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이다 모토키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이다 모토키요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모리 모토나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1575년 호이다 모토스케의 양자가 되어 호이다 가문을 상속받았으며, 모리 가문의 동부 방면을 지키는 중진으로 활약했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모리 데루모토를 대신하여 모리 가문의 총대장으로 조선에 출병하여 활약했다. 1597년 사쿠라오 성에서 47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자손은 조슈번의 지번인 조후번과 기요스에번의 번주로 존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리 모토나리 - 이쓰쿠시마 전투
이쓰쿠시마 전투는 1555년 모리 모토나리가 스에 하루카타의 오우치 씨 군세를 이쓰쿠시마에서 기습하여 크게 승리한 전투로, 모리 씨가 주고쿠 지방의 패권을 장악하는 발판이 되었으며 뛰어난 전략과 무라카미 수군의 협력이 주요 요인이었다. - 모리 모토나리 - 갓산토다성 전투
갓산토다성 전투는 1542년부터 1566년까지 오우치, 모리, 아마고 가문 간의 세력 다툼으로, 모리 가문이 승리하여 아마고 가문을 멸망시킨 일련의 전투이다. - 1551년 출생 - 보리스 고두노프
보리스 고두노프는 이반 뇌제 측근에서 차르까지 오른 16세기 말~17세기 초 러시아의 중요 인물로, 섭정 시절 개혁을 단행하고 차르로서는 서구 문물 수용 정책을 펼쳤으나 기근과 가짜 드미트리 1세의 난으로 혼란을 겪다 사망했다. - 1551년 출생 - 심우승
심우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대승의 문하에서 수학,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승진을 거듭했으며, 호조참의 재직 중 재정 안정에 기여, 경기감사 재임 시에는 세금과 부역을 균등하게 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고 사후 호성공신 2등에 책록, 청계부원군으로 추봉,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호이다 모토키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穂井田 元清 |
가몬 | Ichimonjimitsuboshi.png |
가몬 설명 | 일문자삼성 (나가토별) |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출생 | 덴분 20년 (1551년) |
사망 | 게이초 2년 7월 9일 (1597년 8월 21일) |
개명 | 모리 모토키요 (毛利元清) → 호이다 (穂田) 모토키요 → 모리 모토키요 |
별명 | 쇼유지로 (少輔四郎) |
약칭 | 호지, 호지타 |
시호 | 도운지덴 쇼잔조카이젠조몬 (洞雲寺殿笑山常快禅定門) |
묘소 | 도운지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 사카타) |
씨족 | 모리 씨 (毛利氏, 본성은 오에 씨大江氏) → 호이다 씨 (穂井田氏) → 모리 씨 |
아버지 | 모리 모토나리 (毛利元就) |
어머니 | 노미노오카타 (乃美大方, 노미 히로히라의 딸?) |
배우자 | 정실: 쇼케이묘주 (무라카미 미치야스의 딸) |
측실 | 에이초인 (사바 에쓰라의 딸) |
관직 | |
관위 | 이요노카미(伊予守), 지부노다이유(治部大輔), 종5위하, 에치젠노카미(越前守), 종4위, 지주(侍従) |
주군 | 모리 데루모토 |
자녀 | |
자녀 | 미야즈루마루, 세쓰테이묘세이 (호소카와 모토미치의 아내), 히데모토, 미야키치마루, 덴유이지테이 (구마가이 나오사다의 아내), 세이와준초 (아소누마 모토사토의 아내, 모리 모토시게의 아내), 규가쿠테이쇼 (시시도 히로마사의 아내) |
기타 | |
특이 사항 | 니노미야 나리토키와 이노우에 가쓰토시를 모리 모토나리의 서출로 보는 설이 있으며, 이에 따르면 두 사람은 모토키요의 이복형이 된다. |
형제 자매 | |
형제 자매 | 여자, 모리 다카모토, 고류쓰보네 (시시도 다카이에 정실), 깃카와 모토하루,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호린슌코 (우에하라 모토마사의 아내), 모토키요, 모리 모토아키, 이즈하 모토토모, 아마노 모토마사, 스에쓰구 모토야스, 고바야카와 히데카네 |
2. 생애
1551년(덴분 20년), 아키국의 센고쿠 다이묘였던 모리 모토나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모토나리의 계실인 노미 오가타이다.
