하지 않았다. 건물 대부분은 18세기 오스만 제국 시대의 것이며, 맘루크 건축 양식을 띈 건물도 6동 정도 있다. 각 지구는 좁은 구획에 둘러싸인 호 모양의 주거 형태가 다수 있으며, 대로 끝에는 문이 있다. 면적은 약 20.6ha로 수천 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구시가는 H2 지역으로 지정되어 이스라엘의 군사 통제가 유지되고 있다. Btselem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 초반부터 이스라엘의 치안 대책으로 인해 구시가의 팔레스타인 인구가 크게 줄었다. 이스라엘 방위군은 헤브론이 이스라엘 주민과 팔레스타인 주민이 함께 사는 유일한 팔레스타인 도시이기 때문에 복잡한 안보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국제적인 자금 원조를 받은 헤브론 재건위원회의 노력으로 2015년까지 6,000명 이상의 팔레스타인인이 귀환했다. 2019년 헤브론 임시 국제 주둔군은 도시에서 추방되었다. 국제앰네스티는 이스라엘이 헤브론에서 국제법을 일상적으로 위반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시가지 재건은 1998년 아가 칸 건축상을 수상했다.

2. 1. 초기 정착과 맘루크 시대

구시가지는 그리스 시대나 늦어도 로마 시대에 처음 정착이 이루어졌다. 성경에 나오는 헤브론의 중심지로 여겨지는 텔 루메이다에서 내리막길에 위치한 계곡에 정착했다. 현재의 도시는 압바스 왕조가 시작될 때까지 헤브론의 중심지가 되지 못했으며, 족장들의 동굴을 중심으로 건설되었다.[2]

헤브론 구시가의 도시 구조는 맘루크 시대에 형성되었으며, 대부분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3] 대부분의 건물은 18세기 오스만 제국 시대의 건물이며, 맘루크 양식의 건물도 6개 정도 있다. 이 도시는 각 지역의 경계 역할을 하는 좁고 요새화된 가옥들이 빽빽하게 들어선 여러 개의 세포와 같은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거리 끝에 문이 있다.[4] 면적은 약 20.6ha이며, 수천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2. 2. 오스만 제국 시대

헤브론 구시가지의 도시 구조는 맘루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건물의 대부분은 18세기 오스만 제국 시대의 것이며, 맘루크 건축도 6동 정도 있다. 각 지구는 좁은 구획에 둘러싸인 호 모양의 주거가 다수 있으며, 대로의 끝에는 문이 있다. 면적은 약 20.6ha(0.206km2)로 수천 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2. 3. 이스라엘 점령과 헤브론 협정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구시가는 H2 지역으로 지정되어, 1967년 이래 지속된 이스라엘의 군사 통제가 유지되고 있다.[7] Btselem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 초반부터 구시가의 팔레스타인 인구는 크게 줄었다. 이는 야간 통행금지 연장, 이동에 대한 엄격한 제한, 정착민 괴롭힘 등 이스라엘의 치안 대책에 따른 것이다.[8][9][10][11] IDF는 "IDF는 야간 통행금지가 민간인이나 병사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불가피한 상황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극단적인 조치로 간주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헤브론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주민이 동거하는 유일한 팔레스타인 도시이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 주민과 이들을 지키는 IDF 병사들에 대한 테러 공격이 빈번해 시는 복잡한 안보 문제를 안고 있다"라고 답변했다.[8] 국제 자금 지원을 받은 헤브론 재건위원회의 노력으로 2015년까지 6000명 이상의 팔레스타인인이 귀환했다.[12] 2019년 헤브론의 임시 국제 지위는 박탈되었다.[13] 국제앰네스티는 비밀 보고서를 통해 이스라엘이 헤브론에서 국제법을 일상적으로 위반하고 있으며, 헤브론의 팔레스타인 주민 이동 자유 결여에 대해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 규정된 무차별적 권리를 심각하고 정기적으로 침해하고 있다고 밝혔다.[14]

1995년 오슬로 협정과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팔레스타인 도시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전속 관할 하에 놓였지만, 헤브론은 예외였다.[61] 헤브론은 H-1과 H-2 두 구역으로 분할되었는데, H-1 구역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관할이 되었고, 헤브론 구시가지를 포함하는 H-2 구역은 여전히 이스라엘의 군사 지배 하에 놓였다.[62][63] H-2에는 약 3만 명의 팔레스타인 주민과 구 유대인 지역으로 이주해 온 약 800명의 유대인 정착 주민이 있으며, 유대인 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이스라엘 방위군 1개 여단 전체가 배치되어 있다.[64][65] 팔레스타인인은 주민이거나 주민을 방문하는 경우 외에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특별 허가 없이는 정착민이 사는 지역에 접근할 수 없다.[67] 국제 사회는 유대인의 정착을 불법으로 간주하지만, 이스라엘 정부는 이에 이의를 제기한다.[68]

2. 4. 21세기: 갈등과 보존 노력

맘루크 시대에 형성된 헤브론 구시가의 도시 구조는 현재까지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다. 건물 대부분은 18세기 오스만 제국 시대의 것이며, 맘루크 건축 양식을 띈 건물도 6동 정도 있다. 구시가지는 각 지구의 경계 역할을 하는 좁은 구획에 둘러싸인 호(弧) 모양의 주거 형태가 다수 있으며, 대로 끝에는 문이 있다.[4] 면적은 약 20.6ha로 수천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2017년 헤브론 구시가지는 팔레스타인의 세 번째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팔레스타인, 헤브론/알 할릴 구시가'라는 이름으로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5][6]

2019년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의 지도. 헤브론 시의 이스라엘 정착촌이 인도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구시가는 대부분 "제한 구역"에 있다.


