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 유지 편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상 유지 편향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으로, 인지적 요인과 손실 회피, 보유 효과 등의 조합으로 발생한다. 이는 정보적, 인지적 제한이 있을 때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으며, 존재 편향, 심리적 관성, 단순 노출 효과, 후회 회피, 누락 편향 등의 다양한 요인과 관련된다. 현상 유지 편향은 장기 기증과 같은 사례에서 기본값 설정에 영향을 미치며, 퇴직 연금, 천식 치료제 선택 등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정치, 윤리, 교육, 협상, 경제 연구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뇌의 특정 영역의 활동과 관련이 있으며, 반전 검사를 통해 이러한 편향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화 - 짐승화
짐승화는 인간이 동물의 모습이나 특징을 갖는 현상으로,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인간의 욕망, 공포,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반영하며, 인간의 본성과 사회적 가치,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성찰을 제공한다. - 변화 - 현황
현황은 사회, 국가의 현재 상태를 의미하며, 사회 운동은 현 상태 변경을 시도하고 정치인은 현상 유지를 추구하며, 경제학자 클라크 커는 현 상태를 유일한 해결책으로 언급한다. - 인지 관성 - 인지부조화
인지 부조화는 상반된 믿음이나 정보 간의 충돌로 발생하는 정신적 불편함이며, 사람들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지를 변화시켜 조화를 추구한다는 이론이다. - 인지 관성 - 더닝-크루거 효과
더닝-크루거 효과는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능력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인지 편향을 의미하며, 메타인지 능력 부족, 통계적 요인, 합리적 선택 모델 등 다양한 원인으로 설명된다. - 전망 이론 - 불확실성
불확실성이란 현재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확률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도 존재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는 구별되며, 과학, 경제,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 전망 이론 - 행동경제학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심리적 요인과 인지적 한계를 고려하여 경제적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학문으로, 전망이론, 현상유지 편향, 넛지 이론 등의 개념을 통해 비합리적 의사결정의 원인과 영향을 연구하며 금융, 마케팅,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현상 유지 편향 | |
---|---|
현상 유지 편향 | |
개요 | |
유형 | 인지 편향 |
설명 |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 |
영향 | |
영향 | 비합리적인 의사 결정 변화에 대한 저항 기회 비용 발생 |
원인 | |
원인 | 손실 회피 후회 회피 심리적 안정감 추구 선택의 어려움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매몰 비용 선택 과잉 인지 부조화 결정 마비 |
극복 방안 | |
극복 방안 | 객관적인 정보 수집 및 분석 다양한 대안 고려 장단점 비교 분석 변화의 필요성 인식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인지 편향 확증 편향 손실 회피 틀 효과 |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 대니얼 카너먼 아모스 트버스키 |
2. 인지적 요인
현상 유지 편향은 손실 회피와 보유 효과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두 개념은 모두 프로스펙트 이론과 관련이 있다. 사람들은 현재 상태에서 벗어날 때 얻을 수 있는 이득보다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더 크게 생각한다. 프로스펙트 이론에 따르면, 가치 함수는 손실 영역에서 더 가파른 형태를 띤다.[5]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변화를 꺼리고, 이득이 위험보다 큰 경우에만 변화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현상 유지 편향은 이득이나 손실과 같은 특정 프레임이 없는 상황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실험 참가자들에게 새로운 자동차 색상을 선택하게 했을 때, 그들은 무작위로 제시된 특정 색상을 현상 유지로 인식하고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5] 따라서 손실 회피만으로는 현상 유지 편향을 완전히 설명하기 어렵다.[11] 후회 회피,[11] 거래 비용,[12] 심리적 몰입 등도 현상 유지 편향의 원인으로 작용한다.[5]
2. 1. 손실 회피
