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모비스는 1977년 현대정공으로 설립되어,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기아의 부품 및 서비스 부문을 담당하는 기업이다. 1979년 특장차 사업 진출을 시작으로, 2000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사업은 모듈 및 핵심부품, A/S 부품, 미래 기술 개발이며, 섀시, 조종석, 안전 제품,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한다. 2014년 기준 세계 6위의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였으며, 2023년 매출액은 430억 달러를 기록했다. 본사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해 있으며, 국내외 여러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자동차 부품 기업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1941년 조선타이어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68년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201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타이어 제조 기업이며, 전 세계에 생산 거점과 기술 센터를 운영하고 닛산, BMW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에 타이어를 공급하며 모터스포츠와 스포츠 구단 후원, 디자인 어워드 수상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자동차 부품 기업 - SL (기업)
SL Corporation은 1954년 삼립자동차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0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 외부 조명 시스템, 현가 장치 부품 등을 생산하고 GM, 현대자동차 등을 주요 고객으로 둔다. - 1977년 설립된 기업 - HDC (기업)
HDC는 현대산업개발에서 분할된 HDC그룹의 지주회사로 투자, 부동산 임대 사업을 하며 여러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나, 부실 공사 및 갑질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고 있어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경영이 요구된다. - 1977년 설립된 기업 - 고베 신교통
고베 신교통은 고베항 인공섬과 본토를 잇는 자동 안내 궤도식 여객 수송 시스템(AGT) 운영 기관으로, 일본 최초의 실용적인 신교통 시스템이자 세계 최초의 자동 무인 운전 시스템을 도입했으나, 과거 경영 문제도 있었으며 현재는 두 개의 AGT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그룹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그룹 - 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는 고객 화물 운송, 보관, 하역을 담당하는 종합물류 회사이며, 해상, 항공, 내륙 운송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로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갖추고 있다.
현대모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 | |
종류 | 주식회사 |
설립일 | 1977년 7월 |
설립일 (참고) | 현대정공 (1977년) |
설립일 (참고) | 현대모비스 (2000년 11월) |
이전 회사 | 현대정공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3 International Tower |
서비스 지역 | 전 세계 |
산업 분야 | 자동차 |
제품 | 자동차 부품, 장갑차 |
소유주 | 기아 (21.43%) |
모회사 | 현대자동차 그룹 |
웹사이트 | 현대모비스 공식 웹사이트 |
영문 회사명 | Hyundai Mobis Co., Ltd. |
로마자 표기 | Hyeondae Mobiseu Jusikhoesa |
경영진 | |
회장 | 정몽구 |
대표이사 사장 & CEO | 조 성환 |
대표이사 회장 | 정의선 |
대표이사 사장 | 이규석 |
재무 정보 (2013년) | |
매출액 | US$ 321억 1천만 달러 (2015년) |
매출액 (2023년) | 430억 달러 |
영업이익 | US$ 28억 달러 |
순이익 | US$ 33억 달러 |
자산 총액 | US$ 332억 달러 |
자기 자본 | US$ 195억 달러 |
자산 총액 (2023년) | 510억 달러 |
재무 정보 (2020년) | |
자본금 | 491,096,000,000원 |
매출액 | 36,626,504,000,000원 |
영업이익 | 1,830,292,000,000원 |
순이익 | 1,526,850,000,000원 |
자산총액 | 48,497,676,000,000원 |
주주 정보 | |
주요 주주 | 기아 외 특수관계인: 30.17% |
주요 주주 | 국민연금공단: 11.78% |
기타 정보 | |
종업원 수 (2014년) | 7,612명 |
종업원 수 (2024년) | 46,183명 |
종업원 수 (2018년) | 10,243명 |
계열사 | 현대자동차 그룹 |
자회사 | 현대아이에이치엘 |
참고 정보 | |
약칭 | MOBIS |
이전 사명 | 현대정공 |
모비스 의미 | "Mobile"과 "System"의 합성어 |
자사주 매입 | 2122억 매입 (2015년) |
2. 연혁
1977년 7월 '''현대정공'''으로 설립되었다.[4] 1979년 특장차 사업부문에 진출하였고, 1982년 요트사업 및 수처리·플랜트 등 환경사업에 진출하였다. 1983년에는 선박 해체등 자원 재생 사업에 진출하였고, 컨테이너 부문에서는 세계 1위 생산업체로 달성하였다. 1985년 현대차량과의 합병에 따라 철도차량 사업 및 군수 사업에 진출하였고, 1986년 한국형 디젤전기기관차를 생산하였다. 1987년 마북리 기술연구소를 신축 개관하였고, 1989년 항공사업 진출 및 기업공개를 실시하였다.