1997년 오슬로 협정의 일부인 헤브론 협정에 따라 구시가는 H2 지역으로 지정되어, 1967년부터 지속된 이스라엘의 군사 통제가 유지되고 있다.[7] Btselem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 초반부터 구시가의 팔레스타인 인구는 크게 줄었는데, 이는 야간 통행금지 연장, 이동에 대한 엄격한 제한, 정착민 괴롭힘 등 이스라엘의 치안 대책에 따른 것이다.[8][9][10][11]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이 보고서에 대해 "IDF는 야간 통행금지가 민간인이나 병사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불가피한 상황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극단적인 조치로 간주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헤브론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주민이 동거하는 유일한 팔레스타인 도시이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 주민과 이들을 지키는 IDF 병사들에 대한 테러 공격이 빈번해 복잡한 안보상의 과제를 안고 있다."라고 밝혔다.[8] 국제적인 자금 원조를 받은 헤브론 재건위원회의 노력으로 2015년까지 6,000명 이상의 팔레스타인인이 귀환했다.[12] 2019년, 헤브론 임시 국제 주둔군은 도시에서 추방되었다.[13] 국제앰네스티는 비밀 보고서를 통해 이스라엘이 헤브론에서 국제법을 일상적으로 위반하고 있으며, 헤브론의 팔레스타인 주민 이동 자유 결여에 대해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 규정된 무차별적 권리를 심각하고 정기적으로 침해하고 있다고 밝혔다.[14]

1998년 구시가지 재건은 아가 칸 건축상을 수상했다.

3. 지구 및 세분

19세기 말, 구시가지는 9개의 지역으로 나뉜 것으로 기록되었다.[85]

이름아랍어 표기
셰이크 알리 바카 구역حارة الشيخ علي البكاar
자위야 구역حارة باب الزاويةar
유리 제조업자 구역حارة القزازينar (헤브론 유리 참조)
엘 아카베 (상승 구역)حارة العقّابةar
하람 구역حارة الحرمar
무헤이신 구역(가문의 이름)
면화 구역حارة قيطونar
동쪽 구역حارة المشارقةar
새로운 구역حارة الجديدar



구시가 주변부에는 베이트 하다사, 베이트 로마노, 아브라함 아비누와 같은 세 개의 작은 이스라엘 정착촌이 있는데, 이들은 느슨하게 인접한 유대인 지구를 형성하고 있다는 평을 듣는다. 19세기 후반 유대인 지역은 유리 제조업자 구역(Haret Kezazin)에 있었다.[17][18]

4. 랜드마크

19세기 지도 두 장, 20세기 초 항공 사진, 그리고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인의 이동의 자유 제한에 대한 21세기 지도의 헤브론 구시가지 모습이다. 1898년 지도에는 다음과 같은 범례가 포함되어 있다.[1]

1. 족장들의 무덤

2. 부분적으로 파괴된 성

3. 수영장

4. 수영장

5. 오래된 우물

6. 오래된 우물

7. 비주르 모스크

8. 알리 부카 모스크 ("헤브론의 두 번째 주요 건물")

A. 셰이크 '알리 바카 지구 حارة الشيخ علي البكاar

B. 자위야 지구 (하레트 에즈 자위에) حارة باب الزاويةar

C. 유리 제조공 지구 (하레트 케자진) حارة القزازينar (참조: 헤브론 유리)

D. 엘 아카베 (상승 지구) حارة العقّابةar

E. 하람 지구 حارة الحرمar

F. 무헤이신 지구 (가문의 이름)

G. 면화 지구 (하레트 코톤) حارة قيطونar

H. 동부 지구 (하레트 메셰르키) حارة المشارقةar

I. 새로운 지구 حارة الجديدar

헤브론 구시가지에는 알 자왈리 사원, 우스만 이븐 아판 사원, 만케굴 동굴, 셰이크 알리 알-바카 사원 등 여러 예배 장소와 متحف الخليل|구시가지 박물관ar이 있다. 그 외에도 공중 목욕탕, 카라반사라이(대상 숙박 시설), 맘루크 왕조 시대의 아인 알 함라 분수, 십자군 시대 요새인 알 카라아 요새 터 등이 있다.