손실 회피는 행동하지 않는 것보다 행동으로 인해 더 큰 후회를 낳게 한다.[20] 현상 유지를 유지하는 것보다 현상 유지를 변경할 때 더 많은 후회를 경험하게 된다.[21] 이러한 힘들은 함께 현상 유지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사람들은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현재 또는 이전 결정을 유지하려는 동기를 부여받는다.[5] 변화는 회피되고, 의사 결정자는 과거에 해왔던 것을 고수한다.현상 유지에서 벗어나는 변화는 일반적으로 이익과 손실을 모두 수반하며, 이익이 손실보다 클 경우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손실 회피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은 현상 유지를 유지하는 것을 선호하여 현상 유지 편향을 초래한다. 현상 유지를 선택하면 특정 긍정적 결과를 포기해야 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결과가 포기된 "이득"으로 표현될 때 현상 유지를 변경할 때 발생할 "손실"보다 심리적으로 가치가 낮게 부여된다.[22]
현상 유지 편향에 대한 손실 회피 설명은 데이비드 갈과 데릭 러커에 의해 도전받았는데, 그들은 손실 회피(즉, 이득을 추구하는 것보다 손실을 회피하는 경향)에 대한 증거가 심리적 관성(사무 과정에 개입하려는 것보다 개입을 피하려는 경향)과 혼동된다고 주장한다.[23] 이러한 의미에서 관성은 누락 편향과 관련이 있지만, 편향이 아닐 수도 있고 거래 비용이나 불분명한 선호로 인해 개입할 인센티브가 부족하여 완벽하게 합리적인 행동일 수 있다.[23][24]
2. 2. 보유 효과
현상 유지 편향은 손실 회피와 보유 효과의 조합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 두 가지는 프로스펙트 이론과 관련된 개념이다. 개인은 현상 유지에서 벗어날 때의 잠재적 손실을 잠재적 이득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는 프로스펙트 이론의 가치 함수가 손실 영역에서 더 가파르기 때문이다.[5] 그 결과, 개인은 아예 바꾸지 않으려고 한다. 즉, 이득이 위험보다 더 클 경우를 제외하고는 변화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상 유지 편향은 이득/손실 프레이밍이 없는 경우에도 유지된다. 예를 들어, 피험자에게 새 차의 색상을 선택하도록 요청했을 때, 그들은 임의로 현상 유지로 프레이밍된 색상 하나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5] 따라서, 손실 회피가 현상 유지 편향을 완전히 설명할 수는 없으며,[11] 후회의 회피,[11] 거래 비용[12] 및 심리적 몰입과 같은 다른 잠재적 원인도 있다.[5]2. 3. 단순 노출 효과
단순 노출 효과는 현상 유지 편향을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기존 상태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보다 더 자주 접하기 때문에, 더 진실하고 선호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어떤 것에 대한 호감도를 높이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적으로 노출하면 된다.[19]2. 4. 후회 회피
손실 회피는 행동하지 않는 것보다 행동으로 인해 더 큰 후회를 낳게 한다.[20] 현상 유지를 변경하는 결정은 유지하는 것보다 더 많은 후회를 경험하게 한다.[21] 이러한 경향은 사람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현재 또는 이전 결정을 유지하려는 동기를 부여하며, 변화를 회피하고 과거의 방식을 고수하게 만든다.[5]현상 유지에서 벗어나는 변화는 이익과 손실을 모두 수반하지만, 이익이 손실보다 클 경우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손실 회피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현상 유지를 선호하게 되어 현상 유지 편향을 초래한다. 현상 유지를 선택하면 긍정적 결과를 포기해야 할 수 있지만, 이러한 "포기된 이득"은 현상 유지를 변경할 때 발생하는 "손실"보다 심리적으로 낮게 평가된다.[22]
데이비드 갈과 데릭 러커는 현상 유지 편향에 대한 손실 회피 설명에 이의를 제기했다. 그들은 손실 회피(이득 추구보다 손실 회피 경향)에 대한 증거가 심리적 관성(개입 회피 경향)과 혼동된다고 주장한다.[23] 관성은 누락 편향과 관련이 있지만, 편향이 아닐 수도 있으며 거래 비용이나 불분명한 선호로 인해 개입할 유인이 부족한 합리적인 행동일 수 있다.[23][24]
누락 편향은 이전의 현상 유지 편향으로 여겨졌던 일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누락 편향은 의사 결정자가 행동으로 인한 덜 해로운 결과보다 누락으로 인한 해로운 결과를 선호할 때 나타난다.[25]
일라나 리토브와 조나단 배런의 연구에 따르면, 의사 결정자가 주어진 옵션에 대한 선호도를 가지려 하지 않을 때 누락 편향이 추가로 진단될 수 있으며, 이는 효용 비교 및 가중치가 필요한 결정의 수를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25]
2. 5. 인지적 제한
현상 유지 편향은 인지적 또는 정보적 제한이 있는 경우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다.; 정보적 제한
의사 결정의 결과는 예측하기 어렵고, 그 결과가 가져올 만족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어떤 실수는 다른 실수보다 더 큰 대가를 치르게 하기 때문에, 과거에 효과가 있었던 것을 고수하는 것은 이전 결정이 "충분히 괜찮은" 한 안전한 선택이다.[13][14]
; 인지적 제한
현상 유지 편향의 인지적 제한은 선택에 따르는 인지적 비용과 관련이 있다.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많아질수록 의사 결정은 미뤄지기 쉽다. 또한, 현상 유지 대안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정신적 노력은 종종 더 적고 쉽다. 결과적으로 더 나은 선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의사 결정에 필요한 인지 비용보다 가치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또는 이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 쉬운 대안으로 여겨질 수 있다.[15]