1991년에는 자기부상열차를 개발하였고, 4륜 구동차 갤로퍼를 출시하였다. 1993년 서울 지하철 4호선 신형 전동차를 납품하였고, 1994년 항공 사업 부문을 현대우주항공(주)로 이관하였다. 1995년 싼타모 생산공장을 준공하였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전동차를 납품하였다. 1996년에는 산타모 생산을 개시하였다.
1997년 변속기 사업 부문을 현대기술개발(주)로 이관하였고, 1999년 철도차량 사업 부문을 한국철도차량 신설법인으로 이관하였다. 같은 해 사륜구동 승용차 부문 및 공작기계 부문을 현대자동차로 이관하였다. 2000년 11월 사명을 '''현대정공'''에서 '''현대모비스'''로 변경하였다.[4]
2001년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프로농구단을 창단하였고, 2002년 강소모비스를 준공하고 일본 지점을 개설하였다. 2003년 이화모듈(주)를 흡수합병하고, 북경 모듈공장을 준공하였다. 2005년 역삼동으로 사옥을 이전하고, 아산 물류센터를 준공하였다. 2006년 미국 오하이오 모듈공장(DXC 모듈공장)을 준공 하였고, 2007년 카스코 합병 및 창원 공장을 신설하였다. 2008년 품질연구소를 설립하고, 하이브리드 핵심부품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상용차용 제동시스템을 개발하였다. 2009년 체코 모듈공장을 준공하였다.
2010년 LG화학과 배터리기술 합작사를 설립하였고, 2013년 충주공장을 준공하였다. 2017년에는 서산주행시험장을 준공하였다.
현대모비스는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기아의 부품 및 서비스 부문을 담당한다. 2013년 매출액은 330억 미국 달러(US$)였고, 2023년에는 430억 달러였다.[3] 2014년 기준으로 블룸버그(Bloomberg)에 따르면 세계 6위의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였다.[2] 2024년 현대자동차의 중국 충칭 공장 매각 결정[6]에 따라 현대모비스 충칭 공장도 매각 방침을 결정하였다.
2. 1. 현대정공 시절 (1977년 ~ 2000년)
1977년 7월 '''현대정공'''으로 설립되었다.[4] 1979년 특장차 사업부문에 진출하였고, 1982년 요트사업 및 수처리·플랜트 등 환경사업에 진출하였다. 1983년에는 선박 해체등 자원 재생 사업에 진출하였고, 컨테이너 부문에서는 세계 1위 생산업체로 달성하였다. 1985년 현대차량과의 합병에 따라 철도차량 사업 및 군수 사업에 진출하였고, 1986년 한국형 디젤전기기관차를 생산하였다. 1987년 마북리 기술연구소를 신축 개관하였고, 1989년 항공사업 진출 및 기업공개를 실시하였다.1991년에는 자기부상열차를 개발하였고, 4륜 구동차 갤로퍼를 출시하였다. 1990년대 현대정공은 울산에 있는 현대자동차 단지 옆 울산 공장에서 현대 갤로퍼와 싼타모를 생산했다.[5] 1993년 서울 지하철 4호선 신형 전동차를 납품하였고, 1994년 항공 사업 부문을 현대우주항공(주)로 이관하였다. 1995년 싼타모 생산공장을 준공하였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전동차를 납품하였다. 1996년에는 산타모 생산을 개시하였다.