1566년(에이로쿠 9년) 8월 6일, 모리 씨 당주이자 조카인 모리 데루모토에게 관례를 치르고, "모토(元)" 자 헨키(偏諱)를 받아 "모리 쇼스케 시로 모토키요(毛利少輔四郎元清)"라 불렀다.
1568년, 모리 씨의 이요 출병 이후 무라카미 수군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구루시마 무라카미 씨의 무라카미 미치야스의 딸 쇼케이 묘주와 결혼했다. 같은 해, 우키타 나오이에가 모리 가문을 배반하여 빗추국의 마쓰야마성과 사루카케성을 함락시키자, 모토키요는 모리 모토나리의 명을 받아 미무라 모토치카와 함께 사루카케 성을 탈환하고, 마쓰야마 성에서 빗추의 호족 쇼 일족(庄氏)을 추방했다.[8]
1569년, 모리 가문이 규슈 북부 제패를 둘러싸고 오토모 가문과 대립하게 되자, 다치바나성 전투, 모지성 전투, 다타라하마 전투에 참전하였다.
1572년, 아키국 사쿠라오성을 받아 평생 거성으로 삼았다.
1575년, 빗추 사루카케 성주 호이다 모토스케(穂井田元資)의 양자가 되어 호이다(穂井田) 가문을 상속받고, 모리 가문의 동부 방면을 지키는 중진이 되었다.
1577년, 오다 노부나가의 주고쿠 정벌이 시작되자, 고지마 전투에서 우키타 나오이에의 군세를 격퇴했다.
1578년, 고즈키 성 전투에서 동생 아마노 모토마사와 함께 선봉에 서서 큰 공을 세웠다.[14]
1582년(덴쇼 10년), 빗추국 가모 성에서 하시바 히데요시의 군세와 전투를 벌였으며[18], 같은 해 다카마쓰 성 전투 이후 모리 가문은 하시바 군과 강화했다.
1585년(덴쇼 13년), 시코쿠 정벌에 출진했다. 같은 해, 차남 모리 히데모토가 모리 데루모토의 양자가 되면서, 모토키요도 모리 성으로 돌아갔다.[19][20]
1587년(덴쇼 15년), 규슈 정벌에 출진했다.
1589년(덴쇼 17년), 동생 니노미야 나리토키와 함께 아키국 히로시마성 축성 및 조카마치 건설의 후신부교(普請奉行, 토목 공사 책임 관리)를 맡았다.
1591년(덴쇼 19년), 데루모토로부터 12,000석의 영지를 받았다.
1592년(분로쿠 원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병중인 모리 데루모토를 대신하여 모리 가문의 총대장이 되었다.[14]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모토키요에게 호랑이를 보내줄 것을 요구하였고, 모토키요는 호랑이 두 마리를 산 채로 잡아 히데요시에게 보냈다. 이 호랑이는 교토에서 큰 화제가 되었고, 고요제이 천황도 구경했다.[14]
1597년, 형 다카카게가 죽은 지 약 한 달 뒤, 아키국 사쿠라오성에서 47세로 세상을 떠났다.[3]
2. 1. 유년기 및 관례
덴분일본어 20년(1551년), 아키국의 센고쿠 다이묘였던 모리 모토나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모토나리의 계실인 노미 오가타이다.에이로쿠 9년(1566년) 8월 6일, 모리 씨 당주이자 조카인 모리 데루모토에게 관례를 치르고, "모토(元)" 자 헨키(偏諱)를 받아 "모리 쇼스케 시로 모토키요(毛利少輔四郎元清)"라 불렀다.
에이로쿠 11년(1568년), 모리 씨의 이요 출병 이후 무라카미 수군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구루시마 무라카미 씨의 무라카미 미치야스의 딸 쇼케이 묘주와 결혼했다.