4. 1. 예배 장소


  • 알 자왈리 사원, 우스만 이븐 아판 사원, 만케굴 동굴(이 브라힘 호스피스 포함)
  • 셰이크 알리 알-바카 사원
  • 카자진 사원
  • 아브라함 아비누 회당
  • 이브라힘 모스크(족장들의 묘)
  • 5개의 자위야 (이슬람교의 수행장)

4. 2. 박물관

متحف الخليل|구시가지 박물관ar

4. 3. 기타


  • 공중 목욕탕 3곳
  • 카라반사라이(대상을 위한 숙박 시설) 4곳
  • 아인 알 함라 분수(맘루크 왕조 시대 작품)
  • 알 카라아 요새 터(십자군 시대 요새)

5.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와 논란



헤브론 구시가지는 2017년 팔레스타인의 세 번째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동시에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도 등재되었다.[5][6]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구시가는 "H2" 구역으로 지정되어 이스라엘 군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7] Btselem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 초부터 이스라엘의 안보 조치와 정착민들의 괴롭힘으로 인해 구시가의 팔레스타인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다.[8][9][10][11]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헤브론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주민이 함께 사는 유일한 팔레스타인 도시이기 때문에 복잡한 안보 문제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8]

헤브론 구시가지의 세계유산 등재는 이스라엘과 미국의 반발을 불러왔다. 이스라엘은 국제 기념물 유적 협의회(ICOMOS)의 현장 실사를 거부했고,[32] 미국과 이스라엘은 유네스코의 결정이 헤브론과 유대교의 연관성을 부정한다고 비판하며 2018년 유네스코를 탈퇴했다.

5. 1. 세계유산 등재



헤브론 구시가지는 2017년 팔레스타인의 세 번째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팔레스타인, 헤브론/알 할릴 구시가'이다.[31]

오슬로 합의의 일부인 1997년 헤브론 합의에 따라 구시가는 H2 지역으로 지정되어 1967년 이래 이스라엘의 군사 통제가 유지되고 있다. Btselem 보고서에 따르면, 구시가의 팔레스타인 인구는 1980년대 초반부터 크게 감소했는데, 이는 야간 통행금지 연장, 엄격한 이동 제한, 정착민 괴롭힘 등 이스라엘의 보안 대책 때문이다.[33] IDF는 이에 대해 야간 통행금지령은 민간인이나 병사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불가피한 상황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강력한 조치라고 밝혔다.[33] 헤브론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주민이 함께 사는 유일한 팔레스타인 도시로, 이스라엘 주민과 이들을 보호하는 IDF 병사들에 대한 테러 공격이 빈번하여 복잡한 안보 문제를 안고 있다. 국제적 지원을 받은 헤브론 재건위원회의 노력으로 2015년까지 6000명 이상의 팔레스타인인이 귀환했다.[33] 2019년 헤브론의 임시 국제 지위는 박탈되었다. 국제앰네스티는 비밀 보고서를 통해 이스라엘이 헤브론에서 국제법을 일상적으로 위반하고 있으며, 헤브론의 팔레스타인 주민 이동 자유 결여에 대해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 규정된 무차별적 권리를 심각하고 정기적으로 침해하고 있다고 밝혔다.[33]

구시가지 재건은 1998년 아가 칸 건축상을 수상했다.

팔레스타인이 2011년 정회원국으로 가입한 이후, 미국은 유네스코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비국가에 정회원 자격을 부여하는 유엔 기구에 대한 자금 지원을 금지하는 기존 법률[26]을 언급했는데, 이는 팔레스타인이 1989년 4월 유네스코와 WHO 회원 가입을 신청한 이후 시행되었다.[28][29] 미국과 이스라엘은 2011년 팔레스타인 가입에 반대표를 던진 194개 회원국 중 14개국에 불과했다.[30]

2017년 1월 30일 팔레스타인이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하고 5월 21일 조속한 검토를 요청한 문서들([https://whc.unesco.org/document/159611 집행 요약], [https://whc.unesco.org/document/159613 지명 텍스트], [https://whc.unesco.org/document/159610 부속서], [https://whc.unesco.org/document/159612 지도])[31]에 대해, 국제 기념물 유적 협의회(ICOMOS)는 헤브론 구시가지 접근을 시도했으나, 이스라엘은 "문화 및 유산을 가장한 팔레스타인의 어떠한 정치적 움직임에도 참여하지 않고 합법화하지 않을 것"이라며 거부했다.[32]

ICOMOS 보고서에 대한 보도에서, ''예루살렘 포스트''는 유대교 및 초기 기독교 사회와의 헤브론 연관성이 거의 인정되지 않고, 텔 루메이다(성경의 헤브론 지역) 및 기타 유적지가 경계에서 제외되었다고 지적했다.[33] 또한, 현장 방문이 없어 팔레스타인 보고서의 세부 사항이 제한되어 ICOMOS가 제안을 완전히 평가하거나, 등재 자격을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33]