1997년 변속기 사업 부문을 현대기술개발(주)로 이관하였고, 1999년 철도차량 사업 부문을 한국철도차량 신설법인으로 이관하였다. 같은 해 사륜구동 승용차 부문 및 공작기계 부문을 현대자동차로 이관하였다. 2000년 11월 사명을 '''현대정공'''에서 '''현대모비스'''로 변경하였다.[4]
2. 2. 현대모비스 (2000년 ~ 현재)
현대모비스는 1977년 7월 '''현대정공'''으로 설립되었다.[4] 1979년 특장차 사업부문에 진출하였고, 1982년 요트사업 및 수처리·플랜트 등 환경사업에 진출하였다. 1985년에는 현대차량의 합병에 따라 철도차량 사업 및 군수 사업에 진출하였고, 1986년 한국형 디젤전기기관차를 생산하였다. 1989년 항공사업 진출 및 기업공개를 실시하였다.
1994년 항공 사업 부문 현대우주항공(주)로 이관하였고, 1999년 철도차량 사업 부문을 한국철도차량 신설법인으로 이관하였다. 또한 1999년 사륜구동 승용차 부문 및 공작기계 부문을 현대자동차로 이관하였다.
2000년 11월 사명을 '''현대정공'''에서 '''현대모비스'''로 변경하였다.[4] 2001년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프로농구단을 창단하였고, 2003년 이화모듈(주)를 흡수합병하고, 북경 모듈공장을 준공하였다. 2005년 역삼동으로 사옥을 이전하고, 아산 물류센터를 준공하였다. 2008년 품질연구소를 설립하고, 하이브리드 핵심부품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상용차용 제동시스템을 개발하였다.
2010년 LG화학과 배터리기술 합작사를 설립하였고, 2013년 충주공장을 준공하였다. 2017년에는 서산주행시험장을 준공하였다.
현대모비스는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기아의 부품 및 서비스 부문을 담당한다. 2013년 매출액은 330억 미국 달러(US$)였고, 2023년에는 430억 달러였다.[3] 2014년 기준으로 블룸버그(Bloomberg)에 따르면 세계 6위의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였다.[2] 2024년 현대자동차의 중국 충칭 공장 매각 결정[6]에 따라 현대모비스 충칭 공장도 매각 방침을 결정하였다.
3. 주요 사업
=== 모듈 및 핵심부품 ===
현대모비스는 섀시, 조종석, 전면 모듈을 생산한다. 또한 에어백을 포함한 안전 제품, 헤드라이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및 전자식 주행 안정 제어 시스템 제품, 조향 장치 부품을 생산한다. 그 외에도 멀티미디어 시스템, 기아 커넥트 시스템, 계기판, 운반대 및 범퍼와 같은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 강철 휠림 및 데크를 제공한다. 차량용 애프터서비스 부품도 공급하며, A/S 부품 판매, 모듈 부품 제조 및 부품 수출에 자원을 집중하여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이 회사가 생산하는 구체적인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에어백 시스템, 램프, ABS 시스템, 스티어링 시스템, 멀티미디어 시스템,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DWS영어,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LKAS영어,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SCC영어, 스마트 주차 지원 시스템/SPAS영어, 스마트키, 구동 모터, 배터리, 인버터, 컨버터 통합 모듈/IPM영어, 섀시 모듈, 운전석 모듈, 프런트 엔드 모듈, 휠 등이 있다.