2. 2. 가문의 중추적 역할
1568년, 우키타 나오이에가 모리 가문을 배반하여 빗추국의 마쓰야마성과 사루카케성을 함락시켰다. 모토키요는 모리 모토나리의 명을 받아 미무라 모토치카와 함께 사루카케 성을 탈환하고, 마쓰야마 성에서 빗추의 호족 쇼 일족(庄氏)을 추방했다.[8]1569년, 모리 가문이 규슈 북부 제패를 둘러싸고 오토모 가문과 대립하게 되자, 모토키요는 다치바나성 전투, 모지성 전투, 다타라하마 전투에 참전하였다.
1572년, 아키국 사쿠라오성을 받아 평생 거성으로 삼았다.
2. 3. 호이다 가문 상속
1575년, 빗추 사루카케 성주 호이다 모토스케(穂井田元資)의 양자가 되어 호이다(穂井田) 가문을 상속받고, 모리 가문의 동부 방면을 지키는 중진이 되었다. 1577년,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의 주고쿠 정벌(中国征伐)이 시작되자, 고지마 전투(児島の戦い)에서 우키타 나오이에의 군세를 격퇴했다. 1578년, 고즈키 성 전투(上月城の戦い)에서 동생 아마노 모토마사(天野元政)와 함께 선봉에 서서 큰 공을 세웠다.[14]2. 4. 도요토미 정권
1582년(덴쇼 10년), 빗추국 가모 성에서 하시바 히데요시의 군세와 전투를 벌였다.[18] 같은 해, 다카마쓰 성 전투 이후 모리 가문은 하시바 군과 강화했다.1585년(덴쇼 13년), 시코쿠 정벌에 출진했다. 같은 해, 차남 모리 히데모토가 모리 데루모토의 양자가 되면서, 모토키요도 모리 성으로 돌아갔다.[19][20]
1587년(덴쇼 15년), 규슈 정벌에 출진했다.
1589년(덴쇼 17년), 동생 니노미야 나리토키와 함께 아키국 히로시마성 축성 및 조카마치 건설의 후신부교(普請奉行, 토목 공사 책임 관리)를 맡았다.
1591년(덴쇼 19년), 데루모토로부터 12,000석의 영지를 받았다.
2. 5. 임진왜란 참전
1592년 (분로쿠 원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호이다 모토키요는 병중인 모리 데루모토를 대신하여 모리 가문의 총대장이 되었다.[14]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모토키요에게 호랑이를 보내줄 것을 요구하였고, 모토키요는 호랑이 두 마리를 산 채로 잡아 히데요시에게 보냈다. 이 호랑이는 교토에서 큰 화제가 되었고, 고요제이 천황도 구경했다.[14]2. 6. 사망
1597년, 형 다카카게가 죽은 지 약 한 달 뒤, 아키국 사쿠라오성에서 47세로 세상을 떠났다.[3]3. 인물
모토키요는 생모인 노미노오카타를 극진히 모셨으며, 동생들을 잘 챙기는 온후한 성품이었다고 전해진다.[1] 다카모토, 모토하루, 다카카게 세 형의 활약에 가려졌지만, 모토나리의 측실 소생 형제들 중에서도 뛰어난 재능을 가진 무장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다카카게와 사이가 좋았으며, 많은 전투에서 다카카게의 군세에 속해 활약했다.[1] 산시 교훈장에서 모토나리는 모토키요를 포함한 측실 소생 자식들을 "벌레 같은 아이들"이라고 표현했지만, 이들이 성장하여 유능한 인재가 되면 불쌍히 여겨 먼 곳에라도 두어 달라고 부탁했다. 이는 모토나리가 정실 소생 자식들과 측실 소생 자식들을 명확히 구분하면서도, 모토키요 등의 잠재력을 인정했음을 보여준다.
4. 일화
모토키요는 형인 다카카게를 매우 신뢰하여, 동생 모토마사에게 "어려운 일이 생기면 다카카게 님께 상담하라"고 말했다고 한다.[35] 죽음을 앞두고 다카카게와 누가 먼저 세상을 떠날 것인지 이야기를 나누었고, 얼마 후 다카카게가 사망하고 한 달 뒤 모토키요도 세상을 떠났다는 일화가 있다.[33][34]
모토키요는 온화한 성품으로, 생모 노미 오가타의 노후를 항상 걱정하고 자신의 동생들을 배려하였다. 또한, 측실에서 태어난 형제들 중에서도 특히 재능이 뛰어난 무장이라고 불렸다. 산요 방면 동부의 최중요 거점인 사루카케 성을 수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복 형인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와 관계가 깊었고, 많은 전투에서 다카카게의 군세에 속해 싸웠다.