2. 6. 존재 편향
사람들은 존재를 긍정성에 대한 일차적 증거로 간주하며, 미적 가치와 장수가 이러한 선호를 증가시킨다.[16] 현상 유지 편향은 사람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받을 가능성이 낮은 것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에 대한 선호도를 보고한다. 사람들은 별다른 이유나 숙고 없이 기존 상태의 긍정성을 단순히 가정한다.[16]장수는 존재 편향의 귀결이다. 즉, 존재가 좋다면 더 긴 존재가 더 좋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적자생존"의 준 진화론적 개념과 귀인 이론의 보강 원리와 유사하다.[17]
3. 사례
현상 유지 편향은 다양한 실제 사례에서 나타난다. 카너먼, 탈러, 크네치는 1991년에 소유 효과, 손실 회피 및 현상 유지 편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2]
'''설문지:''' 사무엘슨과 제커우저 (1988)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현상 유지 편향을 증명했다. 피험자들은 현상 유지가 제시될 때 그것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선택 대안이 많을수록 현상 유지 편향이 증가했다.[5][6]
'''가상 선택 과제:''' 사무엘슨과 제커우저는 피험자에게 현상 유지가 정의되지 않은 가상 선택 과제를 제시했다. "큰아버지로부터 거액의 돈을 상속받아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해야 한다"는 설정에서, 특정 옵션이 현상 유지로 지정되었을 때 그 옵션이 훨씬 더 인기를 얻었다.[5]
이 외에도 퇴직 연금 기여,[3] 장기 기증 동의,[4]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현상 유지 편향은 의료 보험, 퇴직 프로그램 선택과 같은 실생활의 중요한 결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5]
알렉산드르 켐프와 슈테판 루엔지는 미국 주식 뮤추얼 펀드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현상 유지 편향의 영향을 받으며, 선택 가능한 대안이 많을수록 이 편향이 더 강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44]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더 나은 대안이 제시되어도 현재 약물을 유지하려는 현상 유지 편향이 나타났다.[37]
도미니크 버거스의 연구에 따르면 현상 유지 편향은 가격 관리에서 외부 정보에 대한 의존, 경쟁사 가격 모니터링, 분산된 직원에 의한 가격 결정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41]
3. 1. 장기 기증
유럽 대부분의 국가는 운전면허 신청 시 장기 기증 의사를 묻는다. 이때, 장기 기증 의사 표시 비율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운전면허 신청서의 기본 선택 설정 방식의 차이 때문이다. 즉, "장기 기증 의사가 있다"를 기본값으로 하고 원치 않을 경우 표시하는 방식과, 장기 기증 의사가 있을 경우에만 표시하는 방식에 따라 장기 기증 의사 표시 비율이 달라진다. 사람들은 현상 유지 편향 때문에 기본조건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2] Fevrier & Gay (2004)는 장기 기증 동의에 대한 현상 유지 편향 연구를 수행하였다.[4]3. 2. 자동차 보험
1990년대 초, 뉴저지 주와 펜실베이니아 주는 현상 유지 편향의 증거를 보여주는 실제 실험을 의도치 않게 진행했다. 불법 행위법 개혁의 일환으로, 시민들에게 자동차 보험에 대한 두 가지 선택지가 주어졌다. 하나는 소송할 수 있는 모든 권한을 부여하는 비싼 보험이었고, 다른 하나는 소송 권한이 제한된 저렴한 보험이었다.[8] 뉴저지에서는 저렴한 보험이 기본 옵션이었고, 펜실베이니아에서는 비싼 보험이 기본 옵션이었다. Johnson, Hershey, Meszaros 및 Kunreuther (1993)는 소비자들이 자동차 보험의 기본 옵션을 고수하는 경향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뉴저지 운전자 중 20%만이 더 비싼 보험으로 변경했으며, 펜실베이니아 운전자 중 25%만이 더 저렴한 보험으로 변경했다. 이러한 결과는 프레이밍과 현상 유지 편향이 사람들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쳐 상당한 재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9]3. 3. 퇴직 연금
1986년 연구에서는 퇴직 연금 계획 시 현상 유지 편향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두 개의 투자 펀드 중에서 매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38] 참가자들은 매년 초에 두 펀드 간에 퇴직 연금을 분할하는 비율을 선택할 수 있었다. 매년 선호도가 바뀌면 전환 비용 없이 선택한 분할 비율을 변경할 수 있었다.[38] 두 펀드가 절대 및 상대적 측면에서 매우 다른 수익률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참가자는 시험 기간 동안 선호도를 바꾸지 않았다. 현상 유지 편향은 새로운 정보가 공개되었을 때 전환하기보다는 원래 투자를 고수하려는 경향을 보인 고령 참가자들에게서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38]3. 4. 일반 개업의 선택