''+972 매거진''의 오를리 노이는 유네스코가 해당 유적이 목록에 포함될 가치가 있는지, 어떤 국가에 속하는지를 고려하며, 해당 결의안이 헤브론이나 족장들의 무덤에 대한 유대교와의 연관성을 부인하지 않으며, 헤브론에 대한 결의안은 해당 도시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 신성하다는 사실을 인정한다고 말했다.[36][37][38] 그러나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해당 유적에 대한 유대교와의 연관성이 부인되었다고 말했다.[39][40] 2010년 2월, 이스라엘 정부는 족장들의 동굴을 포함한 국립 유산 유적 프로젝트를 채택했으며, 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행정부로부터 "전적으로 유대교로 특징 지을 수 없는 토지의 문화 유산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았다.[41][42]

2017년, 미국은 반이스라엘 편향을 이유로 유네스코를 탈퇴했고, 이스라엘도 뒤따랐다. 이는 2016년 예루살렘에 대한 결의안과 헤브론 등재에 따른 것이었다. 당시 워싱턴의 미납금은 5억달러가 넘었다. 이들의 탈퇴는 2018년 말에 발효되었다.

세계유산 등록 대상은 맘루크 왕조 시대에 헤브론 구시가지를 형성한 지역 석회암을 사용한 건축군과, 구시가지 중심에 위치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시조(족장) 아브라함과 그의 가족의 묘를 보호하기 위해 기원 1세기에 세워진 부지 내에 있는 이브라힘 모스크/족장들의 묘이다[46]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브라힘 모스크/족장들의 묘가 일신교(아브라함 종교)의 3대 종교인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게 종교적·정신적으로 동등한 중요성을 가지며, 신자들이 거의 동일한 이유로[81] "함께" 기도를 드릴 수 있다는 점이 보편적인 가치를 지니며, 다른 기존 세계유산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자성이라고 언급했다.[83]

5. 2. 이스라엘의 반발과 미국의 유네스코 탈퇴

2011년 팔레스타인이 유네스코 정회원국으로 승인된 이후, 미국은 유네스코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 이는 팔레스타인이 1989년 4월 유네스코와 WHO 정회원 가입을 신청한 이후 시행된, 비(非)국가에 정회원 자격을 부여하는 유엔 기구에 대한 자금 지원을 금지하는 미국의 기존 법률[26][28][29]에 따른 것이었다. 미국과 이스라엘은 2011년 팔레스타인의 유네스코 가입에 반대표를 던진 194개국 중 14개국에 불과했다.[30]

2017년, 팔레스타인의 요청으로 헤브론 구시가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자, 이스라엘은 국제 기념물 유적 협의회(ICOMOS)의 현장 실사를 거부하며 반발했다. 이스라엘은 "문화 및 유산을 가장한 팔레스타인의 어떠한 정치적 움직임에도 참여하지 않고 합법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32]

''예루살렘 포스트''는 ICOMOS 보고서가 헤브론과 유대교 및 초기 기독교 사회와의 연관성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33] 반면, ''+972 매거진''의 오를리 노이는 유네스코 결의안이 헤브론과 유대교의 연관성을 부인하지 않으며, 헤브론이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 모두 신성한 도시임을 인정한다고 주장했다.[36][37][38] 그러나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유네스코의 결정이 헤브론과 유대교의 연관성을 부정했다고 비판했다.[39][40]

2017년 미국은 유네스코의 반(反)이스라엘 편향을 이유로 탈퇴를 발표했고, 이스라엘 역시 미국의 뒤를 따랐다. 당시 미국의 유네스코 분담금 미납액은 5억달러가 넘었다. 이들의 탈퇴는 2018년 말에 발효되었다.

5. 3.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2017년 팔레스타인은 헤브론 구시가지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했다.[5][6]

1997년 오슬로 협정의 일환인 헤브론 협정에 따라 구시가는 "H2" 구역으로 지정되어, 1967년부터 이스라엘 군의 통제를 받고 있다.[7] Btselem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대 초부터 이스라엘의 안보 조치(장기간 통행금지, 이동 제한, 정착촌 인근 팔레스타인 상업 활동 폐쇄, 정착민들의 괴롭힘)로 인해 구시가의 팔레스타인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다.[8][9][10][11]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IDF는 통행금지가 민간인과 군인의 생명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경우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극단적인 조치임을 인지하고 있다. 헤브론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주민이 공존하는 유일한 팔레스타인 도시로, 이스라엘 주민과 IDF 군인을 대상으로 한 테러 공격이 빈번하여 복잡한 안보 문제를 야기한다"고 답변했다.[8] 국제 기금으로 운영되는 헤브론 재활 위원회의 노력으로 2015년까지 6,000명 이상의 팔레스타인인이 돌아왔다.[12] 2019년, 헤브론 임시 국제 주둔군은 도시에서 추방되었으며,[13] 이스라엘이 헤브론에서 국제법을 정기적으로 위반하고, 팔레스타인 주민의 이동 자유를 제한하여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의 차별 금지 권리를 "심각하고 정기적으로 위반"하고 있다는 기밀 보고서를 발표했다.[14]

구시가 재활은 1998년 아가 칸 건축상을 수상했다.