=== A/S 부품 ===
현대모비스는 섀시, 조종석, 전면 모듈, 에어백을 포함한 안전 제품, 헤드라이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및 전자식 주행 안정 제어 시스템 제품, 조향 장치 부품, 멀티미디어 시스템, 기아 커넥트 시스템, 계기판, 운반대 및 범퍼와 같은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 강철 휠림 및 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용 애프터서비스(A/S) 부품도 공급한다. A/S 부품 판매, 모듈 부품 제조 및 부품 수출에 자원을 집중하여 선도적인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
=== 미래 기술 개발 ===
현대모비스는 섀시, 조종석, 전면 모듈, 에어백을 포함한 안전 제품, 헤드라이트, 안티록 브레이크 및 전자식 주행 안정 제어 시스템 제품, 조향 장치 부품, 멀티미디어 시스템, 기아 커넥트 시스템, 계기판, 운반대 및 범퍼와 같은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 강철 휠림 및 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용 애프터서비스 부품도 공급하며, A/S 부품 판매, 모듈 부품 제조 및 부품 수출에 자원을 집중하여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3. 1. 모듈 및 핵심부품
현대모비스는 섀시, 조종석, 전면 모듈을 생산한다. 또한 에어백을 포함한 안전 제품, 헤드라이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및 전자식 주행 안정 제어 시스템 제품, 조향 장치 부품을 생산한다. 그 외에도 멀티미디어 시스템, 기아 커넥트 시스템, 계기판, 운반대 및 범퍼와 같은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 강철 휠림 및 데크를 제공한다. 차량용 애프터서비스 부품도 공급하며, A/S 부품 판매, 모듈 부품 제조 및 부품 수출에 자원을 집중하여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이 회사가 생산하는 구체적인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에어백 시스템, 램프, ABS 시스템, 스티어링 시스템, 멀티미디어 시스템, LDWS(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 LKAS(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 SCC(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SPAS(스마트 주차 지원 시스템), 스마트키, 구동 모터, IPM(배터리, 인버터, 컨버터 통합 모듈), 섀시 모듈, 운전석 모듈, 프런트 엔드 모듈, 휠 등이 있다.
3. 2. A/S 부품
현대모비스는 섀시, 조종석, 전면 모듈, 에어백을 포함한 안전 제품, 헤드라이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및 전자식 주행 안정 제어 시스템 제품, 조향 장치 부품, 멀티미디어 시스템, 기아 커넥트 시스템, 계기판, 운반대 및 범퍼와 같은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 강철 휠림 및 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용 애프터서비스(A/S) 부품도 공급한다. A/S 부품 판매, 모듈 부품 제조 및 부품 수출에 자원을 집중하여 선도적인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3. 3. 미래 기술 개발
현대모비스는 섀시, 조종석, 전면 모듈, 에어백을 포함한 안전 제품, 헤드라이트, 안티록 브레이크 및 전자식 주행 안정 제어 시스템 제품, 조향 장치 부품, 멀티미디어 시스템, 기아 커넥트 시스템, 계기판, 운반대 및 범퍼와 같은 사출 성형 플라스틱 부품, 강철 휠림 및 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용 애프터서비스 부품도 공급하며, A/S 부품 판매, 모듈 부품 제조 및 부품 수출에 자원을 집중하여 자동차 부품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4. 주요 사업장
- 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3 (역삼동)
- 기술연구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240번길 17-2 (마북동)
- 의왕연구소: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37 (삼동)
- 주행시험장: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부남1로 67
- 울산 염포동공장: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로 706 (염포동)
- 울산 매암동공장: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고래로 8 (매암동)
- 아산공장: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토정로 40
- 서산공장: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음암로 140