보넨, 돈커스, 슈트는 네덜란드 거주자를 대상으로 두 가지 개별 선택 실험을 통해 소비자의 일반 개업의 선택과 현재 개업의 유지 여부를 연구했다. 네덜란드 의료 시스템은 일반 개업의가 게이트키퍼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에 적합했다.[10]이 실험은 소비자가 현재 개업의를 떠날지 여부에 대한 현상 유지 편향의 영향을 조사했다. 특히, 다른 개업의에 대한 정보와 현재 개업의와의 관계가 현상 유지 편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10]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현재 일반 개업의와 관련된 추가적인 이점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잠재적인 개업의 간의 품질 차이도 인지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35%는 현재 일반 개업의를 유지하기 위해 자기 부담금을 낼 의향이 있었던 반면, 금전적 이득을 위해 다른 개업의로 바꾸겠다는 응답자는 30%에 불과했다. 이들은 현재 개업의를 계속 만나기 위해 최대 17.32EUR까지 지불할 의사가 있었다. 일반 개업의의 경우, 소비자가 현재 개업의를 유지하는 데 부여한 가치는 할인이나 품질 인증서와 같이 실험에서 고려된 다른 모든 속성의 총 가치를 넘어섰다.[10]
개별 선택 실험에서 응답자들에게 현재 개업의와 동일한 특성을 가진 가상의 개업의들 중에서 선택하도록 했다. 응답자들은 두 옵션이 모두 가상의 개업의일 때보다 현재 개업의를 선택할 가능성이 40% 더 높았다. 이는 두 경우 모두 선택 확률이 50%여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상 유지 편향이 응답자의 일반 개업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긍정적 또는 부정적 재정적 인센티브, 질적 인센티브를 추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응답자들은 여전히 현재 개업의를 바꾸는 것을 매우 꺼렸다. 결론적으로, 현상 유지 편향은 소비자가 현재 진료받고 있는 일반 개업의를 떠나도록 유도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10]
3. 5. 전력 소비자
캘리포니아 전력 소비자에게 서비스 신뢰성과 요금 간의 상충 관계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실험이 진행되었다. 응답자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한 그룹은 다른 그룹보다 훨씬 더 안정적인 서비스를 받고 있었다. 각 그룹은 신뢰성과 요금의 6가지 조합 중에서 선호도를 선택해야 했고, 그 중 하나는 현상 유지로 지정되었다.[7]실험 결과, 현상 유지에 대한 강한 편향이 나타났다. 높은 신뢰성 그룹의 60.2%가 현상 유지를 선택했고, 낮은 신뢰성 그룹이 경험했던 낮은 요금에도 불구하고 낮은 신뢰성 옵션을 선택한 사람은 5.7%에 불과했다. 마찬가지로, 낮은 신뢰성 그룹의 58.3%는 낮은 신뢰성 현상 유지를 선택했고, 높은 신뢰성 옵션을 선택한 사람은 5.8%였다.[7]
그룹 | 현상 유지 선택 비율 | 다른 옵션 선택 비율 |
---|---|---|
높은 신뢰성 그룹 | 60.2% | 5.7% (낮은 신뢰성) |
낮은 신뢰성 그룹 | 58.3% | 5.8% (높은 신뢰성) |
3. 6. 천식 치료제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더 나은 대안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한 현상 유지 편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이 실험은 처방약 복합 유지 치료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진술 선택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상 유지 편향은 진술 선택 연구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천식 유지 치료제와 같이 환자가 매일 복용해야 하는 약물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진술 선택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이러한 편향을 제어하기 위해 설문 조사에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을 포함해야 한다.[37]
3. 7. 뮤추얼 펀드 시장
알렉산드르 켐프와 슈테판 루엔지는 미국 주식 뮤추얼 펀드 시장에서 현상 유지 편향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이 편향이 선택 가능한 대안의 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했다.[44] 이들은 실제 미국 뮤추얼 펀드 시장 데이터를 활용하여 펀드 투자자들이 현상 유지 편향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선택 가능한 대안이 많을수록 현상 유지 편향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는 상관관계를 발견했는데, 이는 사무엘슨과 제커우저 (1988)의 실험 결과를 뒷받침한다.[5]3. 8. 가격 관리
카너먼, 탈러, 크네치 (1991)는 소유 효과, 손실 회피 및 현상 유지 편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면서 여러 분야에서 현상 유지 편향에 대한 실험이 진행되었다.[2] 퇴직 연금 기여,[3] 장기 기증 동의,[4] 전력 소비,[7] 자동차 보험[8] 등에 대한 현상 유지 편향 연구도 수행되었다.현상 유지 편향은 가격 관리의 이론과 실행 간의 격차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미니크 버거스의 연구에서는 현상 유지 편향과 가격 관리 관점에서의 개인차에 대해 밝혀졌다.[41] 그는 현상 유지 편향을 Rullkötter (2009)가 확인하고 설명한 22가지 합리성 결핍의 가능한 영향 요인으로 식별했으며,[42] 이는 더 나아가 Simon과 Fassnacht (2016)의 가격 관리 프로세스 단계 내의 결함으로 귀속된다.[43] 현상 유지 편향은 22가지 합리성 결핍 중 16가지의 근본적인 가능한 원인으로 남아있다.