2011년 팔레스타인이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한 이후, 미국은 유네스코에 자금 지원을 중단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비국가에 정식 회원 자격을 부여하는 유엔 기구에 자금 지원을 금지하는 기존 법률[26]을 언급했는데, 이는 팔레스타인이 1989년 4월 유네스코와 WHO 회원 가입을 신청한 이후 시행되었다.[28][29] 미국과 이스라엘은 2011년 팔레스타인 가입에 반대표를 던진 194개 회원국 중 14개국에 불과했다.[30]

국제 기념물 유적 협의회(ICOMOS)는 헤브론 구시가지 접근을 시도했지만, 이스라엘은 "전략적이고 원칙적인 수준에서 이스라엘은 문화 및 유산을 가장한 팔레스타인의 어떠한 정치적 움직임에도 참여하거나 합법화하지 않을 것"이라며 거부했다.[32]

ICOMOS 보고서에 대해 ''예루살렘 포스트''는 "유대교 및 초기 기독교 사회와의 헤브론 연관성은 거의 인정되지 않고, 텔 루메이다(성경의 헤브론 지역) 등 유적지는 경계에서 제외되었다"고 지적하며,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기원전 2200년부터 시작된 세 개의 일신교 발전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며 더 확장된 기간과 지리적 범위를 가진 도시였다면 더 나은 결과를 얻었을 것"이라고 썼다. 또한 "현장 방문 부재와 팔레스타인 보고서의 제한된 세부 사항으로 인해 ICOMOS는 제안을 완전히 평가하거나 등재 자격을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고 덧붙이며, "결정문에 ICOMOS가 현장 방문 부재로 인해 유적지를 완전히 평가할 수 없었다고 명시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위협과 침해는 '정치적 대응'을 필요로 하는 장기간의 복잡한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다."[33] 린 메스켈 교수 겸 작가는 헤브론 등재 협상을 바티르 사례와 비교하며, 팔레스타인이 유적지 훼손, 피해 및 기타 공격을 문서화하고, 안전 및 국제 보존 기준 확보를 위해 위험 등재를 위한 사무국에 요청했다고 언급했다.[34]

''+972 매거진''의 오를리 노이는 유네스코가 유적의 등재 가치와 소속 국가를 고려하며, 결의안이 헤브론이나 족장들의 무덤에 대한 유대교와의 연관성을 부인하지 않고, 헤브론에 대한 결의안은 도시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 신성하다는 사실을 인정한다고 말했다.[36][37][38] 그러나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유적에 대한 유대교와의 연관성이 부인되었다고 주장했다.[39][40] 2010년 2월, 팔레스타인의 지명을 예상하여 이스라엘 정부는 족장들의 동굴을 포함한 국립 유산 유적 프로젝트를 채택했으며, 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행정부로부터 "전적으로 유대교로 특징지을 수 없는 토지의 문화 유산을 무시한다"는 강력한 비판을 받았다.[41][42]

2017년, 미국은 반이스라엘 편향을 이유로 유네스코 탈퇴를 발표했고, 이스라엘도 뒤따랐다. 이는 2016년 예루살렘에 대한 결의안과 이 기사의 주제인 등재에 따른 것이었다. 당시 미국의 미납금은 5억달러가 넘었다. 이들의 탈퇴는 2018년 말에 발효되었다. 다니엘 마르웨키는 2019년 미국과 이스라엘의 유네스코 탈퇴 이유에 대한 분석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유네스코 무대에서 전개되는 외교 드라마의 현재 에피소드는 역사적으로, 그리고 유엔에 대한 미국의 전략적, 전술적 관점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고 결론지었다.[43]

6. 이스라엘의 분리 정책과 팔레스타인 주민의 저항



1995년 오슬로 협정과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헤브론 구시가지는 H-1과 H-2 두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H-1 구역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관할이 되었지만, 헤브론 구시가지를 포함하는 H-2 구역은 이스라엘의 군사 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다.[62][63] H-2에는 약 3만 명의 팔레스타인 주민과 약 800명의 유대인 정착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스라엘 방위군은 유대인 주민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1개 여단을 배치하고 있다.[64][65]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 방위군의 특별 허가 없이는 정착민 거주 지역에 접근할 수 없으며,[67] 이는 국제 사회에서 불법으로 간주되는 유대인 정착을 이스라엘 정부가 옹호하는 상황을 보여준다.[68]

이스라엘군은 팔레스타인인의 통행이 폐쇄된 길을 따라 위치한 팔레스타인인 주택의 출입구와 창문을 봉쇄하였다. 이는 주민의 이동의 자유를 침해하는 인권 문제뿐만 아니라, 역사적 경관의 완전성과 진정성을 훼손한다는 점에서 문화재 보존 관점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66][79][80]