1596년 윤 7월 13일 자시(오전 12시경)에 야마시로국후시미 부근에서 게이초 후시미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모토키요는 데루모토와 함께 교토에 있었다. 다음 날인 윤 7월 14일에 다나모리 모토유키에게 보낸 서신에서 이쓰쿠시마 신사의 지진 피해를 묻는 동시에, 지진은 계속되고 있지만 후시미 성과 저택은 파손되지 않았으니 안심하라고 전하고 있다. 실제로는 지진으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는 아직 피해 상황 정보가 부족했거나, 쓸데없이 불안감을 조성하지 않으려는 모토키요의 배려로 여겨지고 있다.
1594년 분로쿠의 역으로 조선에 주둔하고 있던 히데모토가 귀국할 때, 모토키요는 히데요시로부터 부산에 주둔하라는 명령과 함께 호랑이를 보내라는 요청을 받았다. 모토키요는 호랑이 두 마리를 생포하여 히데요시에게 보냈고, 히데요시는 기뻐하며 교토로 올려 고요제이 천황도 구경했다고 한다.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모리 모토나리 | 1497년 - 1571년 | |
어머니 | 노미 오가타 | ? - 1601년 | 모리 모토나리의 계실(측실). |
정실 | 쇼케이 묘주 | ? - 1590년 | 구루시마 무라카미씨 당주 무라카미 미치야스의 딸. 1590년 6월 8일 사쿠라오성에서 사망. 법명은 "묘주지 쇼케이 묘주". 묘소는 도운지. |
측실 | 에이초인 | 1571년 - 1664년 | 사바 에렌의 딸. 모토키요 사후 구로다 나가마사 가신인 구리야마 토시아스에게 재가하여 두 딸을 낳았지만, 구로다 소동 이후에는 히데모토를 의지하여 조후로 이주. |
장남 | 모리 미야쓰루마루 | 1573년 - 1584년 | 적남으로 태어났으나 요절. |
차남 | 모리 히데모토 | 1579년 - 1650년 | 조후번 초대 번주. |
삼남 | 모리 미야요시마루 | ? - 1589년 | 차형인 히데모토가 모리 데루모토의 양자가 되었기 때문에 모토키요의 후계자가 되었으나 요절. |
장녀 | 세츠테이 묘세이 | 1578년 - 1604년 | 조후번가로가 되는 조후 호소카와가 당주 호소카와 모토미치의 정실. 1604년 6월 27일 사망. 법명은 "텐슈인 세츠테이 묘세이". |
차녀 | 텐유 이테이 | ? - 1662년 | 구마가이 나오사다의 처. 1596년 5월 2일 남편보다 먼저 사망,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데루모토로부터 30석을 받았다.[45] 1662년 8월 17일 사망. 법명은 "코후쿠인 텐유 이테이". 조후의 쇼잔지에 묻혔고, 후에 소렌지로 개장. |
삼녀 | 쇼와 준초 | ? - 1649년 | 처음에는 아소누마 모토사토에게 시집갔고, 모토사토 사망 후에는 요시카 모리가의 모리 모토시게에게 시집. 1649년 7월 29일 사망. 법명은 "지토쿠인 쇼와 준초". |
사녀 | 큐가쿠 테이쇼 | ? - 1621년 | 시시도 히로마사의 처. 1621년 9월 27일 사망. 법명은 "큐가쿠 테이쇼". |
참조
[1]
문서
『毛利家文書』第575号、年不詳4月16日付け、(毛利)輝元宛て、右馬元就(毛利右馬頭元就)自筆書状
[2]
문서
『閥閲録』巻110「石川彌右衛門」第5号、永禄11年(1568年)4月13日付、石川肥後守(種吉)宛て(毛利)元清起請文