버거스는 가격 관리 프로세스 단계 내에서 현상 유지 편향이 전통적으로 존재했던 외부 정보 소스에 대한 전적인 의존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 편향은 가격 관리 관점을 통해 경쟁사의 가격을 모니터링할 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현상 유지 편향은 분산된 직원에 의해 최종 가격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가격 관리 관행 내에서 기존 시스템의 수익성에 의해 영속될 수 있다.[41]
4. 행동경제학과 기본값 설정
행동경제학에서 현상 유지 편향은 여러 실험을 통해 그 존재가 입증되었다. 카너먼, 탈러, 크네치는 1991년에 소유 효과, 손실 회피 및 현상 유지 편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2] 퇴직 연금 기여,[3] 장기 기증 동의[4] 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사무엘슨과 제커우저는 1988년에 설문지를 사용하여 현상 유지 편향을 입증했다. 피험자들은 현상 유지가 제시될 때 그것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선택지가 많을수록, 그리고 개인의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을 때 이러한 편향이 강해졌다.[5][6]
가상 선택 과제에서 피험자들은 특정 옵션이 현상 유지로 지정되었을 때 그 옵션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5] 캘리포니아 전력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서비스 신뢰성과 요금 간의 선택에서 현상 유지 옵션이 압도적으로 선택되었다.[7]
뉴저지 주와 펜실베이니아 주의 자동차 보험 선택 사례는 현상 유지 편향의 실제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두 주에서 서로 다른 기본 옵션을 제공했을 때, 소비자들은 대부분 기본 옵션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8][9]
네덜란드 일반 개업의 선택 실험에서도 현상 유지 편향이 확인되었다. 소비자들은 현재 개업의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었으며, 가상의 선택 상황에서도 현재 개업의를 선택할 확률이 더 높았다.[10]
4. 1. 옵트아웃 방식
유럽 국가 대부분은 운전면허 신청 시 장기 기증 의사를 묻는다. 몇몇 국가는 장기 기증 의사를 표시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반면, 다른 나라들은 그렇지 않다. 그 차이는 운전면허 신청서 기입 시 기본 선택으로 "장기 기증 의사가 있다"라고 되어 있고 원하지 않는다면 별도로 표시해야 하는 옵트아웃(Opt-out) 방식을 채택했는지 여부에 따라 장기 기증 의사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기증 의사가 높지 않은 국가는 장기 기증 의사가 있을 경우에만 표시하는 옵트인(Opt-in)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현상 유지 편향 때문에 기본 조건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다.4. 2. 퇴직 저축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운전면허 신청 시 장기 기증 의사를 묻는다. 일부 국가는 장기 기증 의사를 표시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반면, 다른 국가들은 그렇지 않다. 이러한 차이는 운전면허 신청서 작성 시 기본 선택이 "장기 기증 의사가 있다"로 되어 있고, 원하지 않는 경우에만 별도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장기 기증 의사 표시 비율이 낮은 국가에서는 장기 기증 의사가 있는 경우에만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현상 유지 편향 때문에 기본 조건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다.5. 사회적 영향
현상 유지 편향은 사회 বিভিন্ন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정치 영역에서 현상 유지 편향은 정치적 진보를 가로막는 장벽이 될 수 있다. 기존 제도의 장점이 아닌, 단순히 현재 상태라는 이유로 안정, 준수, 애국심과 같은 가치를 내세우며 현상 유지를 옹호하는 경향이 나타난다.[31] 이는 보수주의 이념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며, 진보주의 운동을 저해하는 경향이 있다.[32][33][34]
윤리 영역에서는 인간 향상, 특히 유전자 인지 능력 향상에 대한 반대 논리의 근거로 활용되기도 한다.[22] 그러나 일부 윤리학자들은 현상 유지 편향이 항상 비합리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35]
교육 영역에서는 교육 과정이 의도치 않게 현행 법률이나 정치 제도에 대한 믿음을 조장할 수 있다.[31] 교육 내용이 정부 정책이나 교육자의 개인적 편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이 현상 유지를 당연하게 받아들이도록 만들 수 있다.[31]
협상과 경제 영역에서도 현상 유지 편향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협상에서는 계약의 법적 기준이 없을 때 소극적인 태도를 선호하게 만들고,[39] 소유 효과와 유사하게 판매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40]