6. 1. 분리 장벽과 통제

H2 지역의 팔레스타인 인구는 이스라엘의 안보 조치로 인해 크게 감소했다. 여기에는 장기간의 통행 금지, 이동에 대한 엄격한 제한,[20] 정착촌 인근 팔레스타인 상업 활동의 폐쇄, 정착민의 괴롭힘 등이 포함된다.[11][21][22][23] 팔레스타인인들은 주요 상업 도로인 알-슈하다 거리의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이로 인해 현지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거리"라는 별칭으로 불린다.[24][25]

1995년 오슬로 협정과 1997년 헤브론 협정에 따라 팔레스타인 도시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전속 관할 하에 놓였지만, 헤브론은 예외가 되어 두 구역으로 분할되었다.[61] H-1 구역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관할이 되었고, 헤브론 구시가지를 포함하는 H-2 구역은 여전히 이스라엘의 군사 지배 하에 놓였다.[62][63] H-2에는 약 3만 명의 팔레스타인 주민과 구 유대인 지역으로 이주해 온 약 800명의 유대인 정착 주민이 있으며, 유대인 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이스라엘 방위군의 1개 여단 전체가 배치되어 있다.[64][65]

팔레스타인인은 주민이거나, 여러 층 건물 중 상층에는 유대인 정착민이 거주하고 하층에는 팔레스타인인이 거주하며 입구가 별도로 마련된 경우[66] 외에는 이스라엘 방위군의 특별 허가 없이는 정착민이 사는 지역에 접근할 수 없다.[67] 유대인의 정착은 국제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불법으로 간주되지만, 이스라엘 정부는 이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2022년 12월, 국제 연합 총회는 국제 사법 재판소 (ICJ)에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의 위법성에 대해 권고적 의견을 요구하는 결의를 채택했고, 2024년 2월 19일에 심리가 시작되었다.[69][70]

H-2의 팔레스타인인 인구는 야간 통행 금지 연장, 이동에 대한 엄격한 제한,[72] 정착촌 인근의 팔레스타인인 상업 활동 폐쇄 등 이스라엘의 치안 대책의 영향 및 정착민의 괴롭힘으로 인해 대폭 감소하고 있다.[73][74][75][76] 팔레스타인인은 주요 상업 거리인 슈하다 거리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며, 그 결과 현지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거리"라고 불리고 있다.[77][78]

이스라엘에 의해 시멘트로 막힌 역사적 건물의 출입구.


팔레스타인인의 통행이 폐쇄된 길을 따라 팔레스타인인 주택의 출입구와 창문이 있는 경우, 그것들은 이스라엘군에 의해 막히고, 주민의 이동의 자유 등 인권이 침해되는 것은 물론, 역사적 경관의 완전성과 진정성이 훼손된다는 점에서 문화재 보존・보존의 관점에서도 문제시되었다.[66][79][80]

6. 2. 정착민 폭력과 팔레스타인 주민의 피해

H2 지역의 팔레스타인 인구는 이스라엘의 안보 조치로 인해 크게 감소했다. 여기에는 장기간의 통행 금지, 이동에 대한 엄격한 제한,[20] 정착촌 인근 팔레스타인 상업 활동 폐쇄,[11][21][22][23] 정착민의 괴롭힘 등이 포함된다.[73][74][75][76] 팔레스타인인들은 주요 상업 도로인 알-슈하다 거리의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이로 인해 현지에서는 "아파르트헤이트 거리"라는 별칭으로 불린다.[19][24][25]

팔레스타인인의 통행이 폐쇄된 길을 따라 팔레스타인인 주택의 출입구와 창문이 있는 경우, 그것들은 이스라엘군에 의해 막히고, 주민의 이동의 자유 등 인권이 침해는 물론, 역사적 경관의 완전성과 진정성이 훼손된다는 점에서 문화재 보존·보존의 관점에서도 문제시되었다.[66][79][80]