1568-04-13
[3]
문서
『益田家文書』第343号、益田藤兼・同元祥安藝吉田出頭之禮儀次第
[4]
문서
『小早川家文書』第127号、年不詳12月14日付け、(毛利)元清宛て、少太輝元(毛利少輔太郎輝元)自筆書状
[5]
문서
『小早川家文書』第126号、年不詳12月22日付け、椋梨子治部少輔(弘平)殿宛て、(毛利)輝元・(毛利)元就連署状
[6]
문서
『小早川家文書』第132号、年不詳6月23日付け、(毛利)元清宛て、少太輝元(毛利少輔太郎輝元)自筆書状
[7]
문서
『小早川家文書』第145号、年不詳6月23日付け、(椋梨)弘平宛て、(毛利)元清自筆書状
[8]
문서
『毛利家文書』第374号、永禄13年(1569年)4月17日、出雲國牛尾要害合戦頸注文
1569-04-17
[9]
문서
『毛利家文書』第375号、天正3年(1575年)1月1日、備中國手要害合戦頸注文
1575-01-01
[10]
문서
『長府毛利家文書』、天正3年(1575年)12月18日付け、(福原)出羽守貞俊・[[桂就宣|桂左衛門大夫就宣]]・[[粟屋元勝|粟屋右京亮元勝]]・[[児玉元良|児玉三郎右衛門元良]]・[[粟屋元真|粟屋掃部助元真]]・[[国司元武|国司右京亮元武]]・(口羽)下野守通良連署 毛利元清所領在所注文案
1575-12-18
[11]
문서
『長府毛利家文書』、天正3年(1575年)12月18日付け、四郎(毛利元清)殿宛て、(毛利)右馬頭輝元宛行状案
1575-12-18
[12]
문서
『村山家檀那帳』天正9年(1581年)12月12日付け、[[村山武親|村山四郎大夫(武親)]]檀那帳
1581-12-12
[13]
문서
「毛利博物館蔵文書毛利家旧蔵文書諸家文書」48号、年不詳8月14日付け、村山大夫(武慶)殿御宿所宛て、穂田治部大輔元清書状
[14]
문서
『厳島野坂文書』、天正5年(1577年)比定5月22日付け、棚守左近将監(房顕)殿宛て、(穂田)四郎元清書状
1577-05-22
[15]
문서
『毛利家文書』第847号、天正7年(1579年)比定10月8日付け、四元清(穂田少輔四郎元清)書状
1579-10-08
[16]
문서
『閥閲録』巻29「井原孫左衛門」第1号、天正9年(1581年)8月19日付け、伊賀与三郎(家久)殿宛て、小早川隆景・穂田治部大輔元清・福原式部少輔元俊・口羽中務大輔春良・福原出羽守貞俊連署起請文
1581-08-19
[17]
문서
『閥閲録』巻29「井原孫左衛門」第2号、天正9年(1581年)比定8月19日付け、伊賀余三郎(家久)殿宛て、小早川隆景・穂田治部大輔元清・福原式部少輔元俊・口羽中務大輔春良・福原出羽守貞俊連署坪付
1581-08-19
[18]
문서
『閥閲録』巻72「桂又兵衛」第1号、桂少輔五郎(元依)殿宛て、(毛利)右馬頭輝元書状
[19]
문서
『相良家文書』第731号、文禄2年(1593年)比定11月24日付け、増田右衛門尉(長盛)殿・石田治部少輔(三成)殿宛て、毛利治部大輔元清請書写
1593-11-24
[20]
문서
『益田家文書』第406号、天正16年(1588年)比定6月2日付け、(益田)元祥宛て、(毛利)右馬頭輝元書状
1588-06-02
[21]
문서
『益田家文書』第860号、進上道具覚書
[22]
문서
『益田家文書』第399号、天正16年(1588年)比定閏5月15日付け、(穂田)元清宛て(毛利)右馬輝元書状
1588-05-15
[23]
문서
『益田家文書』第400号、天正16年(1588年)比定閏5月15日付け、益右(益田右衛門佐元祥)宛て(毛利)輝元書状
1588-05-15
[24]
문서
『[[天正記]]』天正16年(1588年)7月8日条
1588-07-08
[25]
문서