현상 유지 편향은 여러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 설문지: 사무엘슨과 제커우저의 설문 조사 결과, 사람들은 현상 유지가 명시적으로 주어질 때 이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5]
- 가상 선택 과제: 현상 유지가 정의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특정 선택지가 현상 유지로 제시되면 선호도가 높아졌다.[5]
- 전력 소비자: 캘리포니아 전력 소비자들은 서비스 신뢰도와 요금 사이에서 현상 유지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7]
- 자동차 보험 소비자: 뉴저지 주와 펜실베이니아 주의 자동차 보험 선택 실험에서, 기본 옵션으로 설정된 보험을 유지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8][9]
- 일반 개업의: 네덜란드 주민들은 현재의 개업의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지불하거나, 금전적 이득을 포기하는 경향을 보였다.[10]
이러한 현상 유지 편향은 경제학의 닻내림 효과(anchoring effect) 및 조정 이론과 관련이 깊다. 사람들은 의사 결정을 할 때 초기 기준점(주로 현상 유지)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손실 회피 이론에 따라 이익보다 손실을 더 크게 인식하기 때문에 현상 유지를 선호한다.[45][46]
5. 1. 정치
현상 유지 편향은 정치적 진보의 장벽이자 국가 정당성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안정, 준수, 애국심과 같은 가치는 기존 제도의 실질적인 장점이 아닌, 단지 그 제도가 현재 상태라는 사실에 호소하는 현상 유지 편향의 중요한 이유를 뒷받침한다고 주장한다.[31]현상 유지 편향은 정부 권력이 제한되고 개인의 행동을 제한하는 법이 존재하는 사회에서 보수주의 이념의 핵심 요소로 여겨진다.[33] 반대로 자유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이나 정부에 대한 제약을 가하려는 움직임에 현상 유지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광범위한 반대가 따른다. 사회 유형에 관계없이, 이러한 편향은 반응이나 기득권에 대한 반발이 없는 경우 진보주의 운동을 저해하는 경향이 있다.[32][33][34]
5. 2. 윤리
현상 유지 편향은 일반적으로 인간 향상, 특히 유전자 인지 능력 향상에 대한 반대의 상당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22] 그러나 일부 윤리학자들은 이러한 경우 현상 유지 편향이 비합리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35] 현상 유지 편향의 합리성은 장애 윤리에서도 중요한 문제이다.[36]5. 3. 교육
교육은 때때로 의도치 않게 아이들이 특정 현행 법률이나 정치 제도의 실질적인 가치에 대한 믿음을 조장할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의 법률이나 제도에 대한 능력이나 비판적 사고의 향상에서 비롯된 효과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편향 효과가 자동적으로 부당하거나 비생산적인 것은 아니다. 사회적 주입과 개방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31]교육 과정은 정부에 의해 개발되고, 각자의 정치적 생각과 감정을 가진 개인에 의해 전달되기 때문에, 전달되는 내용이 의도치 않게 편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정부가 특정 정책을 시행하면 이는 현상 유지가 되며, 교육 시스템에서 아이들에게 그렇게 제시된다.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주제에 대해 배울 때 교육자는 현상 유지를 선호할 수 있다. 그들은 현상 유지에 반대하는 주장의 전체 범위를 알지 못하거나, 개인적인 편견 때문에 각 측면의 편향되지 않은 설명을 제시할 수 없을 수도 있다.[31]
5. 4. 협상
코로브킨은 1998년 협상과 현상 유지 편향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했다. 이 연구는 협상에서 계약의 법적 기준과 계약 불이행 시 적용되는 기본 조건이 없는 상황에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대안적 해결책에 반대하는 편향된 의견을 포함한다.[39] 헤이페츠와 세게브는 2004년 연구에서 강경 편향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발견했다. 이는 소위 소유 효과와 유사하며, 판매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40]5. 5. 경제 연구
카너먼, 탈러, 크네치는 1991년에 소유 효과, 손실 회피, 현상 유지 편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2] 이 외에도 퇴직 연금 기여,[3] 장기 기증 동의[4]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상 유지 편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설문지:''' 사무엘슨과 제커우저는 1988년에 설문지를 통해 현상 유지 편향을 증명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현상 유지가 명시적으로 주어질 경우, 이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5] 선택지가 많을수록 현상 유지 편향은 강해졌으며, 특정 대안에 대한 강한 선호가 있을 때는 편향이 약해지는 모습을 보였다.[6][5]