참조

[1] 웹사이트 Hebron/Al-Khalil Old Town https://whc.unesco.o[...] 2022-12-23
[2] 간행물 Juden, Idumäer und „Heiden“. Die herodianischen Bauten in Hebron und Mamre https://www.academia[...] L.- M. Günther (ed.), Herodes und Rom (Stuttgart 2007)
[3] 문서 UNESCO Nomination Executive Summary
[4] 문서 PEF Survey
[5] 뉴스 Unesco Declares Hebron’s Core as Palestinian World Heritage Site https://www.nytimes.[...]
[6] 문서 Decision : 41 COM 8C.1 Update of the Lis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Inscribed Properties) https://whc.unesco.o[...]
[7] 웹사이트 Protocol Concerning the Redeployment in Hebron http://domino.un.org[...] Non-UN document. 1997-01-17
[8] 뉴스 Israeli NGO issues damning report on situation in Hebron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03-08-19
[9] 웹사이트 Hebron, Area H-2: Settlements Cause Mass Departure of Palestinians http://www.btselem.o[...] 2003-08-01
[10] 웹사이트 Palestine Refugees: a challeng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www2.reliefwe[...] ReliefWeb 2006-10-10
[11] 웹사이트 Ghost Town: Israel's Separation Policy and Forced Eviction of Palestinians from the Center of Hebron http://www.btselem.o[...] 2007-05-01
[12] 뉴스 A ghost city revived: the remarkable transformation of Hebron https://www.theguard[...]
[13] 뉴스 Israeli police report reveals truth about expulsion of observers in Hebron https://www.middleea[...] MEMO 2020-03-07
[14] 웹사이트 Confidential 20-year monitoring report: Israel regularly breaks int'l law in Hebron https://www.haaretz.[...] 2018-12-17
[15] 문서 1898
[16] 서적 Hebron Jews: Memory and Conflict in the Land of Israel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9-07-16
[17] 문서 PEF Survey of Palestine
[18] 문서 Biblical Researches in Palestine
[19] 웹사이트 Maan News Agency: Hebron road renamed "Apartheid Street" http://www.maannews.[...] 2023-01-08
[20] 웹사이트 B'Tselem – Press Releases – 31 Dec. 2007: B'Tselem: 131 Palestinian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hostilities killed by Israel's security forces in 2007 http://www.btselem.o[...] Btselem.org 2009-11-12
[21] 뉴스 Israeli NGO issues damning report on situation in Hebron http://www.reliefweb[...] ReliefWeb 2007-03-30
[22] 웹사이트 Hebron, Area H-2: Settlements Cause Mass Departure of Palestinians http://www.btselem.o[...] 2003-08-01
[23] 웹사이트 Palestine Refugees: a challeng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www2.reliefwe[...] ReliefWeb 2006-10-10
[24] 뉴스 Letter from the West Bank: In Hebron, renovation of holy site sets off strife https://www.washingt[...] 2010-03-08
[25] 뉴스 Hope in Hebron https://web.archive.[...] New York Review of Books 2013-03-22
[26] 서적 The PLO's Efforts to Obtain Statehood Status a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earing and Markup Before the Subcommittee on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th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House of Representatives, One Hundred First Congress, First Session, on H.R. 2145, May 4, 1989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7] 뉴스 U.S. stops UNESCO funding over Palestinian vote https://www.reuters.[...] Reuters 2020-02-26
[28] 서적 The Legal Consequences of Limited Statehood: Palestine in Multilateral Framework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11-26
[29] 문서 Request for the admission of the State of Palestine to UNESCO as a Member State https://unesdoc.unes[...] UNESCO Executive Board, 131st 1989-01-01
[30] 뉴스 U.S., Israel quit U.N. heritage agency citing bias https://www.reuters.[...] Reuters 2020-02-26
[31] 웹사이트 Palestine: UNESCO Votes the Old City of Hebron a World Heritage Site http://www.arabcp.or[...] ARCP 2020-03-07
[32] 뉴스 U.S., Israel quit U.N. heritage agency citing bias https://www.timesofi[...] 2020-02-26
[33] 뉴스 UNESCO experts: Hebron heritage request too focused on Muslim history https://www.jpost.co[...] 2020-03-08
[34] 서적 A Future in Ruins: UNESCO, World Heritage, and the Dream of Pea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6-01
[35] 문서 ICOMOS: Hebron/Al-Khalil Old town (Palestine) No 1565
[36] 뉴스 There's nothing anti-Semitic about UNESCO's Hebron vote https://www.972mag.c[...] "+972 Magazine" 2017-07-09
[37] 간행물 Reaffirms that the two concerned sites located in Al-Khalil/Hebron and in Bethlehem are an integral part of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and shares the conviction affirm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the two sites are of religious significance for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https://unesdoc.unes[...]
[38] 문서 "As a pilgrimage site for the three monotheistic religions –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p.25: "The quarters defined by the community’s religion, such as the Christian quarter (harat al-Nasara, mentioned by Mujir al-Din) and the Jewish quarter (harat al-Yahud, mentioned in the 16th century Ottoman tax registers and by the Jewish travellers dur- ing the same period), or the bothare, which is no longer existing."; p.59: "Jewish families living in Hebron left the city after the eruption of violence in 1929 and mainly after 1948 war." http://whc.unesco.or[...]