- 천안 IP공장: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2공단2로 105 (차암동)
- 천안 MEB공장: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2공단1로 168 (차암동)
- 진천공장: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사양2길 95
- 충주공장: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기업도시1로 47
- 김천공장: 경상북도 김천시 공단로 258-45 (응명동)
- 창원공장: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산패총로 87 (성산동)
- 광주공장: 광주광역시 광산구 진곡산단중앙로 45 (오선동)
- 이화공장: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남양만로 707
- 안양공장: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로 337-53 (박달동)
- 포승공장: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포승공단로118번길 16
4. 1. 대한민국
현대모비스의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3 (역삼동)에 있다. 기술연구소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240번길 17-2 (마북동)에, 의왕연구소는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37 (삼동)에 위치해 있다. 주행시험장은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부남1로 67에 있다. 그 외에 울산 염포동공장, 울산 매암동공장, 아산공장, 서산공장, 천안 IP공장, 천안 MEB공장, 진천공장, 충주공장, 김천공장, 창원공장, 광주공장, 이화공장, 안양공장, 포승공장 등이 있다.4. 2. 해외
현대모비스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경기도 용인시에 기술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의왕연구소, 충청남도 서산시에 주행시험장, 울산광역시에 염포동공장과 매암동공장, 충청남도 아산시에 아산공장, 충청남도 서산시에 서산공장, 충청남도 천안시에 천안 IP공장 및 천안 MEB공장, 충청북도 진천군에 진천공장, 충청북도 충주시에 충주공장, 경상북도 김천시에 김천공장, 경상남도 창원시에 창원공장, 광주광역시에 광주공장, 경기도 화성시에 이화공장, 경기도 안양시에 안양공장, 경기도 평택시에 포승공장을 두고 있다.5. 기타
참조
[1]
citation
현대차 지분 구조
https://finance.daum[...]
[2]
뉴스
Billionaire Chung Proving Hyundai No Joke Aiming for BMW
https://www.bloomber[...]
2012-03-01
[3]
웹사이트
Hyundai Mobis Co Ltd (012330:Korea SE)
http://investing.bus[...]
businessweek.com
2014-09-10
[4]
citation
#297 Hyundai Mobis
https://www.forbes.c[...]
2023-06-00
[5]
citation
Hyundai
https://hyundai-mpc.[...]
2019-05-00
[6]
웹사이트
現代自、重慶工場を売却 330億円、市政府系企業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4-01-18
[7]
뉴스인용
현대모비스, 연내 자사주 2122억 매입
http://stock.hankyun[...]
2015-09-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현대차·LG엔솔의 미국산 전기차·배터리 생산 차질 빚나?
한국 양궁 남자 대표팀, 광주 세계양궁선수권대회 예선 1위…기분 좋은 출발
“미국공장 완공 직전 출장 간 직원들 봉변”...현지 투자 늘린 한국기업 충격
현대모비스, ‘뮌헨 모터쇼’ 3회 연속 참가…“글로벌 수주 역량 과시”
[MK시그널] 삼화콘덴서, 매출과 수익성 확대 기대감에 주가 상승세… MK시그널 추천 후 상승률 24.76% 기록
9월3일 알림
‘코스피 이전 상장’ 기대감에 초고수 알테오젠 풀매수 [주식 초고수는 지금]
‘마스가’ 수혜주 HD현대重·미포...초고수 선택받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로봇 사업 선언한 현대모비스...초고수 선택받아 [주식 초고수는 지금]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로보틱스 ‘미래 먹거리’로 선언
현대모비스, 미래 먹거리로 ‘반도체’와 ‘로보틱스’ 낙점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연구개발 프로세스 국제표준 최고 등급 획득…“북미·유럽·일본과 맞짱”
SDV 양산 준비 속도 내는 현대차그룹…“협력사와 SW 파트너십 강화”
KH바텍, 미래형 디지털 콕핏 ‘무빙 메커니즘’ 수주
새 정부 출범 후 '자사주 소각' 급증…전년 대비 2.6배 규모
“국장서 돈 벌기 정말 쉽지 않다”...개미 ‘픽’은 줄줄이 하락, 외국인 ‘픽’은 후끈
이번 주 한-미 무역협상 기대…한국 증시 상승세 이어갈까
현대모비스 2분기 매출 15조9362억원, 영업이익 8700억원 기록
美메타플랜트 가동에 현대모비스 2분기 영업익 37% ‘껑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