'''가상 선택 과제:''' 사무엘슨과 제커우저는 1988년에 현상 유지가 정의되지 않은 "중립적" 가상 선택 과제를 제시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예를 들어, 큰아버지로부터 거액의 유산을 상속받아 여러 포트폴리오(위험도가 중간인 회사, 위험도가 높은 회사, 국채, 지방채 등)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제시했다. 다른 실험 참가자들에게는 동일한 상황에서 특정 선택지가 현상 유지라고 추가적으로 설명했다. 그 결과, 현상 유지로 제시된 선택지가 훨씬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5]
'''전력 소비자:''' 캘리포니아 전력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신뢰도와 요금 간의 관계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했다. 높은 신뢰도 그룹의 60.2%는 현상 유지를 선택했으나, 낮은 신뢰도 그룹에서 낮은 요금에도 불구하고 낮은 신뢰도 옵션을 선택한 비율은 5.7%에 불과했다. 반면, 낮은 신뢰도 그룹의 58.3%는 낮은 신뢰도라는 현상 유지를 선택했고, 높은 신뢰도 옵션을 선택한 비율은 5.8%였다.[7]
'''자동차 보험 소비자:''' 1990년대 초, 뉴저지 주와 펜실베이니아 주는 불법 행위법 개정의 일환으로 시민들에게 두 가지 종류의 자동차 보험을 제공했다. 하나는 소송할 권리가 পুরোপুরি 보장되는 비싼 보험이었고, 다른 하나는 소송 권한이 제한되는 저렴한 보험이었다.[8] 뉴저지 주에서는 저렴한 보험이, 펜실베이니아 주에서는 비싼 보험이 기본 옵션으로 설정되었다. 조사 결과, 뉴저지 운전자 중 20%만이 비싼 보험으로 변경했고, 펜실베이니아 운전자 중 25%만이 저렴한 보험으로 변경했다.[9] 이는 제시 방식(프레이밍)과 현상 유지 편향이 소비자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쳐, 상당한 재정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반 개업의:''' 보넨, 돈커스, 슈트는 네덜란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일반 개업의 선택에 관한 실험을 수행했다.[10] 네덜란드 의료 시스템에서 일반 개업의는 일종의 문지기(게이트키퍼) 역할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응답자의 35%는 현재의 개업의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었던 반면, 금전적 이득을 위해 다른 개업의로 변경하겠다는 응답자는 30%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은 현재 개업의를 유지하기 위해 최대 17.32유로까지 지불할 의향을 보였으며, 이는 할인이나 품질 인증서와 같은 다른 요인들보다 현재 개업의를 유지하는 것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0]
별도의 실험에서, 현재 개업의와 동일한 조건을 가진 가상의 개업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을 때, 응답자들은 현재 개업의를 선택할 확률이 40% 더 높았다. 이는 현상 유지 편향이 개업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금전적, 질적 인센티브와 관계없이 응답자들은 현재 개업의를 변경하는 것을 꺼렸다.[10]
현상 유지 편향은 경제학의 닻내림 효과(anchoring effect) 및 조정 이론과 관련이 깊다. 사람들은 의사 결정을 할 때 초기 기준점(주로 현상 유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현상 유지 편향은 기본 옵션이 소비자에게 더 익숙하고 예측 가능한 결과를 제공하며, 위험 회피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불확실성이 적고 기대 효용이 높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발생한다.[45] 또한, 손실 회피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기준점에서 벗어나는 결정을 할 때 이익보다 손실을 더 크게 인식하기 때문에 현상 유지를 선호한다.[46] 손실에 대한 효용 함수는 이득에 대한 효용 함수보다 음(-)의 값을 가지며, 기울기는 2배 더 가파르다.[47] 따라서 현상 유지를 고수하는 것은 소비자 선택 이론에는 부합하지 않지만, 경제 이론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48]
6. 신경학적 근거
제시된 자료에는 신경학적 근거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6. 1. 반전 검사
'''반전 검사'''는 특정 매개변수를 변경하는 제안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될 때, 같은 매개변수를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을 고려하는 방법이다. 만약 반대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 또한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된다면, 이러한 결론에 도달한 사람들은 왜 이 매개변수를 변경하여 입장이 개선될 수 없는지 설명해야 한다. 만약 그들이 그렇게 할 수 없다면, 그들이 현상 유지 편향을 겪고 있다고 의심할 수 있다.[22]반전 검사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연속적인 매개변수가 다양한 값들을 가질 수 있고, 그 중 극히 일부만이 국소 최적값일 수 있다면, 해당 매개변수의 실제 값이 이러한 드문 국소 최적값 중 하나에 우연히 위치하게 된다는 것은 가능성이 낮다.[22]
참조
[1]
논문
Rational choice with status quo bias
https://www.scienced[...]