『山内首藤家文書』第554号、天正18年(1590年)比定12月12日付け、谷玄蕃允殿宛て(穂田)元清書状写
1590-12-12
[26]
문서
『益田家文書』第350号、天正19年(1591年)9月25日付け、益田右衛門佐(元祥)殿宛て、(穂田)治部大輔元清、(福原)式部少輔廣俊、(渡辺)飛騨守長、(林)肥前守就長、(佐世)与三左衛門尉元嘉、(二宮)太郎衛門尉就辰、(内藤)与三衛門尉元榮、安国寺恵瓊連署打渡状
1591-09-25
[27]
문서
『山内首藤家文書』第331号、天正19年(1591年)9月25日付け、山内少輔四郎(広通)殿宛て、安国寺恵瓊・(福原)式部少輔広俊・(渡辺)飛騨守長・(林)肥前守就長、(佐世)与三左衛門尉元嘉・(二宮)太郎右衛門尉就辰・(内藤)与三右衛門尉元榮・(毛利)治部太輔元清 連署知行検地指出
1591-09-25
[28]
문서
『三浦家文書』第112号、天正19年(1591年)9月25日付け、三浦兵庫頭(元忠)殿宛て、(穂田)治部太輔元清、(福原)式部少輔廣俊、(渡辺)飛騨守長、(林)肥前守就長、(佐世)与三左衛門尉元嘉、(二宮)太郎衛門尉就辰、(内藤)与三右衛門尉元榮、安国寺惠瓊連署知行注文
1591-09-25
[29]
문서
天正20年(1592年)2月15日付け、備中船木山洞松寺宛て、安国寺恵瓊・(福原)式部少輔広俊・(渡辺)飛騨守長・[[口羽通平|(口羽)刑部太輔通平]]・(穂田)伊予守元清打渡状
1592-02-15
[30]
문서
『平賀家文書』第226号、年不詳12月8日付け、内藤与三右衛門尉(元栄)殿・佐世与三左衛門尉(元嘉)殿宛て、(穂田)治部少輔元清・林肥(林肥後守)就長・安國寺惠瓊連署奉書
[31]
문서
『吉川家文書別集』第675号、文禄3年(1594年)比定1月9日付け、祖九右(祖式九右衛門長好)宛て吉川広家自筆書状
1594-01-09
[32]
문서
『熊谷家文書』第247号、(毛利)元清さま宛て、つほね(清光院)書状
[33]
문서
『吉川家文書』第1200号、慶長2年(1597年)比定6月24日付け、(吉川)広家宛て(毛利)輝元自筆書状
1597-06-24
[34]
문서
『吉川家文書』第1201号、慶長2年(1597年)6月比定、吉川広家自筆書状案
1597-06-01
[35]
문서
『吉川家文書』第1272号、年不詳5月6日付け、(吉川)元資宛て、右馬元就(毛利右馬頭元就)自筆書状
[36]
문서
吉川家文書別集 第26号、大通院侍者宛て、元清自筆書状
吉川家
不詳-11-25
[37]
문서
吉川家文書別集 第364号、広家宛て、穂治太元清書状
吉川家
不詳-12-08
[38]
문서
毛利家文書 第1229号、堅田兵部少輔元慶殿宛て、小田孫兵衛尉元家血判起請文
毛利家
1599-04-24
[39]
문서
吉川家文書 第154号、廣家様宛て、圓清自筆書状
吉川家
1600-11-09
[40]
문서
毛利家文書 第1263号、福原越後守広俊殿・井原四郎右衛門尉元以殿・榎本中務太輔元吉殿・佐世長門守元嘉殿宛て、毛利伊予守秀元書状
毛利家
1606-02-11
[41]
문서
毛利家文書 第1264号、福原越後守広俊殿・井原四郎右衛門尉元以殿・榎本中務太輔元吉殿・佐世長門守元嘉殿宛て、益田玄蕃頭紹㘞言上書
毛利家
1606-02-11
[42]
문서
益田家文書 第423号、益田玄蕃頭元祥殿宛て、毛利秀元起請文
益田家
1606-02-11
[43]
문서
毛利家文書 第1279号、毛利輝元自筆熊谷元直罪状書
毛利家
1605
[44]
문서
熊谷家文書 第244号、元清宛て、輝元書状
熊谷家
不詳-02-28
[45]
문서
熊谷家文書 第245号、おミやさま宛て、そう瑞書状
熊谷家
不詳-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