[39] 웹사이트 At stormy meet, UNESCO declares Hebron an endangered Palestinian site http://www.timesofis[...] 2020-02-25
[40] 서적 Anti-Zionism and Antisemitism: The Dynamics of Delegitimizatio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9-01-09
[41] 뉴스 US slams Israel over designating heritage sites http://www.haaretz.c[...] Haaretz 2010-02-25
[42] 논문 "The Stones of Contention: The Role of Archaeological Heritage in Israeli–Palestinian Conflict." Archaeologies 2013
[43] 웹사이트 Why Did the U.S. And Israel Leave UNESCO? https://www.e-ir.inf[...] E-International Relations 2019-02-14
[44] 웹사이트 West Bank B&B in Hebron's Old City fully booked http://www.theaustra[...] 2011-05-23
[45] 문서 Juden, Idumäer und „Heiden“. Die herodianischen Bauten in Hebron und Mamre https://www.academia[...]
[46] 웹사이트 Hebron/Al-Khalil Old Town https://whc.unesco.o[...] 2022-12-23
[47] 웹사이트 ユネスコ、ヘブロン旧市街を危機遺産に イスラエル猛反発 https://www.afpbb.co[...] 2017-07-08
[48] 웹사이트 Amendment to 41 COM 8B.1 https://www.unwatch.[...] UN Watch 2017-06-05
[49] 간행물 ICOMOS 2017b https://whc.unesco.o[...]
[50] 간행물 UNESCO 2017 https://www.youtube.[...]
[51] 웹사이트 特集: 7月7日(金)クラフク世界遺産委員会リポート 第六回 https://www.tbs.co.j[...] TBS 2017-07-07
[52] 웹사이트 第41回ユネスコ世界遺産委員会について(概要) https://www.bunka.go[...] 文化庁
[53] 뉴스 Unesco makes Hebron old city Palestinian world heritage sit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7-07
[54] 웹사이트 The Old Town of Hebron https://www.travelpa[...]
[55] 웹사이트 Rise of Israel’s far right puts focus back on the West Bank occupation https://www.washingt[...] 2022-12-10
[56] 간행물 Schick 1898 https://zenodo.org/r[...]
[57] 간행물 ICOMOS 2017b https://whc.unesco.o[...]
[58] 서적 Hebron Jews: Memory and Conflict in the Land of Israel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9-07-16
[59] 문서 PEF Survey of Palestine
[60] 문서 Biblical Researches in Palestine
[61] 간행물 Alimi 2013
[62] 간행물 Kimmerling Migdal 2003
[63] 웹사이트 Protocol Concerning the Redeployment in Hebron http://domino.un.org[...] Non-UN document. 1997-01-17
[64] 문서 Politicide:Ariel Sharon's War Against the Palestinians
[65] 뉴스 Living in fear in Hebron http://www.aljazeera[...] Al Jazeera Media Network 2014-02-18
[66] 뉴스 A Guided Tour of Hebron, from Two Sides of the Occupation https://www.newyorke[...] The New Yorker 2019-01-24
[67] 뉴스 Letter from the West Bank: In Hebron, renovation of holy site sets off strife https://www.washingt[...] 2010-03-08
[68] 뉴스 The Geneva Conven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2-10
[69] 뉴스 国際司法裁判所 イスラエルのパレスチナ占領めぐり審理始まる https://www3.nhk.or.[...] 2024-02-20
[70] 뉴스 パレスチナ、イスラエルの占領違法認定要請 国際司法裁で審理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4-02-19
[71] 웹사이트 Maan News Agency: Hebron road renamed "Apartheid Street" https://web.archive.[...] 2011-11-02
[72] 웹사이트 "B'Tselem – Press Releases – 31 Dec. 2007: B'Tselem: 131 Palestinian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hostilities killed by Israel's security forces in 2007" http://www.btselem.o[...] Btselem.org 2007-12-31
[73] 뉴스 Israeli NGO issues damning report on situation in Hebron https://web.archive.[...] ReliefWeb 2003-08-19
[74] 웹사이트 Hebron, Area H-2: Settlements Cause Mass Departure of Palestinians http://www.btselem.o[...] 2003-08
[75] 웹사이트 Palestine Refugees: a challeng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ttp://webarchive.lo[...] ReliefWeb 2006-10-10
[76] 웹사이트 Ghost Town: Israel's Separation Policy and Forced Eviction of Palestinians from the Center of Hebron http://www.btselem.o[...] 2007-05
[77] 뉴스 Letter from the West Bank: In Hebron, renovation of holy site sets off strife https://www.washingt[...] 2010-03-08
[78] 웹사이트 Hope in Hebron https://web.archive.[...] 2013-03-22
[79] 간행물 https://whc.unesco.o[...] 2017b
[80] 간행물 https://www.youtube.[...] 2017
[81] 문서 アブラハムの宗教
[82] 웹사이트 The Hebron celebration near the Cave of the Patriarchs https://www.jpost.co[...] [[エルサレム・ポスト]] 2020-01-28
[83] 간행물 https://www.youtube.[...] 2017
[84] 웹사이트 West Bank B&B in Hebron's Old City fully booked https://archive.toda[...] 2011-05-23
[85] 문서 1898
[86] 뉴스 Letter from the West Bank: In Hebron, renovation of holy site sets off strife https://www.washingt[...] 2010-03-08
[87] 웹사이트 Hope in Hebron https://web.archive.[...] 2013-03-22
[88] 웹인용 Palestine: UNESCO Votes the Old City of Hebron a World Heritage Site http://www.arabcp.or[...] ARCP 2017-07
[89] 뉴스 U.S., Israel quit U.N. heritage agency citing bias https://www.timesofi[...] 2017-06-25
[90] 논문 "The Stones of Contention: The Role of Archaeological Heritage in Israeli–Palestinian Conflict."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