2005-03-01
[2]
논문
Anomalies: The Endowment Effect, Loss Aversion, and Status Quo Bias
[3]
논문
Non-financial Determinants of Retirement: A Literature Review
2014-05-17
[4]
논문
Informed Consent Versus Presumed Consent: The Role of the Family in Organ Donations
2004-03-08
[5]
논문
Status quo bias in decision making
[6]
논문
Anomalies: The Endowment Effect, Loss Aversion, and Status Quo Bias
1991-02-01
[7]
논문
Consumer Rationality and the Status Quo
[8]
논문
Anomalies: The Endowment Effect, Loss Aversion, and Status Quo Bias
1991
[9]
논문
Framing, Probability Distortions, and Insurance Decisions
http://www.jstor.org[...]
1993
[10]
논문
Channeling Consumers to Preferred Providers and the Impact of Status Quo Bias: Does Type of Provider Matter?
Wiley
2010-10-28
[11]
논문
The status quo bias and contract default rules
http://www.lawschool[...]
[12]
논문
Loss aversion in riskless choice: a reference-dependent model
[13]
논문
The Paranoid Optimist: An Integrative Evolutionary Model of Cognitive Biases
http://www.sscnet.uc[...]
[14]
논문
Rational Choice and the Structure of the Environment
1956-03
[15]
논문
Bias in Favor of the Status Quo: Bias and the Status Quo
https://onlinelibrar[...]
2012-03-02
[16]
논문
Bias in Favor of the Status Quo
[17]
서적
Attribution in Social Interaction
https://books.google[...]
General Learning Press
[18]
뉴스
Benefitting from status quo bias
[19]
논문
Exposure and affect: Overview and meta- analysis of research
[20]
서적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논문
Regret repeat versus switch decisions: The attenuation role of decision justifiability
https://research.til[...]
[22]
논문
The Reversal Test: Eliminating Status Quo Bias in Applied Ethics
http://www.journals.[...]
[23]
논문
The Loss of Loss Aversion: Will It Loom Larger Than Its Gain?
2018-07-01
[24]
웹사이트
A Psychological Law of Inertia and the Illusion of Loss Aversion
http://www.sjdm.org/[...]
2018-12-09
[25]
간행물
Status-Quo and Omission Biases
1992
[26]
논문
A Regret-Induced Status Quo Bias
[27]
논문
Overcoming Status Quo Bias in the Human Brain
2010-02
[28]
논문
Save More Tomorrow: Using Behavioural Economics to Increase Employee Saving
[29]
논문
Behavioural economics, consumer behaviour and consumer policy: state of the art
https://www.cambridg[...]
2017-11
[30]
논문
Decision Time, Consideration Time, and Status Quo Bias
https://onlinelibrar[...]
2015-07-08
[31]
논문
On Status-Quo Bias in Civic Education
[32]
논문
Political Accountability, Legislator Gender, and the Status Quo Bias
https://www.cambridg[...]
n.d.
[33]
논문
Adaptive governance, status quo bias, and political competition: Why the sharing economy is welcome in some cities but not in others
https://yonsei.pure.[...]
2018-04
[34]
논문
Loss Aversion in Politics
https://scholar.harv[...]
[35]
논문
Status Quo Bias, Rationality, and Conservatism about Value
http://philpapers.or[...]
[36]
논문
Disability, Diversity, and Preference for the Status Quo: Bias or Justifiable Preference?
https://zenodo.org/r[...]
[37]
논문
Status Quo Bias in Stated Choice Studies: Is it Real?
[38]
논문
Status Quo Bias in Decision Making
https://link.springe[...]
1988
[39]
문서
'Inertia and Preference in Contract Negotiation: The Psychological Power of Default Rules and Form Terms'
1998
[40]
문서
'The evolutionary role of toughness in bargaining'
2004
[41]
논문
The status quo bias and its individual differences from a price management perspective
https://www.scienced[...]
2022-01-01
[42]
서적
Rationalitätsdefizite im Preismanagement Eine empirische Untersuchung
https://worldcat.org[...]
[43]
간행물
Preismanagement für Konsumgüter
http://dx.doi.org/10[...]
Springer Fachmedien Wiesbaden
2016
[44]
논문
Status Quo Bias and the Number of Alternatives: An Empirical Illustration from the Mutual Fund Industry
[45]
논문
Decision Time, Consideration Time, and Status Quo Bias
2016-01
[46]
논문
Maps of Bounded Rationality: Psychology for Behavioral Economics
http://www.jstor.org[...]
2003
[47]
논문
Maps of Bounded Rationality: Psychology for Behavioral Economics
2003
[48]
논문
Consumer theory with bounded rational preferences
https://mpra.ub.uni-[...]
20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